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868A -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868A
KR20100062868A KR1020090036597A KR20090036597A KR20100062868A KR 20100062868 A KR20100062868 A KR 20100062868A KR 1020090036597 A KR1020090036597 A KR 1020090036597A KR 20090036597 A KR20090036597 A KR 20090036597A KR 20100062868 A KR20100062868 A KR 2010006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nnection
connection control
resour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964B1 (ko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내에서 적용 위치와 상관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며, 반교환형 연결 제어, 교환형 연결 제어, 및 프로비전형 연결 제어와 같이 다양한 연결 제어 동작을 동시에 모두 지원해줄 수 있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36597
제어 평면, 반교환형 연결 제어, 교환형 연결 제어, 및 프로비전형 연결 제어

Description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USER ADAPTIVE TYPE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연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연결 제어 방식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적용 위치와 상관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의 연결 제어 방식은 크게 프로비전형, 반교환형, 그리고 교환형 연결 제어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비전형 연결 제어는 EMS/NMS(Element Management System/Network Management System) 등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결을 제어하며, 교환형 연결 제어는 UNI(User to Network Interface) 및 NNI(Network to Network Interface) 모든 구간에 걸쳐 제어 평면을 이용하여 연결을 제어한다. 그리고 반교환형 연결 제어는 UNI 구간에서는 프로비전형 연결 제어를 적용하고, NNI 구간에는 교환형 연결 제어를 적용한다.
이러한 통신망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교환형 및/또는 반교환형 연결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교환형 연결 제어의 경우, 통신망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노드가 UNI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장비의 기능 업그레이드 일정을 고려하면 통신망 내부에서의 연결 제어, 즉 반교환형 연결 제어를 일차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프로비전형 연결 제어 즉, 관리 평면을 이용한 연결 제어는 네트워크의 초기 적용시 또는 비상시를 대비하여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이에 네트워크 시스템은 여러 가지 연결 제어 방식을 다양하게 지원해줄 수 있도록, 통신망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들 및 노드들은 여러 가지 연결 제어 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기술에 따른 서버들 및 노드들은 자신의 적용 위치에 따라 상이한 구성 및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적용 위치가 변화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에서의 적용 위치와 상관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며, 반교환형 연결 제어, 교환형 연결 제어, 및 프로비전형 연결 제어와 같이 여러 가지 연결 제어 방식을 동시에 모두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질의를 수신하는 질의분석 컴포넌트; 상기 질의를 분석하여 상기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형태 및 연결 제어 형태를 결정하는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 상기 질의에 의한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자원 할당, 자원 삭제, 교환형 연결 제어를 위한 동기화 정보 제공, 및 롤백 동작을 수행하는 자원 제어 컴포넌트; 상기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노드들 또는 네트워크 경로를 결정한 후, 상기 자원 제어 컴포넌트에 통보하는 경로 결정 컴포넌트; 상기 적용 도메인의 네트워크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루트를 결정한 후, 상기 자원 제어 컴포넌트에 통보하는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 및 상기 자원 제어 컴포넌트의 제어하에 상기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턴스를 설정 및 해제하고, 상기 인스턴스에 대한 자원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는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를 제공 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적용 도메인에서의 노드간 및 네트워크간 연결 제어 형태를 정의 및 결정하고, 연결 구성 정보를 생성 및 삭제하는 연결 구성 정보 관리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적용 도메인의 자원 형상을 결정하는 자원 발견 컴포넌트; 상기 적용 도메인의 자원 형상에 따라 상기 연결 제어 동작을 위한 자원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자원 허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질의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동일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신호방식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의 인스턴스에 대한 자원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라우팅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루트를 결정하는 라우팅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종단간 연결 설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단방향 또는 양방향의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는 연결 테스트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의분석 컴포넌트는 상기 질의가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처리될 것이라면, 상기 질의를 상기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서버들과 노드들로 구성되어, 프로비젼형, 반교환형, 교환형 중 하나의 연결 제어 방식에 따른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는 통신망내에서 적용 위치와 상관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며, 프로비젼형, 반교환형, 교환형 등 다양한 형태의 연결 제어 동작을 동시에 모두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 제어 구조의 활용도를 증대시켜 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가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각 클러스터 네트워크(Cluster Network, 이하 CN-xy)에 접속하여 해당 CN-xy내에 존재하는 노드들에 대한 중앙 집중형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클러스터 네트워크 컨트롤러(Cluster network Controller, 이하 CC-xy)(1-11,1-12,1-21), 각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 이하 BN-x)에 접속하여 해당 BN-x내에 존재하는 노드들에 대한 중앙 집중형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백본 네트워크 컨트롤러(Backbone network Controller, 이하 BC-x)(2-1,2-2), CN-xy와 BN-x의 상위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CC-xy(1-11,1-12,1-21)와 BN-x(2-1,2-2)에 대한 중앙집중형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마스터 컨트롤러(Master Controller, 이하 MC)(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4,5)는 다양한 연결 제어 방식을 통해 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종단 단말과, 비-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을 통해 네트워크 성능 테 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실험자 단말이 적용될 수 있다.
CN-xy는 사용자 단말(4,5)가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링(ring), 메쉬(mesh) 등 다양한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고, BN-x는 다수의 CN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이 또한 링, 메쉬 등 다양한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CN-xy와 BN-x간을 연결하는 경로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내에 구비되는 서버와 노드 각각은 도2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결 제어 동작을 모두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뿐 만 아니라 네트워크 성능 테스트를 위해 원하는 노드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비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도 지원해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는 질의분석 컴포넌트(21),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22), 스토리지(23), 연결 구성 정보 관리 컴포넌트(24),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 자원 제어 컴포넌트(26), 자원 허용 컴포넌트(27), 경로 결정 컴포넌트(28),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 토폴로지 발 견 컴포넌트(30), 자원 발견 컴포넌트(31), 시그널링 컴포넌트(32), 라우팅 컴포넌트(33), 및 연결 테스트 컴포넌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도2의 각 구성 요소는 제어 평면에 대한 논리적 접근을 위한 컴포넌트이고, 이때의 컴포넌트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하나의 시스템내에서 대체가능한 기능적 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도2의 컴포넌트들은 특정 네트워크 노드 또는 서버에 모두 포함될 수 도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서버에 분산 배치될 수도 있다. 만약,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서버에 분산 배치되고 동작이 서로 연계되어 실행될 경우, 서로 동일한 트랜잭션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해당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서버간에 송수신되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질의분석 컴포넌트(21)는 연결 제어 과정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a(4))과 다른 구성 요소간의 중계 역할을 담당한다. 즉,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질의를 분석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구성 요소로 전달해준다. 반면,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질의에 대한 자원 제어가 상위 수준에서 처리되어야 할 것이라면, 해당 질의 요청을 상위 레벨에 위치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구비된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로 전달해준다.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22)는 연결 제어 동작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만약, 동일한 사용자 인증 절차가 상위 레벨에 위치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구비된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에 의해 이미 수행된 것이라면, 현재 레벨 에서의 사용자 인증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스토리지(23)는 적용 도메인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연결 구성 정보, 및 자원 형상 정보 등과 같이 연결 제어 동작 및 네트워크 성능 테스트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연결 구성 정보 관리 컴포넌트(24)는 자신이 관리하는 네트워크(이하, 적용 도메인)에서의 노드간 및 네트워크간 연결 제어 형태를 정의 및 결정하고, 이에 대한 연결 구성 정보를 생성하거나 삭제한다.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는 현재 요청된 질의를 분석하여 서비스 형태 및 연결 제어 형태를 결정한다. 즉, 질의를 분석하여 반교환형, 교환형, 및 프로비젼형 중 어떠한 연결 제어 방식을 이용할 것인지, 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비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등을 결정한다.
자원 제어 컴포넌트(26)는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자원 할당, 자원 삭제, 교환형 연결 제어를 위한 동기화 정보 제공, 그리고 롤백(Rollback)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해당 도메인내에서의 자원 제어도 수행한다.
자원 허용 컴포넌트(27)는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자원 형상에 따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연결 자원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경로 결정 컴포넌트(28)는 자원 제어 컴포넌트(26)의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노드들 또는 네트워크 경로(route)를 결정한다.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는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턴 스(instance)를 설정하고 해제한다. 이때,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의 동작은 네트워크 차원과 노드 차원으로 세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 구비된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가 네트워크 차원으로 동작될 때에는 각 노드의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로 연결 제어를 요청하거나 동기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30)는 적용 도메인의 네트워크 형상을 결정한다. 네트워크 형상의 결정은 라우팅 컴포넌트(33)의 라우팅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프로트콜의 결정할 수 있으며, 적용 도메인의 범위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수용가능하다.
자원 발견 컴포넌트(31)는 적용 도메인의 자원(대역폭, CPU, 메모리등) 형상을 결정한다.
시그널링 컴포넌트(32)는 신호방식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의 인스턴스에 대한 자원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한다. 만약,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가 신호방식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가 시그널링 컴포넌트(32)을 대신하여 자원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할 수 도 있다.
라우팅 컴포넌트(33)는 라우팅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하여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루트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30)가 라우팅 컴포넌트(33)을 대신하여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루트를 결정한다.
연결 테스트 컴포넌트(34)는 종단간 연결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단방향 또는 양방향의 연결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황이나 노드 조건에 따라 연결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도2의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연결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네트워크 성능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특정 노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비종단간 연결 제어 동작에 관한 것으로, 프로비젼형 연결 제어 방식을 따르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a(4)는 자신이 원하는 응용(또는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해 MC(3)에게 자원의 명세를 제시하고, 노드H(H)와의 연결 제어를 요청한다(S101).
그러면 MC(3)에서는 질의분석 컴포넌트(21)를 통해 사용자 단말a(4)의 연결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22)를 통해 사용자 단말a(4)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는 연결 제어 요청을 분석하여, 현재 요청된 서비스 형태가 반교환형 연결 제어 방식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자원 제어 컴포넌트(26)는 해당 연결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경로 결정 컴포넌트(28) 및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30)와 동작을 연계하여 필요한 범위의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와 각 서브넷에서의 발신 및 착신 노드를 결정한 후, 하위 레벨의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로 연결 제어를 요청한다 (S102-1~S102-4).
그러면,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은 MC(3)와 유사하게 질의분석 컴포넌트(21),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 자원 제어 컴포넌트(26), 경로 결정 컴포넌트(28) 및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3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자원(대역폭, 노드 등)을 결정한다. 그리고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는 자신의 서브넷에 위치하는 발신 노드를 직접 제어하여 착신 노드와의 연결 제어를 처리하도록 요청한다(S103-1~S103-4).
그리고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은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발신 노드로부터 동작 결과를 수신하고, 자원 제어 컴포넌트(26)를 통해 롤백 상황을 확인한 후(S104-1~S104-4), 서브넷 수준의 동작 결과를 MC(3)에 통보한다(S105-1~S105-4).
그러면 MC(3)는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사용자 단말a(4)에게 최종 결과를 통보해준다(S106)
도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반교환형 종단간 연결제어 동작에 관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a(4)는 자신이 원하는 응용(또는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해 MC(3)에게 자원의 명세를 제시하고, 사용자 단말b(5)와의 연결 제어를 요청한다(S201).
그러면 MC(3)에서는 질의분석 컴포넌트(21)를 통해 사용자 단말a(4)의 연결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22)를 통해 사용자 단말a(4)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는 연결 제어 요청을 분석하여, 현재 요청된 서비스 형태가 반교환형 연결 제어 방식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자원 제어 컴포넌트(26)는 연결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경로 결정 컴포넌트(28) 및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30)와 동작을 연계하여 필요한 범위의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와 각 서브넷에서의 발신 및 착신 노드를 결정한 후, 하위 레벨의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로 연결 제어를 요청한다(S202-1~S202-4).
그러면,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은 MC(3)와 유사하게 질의분석 컴포넌트(21),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 자원 제어 컴포넌트(26), 경로 결정 컴포넌트(28) 및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3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제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자원(대역폭, 노드 등)을 결정한다.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는 발신 노드(노드 A, 노드C, 노드E, 노드G)에게 착신 노드(노드 B, 노드D, 노드F, 노드H)와의 연결 제어를 처리하도록 요청한다(S203-1~S203-4).
그러면 각 서브넷의 발신 노드(노드 A, 노드C, 노드E, 노드G)는 자신의 시그널링 컴포넌트(32)를 통해 신호방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착신 노드(노드 B, 노드D, 노드F, 노드H)와의 연결 제어를 수행한 후(S204-1~S203-4), 수행 결과를 CC- 11(1-11),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에 통보해준다(S205-1~S205-4).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은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연결 제어 결과를 수신하고, 그 결과를 MC(3)로 포워딩해준다(S206-1~S206-4).
그러면 MC(3)도 자신의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연결 제어 결과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최종 결과를 사용자 단말a(4)에 통보해준다(S207).
도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교환형 종단간 연결제어 동작에 관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a(4)는 자신이 원하는 응용(또는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해 자신의 클러스터 네트워크(CN-11)의 노드A에게 자원의 명세를 제시하고, 사용자 단말b(5)와의 연결 제어를 요청한다(S301).
노드A(A)의 질의분석 컴포넌트(21)는 상기 연결 제어 요청을 분석한 후, 상기 연결 제어 요청을 상위 레벨에 위치한 CC-11(1-11)의 질의분석 컴포넌트(21) 및 MC(3)의 질의분석 컴포넌트(21)로 전달한다(S302-1, S302-2).
MC(3)의 질의분석 컴포넌트(21)는 상기 연결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22)를 통해 사용자 단말a(4)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MC(3)의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25)는 상기 연결 제어 요청을 분석하여, 현재 요청된 서비스 형태가 교환형 연결 제어 방식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자원 제어 컴포넌트(26)는 상기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경로 결정 컴포넌트(28)와 라우팅 컴포넌트(33)와 동작을 연계하여 필요한 범위의 CC-11(1-11), BC-1(2-1), BC-2(2-2), 및 CC-21(1-21)와 각 서브넷에서의 발신 노드와 착신 노드를 결정한다. 그리고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는 교환형 종단간 연결제어 특성에 따라 CC-11(1-11)만이 발신 노드와 착신 노드간 연결 제어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고(S303), BC-1(2-1), BC-2(2-2), 및 CC-21(1-21)에는 BC-1(2-1), BC-2(2-2), 및 CC-21(1-21)에는 각 서브넷에서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CC-11(1-11)와의 동기화 명령을 요청한다(S304-1~S304-3).
그러면 CC-11(1-11)의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는 노드A에 노드A의 시그널링 컴포넌트(32)를 통해 신호방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노드B와의 연결 제어를 처리하도록 요청한다(S305). 이에 노드B도 노드A에서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BC-1(2-1)에 위치하는 노드C와의 연결 제어를 처리하도록 요청한다(S306).
그리고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의 발신 노드는 전단의 서브넷으로부터 연결 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BC-1(2-1), BC-2(2-2), 및 CC-21(1-21)에 CC-11(1-11)와의 동기화 여부 확인을 요청한다(S307-1~S307-3).
BC-1(2-1), BC-2(2-2), 및 CC-21(1-21) 각각은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자신의 발신 노드(노드C, 노드E, 노드G)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 정보와 MC(3)로부터 제공받은 동기화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자 신의 발신 노드로 통보해준다(S308-1~S308-3).
이에 발신 노드(노드C, 노드E, 노드G)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 정보와 MC(3)로부터 제공받은 동기화 정보가 일치하면, BC-1(2-1), BC-2(2-2), 및 CC-21(1-21)의 서브넷에 위치하는 발신 노드(노드C, 노드E, 노드G) 각각는 노드A 또는 노드B에서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착신 노드(노드D, 노드 F, 노드 H)와의 연결 제어를 처리하도록 요청한다(S309-1~S309-3).
예를 들어, BC-1(2-1)의 노드C는 CC-11(1-11)의 노드B로부터 연결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노드D와의 연결 제어를 처리하기 전에, BC-1(2-1)로부터 노드C 및 D와의 패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BC-1(2-1)는 MC(3)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정보와 노드C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정보가 일치할 때에만 노드C의 질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서브넷에서의 연결 제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각 서브넷에 위치하는 발신 노드(노드A, 노드C, 노드E, 노드G)는 자신의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29)를 통해 연결 제어 결과를 획득하고(S310-1~S310-4), 최종적으로 CC-11(1-11)의 노드A는 패스A/B/C/D/E/F/G/H의 연결 상황을 사용자 단말a(4)에게 통보해준다(S311).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a(4)는 사용자 단말a(4)의 연결 테스트부(34)를 통해 사용자 단말b(5)와의 연결 상태를, 또는 노드A는 노드A의 연결 테스트부(34)를 통해 노드H와의 연결 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가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질의를 수신하는 질의분석 컴포넌트;
    상기 질의를 분석하여 상기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형태 및 연결 제어 형태를 결정하는 서비스 분석 컴포넌트;
    상기 질의에 의한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자원 할당, 자원 삭제, 교환형 연결 제어를 위한 동기화 정보 제공, 및 롤백 동작을 수행하는 자원 제어 컴포넌트;
    상기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노드들 또는 네트워크 경로를 결정한 후, 상기 자원 제어 컴포넌트에 통보하는 경로 결정 컴포넌트;
    상기 적용 도메인의 네트워크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루트를 결정한 후, 상기 자원 제어 컴포넌트에 통보하는 토폴로지 발견 컴포넌트; 및
    상기 자원 제어 컴포넌트의 제어하에 상기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턴스를 설정 및 해제하고, 상기 인스턴스에 대한 자원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는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도메인에서의 노드간 및 네트워크간 연결 제어 형태를 정의 및 결 정하고, 연결 구성 정보를 생성 및 삭제하는 연결 구성 정보 관리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도메인의 자원 형상을 결정하는 자원 발견 컴포넌트; 및
    상기 적용 도메인의 자원 형상에 따라 상기 연결 제어 동작을 위한 자원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자원 허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컴포넌트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동일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신호방식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인스턴스 제어 컴포넌트의 인스턴스에 대한 자원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라우팅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적용 도메인내에서의 루트를 결정하는 라우팅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 동작에 따른 종단간 연결 설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단방향 또는 양방향의 연결 테스트를 수행하는 연결 테스트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분석 컴포넌트는
    상기 질의가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처리될 것이라면, 상기 질의를 상기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서버들과 노드들로 구성되어, 프로비젼형, 반교환형, 교환형 중 하나의 연결 제어 방식에 따른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90036597A 2008-12-02 2009-04-27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27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206 2008-12-02
KR20080121206 2008-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868A true KR20100062868A (ko) 2010-06-10
KR101127964B1 KR101127964B1 (ko) 2012-04-16

Family

ID=4236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597A KR101127964B1 (ko) 2008-12-02 2009-04-27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4820B2 (en) 2013-11-01 2018-06-12 Bbhc Co., Ltd. Method for differentiating pluripotent stem cell induced from mesenchymal stem cell into chondrocy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013A1 (ko) * 2016-04-0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865B1 (ko) * 2003-05-02 2005-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20284B1 (ko) * 2005-10-24 2007-05-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요구 및 응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4820B2 (en) 2013-11-01 2018-06-12 Bbhc Co., Ltd. Method for differentiating pluripotent stem cell induced from mesenchymal stem cell into chondrocy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964B1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458B (zh) 用于用户面路径选择的方法和系统
CN108293001B (zh) 一种软件定义数据中心及其中的服务集群的部署方法
US99485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network-based distributed multi-domain routing control
CN109218046B (zh) 网络切片的管理方法及系统和存储介质
WO2017113273A1 (zh) 一种软件定义数据中心及其中的服务集群的调度和流量监控方法
US20070036073A1 (en) Connection-oriented network node
JP2017517170A (ja) Nfv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実装の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ユニット
JPWO2009075033A1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並びにノード及びユーザ端末
CN105847185B (zh) 分布式设备的报文处理方法、装置及分布式设备
JP4567758B2 (ja) QoSリソースを確保し、マルチキャスト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を設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0278884A (ja) ルーティング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1615812B (zh) 意欲在使用动态路由协议的网络中实现的配置方法
KR100832542B1 (ko) UPnP QoS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경로 및 자원예약 방법
JP2004159112A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ルーティング制御装置及びルータ装置
KR101127964B1 (ko) 사용자 적응형 연결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JP4717785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および方法
CN108092787B (zh) 一种缓存调整方法、网络控制器及系统
JP2006245894A (ja) 転送経路制御装置および転送経路制御プログラム
JP2013038767A (ja) 通信パス制御装置
Shaikh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various open flow controllers by performing scalability experiment on software defined networks
US110955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nima network objective changes
US11310128B2 (en) Software-definable network service configuration method
EP1705831A1 (en) Deadlock detection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19134572A1 (zh) 基于sdn的光传送网保护恢复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4754762A (zh) 软件自定义网络中自动发现控制器的方法、控制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