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754A - Electric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754A
KR20100063754A KR1020107006921A KR20107006921A KR20100063754A KR 20100063754 A KR20100063754 A KR 20100063754A KR 1020107006921 A KR1020107006921 A KR 1020107006921A KR 20107006921 A KR20107006921 A KR 20107006921A KR 20100063754 A KR20100063754 A KR 2010006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se
filter
chamber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4335B1 (en
Inventor
유끼오 마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6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Abstract

An electric cleaner has a cleaner body having a dust sucking opening. An electric fan and a dust separating case (12) are housed in the cleaner body (2). The dust separating case (12) has a separating chamber for separating, by means of centrifugal force, dust contained in air sucked from the dust sucking opening , and the dust separating case (12) also has a filter (31) for interconnecting the separating chamber and an air flow chamber (23). A dust collecting case (71) for collecting the separated dust is mount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Cleaners (51a, 51b) in contact with the filter (31) are mounted inside the separating chamber . The filter (31) and the cleaners (51a, 51b)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via a filter drive mechanism (41) in association with removal and mounting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and the rotation causes the cleaners (51a, 51b) to remove dust adhering to the filter (31).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Electric Cleaner {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먼지 분리 케이스와, 먼지 분리 케이스 내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회수하는 집진 케이스를 갖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먼지 분리 케이스에 수용된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먼지 분리 케이스에 대한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separating case for separating dust contained in air by using a centrifugal force and a dust collecting case for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dust separating cas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removing dust attached to a filter accommodated in a dust separating case by using a removing operation and a mounting operation of a dust collecting case with respect to the dust separating case.

종래,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관성력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주머니 형상의 팩 필터를 불필요로 한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의 일례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99979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s been conventionally known in which dust contained in air sucked by an electric blower is separated using an inertial force to eliminate a bag-shaped pack filter. An example of this kind of vacuum cleaner is disclosed,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No. 3999791.

이 특허 공보에 개시된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 수단과, 먼지 분리 수단을 통과한 먼지를 포착하는 플리츠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플리츠 필터는, 먼지 분리 수단과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disclosed in this patent publication is provided with the dust separation means which isolate | separates the dust in the air attracted by the electric blower, and the pleat filter which captures the dust which passed through the dust separation means. The pleated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dust separating means and the electric blower.

먼지 분리 수단은, 먼지 분리 케이스와 집진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먼지 분리 케이스는, 공기가 흡입되는 기류 입구와, 이 기류 입구에 연통되는 분리실과, 이 분리실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하류에 위치하는 기류 통과구를 갖고 있다. 분리실은, 원통 형상의 벽면을 포함하고, 이 벽면으로 둘러싸이는 분리실의 중앙부에 흡기통이 배치되어 있다. 흡기통은,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고 있다. 기류 통과구는, 플리츠 필터와 마주 봄과 함께, 흡기통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먼지 분리 케이스의 상단부에 먼지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먼지 출구는, 분리실에 연통되어 있다.The dust separating means includes a dust separating case and a dust collecting case. The dust separation case has an airflow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 separa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airflow inlet, and an airflow passage located downstream of the separation chamb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separation chamber includes a cylindrical wall surface, and an intake cylinder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chamber surrounded by the wall surface. The intake cylinder has a plurality of vent holes. The airflow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intake cylinder along with the pleated filter. In addition, a dust outle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ust separation case. The dust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chamber.

집진 케이스는, 먼지 분리 케이스의 상방으로부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조립 부착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는, 먼지 입구와 통기창을 갖고 있다. 먼지 입구는, 먼지 분리 케이스의 먼지 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통기창은, 필터로 덮여 있음과 함께, 먼지 분리 케이스에 개방한 연통구를 통해 먼지 분리 케이스의 기류 통과구에 접속되어 있다.The dust collecting case is assembl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from above the dust separating case so as to be removed. The dust collecting case has a dust inlet and a ventilation window. The dust inlet is connected to the dust outlet of the dust separation case. The ventilation window is covered with a filter and connected to the airflow passage of the dust separation case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opened to the dust separation case.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가 운전을 개시하면, 기류 입구로부터 분리실에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된다. 분리실에 흡입된 공기는, 벽면을 따라 선회하도록 유동한다. 이 유동에 의해, 공기에 원심력이 부여되므로, 공기보다 무거운 먼지는, 관성에 의해 벽면을 거쳐 먼지 출구로 유도된다.In such a vacuum cleaner, when the electric blower starts to operate,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from the airflow inlet. The air suck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flows to turn along the wall surface. Because of this flow, centrifugal force is applied to the air, so that dust that is heavier than air is guided to the dust outlet through the wall surface by inertia.

한편, 분리실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흡기통의 통기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후, 흡기통의 내부를 통해 기류 통과구로 유도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 케이스에 흡입된 공기가 분리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가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air suck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is filtered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air vent of the intake cylinder, and is then led to the airflow passage through the inside of the intake cylinder. Therefor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air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case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separated.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공기가 분리실을 통과할 때에, 분리실에 노출되는 흡기통의 외주면에 미세한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흡기통에 부착된 먼지가 성장하면, 흡기통을 통과하는 공기량이 저하된다.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when air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it is inevitable that fine dust adher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cylinder exposed to the separation chamber. As the dust adhering to the intake cylinder grows,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cylinder decreases.

또한, 먼지와 함께 분리실로부터 집진 케이스로 유도된 공기는, 집진 케이스의 통기창 및 먼지 분리 케이스의 통기구를 통해 먼지 분리 케이스의 기류 통과구에 유입된다. 그로 인해, 흡기통을 통과한 공기는, 기류 통과구에서 집진 케이스로부터 먼지 분리 케이스로 복귀되는 공기와 합류한다.In addition, the air guided together with the dust from the separation chamber to the dust collecting case flows into the airflow passage of the dust separating case through the air vent of the dust collecting case and the air vent of the dust separating case. 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cylinder joins the air returned from the dust collecting case to the dust separation case at the airflow passage.

이때, 집진 케이스의 내부에 모아진 먼지에 의해 집진 케이스의 통기창이 폐색되는 바와 같은 상황에 이르면, 집진 케이스로부터 기류 통과구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대폭 제한된다. 그로 인해, 분리실 내의 공기는, 오로지 흡기통을 통해 전동 송풍기에 흡인되게 되어, 흡기통의 외주면에 한층 더 먼지가 부착되기 쉬워진다.At this time, when the ventilation window of the dust collecting case is blocked by the dust collec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ase, the flow of air from the dust collecting case toward the air flow passage is greatly limited. Therefore, the air in the separation chamber is only sucked into the electric blower through the intake cylinder, and dust is more likely to adhe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cylinder.

이 결과, 흡기통이 막힘을 일으킴과 함께, 분리실 내에서 공기 중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보에 개시된 전기 청소기는, 흡기통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 않아, 전기 청소기의 흡진력이 저하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As a result, the intake cylinder becomes clogged and dust in the air cannot be separated efficiently in the separation chamber. However, the vacuum cleane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does not assume the removal of the dust adhering to the intake cylinder, and cannot deny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falls.

한편,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가 먼지 분리 케이스에 흡입되는 공기의 양 또는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고 있으면, 먼지 분리 케이스에 흡입되는 공기량 또는 압력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레벨을 하회한 것을 센서로 검출할 수 있다. 그것과 함께,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흡기통의 청소가 필요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type of vacuum cleaner, if the vacuum cleaner h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r pressure of air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case, the amount or pressure of air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on cas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cleaning of the intake cylinder is necessar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그런데, 전기 청소기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통지마다 먼지 분리 케이스를 분해하여 흡기통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부득이해진다. 따라서, 흡기통의 청소 작업에 엄청난 수고와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By the way, an operator using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evitably disassembles the dust separation case at every notice and removes dust attached to the intake cylinder. Therefore, enormous effort and labor are required for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intake cylinder, and the improvement is demanded.

일본 특허 제3999791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999791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실 내의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필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얻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easily remove dust adhered to a filter in a separation chamber by using a removal operation and a mounting operation of a dust collecting case, so that maintenance of the filter can be easily perform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흡진구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2)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흡진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와, (3)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분리실과, 이 분리실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하류에 위치하는 통기실을 갖는 먼지 분리 케이스와, (4)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리실에서 분리된 먼지를 회수하는 집진 케이스와, (5) 상기 분리실과 상기 통기실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1)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suction port, (2) an electric blower hous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and sucking air from the vacuum suction port, and (3) air contain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and sucked in from the vacuum suction port A dust separation case having a separation chamber for separating dust contained therein by a centrifugal force, a ventilation chamber located downstream of the air flow direction than the separation chamber, and (4) the dust separation cas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on case, And a dust collecting case for collecting the dust separated in the separating chamber, and (5) a filter having a breathability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ng case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separating chamber and the vent chamber.

상기 분리실 내에, 상기 필터에 접함으로써 상기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및 상기 청소 수단은,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대한 상기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연동하도록 구동 수단을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가 상기 청소 수단에 의해 제거된다.In the separation chamber, cleaning means for removing dust adhered to the filter by contacting the filter is provided. The filter and the cleaning means are relatively rotated through the drive means to interlock with the removal operation and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with respect to the dust separation case. By this rotation, dust adhering to the filter is removed by the clean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분리 케이스를 분해하여 인위적인 작업에 의해 필터를 청소한다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필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by using the removing operation and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Therefore, the troublesome work of disassembling the dust separation case and cleaning the filter by artificial work is unnecessary, and the maintenance of the filter become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 먼지 분리 케이스 및 집진 케이스를 서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기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먼지 분리 케이스와 집진 케이스를 서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먼지 분리 케이스에 집진 케이스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F4-F4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F5-F5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집진 케이스가 먼지 분리 케이스로부터 밀어 올려진 상태를 도 3의 F5-F5선을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집진 케이스가 먼지 분리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 3의 F7-F7선을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먼지 분리 케이스에 집진 케이스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F9-F9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먼지 분리 케이스에 집진 케이스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which shows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cleaner body, the dust separation case, and the dust collecting case from each other i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case and the dust collecting c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st collecting case is attached to a dust separation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4-F4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5-F5 of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case is pushed up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F5-F5 line in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case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F7-F7 line in FIG. 3.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ase is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on cas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9-F9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ase is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도 1은, 예를 들어 청소해야 할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기 청소기(1)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2), 먼지 분리 유닛(11) 및 도시하지 않은 공지된 흡입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 유닛은, 흡진구를 갖는 흡입 헤드, 흡진 호스 및 연장관을 포함하고 있다. 연장관은, 흡입 헤드와 흡진 호스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1 shows, for example, an electric cleaner 1 that can move along a floor to be cleaned. The vacuum cleaner 1 is equipped with the cleaner main body 2, the dust separation unit 11, and the well-known suction uni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head having a suction port, a suction hose, and an extension tube. The extension pipe connects between the suction head and the suction hose.

청소기 본체(2)는, 바닥면에 접하는 한 쌍의 차륜(3)(한쪽만을 도시), 도시하지 않은 캐스터 및 유닛 수용실(2a)을 갖고 있다. 유닛 수용실(2a)은, 청소기 본체(2)의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2)에 상부 덮개(4)가 지지되어 있다. 상부 덮개(4)는, 유닛 수용실(2a)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위치와, 유닛 수용실(2a)의 후방으로 물러나 유닛 수용실(2a)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has a pair of wheels 3 (only one side) which contact | connects a floor surface, the cast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the unit storage chamber 2a. The unit storage chamber 2a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leaner body 2. The upper cover 4 is supported by the cleaner main body 2. The upper lid 4 is rotat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overs the unit storage chamber 2a from above and an open position that retracts to the rear of the unit storage chamber 2a and opens the unit storage chamber 2a.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의 전단부 벽에 흡진구(5)가 형성되어 있다. 흡진구(5)는, 상기 흡진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유닛 수용실(2a)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uction port 5 is formed in the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cleaner body 2. The suction port 5 is for connecting the said suction hose, and is connected to the unit storage chamber 2a.

청소기 본체(2)의 후방부에 도 7에 도시한 전동 송풍기(6)가 수용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6)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인구(6a)를 갖고 있다. 흡인구(6a)는, 유닛 수용실(2a)의 배후에 위치함과 함께, 유닛 수용실(2a)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청소기 본체(2)의 후단부에 개방한 배기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청소기 본체(2) 외부로 토출된다.The electric blower 6 shown in FIG. 7 is accommodated in the rear par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As shown in FIG. The electric blower 6 has a suction port 6a for sucking air. The suction port 6a is located behind the unit storage chamber 2a and is opened toward the unit storage chamber 2a.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lectric blower 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2 from an exhaust port (not shown) opened at the rear end of the cleaner body 2.

또한, 청소기 본체(2)는, 전동 송풍기(6)에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와, 먼지 막힘을 통지하는 표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송풍기(6)에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값을 하회하는 바와 같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 것을 센서가 검출한 경우, 먼지 막힘으로 간주하여 표시 장치를 동작시키고 있다.Moreover, the cleaner main body 2 is equipped with the sensor which detects the press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blower 6, and the display member which notifies dust clogg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blower 6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dust clogging.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 분리 유닛(11)은, 청소기 본체(2)의 유닛 수용실(2a)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먼지 분리 유닛(11)은, 먼지 분리 케이스(12), 필터(31), 필터 구동 기구(41),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 유지 수단(61), 해제 수단(65) 및 집진 케이스(71)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ust separation unit 11 is accommodated in the unit accommodation chamber 2a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so that removal is possible. The dust separation unit 11 includes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filter 31, the filter drive mechanism 41,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the holding means 61, and the release means 65. ) And a dust collecting case 7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 분리 케이스(12)는, 케이스 본체(12a)와 필터 케이스(12b)를 갖고 있다. 필터 케이스(12b)는, 대략 원통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케이스 본체(12a)의 후방부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2a)는, 기류 입구(13), 기류 출구(14), 분리실(15), 먼지 출구(19), 제1 통기실(22) 및 제2 통기실(23)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2 and FIG.3, the dust separation case 12 has the case main body 12a and the filter case 12b. While the filter case 12b form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t is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back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As shown in FIG. 3, FIG. 4, and FIG. 7, the case main body 12a has the airflow inlet 13, the airflow outlet 14,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dust outlet 19, and the 1st ventilation chamber ( 22) and a second ventilation chamber 23 are provided.

기류 입구(13)는, 케이스 본체(12a)의 전방 벽에 개구되어 있다. 기류 입구(13)는, 먼지 분리 유닛(11)을 유닛 수용실(2a)에 수용하였을 때에, 청소기 본체(2)의 흡진구(5)의 후단부에 접속된다.The airflow inlet 13 is opened in the front wall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airflow inlet 13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uction port 5 of the cleaner main body 2 when the dust separation unit 11 is accommodated in the unit accommodating chamber 2a.

기류 출구(14)는, 케이스 본체(12a)의 후방 벽에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필터 케이스(12b)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기류 출구(14)는, 케이스 본체(12a)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기류 입구(13)보다도 하류에 위치하고 있다.The airflow outlet 14 is open to the rear wall of the case main body 12a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12b. The airflow outlet 14 is located downstream from the airflow inlet 13 on the basis of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case body 12a.

필터 케이스(12b)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리츠 필터(69)를 수용하고 있다. 플리츠 필터(69)는, 전동 송풍기(6)의 흡인구(6a)와 기류 출구(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필터 케이스(12b)는, 플리츠 필터(69)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출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필터 케이스(12b)의 출구는, 전동 송풍기(6)의 흡인구(6a)에 연통되어 있다.The filter case 12b accommodates the pleated filter 69 as shown in FIG. The pleated filter 69 is located between the suction port 6a of the electric blower 6 and the airflow outlet 14. The filter case 12b has an outlet (not shown) located downstream from the pleated filter 69. The outlet of the filter case 12b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6a of the electric blower 6.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2a)는, 제1 측벽(16)과, 제1 측벽(16)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돌출하는 가이드 벽(17)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벽(17)은, 대략 원통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제1 측벽(16)과 마주 보는 개구부(17a)를 갖고 있다. 가이드 벽(17)의 개구부(17a)는, 제거 가능한 덮개(18)로 폐색되어 있다. 제1 측벽(16), 가이드 벽(17) 및 덮개(18)는, 서로 협동하여 케이스 본체(12a)의 내부에 상기 분리실(15)을 규정하고 있다. 제1 측벽(16)은, 덮개(18)와 마주 봄과 함께, 분리실(15)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to FIG. 3 and FIG. 4, the case main body 12a is equipped with the 1st side wall 16 and the guide wall 17 which protrudes to the side from the 1st side wall 16. As shown in FIG. The guide wall 17 form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pening 17a facing the first side wall 16. The opening 17a of the guide wall 17 is closed by a removable cover 18. The first side wall 16, the guide wall 17, and the cover 18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define the separation chamber 15 inside the case main body 12a. The first side wall 16 is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chamber 15 along with the lid 18.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16)에 분리실(15)로 개구되는 입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20)는, 분리실(15)을 덮개(18)의 방향에서 본 경우에, 케이스 본체(12a)의 후방부에 위치되어, 분리실(15)의 중앙부보다도 후방으로 어긋나 있다.As best shown in FIG. 4, an inlet 20 is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16 that opens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inlet 20 is located in the rear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when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cover 18, and is shifted back from the center part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먼지 출구(19)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먼지 출구(19)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방을 향해 개구됨과 함께, 분리실(1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먼지 출구(1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실(15)을 덮개(18)의 방향에서 본 경우에, 케이스 본체(12a)의 전방부에 위치함과 함께, 분리실(15)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2a)의 상단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환 형상의 밀봉재(21)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재(21)는, 먼지 출구(19)를 밀봉하도록 먼지 출구(19)를 둘러싸고 있다.The dust outlet 19 is form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dust outlet 19 is open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and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In addition, the dust outlet 19 is loc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when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cover 18,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at the top of 15). The annular sealing member 21 which can elastically deform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sealing material 21 surrounds the dust outlet 19 so as to seal the dust outlet 19.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기실(22)은, 기류 입구(13)와 분리실(15)의 입구(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 본체(12a)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통기실(22)은, 분리실(15)의 상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케이스 본체(12a)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통기실(22)의 전단부는, 기류 입구(13)에 연속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기실(22)의 후방부는, 제1 통기실(22)을 통과하는 공기를 입구(20)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도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제1 통기실(22)의 후방부의 저벽은, 분리실(15)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As shown to FIG. 3 and FIG. 7, the 1st ventilation chamber 22 is formed in the case main body 12a so that the airflow inlet 13 and the inlet 20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may be connected. The first ventilating chamber 22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main body 12a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front end part of the 1st ventilation chamber 22 is continuous with the airflow inlet 13. As shown in FIG. 7, the rear part of the 1st ventilation chamber 22 is bent so that the air which passes through the 1st ventilation chamber 22 may be bent oblique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inlet 20. As shown in FIG. In connection with this, the bottom wall of the rear part of the 1st ventilation chamber 22 inclines so that it may become low gradually as it progresses to the direction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실(15)로 개구되는 입구(20)는, 제1 내지 제4 개구 둘레부(20a, 20b, 20c, 20d)를 갖고 있다. 제1 개구 둘레부(20a)는, 제1 통기실(22)의 저벽 중에서 가장 낮은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제2 개구 둘레부(20b)는, 제1 개구 둘레부(20a)보다도 기류 입구(13)에 근접하도록 제1 개구 둘레부(20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개구 둘레부(20b)는, 먼지 출구(19)보다도 분리실(15)의 후방으로 어긋나 있다. 제3 개구 둘레부(20c)는, 제1 개구 둘레부(20a)의 일단부와 제2 개구 둘레부(20b)의 일단부 사이를 연결함과 함께, 가이드 벽(17)을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제4 개구 둘레부(20d)는, 제1 개구 둘레부(20a)의 타단부와 제2 개구 둘레부(20b)의 타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제4 개구 둘레부(20d)는, 제3 개구 둘레부(20c)와 마주 보고 있다. 그로 인해, 입구(20)의 제2 개구 둘레부(20b)는, 입구(20)로부터 분리실(15)로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상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As best shown in FIG. 4, the inlet 20 open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5 has first through fourth opening circumferences 20a, 20b, 20c, and 20d. The first opening circumferential portion 20a coincides with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bottom walls of the first ventilating chamber 22. The second opening circumference 20b is located above the first opening circumference 20a so as to be closer to the air flow inlet 13 than the first opening circumference 20a. 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 circumferential portion 20b is shifted to the rear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from the dust outlet 19. The third opening circumference 20c connects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circumference 20a and one end of the second opening circumference 20b and has an arc shape so as to follow the guide wall 17. Is curved. The fourth opening perimeter 20d is curved in an arc shape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opening perimeter 20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ning perimeter 20b. The 4th opening circumference 20d is facing the 3rd opening circumference 20c. Therefore, the 2nd opening circumference 20b of the inlet 20 is located in the upstream edge part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which flows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5 from the inlet 20.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기실(23)은, 제1 통기실(2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통기실(22)과 제2 통기실(23)은, 케이스 본체(12a)가 갖는 격벽(2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분리실(15), 제1 통기실(22) 및 제2 통기실(23)은, 서로 협동하여 기류 입구(13)와 기류 출구(14)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분리실(15)은, 기류 입구(13)와 기류 출구(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7, the second ventilation chamber 23 is located below the first ventilation chamber 22. The 1st ventilation chamber 22 and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are partitioned off by the partition 24 which the case main body 12a has.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first ventilation chamber 22, and the second ventilation chamber 23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passage communicating between the airflow inlet 13 and the airflow outlet 14. In other words,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located between the airflow inlet 13 and the airflow outlet 14.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2a)는 제2 측벽(25)을 갖고 있다. 제2 측벽(25)은, 제1 측벽(16)과 평행함과 함께, 제1 측벽(16)에 대하여 분리실(15)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측벽(25)은, 격벽(24)과 협동하여 제2 통기실(23)을 규정하고 있다. 제2 측벽(25)에 통기구(26)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구(26)는 제2 통기실(23)에 개구되어 있다. 제2 측벽(25)의 외면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환 형상의 밀봉재(27)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재(27)는, 통기구(26)를 밀봉하도록 통기구(26)를 둘러싸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ase main body 12a has a second side wall 25. The second side wall 25 is parallel to the first side wall 16 and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wall 16. The second side wall 25 cooperates with the partition wall 24 to define the second ventilation chamber 23. The vent 26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wall 25. The vent 26 is opened in the second vent chamber 2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25, an annular sealing material 27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s provided. The sealing material 27 surrounds the air vent 26 to seal the air vent 26.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31)는, 합성 수지제의 필터 프레임(31a)과 필터 부재(31b)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프레임(31a)은, 필터(31)의 여과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예로서 원뿔과 유사한 중공의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필터 프레임(31a)은, 그 축 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에 대직경부를 갖고 있다. 필터 프레임(31a)의 대직경부에 베이스부(3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1c)는, 필터 프레임(31a)과 동축의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o FIG. 3 and FIG. 4, the said filter 31 is equipped with the filter frame 31a and the filter member 31b made of synthetic resin.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filtration area of the filter 31, the filter frame 31a has comprised the hollow cylinder shape similar to a cone as a preferable example. The filter frame 31a has a large diameter part at one 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base part 31c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arge diameter part of the filter frame 31a. The base part 31c is formed in the hollow cylindrical shape coaxial with the filter frame 31a.

필터 부재(31b)는, 예를 들어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재 또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통기성을 갖고 있다. 필터 부재(31b)는, 필터 프레임(31)의 외주면에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필터 부재(31b)는, 필터 프레임(31a)을 덮는 원뿔형의 외관 형상을 갖고 있다.The filter member 31b is made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ed in a mesh shape or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a large number of small holes, and has air permeability. The filter member 31b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frame 31 by means of adhesion or the like. Therefore, the filter member 31b has the conical exterior shape which covers the filter frame 31a.

필터 부재(31b)를 스테인리스제로 하면, 필터 부재(31b)를 합성 수지제로 한 경우와의 비교에 있어서 내구성이 높아진다. 부가하여, 필터 부재(31b)에 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짐과 함께, 가령 필터 부재(31b)에 먼지가 부착되어도, 먼지가 필터 부재(31b)로부터 박리되기 쉽다는 우위점이 있다.When the filter member 31b is made of stainless steel, durability becomes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filter member 31b is made of synthetic resin. In addition, dust is difficult to adhere to the filter member 31b, and even if dust adheres to the filter member 31b,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ust is likely to peel off from the filter member 31b.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31)는, 분리실(15)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 본체(1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스 본체(12a)의 내부에 지지벽(3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32)은, 분리실(15)의 반대측에서 제1 측벽(16)과 마주 봄과 함께, 이 제1 측벽(16)과의 사이에 구동실(35)을 형성하고 있다. 구동실(35)은, 제1 측벽(16)에 의해 분리실(15)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실(35)은, 지지벽(32)에 의해 제1 및 제2 통기실(22, 23)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구동실(35)은, 제1 통기실(22)로부터 분리실(15)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 3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case main body 12a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As shown in FIG. In detail, the support wall 32 is provided in the case main body 12a. The support wall 32 forms the drive chamber 35 between the 1st side wall 16 with the 1st side wall 16 facing the 1st side wall 16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drive chamber 35 is partitioned from the separation chamber 15 by the first side wall 16. Similarly, the drive chamber 35 is partitioned into the first and second vent chambers 22 and 23 by the support wall 32. In addition, the drive chamber 35 is formed so as not to disturb the flow of air from the first vent chamber 22 toward the separation chamber 15.

필터 프레임(31a)의 베이스부(31c)는, 제1 측벽(16)과 지지벽(32) 사이에 걸쳐 있다. 베이스부(31c)는, 구동실(35)을 관통함과 함께, 제2 통기실(23)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측벽(16) 및 지지벽(32)은, 각각 필터 지지부(33)를 갖고 있다. 필터 지지부(33)는, 필터 프레임(31a)의 베이스부(31c)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쌈으로써, 베이스부(31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The base portion 31c of the filter frame 31a extends between the first side wall 16 and the support wall 32. The base portion 31c penetrates through the drive chamber 35 and is opened in the second vent chamber 23. The 1st side wall 16 and the support wall 32 have the filter support part 33, respectively. The filter support part 33 rotatably supports the base part 31c by surrounding the base part 31c of the filter frame 31a from the outside.

각 필터 지지부(33)에 O링(34)이 고정되어 있다. O링(34)은, 필터(3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베이스부(31c)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다. O링(34)은, 구동실(35)과 분리실(15) 사이의 연통을 차단함과 함께, 구동실(35)과 제2 통기실(23)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The O-ring 34 is fixed to each filter support part 33. The O-ring 3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c to allow rotation of the filter 31. The O-ring 34 interrupts communication between the drive chamber 35 and the separation chamber 15, and blocks communication between the drive chamber 35 and the second vent chamber 23.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재(31b)로 덮인 필터 프레임(31a)은, 제1 측벽(16)으로부터 분리실(15)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필터 프레임(31a)은, 제1 측벽(16)으로부터 덮개(18)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필터 프레임(31a)의 덮개(18)와 마주 보는 선단부는, 필터 프레임(31a) 중에서 가장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 frame 31 a covered with the filter member 31 b protrudes from the first side wall 16 toward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filter frame 31a is reduced in diameter as it travels from the first side wall 16 in the direction of the lid 18. Therefore, the tip portion facing the lid 18 of the filter frame 31a is the smallest in the filter frame 31a.

필터 프레임(31a)의 베이스부(31c)는, 제2 통기실(23)에 개구되어 있으므로, 분리실(15)과 제2 통기실(23) 사이가 필터(31)를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필터(31)의 내부는, 제2 통기실(23)의 상류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필터(31)의 필터 부재(31b)는, 분리실(15)과 제2 통기실(23)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Since the base part 31c of the filter frame 31a is opened in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the separation chamber 15 and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lter 31. As shown in FIG. . In other words, the inside of the filter 31 can be regarded as an upstream portion of the second vent chamber 23. Therefore, the filter member 31b of the filter 31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paration chamber 15 and the second ventilation chamber 2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케이스 본체(12a)의 상단부에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6)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오목부(36)의 저벽(32a)은, 구동실(35)을 규정하는 지지벽(32)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recessed part 36 is form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As shown in FIG. The recessed part 36 is open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bottom wall 32a of the recessed part 36 is formed as part of the support wall 32 which defines the drive chamber 35.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구동 기구(41)는, 승강 로드(42), 압축 코일 스프링(43) 및 기어(44)를 갖고 있다. 승강 로드(42)는, 오목부(36)의 저벽(32a)에 형성한 각 구멍(32b)을 관통하고 있다. 그로 인해, 승강 로드(42)는, 그 축선 둘레의 자유로운 회전이 각 구멍(32b)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승강 로드(42)의 상단부에 원반 형상의 헤드(42a)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42a)는, 승강 로드(42)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있다. 승강 로드(42)의 하부는, 구동실(35)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실(35)에 위치하는 승강 로드(42)의 측면에 래크(45)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45)는, 승강 로드(42)의 승강 이동에 추종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 FIG. 5, and FIG. 6, the said filter drive mechanism 41 has the lifting rod 42,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and the gear 44. As shown in FIG. The elevating rod 42 penetrates through each hole 32b formed in the bottom wall 32a of the recessed part 36. Therefore, the free rotation of the lifting rod 42 around the axis is limited by each hole 32b. The disk-shaped head 42a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od 42. The head 42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lifting rod 42.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ng rod 42 is inserted in the drive chamber 35. The rack 45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lifting rod 42 located in the drive chamber 35. The rack 45 linearly follows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rod 42.

압축 코일 스프링(43)은, 오목부(36)의 저벽(32a)과 승강 로드(42)의 헤드(42a) 사이에 걸쳐져, 승강 로드(42)를 밀어 올리고 있다. 이에 의해, 승강 로드(42)가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승강 로드(42)의 상단부의 헤드(42a)가 케이스 본체(12a)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spans between the bottom wall 32a of the recessed part 36 and the head 42a of the lifting rod 42 to push up the lifting rod 42. As a result, in the state where the lifting rod 42 is free, the head 42a of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od 42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2a.

기어(44)는, 필터 프레임(31a)의 베이스부(31c)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44)는, 베이스부(31c)와 동축임과 함께, 구동실(35) 내에서 래크(45)와 맞물려 있다. 이 맞물림에 의해, 기어(44) 및 래크(45)는, 승강 로드(42)가 승강 이동하였을 때에, 승강 로드(42)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필터(31)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The gear 44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c of the filter frame 31a. The gear 44 is coaxial with the base portion 31c and meshes with the rack 45 in the drive chamber 35. By this engagement, when the lifting rod 42 moves up and down, the gear 44 and the rack 45 convert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fting rod 42 into a rotational movement and transmit it to the filter 31. .

구체적으로는, 승강 로드(42)가 압축 코일 스프링(4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려지면,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3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방향이라 함은, 시계 방향에 상당한다. 반대로, 승강 로드(42)가 압축 코일 스프링(43)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31)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방향이라 함은,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며, 반시계 방향에 상당한다. 필터(31)는, 1회전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터(31)의 회전수는 1회전 미만이어도 지장 없다.Specifically, when the lifting rod 42 is pushed dow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5, the filter 31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clockwise direc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lifting rod 42 is pushed up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6, the filter 31 rotates in a 2nd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31 rotates more than one rotation, but the rotation speed of the filter 31 may be less than one rotation.

상기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청소 수단의 일례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케이스 본체(12a)의 제1 측벽(16)에 고정되고, 분리실(15)에 노출되어 있다. 제1 청소 도구(51a)는, 필터(31)의 상측에 위치되어, 분리실(15)로 개구되는 입구(20)의 제2 개구 둘레부(20b)와 인접하고 있다. 제2 청소 도구(51b)는, 제1 청소 도구(51a)에 대하여 필터(31)의 둘레 방향으로 180°이격된 필터(3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청소 도구(51a) 및 제2 청소 도구(51b)는, 필터(31)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고 있다.The said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are an example of a cleaning means.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are fixed to the first side wall 16 of the case body 12a and are exposed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 The 1st cleaning tool 51a is located above the filter 31, and is adjacent to the 2nd opening peripheral part 20b of the inlet 20 opened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As shown in FIG. The 2nd cleaning tool 51b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filter 31 spaced 18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31 with respect to the 1st cleaning tool 51a. Therefore, the 1st cleaning tool 51a and the 2nd cleaning tool 51b face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lter 31. As shown in FIG.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각각 베이스(52)와 필터 접촉 부재(53)를 갖고 있다. 베이스(5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52)는, 필터 프레임(31a)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단부가 제1 측벽(16)에 고정되어 있다.The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have the base 52 and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respectively. The base 52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The base 52 has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frame 31a, and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first side wall 16.

또한, 베이스(52)는, 분리실(15)의 가이드 벽(17)과 마주 보는 둘레부(52a)를 갖고 있다. 둘레부(52a)는, 필터 프레임(31a)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것과 함께, 둘레부(52a)는, 필터 프레임(31a)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외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폭을 줄이도록 삼각 형상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베이스(52)의 둘레부(52a)가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base 52 also has a circumferential portion 52a facing the guide wall 17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2a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frame 31a. At the same tim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2a is pointed in a triangular shape so as to reduce its width as it travels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lter frame 31a. As a result, it can suppress that the periphery part 52a of the base 52 disturbs the flow of air which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필터 접촉 부재(53)는,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 접촉 부재(53)는, 예를 들어 복수의 털을 묶은 브러시, 또는 천과 같은 연질인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연질인 필터 접촉 부재(53)는, 필터(31)가 회전하였을 때에,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추종하도록 변형한다. 그로 인해, 연질인 필터 접촉 부재(53)는, 필터 부재(31b)를 파손시키지 않고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for removing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by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brush in which a plurality of hairs are bundled or a cloth. The soft filter contact member 53 deforms to follow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when the filter 31 is rotated. Therefore, the soft filter contact member 53 can remove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without damaging the filter member 31b.

특히 필터 접촉 부재(53)로서 브러시를 사용한 경우, 브러시의 털의 끝이 필터 부재(31b)의 그물코 중에 인입된다. 그로 인해, 브러시는, 필터 부재(31b)에 부착된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a brush is used as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 tip of the hair of the brush is drawn into the mesh of the filter member 31b. Therefore, a brush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remove reliably the dust adhering to the filter member 31b.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 케이스(71)는,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케이스 본체(12a)에 상방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71)는, 상부 케이스(72)와 사이드 케이스(7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72)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면을 덮도록 케이스 본체(12a) 상에 적재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72)는,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제거할 때에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71a)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2 and FIG.3, the said dust collection case 71 is attached to the case main body 12a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so that removal is possible from abov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provided with the upper case 72 and the side case 73. The upper case 72 is mounted on the case main body 12a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upper case 72 has a handle 71a that is gripped by hand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removed from the dust separation case 12.

사이드 케이스(73)는, 상부 케이스(72)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 본체(12a)의 제2 측벽(25)을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사이드 케이스(73)는, 사이드 커버(73b)를 갖고 있다. 사이드 커버(73b)는, 그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폐쇄 위치에서는, 사이드 커버(73b)는, 사이드 케이스(73)를 따르도록 기립하여 사이드 케이스(73)의 내부를 밀폐한다. 개방 위치에서는, 사이드 커버(73b)는, 사이드 케이스(73)에 모아진 먼지를 버릴 수 있도록 사이드 케이스(73)로부터 이탈한다.The side case 73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upper case 72 and covers the second side wall 25 of the case main body 12a from the side. The side case 73 has a side cover 73b. The side cover 73b is rotatabl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with its upper end as a support point. In the closed position, the side cover 73b stands up along the side case 73 and seals the inside of the side case 73. In the open position, the side cover 73b is separated from the side case 73 so that dust collected in the side case 73 can be discard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72)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면과 마주 보는 하측 벽(72a)을 갖고 있다. 하측 벽(72a)에 먼지 입구(74)가 형성되어 있다. 먼지 입구(74)는, 사이드 케이스(73)와는 반대측의 상부 케이스(72)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먼지 입구(74)는,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케이스 본체(12a)에 장착하였을 때에, 케이스 본체(12a)의 먼지 출구(19)와 합치한다. 먼지 출구(19)와 먼지 입구(74) 사이의 접속 부분은 밀봉재(21)에 의해 밀봉된다.As shown in FIG. 3, the upper case 72 has the lower wall 72a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dust inlet 74 is formed in the lower wall 72a. The dust inlet 74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upper case 7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case 73. The dust inlet 74 coincides with the dust outlet 19 of the case body 12a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attached to the case body 12a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ust outlet 19 and the dust inlet 74 is sealed by the sealing material 21.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72)의 하측 벽(72a)에 후크(75) 및 볼록부(7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75)는, 하측 벽(72a)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볼록부(76)는, 하측 벽(72a)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후크(75)와 인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hook 75 and the convex part 76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wall 72a of the upper case 72. As shown in FIG. The hook 75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wall 72a. Similarly, the convex portion 76 is adjacent to the hook 75 while forming a plate shape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lower wall 72a.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케이스(73)는, 케이스 본체(12a)의 제2 측벽(25)과 마주 보는 내측 벽(73a)을 갖고 있다. 내측 벽(73a)에 통기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77)은, 네트 형상의 필터(78)로 덮여 있다. 통기 구멍(77)은,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케이스 본체(12a)에 장착하였을 때에, 제2 측벽(25)의 통기구(26)와 합치한다. 통기 구멍(77)과 통기구(26) 사이의 접속 부분은 밀봉재(27)에 의해 밀봉된다.As shown in FIG. 3, the side case 73 has an inner wall 73a facing the second side wall 25 of the case body 12a. A vent hole 77 is formed in the inner wall 73a. The vent hole 77 is covered with a net filter 78. The vent hole 77 coincides with the vent hole 26 of the second side wall 25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attached to the case main body 12a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vent hole 77 and the vent hole 26 is sealed by the sealing material 27.

상기 유지 수단(61)은, 집진 케이스(71)가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케이스 본체(12a)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수단(61)은, 후크 받침부(62)를 갖고 있다. 후크 받침부(62)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크 받침부(62)는,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위치와 결합 해제 위치 사이에서 케이스 본체(12a)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결합 위치에서는, 후크 받침부(62)는, 집진 케이스(71)의 후크(75)에 결합한다. 결합 해제 위치에서는, 후크 받침부(62)는 후크(75)로부터 이탈한다. 후크 받침부(6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 본체(12a)의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The holding means 61 is for holding the dust collecting case 71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and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main body 12a. As shown in FIG.2 and FIG.7, the holding means 61 has the hook base part 62. As shown in FIG. The hook base part 62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12a.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7, the hook base part 62 is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se main body 12a between an engagement position and an engagement release position. In the engaged position, the hook base 62 is engaged with the hook 75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n the disengagement position, the hook base 62 detaches from the hook 75. The hook base part 62 is pressed forward of the case main body 12a by the spring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is hold | maintained at the said engagement position.

상기 해제 수단(65)은,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것이며, 케이스 본체(12a)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수단(65)은, 슬라이드판(65a)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판(65a)은, 케이스 본체(12a)의 상부에 케이스 본체(12a)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판(65a)의 슬라이드 범위는, 도시하지 않은 규제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The said release means 65 is for removing the dust collecting case 71 from the dust separation case 12, and is assemb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As shown in FIG.2 and FIG.7, the release means 65 is equipped with the slide plate 65a. The slide plate 65a is supported by the upper part of the case main body 12a so that it can slide linear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slide range of the slide plate 65a is defined by a restriction unit (not shown).

슬라이드판(65a)의 전단부는, 기류 입구(13)의 바로 위에서 케이스 본체(12a)의 전방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판(65a)의 후단부는, 후크 받침부(62)와 후크(75)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방해하지 않도록 후크 받침부(62)의 전단부에 접하고 있다. 그로 인해, 슬라이드판(65a)은, 상기 유지 수단(61)이 갖는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방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65a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wall of the case main body 12a directly above the airflow inlet 13. The rear end of the slide plate 65a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hook support 6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hook support 62 and the hook 75. Therefore, the slide plate 65a is always pressed toward the front by the spring which the said holding means 61 ha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의 전단부 벽에 조작편(6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편(66)은, 해제 수단(65)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조작부의 일례이다. 조작편(66)은, 흡진구(5)의 바로 위에 위치함과 함께, 슬라이드판(65a)의 전단부에 접하고 있다. 조작편(66)을 손의 손가락 끝으로 가압하면, 슬라이드판(65a)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방의 후크 받침부(62)를 향해 슬라이드된다. 이에 의해, 후크 받침부(62)가 결합 위치로부터 결합 해제 위치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후크 받침부(62)와 후크(75)의 결합이 해제된다.As shown in FIG. 1, the operation piece 66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cleaner body 2. The operation piece 66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unit for artificially operating the release means 65. The operation piece 66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ort 5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65a. When the operation piece 66 is pressed with the fingertip of the hand, the slide plate 65a slides toward the rear hook support 62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As a result, the hook base portion 62 is forcibly moved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disengagement position,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 base portion 62 and the hook 75.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2a)는, 가이드부(67)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67)는, 케이스 본체(12a)의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부(67)에 홈(67a)이 형성되어 있다. 홈(67a)은, 집진 케이스(71)의 볼록부(76)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며, 가이드부(67)의 상단부면 및 측면에 개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ase main body 12a is equipped with the guide part 67. As shown in FIG. The guide part 67 protrudes toward the upper direction of the case main body 12a. The groove 67a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67. In the groove 67a, the convex portion 76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inserted from above, and is open to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67.

또한, 홈(67a)의 내부에 받침판 및 팝업 스프링(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받침판은, 볼록부(76)의 선단부를 받치기 위한 것이며, 홈(67a)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67)에 지지되어 있다. 팝업 스프링은, 항상 받침판을 밀어 올리고 있다.In addition, a supporting plate and a pop-up spring (both not shown) are housed in the groove 67a. The supporting plate is for supporting the distal end of the convex portion 76 and is supported by the guide portion 67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roove 67a. The pop-up spring always pushes up the support plate.

집진 케이스(71)는, 이하의 수순에 의해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장착할 수 있다. 우선, 집진 케이스(71)의 상부 케이스(72)를 케이스 본체(12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대향시켜, 상부 케이스(72)의 볼록부(76)의 선단부와 가이드부(67)의 홈(67a)의 상단부의 위치를 맞춘다.The dust collecting case 71 can be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by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upper case 72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opposed to the case body 12a from above,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76 of the upper case 72 and the groove 67a of the guide portion 67. Align the top of the

이 상태에서 집진 케이스(71)를 케이스 본체(12a)를 향해 강하시켜, 볼록부(76)를 홈(67a)에 삽입한다. 집진 케이스(71)의 강하에 수반하여 집진 케이스(71)의 먼지 입구(74)가 케이스 본체(12a)의 먼지 출구(19)에 접속됨과 함께, 집진 케이스(71)의 통기 구멍(77)이 케이스 본체(12a)의 통기구(26)에 접속된다. 또한, 집진 케이스(71)의 후크(75)가 후크 받침부(62)에 결합한다. 이 결합에 의해, 집진 케이스(71)가 케이스 본체(12a)의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In this stat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lowered toward the case main body 12a, and the convex portion 7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67a. The dust inlet 74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connected to the dust outlet 19 of the case body 12a with the drop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and the ventilation hole 77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closed. It is connected to the vent 26 of the case main body 12a. In addition, the hook 75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coupled to the hook support 62. By this coupling,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h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12a.

집진 케이스(71)를 케이스 본체(12a)를 향해 강하시키면, 볼록부(76)의 선단부가 홈(67a)의 내부의 받침판에 충돌한다. 이에 의해, 받침판이 팝업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려진다. 그것과 함께, 집진 케이스(71)의 상부 케이스(72)의 하측 벽(72a)이 케이스 본체(12a)로부터 돌출하는 승강 로드(42)의 헤드(42a)에 충돌한다. 그로 인해, 승강 로드(42)가 압축 코일 스프링(4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려진다.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lowered toward the case main body 12a, the distal end of the convex portion 76 collides with the supporting plate inside the groove 67a. As a result, the support plate is pushed dow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pop-up spring. At the same time, the lower wall 72a of the upper case 72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collides with the head 42a of the lifting rod 42 protruding from the case body 12a. For this reason, the lifting rod 42 is pushed dow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따라서, 집진 케이스(71)가 후크(75) 및 후크 받침부(62)를 통해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집진 케이스(71)는 팝업 스프링 및 압축 코일 스프링(43)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결과, 집진 케이스(71)의 후크(75)가 후크 받침부(62)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후크(75)는 항상 후크 받침부(62)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held in the dust separating case 12 through the hook 75 and the hook support 62,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formed by the pop-up spring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It is pressurized upward. As a result, in the state where the hook 75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couple | bonded with the hook base part 62, the hook 75 is always pressed in the direction which keeps engagement with the hook base part 62. As shown in FIG.

한편,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청소기 본체(2)의 조작편(66)을 손의 손가락 끝으로 가압한다. 이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판(65a)이 후크 받침부(62)를 향해 슬라이드하고, 후크 받침부(62)를 결합 위치로부터 결합 해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 결과, 후크 받침부(62)가 후크(75)로부터 이탈하여,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대한 집진 케이스(71)의 유지가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mov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from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operation piece 66 of the cleaner main body 2 is pressed by the fingertip of a hand. By this pressurization, the slide plate 65a slides toward the hook support part 62, and moves the hook support part 62 from an engagement position toward an engagement release position. As a result, the hook base portion 62 is detached from the hook 75, and the holding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relative to the dust separation case 12 is released.

후크 받침부(62)가 후크(75)로부터 벗어나면, 집진 케이스(71)가 팝업 스프링 및 압축 코일 스프링(43)에 의해 밀어 올려져, 먼지 분리 케이스(12) 상으로 튀어나온다. 그로 인해, 집진 케이스(71)의 핸들(71a)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림으로써,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hook support 62 is released from the hook 75,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pushed up by the popup spring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and protrudes on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Therefor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can be removed from the dust separation case 12 by a worker holding up the handle 71a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by hand.

다음에, 전기 청소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 will be described.

전동 송풍기(6)가 운전을 개시하면, 플리츠 필터(69)를 통해 먼지 분리 케이스(12) 내의 공기가 흡인되어, 분리실(15), 제1 통기실(22) 및 제2 통기실(23)이 부압으로 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청소해야 할 바닥 위의 먼지가 공기와 함께 흡입 헤드로부터 흡입된다.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흡진구(5), 기류 입구(13) 및 제1 통기실(22)을 통과한 후, 입구(20)로부터 분리실(15)에 흡입된다.When the electric blower 6 starts to operate, air in the dust separation case 12 is sucked through the pleated filter 69 to separate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first ventilation chamber 22, and the second ventilation chamber 23. ) Becomes negative pressure. Due to this, for example, dust on the floor to be cleaned is sucked from the suction head together with the air. The air containing dust passes through the suction port 5, the airflow inlet 13, and the first ventilating chamber 22, and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5 from the inlet 20.

분리실(15)에 흡입된 공기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벽(17)을 따라 선회하도록 흐른다. 이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질량이 큰 성긴 먼지가 가이드 벽(17)에 끌어 당겨짐과 함께, 이 가이드 벽(17)의 내주면을 따라 먼지 출구(19)로 이동한다. 질량이 큰 먼지는, 공기와 함께 먼지 출구(19)로부터 먼지 입구(74)를 통해 집진 케이스(71)의 상부 케이스(73)에 유입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5 flows so as to pivot along the cylindrical guide wall 17. As a result, the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As a result, large mass of coarse dust is attracted to the guide wall 17 and moves to the dust outlet 19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wall 17. Larg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73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through the dust inlet 74 from the dust outlet 19 together with the air.

한편, 분리실(15) 내의 미세한 먼지나 공기의 일부는, 분리실(15)의 중앙부에서 필터 부재(31b)를 통과한 후, 필터 프레임(31a)의 베이스부(31c)를 통해 제2 통기실(23)에 흡입된다. 이로 인해, 분리실(15) 내에서 질량이 큰 먼지가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fine dust and air in the separation chamber 15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er 31b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and then through the base portion 31c of the filter frame 31a. It is sucked into the air chamber 23. For this reason, the dust with a large mass in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removed from air.

집진 케이스(17)의 상부 케이스(72)에 유입된 질량이 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먼지 저류부로서의 사이드 케이스(73)에 이른다. 또한, 사이드 케이스(73) 내의 공기는, 네트 형상의 필터(78)를 통해 통기구(26)로부터 제2 통기실(23)에 흡입됨과 함께, 제2 통기실(23) 내에서 필터 부재(31b)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한다. 사이드 케이스(73) 내로 유도된 질량이 큰 먼지는, 네트 형상의 필터(78)에서 포착되어, 사이드 케이스(73)의 내부에 머무른다. 따라서, 질량이 큰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집진 케이스(71)로부터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제2 통기실(23)에 흡입된다.The air containing the large dust which flowed into the upper case 72 of the dust collecting case 17 reaches the side case 73 as a dust storage part. In addition, while the air in the side case 73 is sucked into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from the ventilation hole 26 through the net-shaped filter 78, the filter member 31b in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is carried out. Join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arge amount of dust guided into the side case 73 is picked up by the net-shaped filter 78 and stays inside the side case 73. Accordingly, air from which dust having a large mass is removed is sucked into the second vent chamber 23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from the dust collecting case 71.

필터(31)를 통과하여 제2 통기실(23)에 흡입된 공기와, 사이드 케이스(73)를 경유하여 제2 통기실(23)에 흡입된 공기는, 제2 통기실(23)에서 서로 합류함과 함께, 기류 출구(14)를 통해 필터 케이스(12b) 내에 흡입된다. 또한, 필터 케이스(12b)에 흡입된 공기는, 플리츠 필터(69)를 빠져나간다. 이에 의해, 필터(31) 및 집진 케이스(71)를 빠져나간 미세한 먼지가 플리츠 필터(69)에 의해 포착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vent chamber 23 through the filter 31 and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vent chamber 23 via the side case 73 are mutually separated in the second vent chamber 23. Together with the joining, it is sucked into the filter case 12b through the airflow outlet 14. In addition, the air sucked into the filter case 12b exits the pleated filter 69. As a result, the fine dust which has left the filter 31 and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captured by the pleated filter 69.

플리츠 필터(69)에서 여과된 공기는, 필터 케이스(12b)의 출구로부터 전동 송풍기(6)의 흡인구(6a)에 흡입된다. 흡인구(6a)에 흡입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6)의 내부를 통과함과 함께, 청소기 본체(2)의 후단부의 배기구로부터 전기 청소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The air filtered by the pleated filter 69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6a of the electric blower 6 from the outlet of the filter case 12b.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6a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electric blower 6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1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rear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전동 송풍기(6)에 입력되는 전류값이 낮게 설정되어, 전기 청소기(1)의 운전 모드가 약인 경우,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느려지고 있다. 그로 인해, 필터(31)의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먼지가 부착되는 일이 있다. 이때, 전기 청소기(1)의 운전 모드를 약으로부터 강으로 절환하여, 전동 송풍기(6)에 입력되는 전류값을 높게 하면, 분리실(15)에 작용하는 부압이 증대한 만큼,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높아진다.When the electric current value input to the electric blower 6 is set low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is weak,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which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slowing. Therefore, dust may adher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of the filter 31.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is changed from weak to strong, and the current value input to the electric blower 6 is increased, the separation chamber 15 increases as the negative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ion chamber 15 increases.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increases.

이 결과,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된 먼지가 날려져, 먼지 출구(19)로부터 집진 케이스(71)로 유도된다. 그러나, 이러한 먼지의 제거 작용은, 확실성이 없으므로, 전기 청소기(1)의 사용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된 먼지가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As a result,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is blown by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and guided from the dust outlet 19 to the dust collecting case 71. However, since the dust removal action is not certai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ust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may grow with the passage of the use time of the vacuum cleaner 1.

또한, 집진 케이스(71)의 내부가 먼지로 점점 가득 차면, 집진 케이스(71)에 모아진 먼지가 저항으로 되어, 집진 케이스(71) 내의 공기의 흐름이 방해된다. 이로 인해, 집진 케이스(71)로부터 제2 통기실(23)에 흡입되는 공기량이 적어진다. 이에 수반하여, 분리실(15)로부터 필터(31)를 통과하여 제2 통기실(23)에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이 결과, 필터(31)의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점점 먼지가 부착되기 쉬워져, 필터 부재(31b)가 막힘을 일으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6)에 흡입되는 공기량이 저하하므로, 먼지 막힘을 알리는 표시 장치가 동작하는 일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gradually filled with dust,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becomes a resistance, and the flow of air i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disturbed.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from the dust collecting case 71 becomes small. In connection with this,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2nd ventilation chamber 23 through the filter 31 from the separation chamber 15 increases. As a result, dust tends to adhe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of the filter 31 gradually, and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filter member 31b is clogged.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blower 6 decreases, the display device for notifying dust clogging may operate.

표시 장치가 동작한 경우, 전기 청소기(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상부 덮개(4)를 개방하여 먼지 분리 유닛(11)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제거함과 함께, 사이드 커버(73b)를 개방함으로써 집진 케이스(71) 내의 먼지를 버리는 작업을 실행한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the worker using the vacuum cleaner 1 opens the upper cover 4 to expose the dust separation unit 11. Next,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removed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12 and the side cover 73b is opened to remov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집진 케이스(71) 내의 먼지를 버린 후, 작업자는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장착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먼지 버림시에 필연적으로 행하여지는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작업 및 집진 케이스(71)의 장착 작업시에,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를 사용하여 필터 부재(31b)에 부착된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has been discarded, the worker performs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dust collecting case 71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is remov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during the removal work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and the mounting work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which are inevitably performed at the time of dust disposal. The dust adhering to the member 31b can be removed automatically.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청소기 본체(2)의 조작편(66)을 손의 손가락 끝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드판(65a)을 후크 받침부(62)를 향해 슬라이드시키면, 후크 받침부(62)가 후크(75)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의해,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대한 집진 케이스(71)의 유지가 해제된다. 이에 수반하여, 집진 케이스(71)가 팝업 스프링 및 압축 코일 스프링(43)의 가압력을 받아, 도 5에 도시한 유지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한 밀어 올림 상태로 이행한다. 도 3 및 도 4 중의 2점 쇄선은, 집진 케이스(71)가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밀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piece 66 of the cleaner body 2 is pressed with the fingertip of the hand to slide the slide plate 65a toward the hook support 62, the hook support 62 is hooked ( 75) As a result, the holding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relative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is released. With this, the dust collecting case 71 receives the pressing force of the pop-up spring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3, and shifts from the holding state shown in FIG. 5 to the pushing up state shown in FIG.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3 and FIG. 4 shows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pushed up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12.

집진 케이스(71)가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밀어 올려지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로드(42)가 직선적으로 상승한다. 승강 로드(42)의 직선 운동은, 래크(45)와 기어(44)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필터(31)가 기어(44)와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pushed up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12, the lifting rod 42 rises linearly as shown in FIG. The linear motion of the lifting rod 42 is converted to the rotational motion by engaging the rack 45 and the gear 44. As a result, the filter 31 is rotated along with the gear 44 in the second direction.

바꾸어 말하면, 집진 케이스(71)를 밀어 올리는 승강 로드(42)의 상승 동작에 추종하여, 필터(31)와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의 필터 접촉 부재(53)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이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가, 필터 접촉 부재(53)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먼지는, 필터 접촉 부재(53)의 측면에 모아진다.In other words, the filter 31 and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rotate relativ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42 that pushes up the dust collecting case 71. As a result, while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of the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it moves along this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fore,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is removed by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 removed dust collects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한편,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장착할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로드(42)가 집진 케이스(71)에 의해 직선적으로 밀어 내려진다. 승강 로드(42)의 직선 운동은, 래크(45)와 기어(44)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어, 필터(31)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필터(31)는, 집진 케이스(71)가 제거될 때와는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로 인해,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이 다시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의 필터 접촉 부재(53)에 의해 청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ttaching the dust collecting case 71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the lifting rod 42 is linearly pushed down by the dust collecting case 71 as shown in FIG. The linear motion of the lifting rod 42 is converted to rotational motion by the engagement of the rack 45 and the gear 44 and transmitted to the filter 31. Thereby, the filter 31 is rotated in the 1st direction opposite to the case where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removed. Therefo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is again cleaned by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이와 같이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대한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us, with the removal operation | movement and installa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dust collection case 71 with respect to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can be removed automatically.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필터 접촉 부재(53)의 측면에 모아진 먼지는, 덩어리로 되어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실(13)의 바닥에 낙하된다. 또한, 가령 필터 부재(31b)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필터 부재(31b)로부터 낙하되지 않아도, 이 먼지는 필터 접촉 부재(53)의 측면에 한데 모아져 있으므로,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받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The dust remov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and collected on the side of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forms agglomerates and fall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to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chamber 13. In addition, even if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member 31b does not fall from the filter member 31b, since the dust is collected together on the side of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reduced. It is kept easy to receive.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장착한 후, 전동 송풍기(6)가 운전을 재개하면, 필터 부재(31b)로부터 분리실(15)의 바닥에 낙하된 먼지, 혹은 필터 접촉 부재(53)의 측면에 한데 모아진 먼지는,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먼지 출구(19)로부터 집진 케이스(71)로 운반되어 간다.After attaching the dust collecting case 71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when the electric blower 6 resumes operation, the dust or filter contact member dropped from the filter member 31b to the bottom of the separating chamber 15. The dust collected on the side surface of 53 is transported from the dust outlet 19 to the dust collecting case 71 by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부재(31b)가 고정된 필터 프레임(31a)은, 제1 측벽(16)으로부터 덮개(18)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하는 원뿔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이 필터 프레임(31a)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로 인해, 필터 접촉 부재(53)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의 먼지를 제거하였을 때에, 제거된 먼지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의 경사에 수반하여 이동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frame 31a to which the filter member 31b is fixed has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as it travels from the first side wall 16 in the direction of the lid 18. There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s line of the filter frame 31a. Therefore, when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removes the dus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the removed dust will be easy to mov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특히, 필터 부재(31b)의 상부에서는, 제거된 먼지가 필터 프레임(31a)의 소 직경인 선단부에 모이도록 된다. 따라서,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분리실(15)의 바닥에 덩어리로 되어 낙하되기 쉬워진다.In particular, at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member 31b, the removed dust collects at the tip part which is a small diameter of the filter frame 31a. Therefore, the dust remov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becomes agglomerates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chamber 15, and is easy to fall.

부가하여, 제1 통기실(22)을 흐르는 공기는, 제1 측벽(16)에 개방한 입구(20)로부터 분리실(15)에 흡입된다. 그로 인해, 분리실(15)을 통과하여 먼지 출구(19)를 향하는 공기의 주류는, 제1 측벽(16)보다도 오히려 덮개(18)에 가까운 곳을 집중하여 통과한다. 필터 프레임(31a)의 소직경의 선단부는, 덮개(18)와 인접하므로, 필터 프레임(31a)의 소직경의 선단부에 모아진 먼지를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집진 케이스(71) 내로 운반해 갈 수 있다.In addition,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ventilating chamber 22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5 from the inlet 20 opened to the first side wall 16. Therefore, the mainstream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toward the dust outlet 19 concentrates and passes near the cover 18 rather than the first side wall 16. Since the tip of the small diameter of the filter frame 31a is adjacent to the lid 18, the dust collected at the tip of the small diameter of the filter frame 31a is reliably transported into the dust collecting case 71 by using the flow of air. I can go.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에 따르면,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대한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분리실(15)의 내부의 필터(31)에 부착된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 본체(2)로부터 먼지 분리 유닛(11)을 제거한 후, 케이스 본체(12a)로부터 덮개(18)를 제거하여 분리실(15) 내의 필터(31)를 노출시키는 작업, 및 분리실(15)의 내부에 개구부(17a)로부터 손을 넣어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손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필터(31)의 청소 작업에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아, 필터(31)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view of the foregoing,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31 inside the separation chamber 15 using the removal operation and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case 71 with respect to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dust attached to) can be removed automatically. For this reason, after removing the dust separation unit 11 from the cleaner main body 2, the operation | work which exposes the filter 31 in the separation chamber 15 by removing the cover 18 from the case main body 12a, and a separation chamber Hand work is removed from the opening 17a by the inside of 15 to remove dust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by hand. Therefore, no labor is required for the cleaning work of the filter 31, and maintenance of the filter 31 can be performed easily.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접촉 부재(53)로서 브러시를 사용한 경우, 브러시의 털에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얽히는 일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필터(31)는,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장착할 때에, 집진 케이스(71)를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제거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필터(31)의 반전에 수반하여 브러시의 털에 부착된 먼지가 브러시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a brush is used as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 dust remov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may be entangled with the hair of the brush. By the way,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on case 12, the filter 3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se where the dust collection case 71 is removed from the dust separation case 12.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with the inversion of the filter 31, the dust adhering to the hair of a brush becomes easy to peel off from a brush.

그것과 함께, 브러시는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직접 노출되므로, 브러시의 털에 부착된 먼지의 대부분이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받아 날려진다. 이 결과, 브러시의 털에 먼지가 부착된 채로 되거나,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ith it, the brush is directly exposed to the flow of air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so that most of the dust attached to the hair of the brush is blown off under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adhering to the hair of the brush or to grow dust adhering to the brush.

본 발명은 제1 실시 형태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다.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 to 1st embodiment, It can variously deform and implement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1개의 청소 도구(51)를 사용하여 필터(31)를 청소하도록 한 점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것 이외의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로 인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8 and 9 disclose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lter 31 is cleaned by using one cleaning tool 51. The structure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other than thi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1st Embodiment. Therefore, in 2nd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1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도구(51)는, 필터(31)의 상측에 위치되어, 분리실(15)로 개구되는 입구(20)의 제2 개구 둘레부(20b)와 인접하고 있다. 청소 도구(51)의 필터 접촉 부재(53)는, 필터(31)의 상방으로부터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cleaning tool 51 is located above the filter 31 and has a second opening circumferential portion 20b of the inlet 20 opened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Adjacent.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of the cleaning tool 5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from above the filter 31.

또한, 1개의 청소 도구(51)로 원뿔형의 필터 부재(31)의 외주면을 청소하는 데 있어서는, 필터(31)를 적어도 1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44) 및 래크(45)의 잇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clea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ical filter member 31 with one cleaning tool 51, the number of teeth of the gear 44 and the rack 45 is set so that the filter 31 may be rotated at least 1 time. It is desirable to.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먼지 분리 케이스(12)로부터 집진 케이스(71)를 제거하거나,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집진 케이스(71)를 장착하면, 필터(31)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필터 접촉 부재(53)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removed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12 or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the filter 31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can be removed by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이 결과, 필터(31)의 청소 작업을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리실(15) 내의 필터(31)를 노출시켜,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손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필터(31)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As a result, the clean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filter 31 can be performed easily using the removal operation | movement and installa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FIG. Therefor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 31 in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exposed, and the work of removing dust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by hand can be omitted, and thus the filter ( 31) maintenance becomes easy.

게다가, 상기 구성에 따르면, 1개의 청소 도구(51)는, 분리실(15)로 개구되는 입구(20)의 제2 개구 둘레부(20b)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청소 도구(51)가 먼지의 분리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one cleaning tool 5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adjacent to the 2nd opening circumference 20b of the inlet 20 opened to the separation chamber 15, the cleaning tool 51 will be provided. It can prevent the adverse effect on the separation function of dust.

즉, 입구(20)로부터 먼지 출구(19)를 향해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주류는, 청소 도구(55)를 마치 우회하는 것처럼 가이드 벽(17)을 따라 흐른다. 따라서, 청소 도구(51)가 필터(3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함에도 불구하고, 이 청소 도구(51)에 의해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분리실(15)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기 어려워져,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실(15) 내에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stream of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from the inlet 20 toward the dust outlet 19 flows along the guide wall 17 as if bypassing the cleaning tool 55. Therefore, despite the cleaning tool 51 protruding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filter 3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nfusion in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by the cleaning tool 51. Can be. As a result,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less likely to decrease,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in the separation chamber 15.

또한, 필터(31)는, 먼지 분리 케이스(12)에 대한 집진 케이스(71)의 제거시 및 장착시에 적어도 1회전한다. 그로 인해, 입구(20)의 근방에 위치하는 1개의 청소 도구(51)로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31 rotates at least once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s removed and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12. Therefo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can be cleaned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with one cleaning tool 51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20.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10 disclose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 형태는, 케이스 본체(12a)에 대한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의 장착 방법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것 이외의 먼지 분리 케이스(12)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로 인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3rd Embodiment, the mounting method of the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with respect to the case main body 12a is different from the said 1s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2 other than thi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1st Embodiment. Therefore, in 3rd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said 1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의 베이스(52)는, 각각 힌지(81)를 통해 케이스 본체(12a)의 제1 측벽(16)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필터 접촉 부재(53)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 위치와, 필터 접촉 부재(53)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base 52 of the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is supported by the 1st side wall 16 of the case main body 12a via the hinge 81, respectively. . For this reason, the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are the 1st position where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and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the filter member 31b. It is rotatable between the 2nd positions which detach | deviat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또한, 힌지(81)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은,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를 항상 제1 위치를 향해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접촉 부재(53)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대하여 적절한 탄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필터 접촉 부재(53)를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힘은, 필터(31)의 회전에 과대한 저항을 주지 않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hinge 81 contains the spring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spring always presses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toward the first position. Thereby,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pressurized with the appropriate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The force for pressing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is preferably such that it does not give excessive resistance to the rotation of the filter 31.

이러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동작 및 집진 케이스(17)의 장착 동작에 추종하여 필터(31)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필터(31)의 청소 작업을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Also in this 3rd embodiment, the filter 31 rotates to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ollowing the removal operation | movement of the dust collection case 71, and the attachment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case 17.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ilter 31 can be performed easily using the removal operation | movement and installa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dust collection case 71. FIG.

따라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리실(15) 내의 필터(31)를 노출시켜,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손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필터(31)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Therefor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 31 in the separation chamber 15 is exposed, and the work of removing dust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by hand can be omitted, and thus the filter ( 31) maintenance becomes easy.

또한,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단한 먼지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과 필터 접촉 부재(53) 사이에 인입하였다고 해도, 필터(31)의 청소 작업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1st and 2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are movable to the 2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As a result, even if hard dust is drawn i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and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 adverse effect does not occur in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ilter 31.

즉, 집진 케이스(71)의 제거 동작에 추종하여 필터(31)가 회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에 부착된 단단한 먼지가 필터 접촉 부재(53)에 충돌하면, 이 먼지에 의해 필터 접촉 부재(53)가 눌러진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힌지(81)를 지지점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필터 접촉 부재(53)는, 단단한 먼지를 피하도록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lter 31 in accordance with the removal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71, if hard dust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collides with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pressed by this.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rotat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ith the hinge 81 as a supporting point. In other words,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to avoid hard dust.

따라서, 단단한 먼지가 필터 접촉 부재(53)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필터(31)의 회전을 계속할 수 있음과 함께, 단단한 먼지에 의한 필터 부재(31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hard dust does not engage between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Therefore, while the rotation of the filter 31 can be continued, damage to the filter member 31b by hard dust can be prevented.

또한, 단단한 먼지는, 필터(31)의 회전에 수반하여 필터 접촉 부재(53)를 통과한 후에, 필터 부재(31b)로부터 낙하된다. 그로 인해, 단단한 먼지가 필터 접촉 부재(53)와 필터 부재(31b)의 외주면 사이에 다시 끼워지는 일은 없다.In addition, hard dust falls from the filter member 31b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with rotation of the filter 31. Therefore, hard dust does not reinsert between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31b.

그것과 함께,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는, 단단한 먼지가 필터 접촉 부재(53)를 통과한 시점에서, 다시 스프링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된다. 그로 인해, 회전하는 필터(31)의 청소 작업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are again held in the first position by the spring at the time when the hard dust passes through the filter contact member 53. Therefore,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filter 31 can be continued.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필터 부재(31b)가 고정된 필터 프레임(31a)과 베이스부(31c)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해도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lter frame 31a on which the filter member 31b is fixed and the base portion 31c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청소 도구(51a, 51b)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터 부재(31b)가 고정된 필터 프레임(31a)을 분리실(15)로부터 꺼낼 수 있다. 그로 인해, 필터 프레임(31a) 및 필터 부재(31b)를 물로 세척하거나 보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필터(31)를 유지 보수하는 데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lter frame 31a to which the filter member 31b is fixe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by manuall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tools 51a and 51b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for example. We can take out from (15).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wash | clean or repair the filter frame 31a and the filter member 31b with water, and workability improves in maintaining the filter 31. FIG.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추종하여 필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청소 도구와 필터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터를 제1 측벽에 고정함과 함께,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추종하여 청소 도구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필터와 청소 도구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므로,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 도구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cleaning tool and the filter member are relatively moved by rotating the filter following the removal operation and the attachment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pecific to this. For example, while fixing the filter to the first side wall, the cleaning tool may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moval operation and the attachment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Even in this case, since the filter and the cleaning tool rotate relatively,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can be removed by the cleaning tool.

또한, 필터 부재가 고정되는 필터 프레임은 원뿔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filter frame to which the filter member is fixed is not limited to conical, but may be cylindrical.

부가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수단이 갖는 팝업 스프링 및 필터 구동 기구가 갖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집진 케이스를 밀어 올리고 있지만, 예를 들어 팝업 스프링을 폐지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만으로 집진 케이스를 밀어 올리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1st Embodiment, although the dust collection case is pushed up by the pop-up spring which a holding means has,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which a filter drive mechanism has, for example, a pop-up spring is closed and a dust collection case is pushed only by a compression coil spring. You may raise it.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실 내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분리실 내의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필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cuum cleaner for separat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separation chamber,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in the separation chamber can be easily removed,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filter is easy. I can do it.

Claims (14)

흡진구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흡진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분리실과, 이 분리실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하류에 위치하는 통기실을 갖는 먼지 분리 케이스와,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리실에서 분리된 먼지를 회수하는 집진 케이스와,
상기 분리실과 상기 통기실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필터와,
상기 분리실 내에서 상기 필터에 접함으로써, 상기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수단과,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대한 상기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필터와 상기 청소 수단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 electric blower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and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port,
A dust separation case having a separation chamber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and separa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by centrifugal force, and a ventilation chamber located downstream of the air flow direction than the separation chamber;
A dust collecting case detachably mount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and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chamber;
A filter having a breathability provided in said dust separation case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said separation chamber and said ventilation chamber;
Cleaning means for removing dust attached to the filter by contacting the filter in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driving means for relatively rotating the filter and the cleaning means in association with the removing operation and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with respect to the dust separating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 케이스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집진 케이스를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과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집진 케이스를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 holding means installed in the dust separating case and holding the dust collecting case in the dust separating case by coupling to the dust collecting case;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ing means and the dust collecting case;
And a pressuriz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dust collecting cas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해제 수단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aid vacuum cleaner main body has an operation part which artificially operates the said release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분리실 내로 돌출하는 중공의 통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청소 수단은, 상기 필터의 외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1개의 청소 도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has a hollow tubular shape project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cleaning means has at least one cleaning tool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흡진구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흡진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흡진구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는 분리실과, 상기 분리실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하류에 위치하는 통기실을 갖는 먼지 분리 케이스와,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리실에서 분리된 먼지를 회수하는 집진 케이스와,
상기 분리실과 상기 통기실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기성을 갖는 필터와,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대한 상기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분리실 내에서 상기 필터에 접촉하고, 상기 필터가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 electric blower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and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port,
A dust separation case having a separation chamber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and separating dust contained in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by centrifugal force, and a ventilation chamber located downstream of the air flow direction than the separation chamber;
A dust collecting case detachably mounted to the dust separating case and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chamber;
A filter having a breathability rotatably supported by said dust separation case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said separation chamber and said ventilation chamber;
A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filter in conjunction with a removal operation and a moun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case with respect to the dust separating case;
And a cleaning means in contact with the filter in the separation chamber and for removing dust attached to the filter when the filter is rot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로부터 상기 집진 케이스를 제거할 때에 제1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상기 집진 케이스를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is removed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case is mounted on the dust separating case.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rota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1) 상기 필터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와, (2)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집진 케이스의 제거 동작 및 장착 동작에 추종하여 직선 운동함과 함께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래크를 갖는 로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e mechanism includes (1) a gear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filter, and (2) a support that is supported by the dust separation case and engaged with the gear while linearly following the removal operation and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case. 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 rod having a ra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 케이스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집진 케이스를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과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집진 케이스를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holding means installed in the dust separating case and holding the dust collecting case in the dust separating case by coupling to the dust collecting case;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ing means and the dust collecting case;
And a pressuriz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dust collecting cas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ust separating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분리실 내로 돌출하는 중공의 통 형상이며, 상기 청소 수단은, 상기 필터의 외주면에 접하는 한 쌍의 청소 도구를 갖고, 상기 청소 도구는, 상기 필터의 직경 방향으로 마주 본 위치에서 상기 필터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 상기 필터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외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폭을 줄이도록 뾰족해지는 둘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project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cleaning means has a pair of cleaning tools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cleaning tools are locat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lter. An electric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and has a circumferential portion that is sharpened to reduce its width as it advances outward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lter,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는, 상기 분리실로 개구되는 입구를 포함하고, 이 입구는, 상기 분리실로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상류 단부에 위치하는 개구 둘레부를 갖고, 상기 한쪽의 청소 도구는, 상기 개구 둘레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ust separation case includes an inlet opening 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inlet has an opening periphery located at an upstream end along a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one cleaning tool includes the opening. The vacuum cleaner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ircumferen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도구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leaning tool is supported by the dust separation case rotatab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분리실 내로 돌출하는 중공의 통 형상이며, 상기 청소 수단은, 상기 필터의 외주면에 접하는 단일의 청소 도구를 갖고, 이 청소 도구는, 상기 필터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필터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외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폭을 줄이도록 뾰족해지는 둘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project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cleaning means has a single cleaning tool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cleaning tool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sharpened to reduce the width as it travels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l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케이스는, 상기 분리실로 개구되는 입구를 포함하고, 이 입구는, 상기 분리실로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상류 단부에 위치하는 개구 둘레부를 갖고, 상기 한쪽의 청소 도구는, 상기 개구 둘레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dust separation case includes an inlet opening 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inlet has an opening periphery located at an upstream end along a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and the one cleaning tool includes the opening. The vacuum cleaner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ircumferen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도구는, 상기 필터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1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2,
And said cleaning tool rotates at least one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said filter.
KR1020107006921A 2007-12-26 2008-12-24 Electric cleaner KR1011643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5260 2007-12-26
JPJP-P-2007-335260 2007-12-26
PCT/JP2008/073462 WO2009081946A1 (en) 2007-12-26 2008-12-24 Electric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754A true KR20100063754A (en) 2010-06-11
KR101164335B1 KR101164335B1 (en) 2012-07-09

Family

ID=4080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921A KR101164335B1 (en) 2007-12-26 2008-12-24 Electric clean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25993B1 (en)
JP (1) JP5197627B2 (en)
KR (1) KR101164335B1 (en)
RU (1) RU2433779C1 (en)
WO (1) WO200908194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72B1 (en) * 2012-06-05 2013-03-20 이춘우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45673B1 (en) * 2012-07-12 2013-03-20 이춘우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4043B2 (en) 2011-03-04 2022-12-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2772170B (en) * 2011-05-09 2016-01-2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The syndeton of cyclone separator and filter cartridge
DE102012207353A1 (en) * 2012-05-03 2013-11-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abscheideeinheit with a Siebabreinigung
JP5872397B2 (en) * 2012-07-02 2016-03-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DE102013005306A1 (en) * 2013-03-25 2014-09-25 PROAIR GmbH Gerätebau Separator, separator with such a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especially wet vacuum, with such a separator or such a separator
JP2015024275A (en) * 2014-10-31 2015-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39924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40134B (en)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3B (en)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46542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46541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ing apparatus
GB2546543B (en) 2016-01-22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CN107280580B (en) * 2017-08-23 2022-09-27 北京小狗吸尘器集团股份有限公司 Dust collection cup assembly and dust collector
KR102431691B1 (en) * 2018-01-29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US11375861B2 (en) 2018-04-20 2022-07-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1497363B2 (en)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KR102656583B1 (en) * 2019-01-21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4870U (en) * 1977-02-21 1978-09-12
JPS5640746U (en) * 1979-09-07 1981-04-15
JP3530436B2 (en) * 1999-01-29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6625845B2 (en) * 2000-03-24 2003-09-30 Sharp Kabushiki Kaisha Cyclonic vacuum cleaner
US7070636B2 (en) * 2000-11-13 2006-07-04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US7152277B2 (en) * 2003-03-13 2006-12-2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for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100539762B1 (en) * 2004-03-09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clean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US7588610B2 (en) * 2004-11-25 2009-09-15 Sanyo Electric Co., Ltd.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802377B1 (en) * 2005-07-13 2008-02-14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 cleaner
JP3999791B2 (en) 2005-07-21 2007-10-31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er
JP4477565B2 (en) * 2005-10-04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72B1 (en) * 2012-06-05 2013-03-20 이춘우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45673B1 (en) * 2012-07-12 2013-03-20 이춘우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335B1 (en) 2012-07-09
RU2433779C1 (en) 2011-11-20
EP2225993A4 (en) 2014-06-11
EP2225993B1 (en) 2016-02-24
JP5197627B2 (en) 2013-05-15
WO2009081946A1 (en) 2009-07-02
JPWO2009081946A1 (en) 2011-05-06
EP2225993A1 (en)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335B1 (en) Electric cleaner
AU2007200171B2 (en)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mechanisms
KR100802377B1 (en) Electric cleaner
KR100882548B1 (en) 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6334391A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EP1495708B1 (en) Dust Collecting Unit with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2010011905A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414808B1 (en) Vacuum cleaner
JP2008246233A (en) 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filter of vacuum cleaner
JP643011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4928900B2 (en) Vacuum cleaner
CN112587029B (en) Dust collector host and dust collector
WO2020262599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7020684A (en) Vacuum cleaner
KR100857491B1 (en)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KR101282536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CN214549249U (en) Dust-gas separation device and dust collector with same
JP401222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5021469A (en) Vacuum cleaner
KR100562112B1 (en) 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JP2005177289A (en) Vacuum cleaner
JP2011055974A (en) Vacuum cleaner
JP2008142255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JP2007014624A (en) Vacuum cleaner
JP3488878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