KR20100063982A - Plasma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sma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982A
KR20100063982A KR1020080122370A KR20080122370A KR20100063982A KR 20100063982 A KR20100063982 A KR 20100063982A KR 1020080122370 A KR1020080122370 A KR 1020080122370A KR 20080122370 A KR20080122370 A KR 20080122370A KR 20100063982 A KR20100063982 A KR 2010006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tain
period
voltage
signal
sustai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3982A/en
Publication of KR2010006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9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 plasma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o generate sustain discharge by using self erase discharge in a sustain signal voltage falling period, so shortening a sustain signal period and a voltage drop period. CONSTITUTION: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es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 driver supplies a sustai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two electrodes. A sustain signal comprises a rising time, a maintaining period, and a falling period. The sustain signal is provided in the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Plasma Display Apparatus {Plasm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Cell) 내에 형성된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을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phosphor layer formed in a discharge cell divided by a partition wall, and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면, 방전 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셀 내에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 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 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When the drive signal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discharge is generated by the drive signal supplied in the discharge cell. Here, when discharged by a drive signal in the discharge cell, the discharge gas filled in the discharge cell generates vacuum ultraviolet rays, and the vacuum ultraviolet light emits the phosphor formed in the discharge cell to emit visible light. Generate. The visible light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를 짧게 하고, 전압 하강 기간(ER-Down)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자가 소거 방전(Self Erase Discharge)을 이용하여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a sustain discharge by using a self erase discharge in a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by shortening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nd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ER-Down).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전압이 상승하는 상승 기간,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유지 기간 및 전압이 하강하는 하강 기간을 포함하는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공급순서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연속될 수 있다.A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nd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in a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of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a sustain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ising period in which the voltage rises, a sustain period in which the sustain voltage is maintained, and a falling period in which the voltage falls, and a supply sequence of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in a continuous supply order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earlier than the sustain signal may be continuous.

또한,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는 2.0㎲~4.0㎲일 수 있다.In addition, a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may be 2.0 ms to 4.0 ms.

또한,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또한,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는 400㎱~60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ing period may be 400 kV to 600 kV.

또한,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300㎱~50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may be 300 kV to 500 kV.

또한, 서스테인 신호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하여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tain signal may be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the sustain period.

또한, 복수의 서스테인 신호 중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자가 소거 방전(Self Erasing Discharge)이 발생하고, 제 1 서스테인 신호와 연속된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는 자가 소거 방전과 연속되어 서스테 인 방전(Sustain Discharge)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lf erasing discharge occurs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first sustain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ustain signals, and continues in the voltage erasing period of the second sustain signal continuous with the first sustain signal. Sustain discharge can occur.

또한,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는 서로 중첩(Overlap)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may overlap each other.

또한,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는 기간의 길이는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의 0.5배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eriod in which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 each other may be 0.5 times or less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또한,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는 서로 중첩(Overlap)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may not overlap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전압이 상승하는 상승 기간,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유지 기간 및 전압이 하강하는 하강 기간을 포함하는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에 따라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nd a scan electrode in a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of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And a driving unit supplying a sustai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sustain electrodes, the sustaining period in which the voltage rises, the sustaining period in which the sustain voltage is maintained, and the falling period in which the voltage falls.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can be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또한,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입력되는 영상의 평균 전력 레벨(Average Power Level : APL)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may be determined by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an input image.

또한,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N개인 경우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N개보다 많은 M개인 경우의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when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more than N. I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또한,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는 2.0㎲~4.0㎲일 수 있다.In addition, a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may be 2.0 ms to 4.0 ms.

또한,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또한, 공급순서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연속될 수 있다.Further, among the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in which the supply order is continuous,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preceding the supply order and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other sustain signal may be continuous.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를 짧게 하고, 전압 하강 기간(ER-Down)의 길이를 짧게 하여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자가 소거 방전(Self Erase Discharge)을 이용하여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전압을 낮추고, 구동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nd shortens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ER-Down) to perform sustain discharge using self erase discharge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By generating it, there is an effect of lowering the discharge voltage and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구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plasma display panel 100 and a driver 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Y1~Yn)과 서스테인 전극(Z1~Zn)을 포함하고, 아울러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X1~Xm)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plasma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scan electrodes Y1 to Yn and sustain electrodes Z1 to Zn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include address electrodes X1 to Xm that cross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may implement an image in 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ields.

구동부(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스캔 전극, 서스테인 전극 또는 어드레스 전극 중 적어도 하나로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10)는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전압이 상승하는 상승 기간,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유지 기간 및 전압이 하강하는 하강 기간을 포함하는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The driver 110 may supply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a scan electrode, a sustain electrode, and an address electro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to implement an image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Preferably, the driver 110 increases the voltage of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in the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The sustain signal can be supplied including a rising period, a sustaining period in which the sustain voltage is maintained, and a falling period in which the voltage falls.

여기서, 구동부(110)는 공급순서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연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in, the driving unit 110 may control such that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preceding the supply signal and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other sustain signal among the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having the continuous supply order are continuous. have.

아울러, 구동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어드레스 전극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집적회로(Data I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unit 110 may include a data integrated circuit (Data IC)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address electro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여기, 도 1에서는 구동부(110)가 하나의 보드(Board)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만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구동부(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전극에 따라 복수개의 보드 형태로 나누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부(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스캔 전극을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미도시)와, 서스테인 전극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어드레스 전극을 구동시키는 제 3 구동부(미도시)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in FIG. 1, only the case in which the driving unit 110 is formed in one board form is illustra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oard forms according to electrodes formed on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It is also possible to lose. For example, the driver 110 may include a first driver (not shown) for driving the scan electro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a second driver for driving the sustain electrode, and a third driver (not shown) for driving the address electrode. Can be divided into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lasma display panel.

도 2를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201)과,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front substrate 201 in which scan electrodes 202 and Y and sustain electrodes 203 and Z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scan electrodes 202 and Y and a sustain electrode ( The back substrate 211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s 213 and X intersect with 203 and Z may be formed.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키는 상부 유전체 층(204)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front substrate 201 where the scan electrodes 2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and Z are formed, the discharge currents of the scan electrodes 2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and Z are limited and the scan electrodes 202 and Y are restricted. ) And an upper dielectric layer 204 may be arranged to insulate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s 203 and Z.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2차 전자 방출 계수가 높은 재질,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205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bstrate 201 where the upper dielectric layer 204 is formed to facilitate discharge conditions. The protective layer 205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high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such as magnesium oxide (MgO) material.

후면 기판(211)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으며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키는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될 수 있다.The address electrodes 213 and X are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211, and the address electrodes 213 and X are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bstrate 211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s 213 and X are formed. A lower dielectric layer 215 may be formed that insulates X).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광을 방출하는 제 1 방전 셀, 청색(Blue : B)광 을 방출하는 제 2 방전 셀 및 녹색(Green : G)광을 방출하는 제 3 방전 셀 등이 형성될 수 있다.On top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 215, a partition space 212, such as a stripe type, a well type, a delta type, a honeycomb type, etc., is formed on the discharge space, that is, to partition the discharge cells. Can be. Accordingly, the first discharge cell emitting red (R) light, the second discharge cell emitting blue (B) light, and the green (Green) light between the front substrate 201 and the rear substrate 211. : G) A third discharge cell or the like that emits light can be formed.

여기서, 격벽(212)은 높이가 서로 다른 제 1 격벽(212b)과 제 2 격벽(212a)을 포함하고, 제 1 격벽(212b)의 높이가 제 2 격벽(212a)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Here, the partition 212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212b and a second partition 212a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212b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212a. .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A predetermined discharge gas may be filled in the discharge cell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2.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3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hosphor layer 214 that emits visible light for image display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cell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2. For example, a first phosphor layer that generates red light, a second phosphor layer that generates blue light, and a third phosphor layer that generates green light may be formed.

또한, 후면 기판(211) 상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2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ddress electrode 213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211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or thickness, but the width or thickness inside the discharge cell may be different from the width or thickness outside the discharge cell. . For example, the width or thickness inside the discharge cell may be wider or thicker than that outside the discharge cell.

스캔 전극(202), 서스테인 전극(203) 및 어드레스 전극(213) 중 적어도 하나로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셀 내에서는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방전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자외선이 형광체층(214)의 형광체 입자에 조사될 수 있다. 그러면, 자외선이 조사된 형광체 입자가 가시광선을 발산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202, the sustain electrode 203, and the address electrode 213, discharge may occur in the discharge cell. As such, when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discharge cell, ultraviolet rays may be generated by the discharge gas filled in the discharge cell, and the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onto the phosphor particles of the phosphor layer 214. Then, a predetermin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by the phosphor particle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emit visible light.

도 3은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image frame for implementing gradation of an image.

도 3을 살펴보면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SF1~SF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frame for implementing gray levels of an im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fields SF1 to SF8.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는 방전셀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방전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방전이 발생하는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fields may include a sustain period for implementing gradation according to an address period and a number of discharges for selecting discharge cells in which discharge cells will not occur or discharge cells in which discharge occurs. Period)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컨대 하나의 프레임은 도 3과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어드레스 기간과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case of displaying an image with 256 gray levels, for example, one frame is divided into eight subfields SF1 to SF8 as shown in FIG. 3, and each of the eight subfields SF1 to SF8 is an address. It can include a period and a sustain period.

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reset period for initialization.

아울러,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not include a sustain period.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0으 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1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subfield may be set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supplied in the sustain period. That is, a predetermined weight can be given to each subfield using the sustain period. For example, the weight of each subfield is 2 n by setting the weight of the first subfield to 2 0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subfield to 2 1 (where n = 0, 1, 2). , 3, 4, 5, 6, 7) can be set to increase. As described above, gray levels of various images may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supplied in the sustain period of each subfield according to the weight in each subfield.

여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FIG. 3, only one image frame is composed of eight subfields. However, the number of subfields constituting one image frame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one video frame may be configured with 12 subfields from the first subfield to the twelfth subfield, or one video frame may be configured with 10 subfields.

또한, 여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FIG. 3, subfields are arranged in an order of increasing weight in one image frame. Alternatively, subfields may be arranged in an order of decreasing weight in one image frame. Subfields may be arranged regardless.

한편,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Selective Erase Subfield, SE)이고,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Selective Write Subfield, SW)인 것도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included in the frame may be a selective erase subfield (S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may be a selective write subfield (SW). Do.

하나의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와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첫 번째 서브필드 또는 첫 번째 서브필드와 두 번째 서브필드가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이고, 나머지는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f one fram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ive erase subfield and an optional write subfield, the first subfield or the first and second subfields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are the selective write subfield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remainder to be selective erasure subfields.

여기서,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에 데이터 신호(Data)가 공급된 방전셀을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오프(Off)시키는 서브필드이다.Here, the selective erasing subfield is a subfield that turns off the discharge cells supplied with the data signal Data to the address electrodes in the address period in the sustain period after the address period.

이러한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는 오프시킬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에서 선택되지 않은 방전셀에서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키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ve erasure subfield may include an address period for selecting a discharge cell to be turned off and a sustain period for generating sustain discharge in discharge cells not selected in the address period.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에 데이터 신호(Data)가 공급된 방전셀을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온(On)시키는 서브필드이다.The selective write subfield is a subfield that turns on the discharge cells supplied with the data signal Data to the address electrodes in the address period in the sustain period after the address period.

이러한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는 방전셀들을 초기화하기 위한 리셋 기간, 온시킬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 및 어드레스 기간에서 선택된 방전셀에서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키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ve write subfield may include a reset period for initializing the discharge cells, an address period for selecting the discharge cells to be turned on, and a sustain period for generating sustain discharge in the discharge cells selected in the address period.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구동신호들은 앞선 도 1의 구동부(110)가 공급하는 것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device. The driving signals to be described below are supplied by the driving unit 110 of FIG. 1.

도 4를 살펴보면,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 RP)에서는 스캔 전극(Y)으로 리셋 신호(RS)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셋 신호(RS)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상승 램프 신호(Ramp-Up : RU) 및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하강 램프 신호(Ramp-Down : RD)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reset period RP for initializing at least one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the reset signal RS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Can supply Here, the reset signal RS may include a rising ramp signal (Ramp-Up: RU) in which the voltage gradually rises and a falling ramp signal (Ramp-Down: RD) in which the voltage gradually falls.

예를 들면, 리셋 기간의 셋업 기간(SU)에서는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RU)가 공급되고,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 기간(SD)에서는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RD)가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ising ramp signal RU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in the setup period SU of the reset period, and the falling ramp signal RD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in the setdown period SD after the setup period. .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벽 전하(Wall Charge)의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When the rising ramp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 weak dark discharge, that is, setup discharge, occurs in the discharge cell by the rising ramp signal. By this setup discharge, the distribution of wall charges can be uniform in the discharge cells.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된 이후,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될 수 있다.After the rising ramp signal is supplied, when the falling ramp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 weak erase discharge, that is, a setdown discharge, occurs in the discharge cell. By this set-down discharge, wall charges such that address discharge can be stably generated can be uniformly retained in the discharge cells.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AP)에서는 하강 램프 신호의 최저 전압보다는 높은 전압을 갖는 스캔 기준 신호(Ybias)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In the address period AP after the reset period, the scan reference signal Ybias having a voltage higher than the lowest voltage of the falling ramp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또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스캔 기준 신호(Ybias)의 전압으로부터 하강하는 스캔 신호(Sc)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ddress period, the scan signal Sc that falls from the voltage of the scan reference signal Ybias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펄스폭은 다른 서브필드의 스캔 신호의 펄스폭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시간상 뒤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이 앞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에 따른 스캔 신호 폭의 감소는 2.6㎲(마이크로초), 2.3㎲, 2.1㎲, 1.9㎲ 등과 같이 점진적 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2.6㎲, 2.3㎲, 2.3㎲, 2.1㎲......1.9㎲, 1.9㎲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the pulse width of the sca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in the address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may be different from the pulse width of the scan signal of another subfield.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can signal in the subfield located later in tim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can signal in the preceding subfield.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the scan signal width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ubfields can be made gradually, such as 2.6 Hz (microseconds), 2.3 Hz, 2.1 Hz, 1.9 Hz, or 2.6 Hz, 2.3 Hz, 2.3 Hz, 2.1 Hz. .... 1.9 ㎲, 1.9 ㎲ and so on.

이와 같이, 스캔 신호가 스캔 전극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Dt)가 공급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the data signal Dt may be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corresponding to the scan signal.

이러한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scan signal and the data signal are supplied, an address discharge may be generated in the discharge cell to which the data signal is supplied while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signal and the data signal and the wall voltage generated by the wall charges generated in the reset period are added. .

아울러,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에는 스캔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서스테인 기준 신호(Zbias)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tain reference signal Zbias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in the address period in which the address discharge occurs so that the address discharge is effectively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address electrode.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SP)에서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In the sustain period SP after the address period, the sustain signal SUS may b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For example, a sustain signal may be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When such a sustain signal is supplied, the discharge cell selected by the address discharge is added with the wall voltage in the discharge cell and the sustain voltage Vs of the sustain signal, and a sustain discharge, i.e., display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when the sustain signal is supplied. Discharge may occur.

이러한 방식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an image can be realized.

도 5 내지 도 10은 서스테인 신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서스테인 신호는 인덕터(Inductor)의 LC 공진에 의해 전압이 점진적 으로 상승하는 전압 상승 기간(d1), 최대 전압, 즉 서스테인 전압(Vs)이 유지되는 전압 유지 기간(d2) 및 인덕터의 LC 공진에 의해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전압 하강 기간(d3)을 포함할 수 있다.5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ustain signal in more detail. Here, the sustain signal includes a voltage rising period d1 at which the voltage gradually increases due to LC resonance of the inductor, a voltage holding period d2 at which the maximum voltage, that is, the sustain voltage Vs, and the LC resonance of the inductor are maintained. It may include a voltage falling period (d3) that the voltage is gradually lowered by.

아울러, 복수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nd the sustain signal preceding the supply signal out of the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in which the supply order is consecutive among the plurality of sustain signals is continuous. Can be.

이와 같이,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이 연속되도록 하기 위해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를 짧게 하고, 아울러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ER-Down Period)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10)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를 대략 2.0㎲~4.0㎲정도로 짧게 하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를 전압 상승 기간(ER-Up Period)의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As such,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may be such that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preceded by the supply order of the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is continuous with the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other sustain signal.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circuit can be shortened,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ER-Down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can be shortened. More preferably, the driving unit 110 may shorten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to about 2.0 kV to about 4.0 kV, and may shorte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R-Up period. .

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5와 같이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는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되며, 아울러 서스테인 신호의 공급 주기(T1)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는 서로 중첩(Overlap)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as shown in FIG. 5, the sustain signal SUS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nd the supply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ned. Can be. In this case,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may not overlap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6의 (b)의 경우는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가 T2이고, (a)의 경우는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가 T2보다 작은 T1이다.For example, in FIG. 6B, on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T2, and in (a), on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T1 smaller than T2.

여기서, (a)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T1)를 짧게 하면 (b)의 경우에 비해 정해진 서스테인 기간 내에서 보다 많은 개수의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f one cycle T1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ned as shown in (a), since the sustain signal can be supplied in a larger number of sustain signals than in the case of (b), the luminance can be increased.

아울러, 정해진 서스테인 기간 내에서 보다 많은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무조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를 줄이게 되면, 서스테인 방전의 유지 기간이 과도하게 짧아지게 됨으로써 서스테인 방전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is unconditionally reduced in order to supply more sustain signals within a predetermined sustain period, the sustain discharge may become unstable because the sustain period of the sustain discharge is excessively shortened.

따라서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T1)를 대략 4.0㎲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는 2.0㎲~4.0㎲일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make on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smaller than about 4.0 ms, and more preferably,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may be 2.0 ms to 4.0 ms.

그러나 단순히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T1)를 짧게 하는 방법은 자가 소거 방전(Self Erase Discharge : SED)을 유발시키고, 이러한 자가 소거 방전에 의해 벽전하가 소거됨으로써 방전이 원활하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simply shortening one cycle T1 of the sustain signal causes self erase discharge (SED), and the wall charge is erased by the self erase discharge so that the discharge may not occur smoothly.

예를 들어, 도 7의 경우와 같이 스캔 전극에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공급된 이후에,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와 연속되는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fter the first sustain signal SUS1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s in the case of FIG. 7, the second sustain signal SUS2 continuous to the first sustain signal SUS1 is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Let's assume.

이러한 경우,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T1)가 대략 4.0㎲정도로 짧은 경우에는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Sustain Discharge : SD)이 발생한 이후에 다시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자가 소거 방전(SED)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one cycle T1 of the sustain signal is about 4.0 kV, the first sustain signal SUS1 is again generated after the sustain discharge (SD) occurs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first sustain signal SUS1. The self-erasing discharge (SED) may occur in the voltage drop period.

그러면, 자가 소거 방전에 의해 벽전하가 소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다음에 공급되는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서스테인 방전(SD)의 세기가 과도하게 약해질 수 있다. 심지어는 자거 소거 방전에 의해 과도하게 많은 양의 벽전하가 소거되는 경우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n, the wall charges can be erased by the self erasing discharge, and accordingly, the intensity of the sustain discharge SD generated in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second sustain signal SUS2 which is supplied next can be excessively weakened. . Even when an excessively large amount of wall charge is erased by the self-erasing discharge, sustain discharge may not occur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econd sustain signal SUS2.

이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짧아서 자가 소거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서스테인 방전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의 경우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보다 더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sustain discharge from becoming unstable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due to the self-erasing discharge,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is defined as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 It may be desirable to make it shorter than the length of d1).

한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과도하게 짧게 하면,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는 에너지 회수 회로(Energy Recovery Circuit)에서 에너지 회수 효율이 과도하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대략 300㎱~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is excessively short, the energy recovery efficiency of the energy recovery circuit including the inductor may be excessively lowered, so that the voltage drop of the sustain signal may be reduced. It may be desirable to set the length of the period d3 to approximately 300 ms to 500 ms.

반면에,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는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에 비해 더 길어질 수 있고, 아울러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를 길게 하면 에너지 회수 회로에서 저장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히 시간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한다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 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오히려 구동 효율 및 휘도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ing period d1 of the sustain signal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d3, and if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ing period d1 of the sustain signal is increased, The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sufficient time for supplying the voltage can be secured.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d1 of the sustain signal is excessively long,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becomes long, and thus driving efficiency and luminance characteristics may be deteriorated.

이를 고려할 때,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는 400㎱~600㎱일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may be 400 kV to 600 kV.

아울러, 도 8의 경우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를 짧게 하고, 이때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보다 더 짧게 하는 경우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자가 소거 방전과 서스테인 방전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FIG. 8,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ned, and in this case, whe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d1, Erase discharge and sustain discharge may occur continuously.

자세하게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가 짧아지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가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에 비해 짧아짐에 따라,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전압 하강 기간(d1)에서 자가 소거 방전(SED)이 발생한 이후 자가 소거 방전이 종료되기 이전에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SD)이 연속하여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표시된 P지점이 자가 소거 방전과 서스테인 방전이 연속되는 지점일 수 있다. 즉, 자가 소거 방전과 서스테인 방전이 서로 중첩될 수 있는 것이다.In detail, as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ned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become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d1, the voltage fall period of the first sustain signal SUS1. The sustain discharge SD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econd sustain signal SUS2 after the self erase discharge SED occurs in (d1) and before the self erase discharge is terminated. Point P shown in FIG. 9 may be a point where the self erase discharge and the sustain discharge are continuous. That is, the self erase discharge and the sustain discharge may overlap each other.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전압 하강 기간(d3)에서 자가 소거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벽전하의 양이 감소하더라도, 자가 소거 방전이 종료되기 이전에 자가 소거 방전에 의해 생성된 공간 전하들을 이용하여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전압 상승 기간(d1)에서 서스테인 방전(SD)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amount of wall charges decreases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elf erasing discharge in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first sustain signal SUS1, the space charge generated by the self erasing discharge before the self erasing discharge ends. The sustain discharge SD may be generated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d1 of the second sustain signal SUS2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signals SUS2.

이에 따라, 서스테인 전압(Vs)을 낮추어도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될 수 있어서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ven when the sustain voltage Vs is lowered, sustain discharge may occur, thereby lowering the driving voltage and improving driving efficiency.

즉,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가 4.0㎲이하로 짧은 경우에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에 비해 짧게 하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가 짧아짐에 따라 자가 소거 방전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인 서스테인 구동이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r than 4.0 Hz, if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d1,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is As it becomes shorter, stable sustain driving is possible even if self-erase discharge occurs.

아울러, 자가 소거 방전에 의해 발생한 공간전하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도 10의 (a), (b), (c)의 경우와 같이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를 서로 중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use the space charges generated by the self-erasing discharge,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as shown in (a), (b) and (c) of FIG. Can overlap each other.

이와 같이,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를 중첩시키게 되면, 이전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발생하는 자가 소거 방전이 종료되기 이전에 보다 효과적으로 그 다음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such, when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are superimposed, the voltage rise of the next sustain signal becomes more effective before the self-erasing discharge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previous sustain signal ends. Since sustain discharge can be generated in the perio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riving efficiency.

아울러,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를 중첩시키는 방법으로는 (b)와 같이 연속되는 서스테인 신호를 연속적으로 중첩시키는 방법이 가능하고, 또는 (c)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한 주기(T1) 동안에만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를 중첩시키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superimposing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a method of continuously superimposing a continuous sustain signal as shown in (b), or the sustain signal as shown in (c) It may be possible to superimpose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nly during one period T1.

아울러,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는 기간(d4)의 길이는 이전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발생한 자가 소거 방전에 의해 형성된 공간 전하를 이용하여 그 다음 서스 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키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eriod d4 in which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s with each other is determined by using the space charge formed by the self-erasing discharge generated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previous sustain signal. It may be desirable to be adjusted to satisfy the condition of generating sustain discharge in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tain signal.

자세하게는,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는 기간(d4)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게 되면, 자가 소거 방전이 충분히 발생하기도 전에 그 다음 서스테인 신호에 의해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짧은 이유로 인해 서스테인 방전이 공간전하를 충분히 이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서스테인 방전의 세기가 과도하게 약해지거나 심지어는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length of the period d4 where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s excessively long, the sustain discharge is caused by the next sustain signal before the self-erasing discharge is sufficiently generated. This can happen. In such a case, the sustain discharge cannot sufficiently utilize the space charge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nd thus the intensity of the sustain discharge may be excessively weakened or even the sustain discharge may not occur.

이를 고려할 때,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는 기간(d4)의 길이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의 대략 0.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period d4 in which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 is approximately 0.5 times or less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와 비교 예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11 to 13 are views for comparing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에서 (a)는 비교 예로서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대략 4.0㎲이고,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가 대략 540㎱이고,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가 대략 600㎱인 경우이다.First, (a) in FIG. 11 is a case where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about 4.0 ms,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ing period is about 540 ms,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is about 600 ms.

또한, (b)는 제 1 실시 예로서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대략 4.0㎲이고,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가 대략 500㎱이고,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가 대략 400㎱이며,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지 않는 경우이다.In addition, (b) shows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approximately 4.0 ms, the voltage rise period is approximately 500 ms, and the voltage fall period is approximately 400 ms.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do not overlap.

또한, (c)는 제 2 실시 예로서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대략 4.0㎲이고,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가 대략 500㎱이고,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가 대략 400㎱이고,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대략 160㎱동안 중첩되는 경우이다.In addition, (c) shows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with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being approximately 4.0 ms, the voltage rising period being approximately 500 ms, the voltage falling period being approximately 400 ms, as a second embodiment.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s for about 160 ms.

먼저, (a)를 살펴보면 비교 예의 경우에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는 시점(P)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First, looking at (a),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position of the point of time P at which the sustain discharge occurs during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relatively low.

이것은,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는 시점(P)에서 방전셀 내의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스테인 방전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서스테인 전압(Vs)을 높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방전 전압이 상승하는 것이다.This may mean that the voltage in the discharge cell is relatively low at the time point P at which the sustain discharge occurs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sustain discharge, the sustain voltage Vs must be increased. Can mean. As a result, the discharge voltage rises.

반면에, (b)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서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는 시점(P)에서 방전셀 내의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b),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in the discharge cell is relatively high at the time point P when the sustain discharge occurs in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이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발생한 방전이 종료되기 이전에 그 다음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연속하여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는 시점(P)에서 방전셀 내에서 전하들이 서스테인 방전에 더욱 유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실시 예에서의 방전셀 내의 전압이 (a)의 비교 예의 경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This may mean that sustain discharge occurs continuously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next sustain signal before the discharge generated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completed. In addition, this may mean that the charges are more advantageous to the sustain discharge in the discharge cell at the time point P when the sustain discharge occurs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nd thus, the discharge cell in the firs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voltag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of (a).

이러한 경우에는, 서스테인 전압을 낮추어도 안정적인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전 전압을 낮추어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sustain voltage is lowered, stable sustain discharge may occur, thereby lowering the discharge voltage and improving driving efficiency.

아울러, (c)같은 제 2 실시 예에서는 (b)의 제 1 실시 예에 비해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는 시점(P)에서 방전셀 내에서 전하들이 서스테인 방전에 더욱 유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c), the charges in the discharge cell are more advantageous to the sustain discharge at the point P when the sustain discharge occurs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of (b). Formed.

이에 따라,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를 중첩시키게 되면, 구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are superimposed, the driv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2에서는 비교 예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대략 3.2㎲이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와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이다.In FIG. 12, the comparative example is a case where the sustain signal has a period of approximately 3.2 ms,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and the voltage ris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re substantially the same.

반면에, 실시 예는 비교 예와 비교하여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동일하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유지 기간의 길이가 동일하며,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에 비해 짧은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the same as the comparative example, the length of the voltage sustain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

실시 예와 비교 예를 비교하면, 에이징(Aging) 공정 이전과 에이징 공정 이후의 구동 전압은 실시 예의 경우가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the embodiment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voltage before the aging process and after the aging process is low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이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앞선 도 9와 같이 자가 소거 방전과 서스테인 방전이 중첩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elf-erasing discharge and the sustain discharge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도 13에서 비교 예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대략 4.6㎲이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는 대략 540㎱이고,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대략 600㎱인 경우이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in Fig. 13, the sustain signal has a period of approximately 4.6 Hz,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approximately 540 Hz,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is approximately 600 Hz.

반면에, 실시 예는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가 대략 3.2㎲이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는 대략 500㎱이고,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대략 400㎱인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sustain signal has a period of about 3.2 ms,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about 500 ms, and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is about 400 ms.

도 13을 살펴보면,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이 180V~230V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가 비교 예의 경우에 비해 구동효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the voltage of the sustain signal is 180V to 230V.

도 14 내지 도 16은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에 따라 서스테인 신호를 다르게 조절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14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fferently adjusting a sustain sig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먼저, 도 14를 살펴보면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 APL)의 개념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4, a concept of average power level (APL) is illustrated.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 APL)은 전력소모를 고려하여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방향에서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고, 전력소모가 감소하는 방향에서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Average power level (APL) may be a method of adjust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in consideration of power consumption. In detail,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may be reduced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may be increased in a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예를 들어, (a)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부분에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이러한 경우는 APL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에는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기 때문에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많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영상의 전체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 when an image is displayed on a relatively small area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n this case, APL may be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may be relatively low.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can be relatively large. Then,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image can be increased.

이와는 반대로, (b)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서 상대적 으로 넓은 면적의 부분에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이러한 경우는 APL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일 수 있다)에는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기 때문에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력소모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image is displayed on a relatively large area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s shown in (b) (in this case, the APL may be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may be relatively high.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This prevents excessive power consumption.

그 일례로, 평균 전력 레벨이 a 레벨인 경우, 이 경우에서의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N개이고, 평균 전력 레벨이 a 레벨보다 높은 b 레벨인 경우에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N개 보다는 적은 M개일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a level,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n this case is N, and the sustain signal allocated to one frame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b level higher than a level. The number of can be M less than N.

이와 같이, 평균전력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도 15의 (b)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d1)의 길이에 비해 더 짧게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relatively high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relatively small, as shown in FIG. 15B,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is increased. It can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eriod d1.

아울러, 평균전력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도 16의 (b)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relatively high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relatively small,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can be relatively shortened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를 짧게 하고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를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은 자가 소거 방전에 의해 형성된 공간 전하들을 이용하여 그 다음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shortening the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and making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are for generating the next sustain discharge using the space charges formed by the self-erasing discharge. Since it has been described,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평균전력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 호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도 15의 (a)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도 15의 (b)의 경우에 비해 길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relatively low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relatively large,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as shown in FIG. 15A is shown in FIG. 15B. It can be made longer than the case of.

이와 같이,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무효 전력도 서스테인 신호와 함께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d3)의 길이를 짧게 한다면 에너지 회수 회로의 에너지 회수 효율이 과도하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large, the reactive power may increase with the sustain signal. Therefore, in this case,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d3 of the sustain signal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energy recovery efficiency of the energy recovery circuit may be excessively lowered.

아울러, 평균전력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도 16의 (a)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T1)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relatively low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relatively small, the period T1 of the sustain signal can be relatively long as shown in FIG.

한편, 이상에서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연속된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첫 번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두 번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이 서로 연속된다는 조건 하에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중 어느 하나에만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는 싱글 서스테인(Single Sustain) 구동 방식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sustain signal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the sustain period, the discharge and the two occurring in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first sustain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ingle sustain driving method in which the sustain signal is supplied to only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under the condition that discharges generated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first sustain signal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 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s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lasma display panel;

도 3은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rame for implementing gradation of an image. FIG.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device;

도 5 내지 도 10은 서스테인 신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5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ustain signal in more detail.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와 비교 예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11 to 13 are views for comparing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내지 도 16은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에 따라 서스테인 신호를 다르게 조절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4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a sustain sig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Claims (16)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A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nd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전압이 상승하는 상승 기간,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유지 기간 및 전압이 하강하는 하강 기간을 포함하는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A rising period during which a voltage rises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a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a sustain period during which a sustain voltage is maintained, and A driver supplying a sustain signal including a falling period in which a voltage falls; 를 포함하고,Including, 공급순서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연속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2. A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in a continuous supply order, discharges generated in a voltage drop period of a sustain signal preceding the supply sequence and discharges generated in a voltage rise period of another sustai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는 2.0㎲~4.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2.0 ms to 4.0 m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보다 짧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는 400㎱~60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voltage rise period has a length of 400 kV to 600 kV.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300㎱~50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voltage drop period of 300 mV to 500 mV.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스테인 신호는 상기 서스테인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하여 공급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sustain signal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the sustain perio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복수의 상기 서스테인 신호 중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에서 자가 소거 방전(Self Erasing Discharge)이 발생하고,Self Erasing Discharge occurs in a voltage drop period of a first sustain signal among a plurality of sustain signals, 상기 제 1 서스테인 신호와 연속된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는 상기 자가 소거 방전과 연속되어 서스테인 방전(Sustain Discharge)이 발생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ustain discharge is generated in succession to the self-erase discharge in the voltage rising period of the second sustain signal consecutive to the first sustain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는 서로 중첩(Overlap)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는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의 0.5배 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length of a period in which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overlap each other is 0.5 times or less the length of the voltage falling perio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와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는 서로 중첩(Overlap)되지 않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signal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do not overlap each other.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A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nd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전압이 상승하는 상승 기간,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유지 기간 및 전압이 하강하는 하강 기간을 포함하는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A rising period during which a voltage rises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a sustain period of at least one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a sustain period during which a sustain voltage is maintained, and A driver supplying a sustain signal including a falling period in which a voltage falls;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구동부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에 따라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driver controls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입력되는 영상의 평균 전력 레벨(Average Power Level : APL)에 의해 결정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determined by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an input imag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N개인 경우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상기 N개보다 많은 M개인 경우의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보다 짧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When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the length of the sustain signal when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M more than the N number. A plasma display devic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주기는 2.0㎲~4.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eriod of the sustain signal is 2.0 ms to 4.0 m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전압 하강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전압 상승 기간의 길이보다 짧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length of the voltage drop period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voltage rise perio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공급순서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공급순서가 앞선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하강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과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 상승 기간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연속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2. A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two sustain signals in a continuous supply order, discharges generated in a voltage drop period of a sustain signal preceding the supply sequence and discharges generated in a voltage rise period of another sustain signal;
KR1020080122370A 2008-12-04 2008-12-04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639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370A KR20100063982A (en) 2008-12-04 2008-12-04 Plasma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370A KR20100063982A (en) 2008-12-04 2008-12-04 Plasma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82A true KR20100063982A (en) 2010-06-14

Family

ID=4236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370A KR20100063982A (en) 2008-12-04 2008-12-04 Plasma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39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6247B2 (en)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EP1734499A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144163A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device
KR100747169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26988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70008074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61166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05822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20100063982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84568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84531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34695B1 (en)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090032670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33070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51347A (en) Method for driving of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60022591A (en) Driv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100056651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63207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60084758A (en)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64410A (en)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panel
KR20100115871A (en) Method for driving of plasma display panel
KR20100065537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119206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36657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060091210A (en)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