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880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880A
KR20100063880A KR1020080122239A KR20080122239A KR20100063880A KR 20100063880 A KR20100063880 A KR 20100063880A KR 1020080122239 A KR1020080122239 A KR 1020080122239A KR 20080122239 A KR20080122239 A KR 20080122239A KR 20100063880 A KR20100063880 A KR 2010006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me bar
bar frame
refrigera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창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3880A/en
Publication of KR2010006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8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reduce the entire energy consumption of a refrigerator by minimizing the capacity of a heating member and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changing of the inside of a refrigerator due to the heating member. CONSTITUTION: A refrigerator comprises: a main body which forms a storage; a door(100) which selectively shields the storage; a home bar frame(400) which includes an opening which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door and is installed on the door; a home bar door(30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me bar frame and selectively shields the opening; a restriction device(320) which is arranged in the home bar door and the home bar frame and selectively restricts the home bar door to the home bar frame; a receiving part(440) which is accepted at least a part of the restriction device with being dented on one side of the home bar frame; and a heating member which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on the rear side of the home bar frame and heats the opening and a neighboring part of the receiving part.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low temperature storage of food, and is configured to freeze or refrigerate food to be stor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이와 같은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이러한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냉매의 열교환작용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cooled by continuously supplied cold air, and the cold air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repeatedly performing a cycle of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evenly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by convection, so that foods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optimally stored.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에 별도의 홈바가 구비되어 음료수를 비롯한 저장식품을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냉장고가 선호되고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versati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dietary life and the trend of luxury, and refrigerators of various structure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rs have been released. Recently, a separate home bar is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and thus a refrigerator that can easily take out stored foods such as beverages without opening the door is preferred.

홈바가 구비된 냉장고에서는 홈바도어의 내측에 해당하는 고내와 외부의 온 도차이에 의해 홈바도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홈바도어 또는 홈바프레임에는 홈바히터가 구비된다.In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home bar, condensation occurs in the home bar door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me bar door. To solve this problem, the home bar door or the home bar frame is provided with a home bar heater.

그러나, 홈바에 구비되는 히터의 용량이 큰 경우 냉장고 고내의 냉각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히터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경우 단열이 취약한 부분에서의 결로형상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apacity of the heater provided in the home bar is large,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or in the refrigerator or lowering the efficiency. When the capacity of the heater is reduced, condensation may occur at a portion where insulation is weak.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목적은 홈바프레임의 수용부와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홈바의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발열부재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heating member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member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pening of the home bar frame to prevent condensation of the home b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바히터가 구비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 일부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되는 홈바프레임; 상기 홈바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 상기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홈바도어가 상기 홈바프레임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장치; 상기 홈바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속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홈바프레임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 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 및 수용부 인접 부위를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home bar heater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storage space; A door selectively shielding the storage space; A groove bar frame mounted to the door and provided with an opening penetrating a part of the door; A groove bar door rotatably mounted to the groove bar frame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ing; A restraining device provided in the home bar door and the home bar fram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restrain the home bar door to the home bar frame; A recess formed in one side of the groove bar fram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training device; I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at least a portion is disposed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eat generating member for heating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and the receiving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홈바프레임의 개구부 및 구속장치가 수용되는 수용부에 발열부재가 권취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t genera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opening of the home bar frame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in which the restraining device is accommodated.

즉, 단열이 취약한 수용부에 상기 발열부재가 직접 권취되므로, 직접적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발열부재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면서도 상기 홈 바에서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heat generating member is directly wound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poor thermal insulation, direct heat transfer is possible,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on the home bar while relativel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따라서, 상기 홈바에서의 결로 방지로 인한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effect of solving the user's emotional discomfort due to the prevention of condensation in the home bar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발열부재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상기 발열부재에 의한 고내 온도변화를 최소화하여 냉장고 전체 소비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by minimizing the capacity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and minimizing the internal temperature change caused by the heat generating memb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독립된 도어에 의해 각각 차폐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냉장고의 형태와 관계없이 홈바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 refrigerator of the side by side typ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espectively, and is shielded by independent doors. For example, it will be applicable to all refrigerators provided with a home bar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와 도어(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frigerator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 and the door 100.

상기 본체(10)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압 축기와 응축기, 증발기, 팽창수단 등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이 구비된다.The main body 10 forms a storage space, and is configured to form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respectively,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 expansion means.

한편, 상기 본체(10)는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전면은 도어(1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도어(100)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좌우에 각각 제공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front, the open front is shielded by the door 100. The doors 100 ar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to independently shiel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re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rotation.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차폐하는 각각의 도어(10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형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도어(100)에는 디스펜서(30) 및/또는 홈바(200)가 제공된다.Each door 100 that shields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ms a front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1 in a closed state, and the door 10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30 and / or a home bar 200. .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100)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가 정수된 물과 얼음을 상기 도어(100)를 개방하지 않고 외부에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doors 100 shiel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30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extract purified water and ice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door 100. Can be.

그리고, 상기 도어(100) 중 다른 하나에는 홈바(200)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200)는 상기 도어(100)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본체(10)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중인 음식물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 내부의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100)의 배면에 제공되는 저장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other one of the doors 100 is provided with a home bar 200. The home bar 200 is to open or remove the food being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without opening the door 100, the storage space or the door (inside the main body 10) It is configured to put or take out foo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back of 100).

상기 홈바(200)는 냉장실을 차폐하는 도어(100)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디스펜서(3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100)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냉장실과 냉동실 양측의 도어(100)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home bar 200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door 100 that shield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ut when the dispenser 30 is not provided, the home bar 20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door 100 that shields the freezer compartment. All of the doors 100 may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는 전반부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플레이트(120)와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도어(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130)에 의해 전체적인 골격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플레이트(120)와 도어라이너(13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100 is coupled to the out plate 120 to form the first half of the outer shape, and the outliner 120 is spaced to the door liner 130 to form the back of the door 100 The overall skeleton is formed,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out plate 120 and the door liner 130.

그리고, 상기 도어(100)의 전면에는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00)의 전면 외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장식부재(140)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corative member 140 formed of tempered glass or plastic material to form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appearance of the door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me bar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홈바(200)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200)는 상기 도어(100)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100) 일부를 관통하는 개구부(410)가 제공되는 홈바프레임(400)과, 상기 홈바프레임(4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roove bar 20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oor 100. The home bar 200 is mounted to the door 100 and is provided with a groove bar frame 400 provided with an opening 410 penetrating a part of the door 100,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home bar frame 400. And a groove bar door 300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ing 410.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도어(100)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중인 음식물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된다. The opening penetrates through a part of the door 100 to take out or put food in storage in a storag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300)는 상기 개구부(4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 으로, 개구부(41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바프레임(4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홈바도어(30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300)의 전면이 상기 도어(10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groove bar door 300 selectively shields the opening 41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410, a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groove bar frame 400 to be rotatably mounted. do. In addition, the home bar door 300 is formed in a closed state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home bar door 300 forms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0.

상기 홈바도어(300)의 배면 둘레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혔을 때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단차진 둘레와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ack circumference of the home bar door 300 is formed to be stepped, and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circumference of the home bar frame 400 when the home bar door 300 is closed.

또한, 상기 홈바도어(300)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발포충진되어,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혔을 때 외기와 상기 본체(10) 내의 냉기가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home bar door 300 is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ide air and the cold air in the main body 10 when the home bar door 300 is closed.

상기 홈바도어(300)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에서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410)를 개폐하게 되며, 상기 홈바도어(300) 및 상기 홈바프레임(400)에는 상기 홈바도어(300)가 상기 홈바프레임(40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장치(320)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장치(320)는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며, 래치부(350)와 래치부 체결장치(430)로 구성된다.The home bar door 300 is selectively rotated in the home bar frame 40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10, and the home bar door 300 is connected to the home bar door 300 and the home bar frame 400. A restraining device 320 is provided to selectively restrain the groove bar frame 400. The restraining device 320 maintains the home bar door 300 in a closed state to prevent it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and includes a latch unit 350 and a latch unit fastening device 430.

상세히, 상기 래치부(350)는 상기 도어의 배면 상단 대략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힐 때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와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In detail, the latch unit 350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center of the rear top of the door, and is formed to be constrained with the latch unit fastening device 430 when the home bar door 300 is closed.

상기 레치부 체결장치(430)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440)에 구비된다. 상기 레치부 체결장치(430)는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350)를 구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치부 체결장치(430)는 상기 홈바도어(300)의 개폐를 위한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부(350)와의 구속이 선택적으로 해지되어 상기 홈바도어(300)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latch unit fastening device 43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part 440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groove bar frame 400. The latch unit fastening device 43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straining the latch unit 350 in a state in which the home bar door 300 is closed. At this time, the latch unit fastening device 430 is selectively released from the latch unit 350 by the pressing ope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me bar door 300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ome bar door 300. It is composed.

상기 래치부(350) 및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는 상기 홈바도어(300)의 구속이 가능하다면 다른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서로 대응하는 후크 형상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atch unit 350 and the latch unit fastening device 430 may have other configurations if the home bar door 300 can be restrained.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a magnet having a hook shape or a different polarit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홈바도어(300)와 홈바프레임(400)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홈바도어(300) 또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대응하는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gasket is provided between the home bar door 300 and the home bar frame 400. The gasket is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when the home bar door 300 is closed, and may be formed along a corresponding circumference of the home bar door 300 or the home bar frame 4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프레임의 후방사시도이다.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ome bar fram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홈바프레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상측에는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수용부(44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3 and FIG. 4, the groove bar fram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n upper portion of the groove bar frame 4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440 recessed inward.

상기 수용부(440)는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와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440)는 도 4 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accommodating part 440 forms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atch part fastening device 430 so that the latch part fastening device 430 can be inserted, and the latch part fastening device 430 is fully inserted. It is formed to be. Therefore, the receiving portion 440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s shown in FIG.

상기 수용부(440)의 개구된 전면은 수용부 커버(450)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커버(450)의 일측에는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힐 때 상기 래치부(350)가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 형성된 래치슬롯이 더 형성된다.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440 is shielded by the receiving portion cover 450. Further,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450, a latch slot perfo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latch part fastening device 430 may be further formed when the groove bar door 300 is closed. do.

따라서, 상기 수용부 커버(450)는 상기 래치부 체결장치(43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홈바도어(300)와 가스켓의 밀착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홈바도어(300)가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450 does not expose the latch part fastening device 430 to the outside, so that the groove bar door 300 is completely sealed by preven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groove bar door 300 and the gasket. To be possible.

또한,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일측에는 상기 홈바도어(300)의 개폐시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홈바도어(30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46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me bar frame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switch 460 for selectively contacting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home bar door 300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me bar door (300).

한편,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배면 둘레에는 발열부재(500)가 장착된다. 상기 발열부재(50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로서, 열선 또는 면상 발열체로 형성되어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배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mounted a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groove bar frame 400.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a heater that generates heat by application of power, and is formed of a heating wire or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is configured to be easily dispo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홈바도어(300)가 닫혔을 때 접하게 되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둘레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수용부(440)를 지나도록 장착된다. The heating member 500 is moun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which is in contact when the home bar door 300 is closed, and is mount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part 440.

이때, 상기 개구부(410)와 인접하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둘레는 고내의 냉기와 상기 홈바도어(300)의 사이로 침투되거나 전도되는 외기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점으로, 상기 발열부재(500)는 이러한 지점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ircumference of the groove bar frame 400 adjacent to the opening 410 is a point where condensation occurs frequently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ld inside the refrigerator and the outside air that is penetrated or conducted between the groove bar doors 300. The heat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along this point.

또한, 상기 수용부(440)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방에서 볼 때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 만큼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 지게 되어 고내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외기가 접하게 될 경우 결로현상이 쉽 게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440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ly and protrudes rearward when viewed from the rear, and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comes thinner as much as the space recessed inward, thereby being affect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condensation occurs easily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outside air.

따라서, 상기 발열부재(500)는 결로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기 개구부(410)와 인접하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둘레와 상기 수용부(44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Therefore,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roove bar frame 400 adjacent to the opening 410 where condensation occurs frequently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portion 440.

상세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좌측 상단에서부터 상기 개구부(410)와 인접한 홈바프레임(400)의 배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440)의 하방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410)의 상부까지 상기 개구부(410)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heating member 500 is dispos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groove bar frame 400 adjacent to the opening 410 from the upper left of the groove bar frame 400, and the receiving portion (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4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440 is dispos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tire opening 410.

한편,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수용부(440)의 하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수용부(4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즉, 상기 수용부(440)의 하부를 지나는 발열부재(500)가 상기 수용부(440)의 돌출된 부분을 적어도 1회 이상 권취한 후 상기 개구부(410)의 좌측 상방으로 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portion 440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440. That is, the heating member 500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440 winds up at least one or more times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440 and then faces upwardly to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410.

따라서,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개구부(410)의 둘레와 상기 수용부(440)의 둘레를 따라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배면에 배치된다. Therefore, the heating member 5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410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portion 440.

상기 발열부재(500)가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배면에 배치되기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은 서로 인접하게 되며, 그 위치는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할 것이다.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osition thereof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그리고,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100)의 내부에 발포충진된 단열재에 매립되어 고내로 상기 발열부재(5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nd is embedded in a foam-filled heat insulating material inside the door 100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not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or. It is configured not to.

한편, 상기 발열부재(5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열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름타입의 발열부재(500) 또는 반도체 소재의 발열부재(500)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member 500 may be used as a heating wire of a variety of materials, if necessary, it may be possible to use the film-type heating member 500 or the semiconductor member heating member 500.

그리고,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개구부(410) 및 수용부(440)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개구부(410) 및 수용부(440) 각각의 둘레를 따라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410 and the receiving portion 44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heating member 500 may be configured in plural numbers so as to be independent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opening 410 and the receiving portion 44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홈바프레임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groove ba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발열부재의 배치 방법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모든 구성은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on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method of arranging the heat generating member,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Let's do it.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개구부(410)와 상기 수용부(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에는 복수 회 권취되며, 상기 발열부재(500)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ing member 500 is wound around the opening 410 and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portion 440 a plurality of times, at least some of the heating member 50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o.

즉, 상기 발열부재(500)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의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바프레임(400)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410)와 상기 수용부(440) 둘레를 각각 2회씩 권취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열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may be arranged to wind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410 and the receiving portion 440 twice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to prevent condensation on a larger area. In this case, the heating member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세히,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배면 외측 둘레를 따 라서 배치되고, 이와 이격된 상기 수용부(440)와 인접하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재(500)가 이중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detail, the heating member 500 i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nd is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djacent to the receiving part 440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The heating member 500 may be arranged in a double.

그리고, 상기 수용부(440)는 외측과 내측에 배치되는 발열부재(50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발열부재(500)는 상기 수용부(440)의 둘레를 따라 다시 한 번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440)의 외측으로 이중의 발열부재(500)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accommodating part 440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disposed on the outside and the inner side, and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once again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40 to accommodate the accommodating member. The double heat generating member 500 is disposed outside the portion 44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냉각사이클의 구동으로 인하여 고내에는 냉기가 생성되며, 고내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배면을 냉각시키고,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전면은 외기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온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전면 둘레 및 홈바도어(300)의 배면 둘레에는 이슬이 맺힐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Cold air is generated in the refrigerato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cycle, and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refrigerator cools the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400 become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due to the influence of outside air. . Accordingly, an environment in which dew may be formed is formed around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home bar frame 400 and the rear circumference of the home bar door 300.

그러나, 상기 냉각사이클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발열부재(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발열부재(500)가 발열하게 되면, 상기 발열부재(500)와 접하는 상기 홈바프레임(400)의 지점 일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Howeve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and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generates heat at the same time as the cooling cycle is driven, the temperature of a part of the point of the home bar frame 4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Will rise.

즉, 단열이 취약하고, 고내 냉기와 외기의 영향에 의해 결로현상이 발생되기 쉬운 상기 개구부(410)의 둘레 및 상기 수용부(440)의 둘레를 가열하는 상기 발열부재(500)가 배치되며, 이러한 지점에서의 국부적인 온도상승으로 상기 홈바도어(300) 및 홈바프레임(400)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heat generating member 500 for he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410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40 is weakly disposed, and condensa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influence of cold inside and outside air. The local temperature rise at this point can prevent condensation of the home bar door 300 and the home bar frame 400.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me bar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프레임의 후방사시도.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me bar fram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프레임의 후방사시도.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me bar fram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냉장고 10. 본체1. Refrigerator 10. Main Unit

100. 도어 200. 홈바 100. Door 200. Home bar

300. 홈바도어 320. 구속장치300. Home bar door 320. Restraint device

350. 래치부 400. 홈바프레임350. Latch section 400. Groove bar frame

410. 개구부 420. 가스켓 410.Openings 420. Gaskets

430. 래치부 체결장치 440. 수용부430. Latch fastening device 440. Receiving part

500. 발열부재500. Heating element

Claims (7)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A body forming a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A door selectively shielding the storage space; 상기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 일부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제공되는 홈바프레임;A groove bar frame mounted to the door and provided with an opening penetrating a part of the door; 상기 홈바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A groove bar door rotatably mounted to the groove bar frame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ing; 상기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홈바도어가 상기 홈바프레임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장치;A restraining device provided in the home bar door and the home bar fram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restrain the home bar door to the home bar frame; 상기 홈바프레임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속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A recess formed in one side of the groove bar fram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training device; 상기 홈바프레임의 배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 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 및 수용부 인접 부위를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And a heat generating member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t a rear surface of the home bar frame,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toward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heat the opening and the adjacent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열부재는 열선 또는 면상 발열체로 형성되는 냉장고.The heating member is a refrigerator formed of a heating wire or a planar heating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권취되는 냉장고.The heating member is a refrigerator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개구부와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에 복수 회 권취되는 냉장고.The heat generating member is a refrigerator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opening and the receiving portion a plurality of time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발열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At least some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열부재는,The heating member, 상기 개구부와 수용부 각각의 둘레를 따라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냉장고.And a plurality of refrigerators so that the openings and the accommodating parts may be independently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에 매립되는 냉장고.The heat generating member is a refrigerator embedd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door.
KR1020080122239A 2008-12-04 2008-12-04 Refrigerator KR201000638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39A KR20100063880A (en) 2008-12-04 2008-12-0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39A KR20100063880A (en) 2008-12-04 2008-12-04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880A true KR20100063880A (en) 2010-06-14

Family

ID=4236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39A KR20100063880A (en) 2008-12-04 2008-12-04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38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808B2 (en) Refrigerator
US8261572B2 (en) Food heat-exchan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86861B1 (en) Refrigerator
KR20140047360A (en) Refrigerator for preventing coagulation of door gasket
JP3681356B2 (en) Kimchi refrigerator
WO2013080477A1 (en) Refrigerator
US7677681B2 (en) Kimchi refrigerator
US10288341B2 (en) Refrigerator
TWI610052B (en) refrigerator
JP2002364978A (en) Refrigerator
WO2012172800A1 (en) Refrigerator
KR20100063880A (en) Refrigerator
JPH11264648A (en) Refrigerator
KR100697469B1 (en) Kimchi refrigerator
JP2008107045A (en) Refrigerator
JP5401866B2 (en) refrigerator
WO2004085938A1 (en) Refrigerator
KR20100027575A (en) Home ba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114655B1 (en) Kimchi refrigerator
KR20100065904A (en) A refrigerator
JP2004293990A (en) Refrigerator
KR200318584Y1 (en) refrigerator for cosmetics with 2 doors
JP2006220338A (en) Refrigerator
JP2005156112A (en) Refrigerator
KR20080003647A (en) Home-bar door having storing space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