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119A - 주사바늘 고정대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119A
KR20100060119A KR1020080118575A KR20080118575A KR20100060119A KR 20100060119 A KR20100060119 A KR 20100060119A KR 1020080118575 A KR1020080118575 A KR 1020080118575A KR 20080118575 A KR20080118575 A KR 20080118575A KR 20100060119 A KR20100060119 A KR 2010006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atient
pressing
fixing
need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용
Original Assignee
신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용 filed Critical 신창용
Priority to KR102008011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119A/ko
Publication of KR2010006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61M2025/0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where the straps are releasably secured, e.g. by hook and loop-type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바늘 고정대가 개시된다. 특히 병원에서 일반 환자 뿐만 아니라, 소아 및 유아 등에게 주사되는 링거 바늘이 주사된 후 그 이탈을 방지하고 특히, 소아 및 유아가 스스로 주사 바늘을 만질 수 없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삽입된 주사 바늘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손가락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와, 환자에게 삽입된 주사 바늘의 외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서 이어져 형성된 탄성부재가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환자, 링거, 바늘, 주사, 유아, 소아, 손목

Description

주사바늘 고정대{Injector fixer for wrist}
본 발명은 주사바늘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에서 일반 환자 뿐만 아니라, 소아 및 유아 등에게 주사되는 링거 바늘이 주사된 후 그 이탈을 방지하고 특히, 소아 및 유아가 스스로 주사 바늘을 만질 수 없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삽입된 주사 바늘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하는 링거는 다양한 약물이 액체 형태로 보관된 상태에서 환자의 체내 혈관으로 주사 바늘을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게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 환자의 손등 내지는 발등을 통하여 환자의 혈관을 찾아 시술자가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약물을 투여하는데, 투여되는 약물의 양에 따라 환자의 혈관에 주사 바늘이 삽입된 상태로 장시간에 걸쳐 방치되기 때문에 주사 바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 및 반창고 등으로 일정 크기를 절단하여 삽입된 주사 바늘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자신의 상태를 자각할 수 있어 스스로 주사 바늘을 빼 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자각 능력이 없는 장애우, 유아 및 소아 등의 경우에는 현재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지 못하여 주사 바늘을 제거하려 하거나 손으로 만지는 행위로 인해 2차 감염이 유발되거나 심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삽입된 주사 바늘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자각능력이 있는 성인이라 하더라도 수면중의 움직임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주사 바늘이 이탈되어 환자에게 위험성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7-229호(공개일자 2007년02월22일, 이하 종래기술 1 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1에서는, 내측으로 손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수용하고,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는 부분의 저면 일측에 제1흡착부재가 구비되며, 일측 끝단부에 다수의 고무밴드가 결합되는 손목고정부와 상기 제1흡착부재와 체결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제2흡착부재를 상면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손목고정부에 결합된 고무밴드의 타측과 결합하여 손목을 감싸는 손목덮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 1에서는 상기 고무밴드 사이에 환자의 손가락을 끼워 고정하고, 손목덮개부를 회동하여 환자의 손목을 감싸 고정하는 것이나, 상기 고무밴드 사이에 노출되는 환자의 손가락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환자가 움직일 수 있는 활동 폭이 넓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부위가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외부에서 주사 바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확인할 때마다 고정부위를 해제하여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환자가 수면 중에는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1은 환자의 손목과 밀착한 상태에서 환기가 되지 않아 환자의 피부가 땀, 습기 등에 의해 쉽게 짓무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환자 특히 유아, 소아 및 장애우 등과 같이 자신의 상태에 대한 자각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에게 삽입된 주사 바늘이 고정되도록 하여 주사 바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자에게 착용된 주사 바늘 고정대를 해체하지 않아도 주사 바늘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삽입된 주사 바늘이 이탈된 경우나, 혈관의 역류 및 2차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가 용이해져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주사 바늘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환자의 손목 및 손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탄성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손목 보호대를 이용하여 유아, 소아 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넓은 주사바늘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손가락을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움직임이 많은 환자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며, 삽입되는 손가락의 마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주사바늘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환자의 손목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한수단을 더 구비하여 환자 손목의 상하 또는 좌우에 부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사바늘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가락이 삽입 고정되는 삽 입부, 주사바늘의 외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는 양측면이 관통된 원통형의 고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는 양측면이 관통된 원통형의 고리로 형성되되 두 분체로 이루어져 노출공간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는 서로 이웃하게 접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투시창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투시창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부와 맞닿는 접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하부에 제1대응접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는 제2접착대응부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되제2접착부가 구비된 것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탄성력이 구비된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림직하 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에 제1접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상기 제한수단은 탄성력이 구비되되 반원의 형상을 이루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이 바림직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는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것이 바림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아, 소아 및 장애우 등과 같이 자신의 상태에 대한 자각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환부에 주사 바늘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주사바늘 고정대를 해제하지 않아도 주사 바늘의 삽입 상태나 2차 감염 여부를 외부에서 시술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환자의 나이에 대응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넓고, 환자의 손목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활동에 의한 주사 바늘이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투약의 효율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환자의 피부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외부에서 주사 바늘의 삽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쪽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 하고, 반대편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1)는, 손가락(11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10)와, 환자에게 삽입된 주사바늘(120)의 외부를 가압하는 가압부(20)와, 상기 가압부(20)에서 이웃하게 접하여 형성되되 환자에게 시전된 주사바늘을 환자의 손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0)는 환자의 손가락(110)이 삽입되는 고리(11)로 이루어지되, 두 분체로 형성되어 손가락(110) 마디가 상기 두 분체 사이의 노출공간(12)에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된 손가락(110)이 상기 고리(11)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삽입부(10)를 형성하여 복수의 손가락(110)을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환자의 2개 내지 3개의 손가락(110)을 삽입 고정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며, 삽입된 손가락(110)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고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분체로 이루어진 고리(11)는 환자의 오른손, 왼손에 관계없이 사용할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고리(11)에 삽입되는 손가락(110)은 하나의 마디만 끼 워지도록 하여 양손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손은 왼손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오른손이 끼워지는 상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때 삽입되는 손가락(110)은 환자의 연령과 손의 크기를 감안하여 착용자의 손가락(110) 하나의 마디만 상기 고리(11)에 삽입 고정한다.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주사바늘(120)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21)과 상기 삽입부(10)와 맞닿는 접면(22)에 형성되어 삽입부(10)가 자중에 의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시창(21)에는 다수의 통기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20)의 투시창(21)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주사바늘(120)의 삽입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통기공(211)을 형성하여 땀, 습기 등에 의해 환자의 피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위생 상태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0)에는 상기 삽입부(10)와 맞닿는 접면(22)에 지지부(23)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부(1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압부(20)가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보관에도 형상의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사용 중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23)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고정부(30)에 구비된 제1접착부(32)에 대응하는 제1대응접착부(231)를 형성하여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대응접착부(231)는 접착력을 지닌 접착면(J)과 이를 덮는 커버(Ja)로 이루어져 보관상태일 때는 상기 커버(Ja)가 접착면(J)을 덮는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 상기 커버(Ja)를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0)는 환자에게 시술된 주사바늘(120)이 움직임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20)의 상부 끝단에 연장부(24)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연장부(24)는 환자의 손목을 감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장면(26)과 상기 연장면(26)이 환자의 손목에 감긴 후, 지지고정 되도록 제2접착부(27)와 제2접착대응부(25)로 이루어져 활동량이 많은 환자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가압부(20)에서 서로 이웃하게 접하여 형성되며, 환자에게 시전된 주사바늘을 환자의 손과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31)와, 상기 탄성부(31)의 일단에 구비된 제1접착부(32)와, 상기 가압부(20)와 맞닿는 접면(22)에 구비된 보조탄성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31)는 환자의 손에 감긴 상태에서 장력을 유지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내구성 플라스틱, 탄성섬유(Spantex) 등과 같은 탄성 및 신축성이 좋은 소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31)는 필요에 따라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되 제2접착부(27)와 제2대응접착부(25)가 구비된 연결부(24)가 형성되어 환자의 손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장부(24)는 일반적으로 상처 부위를 감싸는 압박붕의 형태로 이루어져 환자의 손목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31)의 일단에 구비된 제1접착부(32)에는 접착면(J)과 이를 덮는 커버(Ja)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Ja)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접착부(32)는 상기 가압부(20)의 지지부(23)에 형성된 제1대응접착부(231)과 맞닿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조탄성부(33)는 상기 가압부(20)와 상기 고정부(30)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31)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30)가 환자의 손을 감쌀 때 팽창하여 상기 탄성부(31)가 늘어나는 길이를 감소시켜 상기 탄성부(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31)는 길이가 늘어나는 만큼 그 두께는 얇아지게 되며, 얇아진 두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탄성부(33)에서 팽창된 거리만큼 상기 탄성부(31)가 늘어나는 길이가 감소하여 상기 탄성부(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손등(100)에 링거 주사바늘(120)을 삽입한 상태에서, 환자의 손가락을 삽입부(10)를 형성하는 고리(11)에 삽입하고, 가압부(20)의 저면이 상기 주사바늘(120)의 노출된 부위를 가압하도록 덮은 다음 상기 고정부(30)를 당기면서 환자의 손에 감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20)에 형성된 투시창(21)이 주사바늘(120)의 삽입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30)를 서서히 당기면서 환자의 손목에 감은 후 고정부(30)의 일단에 구비된 제1접착부(32)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1접착부(32)에 구비된 커버(Ja)를 제거하여 접착면(J)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면(J)을 환자의 손에 감긴 고정부(30)에 밀착시키거나 환자의 나이에 따라 손이 작은 경우 상기 가압부(20)에 구비된 제1대응접착부(231)와 상기 제1접착부(32)를 밀착시켜 고정한다.
나아가, 상기 가압부(20)에는 환자의 손목과 밀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연장부(24)와 제한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한수단은 한 쌍의 반원형 덮개(40)로 이루어져 환자의 손목을 상하 또는 좌우에서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덮개(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손목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환자의 손목에 밀착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또는 좌우에서 대칭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환자의 손목과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24)가 덮개(40)를 동시에 감싸면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 덮개(40)는 상기 가압부(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압부(20)에는 덮개(40)와 결합을 위한 연장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4)는 탄성력이 있는 면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40)에는 상기 연장부(24)를 위한 삽입홈(41)이 형성되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환자의 손목은 상기 덮개(40) 및 연장부(24)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환자의 심한 움직임 및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주사바늘(12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삽입부(10)를 다수개 구비하여 환자의 손가락(110)을 구속하며, 약물이 투여되는 동안 환자가 임의로 주사 바늘(120)을 뺄 수 없도록 하여 투약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삽입부(10)는 2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고리(11)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고리(11)의 형태는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며 개수 또한 추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J)는 고정부(30)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프(Jb)로 이루어져 나이에 따라 다른 환자의 손등 및 손목 크기와 큰 악력(握力)에 대응할 수 있는데,
즉, 소아 및 아동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크기 및 큰 악력을 가진 어른의 경우 가압부(20)의 저면이 상기 주사바늘(120)의 노출된 부위를 가압하도록 덮은 다음 상기 고정부(30)를 당기면서 환자의 손에 감아 고정한 후에 환자가 손을 움켜쥐는 동작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테이프(Jb)를 이용하여 고정력을 견고하게 함으로서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테이프(Jb)를 다수개 구비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이때 상기 고정부(30)는 환자의 손등 및 손목을 감싸는 압박붕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착용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착용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가압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가압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삽입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대의 고정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주사바늘 고정대
100 : 손등 110 : 손가락 120 : 주사바늘
10 : 삽입부
11 : 고리 12 : 노출공간
20 : 가압부
21 : 투시창 22 : 접면
23 : 지지부 24 : 연장부
30 : 고정부
31 : 탄성부 32 : 접착부
33 : 보조탄성부
40 : 덮개

Claims (16)

  1. 손가락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
    주사 바늘의 외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서로 이웃하게 접하여 형성된 고정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양측면이 관통된 원통형의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양측면이 관통된 원통형의 고리로 형성되되 두 분체로 이루어져 노출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서로 이웃하게 접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주사 바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부와 맞닿는 접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하부에 제1대응접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제2접착대응부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되제2접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력이 구비된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에 제1접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탄성력이 구비되되 반원의 형상을 이루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고정대.
KR1020080118575A 2008-11-27 2008-11-27 주사바늘 고정대 KR20100060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75A KR20100060119A (ko) 2008-11-27 2008-11-27 주사바늘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75A KR20100060119A (ko) 2008-11-27 2008-11-27 주사바늘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19A true KR20100060119A (ko) 2010-06-07

Family

ID=4236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75A KR20100060119A (ko) 2008-11-27 2008-11-27 주사바늘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1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003A (ko) * 2018-03-07 2019-09-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맥천자용 손목 고정장치
KR20230000271U (ko) 2021-07-27 2023-02-03 지엠케이 주식회사 압박붕대 일체형 암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003A (ko) * 2018-03-07 2019-09-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맥천자용 손목 고정장치
KR20230000271U (ko) 2021-07-27 2023-02-03 지엠케이 주식회사 압박붕대 일체형 암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099B2 (en) Long-term effective patch structure
JP7113417B2 (ja) 連続グルコース監視体表面センサ
CN109922679A (zh) 护腕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KR20100060119A (ko) 주사바늘 고정대
KR20180130988A (ko) 어린이 환자의 수액주사용 손목보호대
CN104207817A (zh) 扣盖式压脉止血带
CN212996946U (zh) 一种预防患者拔管的多功能约束护理套件
CN212416552U (zh) 一种纱网式静脉留置针保护套
CN209437436U (zh) 一种新生儿专用手脚保护套
CN211244938U (zh) 一种手部留置针保护套
CN219375702U (zh) 一种儿童防水可视留置针保护套
CN213758846U (zh) 一种新型的医用约束手套
CN219230324U (zh) 一种约束手帕
CN215083396U (zh) 加固式留置针固定贴膜
JP3228510U (ja) 耳引掛け部材用の皮膚トラブル防止用具
CN218552438U (zh) 一种手套固定装置
CN207306764U (zh) 一种医用固定治伤护踝
CN213283679U (zh) 一种儿科护理的约束带
CN213851332U (zh) 一种防挣脱鸭脚蹼型约束手套
CN214050053U (zh) 一种输液固定装置
CN211272926U (zh) 输液固定手板
CN210447326U (zh) 一种医用约束器
CN215584495U (zh) 一种小儿尿道术后保护组件
CN213518212U (zh) 一次性键盘感控预防隔离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