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194A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 Google Patent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194A
KR20100059194A KR1020080117879A KR20080117879A KR20100059194A KR 20100059194 A KR20100059194 A KR 20100059194A KR 1020080117879 A KR1020080117879 A KR 1020080117879A KR 20080117879 A KR20080117879 A KR 20080117879A KR 20100059194 A KR20100059194 A KR 20100059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visible light
illumination
identifie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태한
조치홍
원은태
손재승
김대석
강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194A/en
Publication of KR2010005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1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visible light illumination ID are provided to perform determination of a mobile terminal. CONSTITUTION: A content server(100) stores and transmits map information. A lamp(250) has a characteristic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ransmits the illumination ID to a form of visible light. A mobile terminal(300) receives the map information and the illumination ID, and produces a map image by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ID of a lamp. The map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p image comprises map information within the fixed range around the reg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locates.

Description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 및 방법{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llumination identifi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performing positioning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visible light identifier.

일반적으로 송신기에서 LED 또는 LD(Laser Diode)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가시광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기에서 PD(Photo Detector) 등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가시광 통신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outputting visible light using an LED or a laser diode (LD) as a light source in a transmitter and processing the output visible light using a PD (Photo Detector) in a receiver.

이러한 가시광 통신은 최근 RF(Radio Frequency) 대역 주파수의 고갈,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 간의 혼선 가능성 및 통신의 보안성 요구 증대 등으로 인하여 더욱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LED 조명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가시광 통신의 이용 또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depletion of radio frequency (RF) band frequencies, the possibility of crosstalk betwee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d demand for security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rapid spread of LED lighting, the use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also rapidly spreading.

가시광 통신은 안전하며 그 사용 대역이 넓고 규제를 받지 않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광이 도달하는 장소나 진행하는 방향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수신범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보안 측면에서 도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전력소모 측면에서도 저 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RF 사용이 제한된 병원, 비행기 등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전광판을 이용한 부가 정보 서비스도 제공 가능하다.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safe, its use band is wide and unregulated, so it can be used freely. Besides, it is possible to know the receiving range of information precisely because it can see the place where light is reaching or the direction of progress. Therefore, it can be trusted in terms of securit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riven at low power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hospitals, airplanes, etc., where RF use is limit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an electronic signboard can be provided.

한편,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측위 서비스 기능 등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a simple voice call function,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includes additional functions for user convenience, such as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a positioning service function.

측위 서비스는 전파, 빛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GPS 신호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측위 서비스의 구현 예 중 하나이다. 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실외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실내 또는 지하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측위를 이용한 여러 가지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실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측위 기술과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Positioning service is to measu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user or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using a medium such as radio waves, light. A navigation system using GPS signals is one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a positioning service. The navigation system can be used outdoors, but cannot be used indoors or underground because it cannot receive GPS signals. Considering the fact that various services using positioning are being develope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positioning technology and system that can be used indoors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조명들을 통신의 광원으로 사용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조명들을 구분할 수 있는 조명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측위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ositioning of a mobile terminal using an illumination identifier capable of distinguishing respective illuminations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illuminations as a light source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있어서,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지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지도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트 서버와, 고유의 조명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조명 식별자를 가시광의 형태로 송신하는 조명 램프와, 상기 지도 정보와 상기 조명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조명 램프의 조명 식별자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ntent server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an illumination lamp having a unique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identifier in the form of visible light; And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map information and the illumination identifier, generate a map image by match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of the illumination lamp with the map information, and display the map image. do.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있어서,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에 있어서, 콘텐트 서버가 지도 정보를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조명 램프가 고유의 조명 식별자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지도 정보와 상기 조명 식별자를 수신한 이동단말기가 상기 지도 정보와 상기 조명 식별자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visible light identifier, the first step of the content server transmits the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lamp transmits a unique illumination identifi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third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illumination identifier to generate a map image by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wit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llumination identifier and displaying the map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를 구비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지도 정보 혹은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트 서버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트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콘텐트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 송신하는 복수의 조명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콘텐트 서버로부터 상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 램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tent server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and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lighting lamps for transmitting to a server and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map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and receives the map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And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generate a map image by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map image.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있어서,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에 있어서, 콘텐트 서버가 이동단말기의 지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지도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조명 식별자를 포함한 부가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visible light identifier, the first step of transmitting a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ontent server receives the map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llumination lamp A second process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ntent server when the request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ighting identifier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map image by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map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실내외 구분 없이 측위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역반사판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통신 링크의 확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a visible light identifier, various services including positioning services can be provid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By using a retro-reflective plate, a fast communication link can be secured, thereby improving user mobility. There i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details may be chang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GPS를 이용한 측위 시스템은 건물 내부 또는 지하와 같이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지역에서는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PS를 이용하지 않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측위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 및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조명 장치 시스템과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조명 인프라 기반 가시광 통신에 측위 시스템을 도입하여 GPS 없이 이동단말기의 위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기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ventional positioning system using GPS has a problem that its function cannot be u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receive GPS signals, such as in a building or undergrou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a positioning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out using GP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d a positioning system to the lighting infrastructure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etween the lighting device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mobile terminal capable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enable the position measurement of the mobile terminal without GPS.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조명 램프(250), 이동단말기(300) 및 콘텐트 서버(100)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one-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n illumination lamp 250, a mobile terminal 300, and a content server 100.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조명 램프(250)는 일반적인 조명 역할과 동시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 사용된다. 조명 램프(250)와 같은 조명 기기는 자신만의 조명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며, 광 신호를 통하여 이동단말기와 같은 다른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램프(250)는 미리 저장된 간단한 데이터를 광 신호를 통하여 송신할 수도 있 다. 조명 램프(250)와 콘텐트 서버(100)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INT1)되어 있다면 콘텐트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에 송신하는 중간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조명 램프(250)는 전광판, 가로등, 신호등 등의 LED나 LD를 사용하는 모든 조명 기기에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조명 램프(250)는 콘텐트 서버(100)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INT1)할 수도 있고, 각각의 조명 램프(250)가 고유의 정보에 해당하는 조명 식별자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The lighting lamp 250 is used as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at the same time as the general lighting role. A lighting device such as a lighting lamp 250 has its own lighting identifier and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through an optical signal.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lamp 250 may transmit simple pre-stored data through an optical signal. If the network between the lighting lamp 250 and the content server 100 is formed (INT1), it may also play an intermediate role of receiving data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ing lamp 250 may be applied to any lighting device using LEDs or LDs, such as an electric sign, a street lamp, or a traffic light. Each lighting lamp 250 may be connected with the content server 100 to form a network (INT1), and each lighting lamp 250 may individually transmit data with the lighting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nformation. It may be.

이동단말기(300)는 가시광 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조명 램프(250)와 같은 조명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가시광(VL1)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mobile terminal 300 has a visible light receiving module and serves to receive visible light VL1 transmitted from a lighting device such as an illumination lamp 250.

콘텐트 서버(100)는 측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단말기(300)의 내부 메모리는 그 용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 조명 램프(250)의 조명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조명 램프(250)와 콘텐트 서버(100)는 전력선 통신과 같은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력선은 콘텐트 서버(100)와 각 조명 램프(250)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매개체로 사용되며, 콘텐트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각 램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ent server 100 stores data necessary to provide a positioning function. Since the internal memory of the mobile terminal 300 has a limited capacity, there is a limit in storing all data requir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lighting identifier of each lighting lamp 250 may be stored to form a network. In this case, each lighting lamp 250 and the content server 100 should form a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line is used as a medium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ent server 100 and each lighting lamp 250, and serves to deliver data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100 to each lamp.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양방향 통신 시스템은 조명 램프(250), 이동단말기(300) 및 콘텐트 서 버(100)로 구성되며, 조명 램프(250)와 콘텐트 서버(100)는 전력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INT2) 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n illumination lamp 250, a mobile terminal 300, and a content server 100, and the illumination lamp 250 and the content server 100 form a network b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INT2). can do.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조명 램프(250)는 조명 역할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각 조명 램프(250)와 같은 조명 기기는 조명 식별자나 미리 저장된 간단한 데이터를 이동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어야 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콘텐트 서버(100)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와 이동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콘텐트 서버(1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콘텐트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의 조명 램프(250) 또한 전광판, 가로등, 신호등 등 LED나 LD를 사용하는 모든 조명 기기에 응용할 수 있다. 조명 램프(250)는 필요에 따라 콘텐트 서버(10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고, 조명 식별자와 같은 각각의 고유 정보만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The lighting lamp 2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t the same time as lighting. A lighting device such as each lighting lamp 250 should be able to transmit a lighting identifier or simple pre-stored data to the mobile terminal 300, and load the data contained in the network-connected content server 100 to retrieve the mobile terminal ( Should be able to transmit to 300).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o the content server 100 to receiv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from the content server 100 to transmit to the mobile terminal 300. As in FIG. 1, the lighting lamp 250 of FIG. 2 may also be applied to all lighting devices using LEDs or LDs, such as an electric sign, a street lamp, and a traffic light. If necessary, the lighting lamp 2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00 to form a network. When the lighting lamp 250 transmits and receives only unique information such as lighting identifiers, the lighting lamp 25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separately.

이동단말기(300)는 가시광 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조명 램프(250)로부터 송신되는 가시광을 수신하는 역할(VL1)을 하고, 가시광 송신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 요구 광신호를 조명 램프(250)로 송신하는 역할(VL2)을 담당한다. 다른 이동단말기와의 구분을 위하여 이동단말기(300) 또한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데이터에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visible ligh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visibl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ing lamp 250 (VL1), and includes a visible light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a user-required optical signal to the lighting lamp 250. Responsible for the role (VL2).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mobile terminals, the mobile terminal 300 may also perform communication by including its own unique identifier in the data.

이렇게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조명 인프라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하는 데 있어서, 조명 램프(250)의 조명 식별자는 조명 램프(250)를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조명 식별자를 통하여 조명 램프(250)의 위치와 더불어 그 조명 램프(250)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이동단말기(30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특정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조명 식별자는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될 수 있다. 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the lighting infrastructure in one or two directions, the lighting identifier of the lighting lamp 250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tinguishing the lighting lamp 250. Through the lighting identifier,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lamp 250 and th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lamp 250 may be determined, and the specific data may be stored or require the specific data. The lighting identifier can be an important decision factor in providing the data to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식별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조명 식별자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중 실내 측위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 건물이나 공공시설 등 조명 인프라가 설치되어 있는 모든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조명 램프 별로 조명 식별자 구성이 가능하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ghting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identifier is for indoor positioning system among service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can be used in all places where lighting infrastructure is installed, such as buildings or public facilities. Lighting identifiers can be configured for each lighting lamp.

조명 식별자는 크게 불변 부분과 가변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불변 부분은 미리 지정된 체계에 따라서 조명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 또는 인근 부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인프라가 설치된 건물 또는 해당 지역의 위치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는 현재의 주소 체계와 비슷한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현재 전 세계의 주소 체계를 보면 국가, 행정 단위별 위치, 구체적인 번지나 건물의 위치와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주소 체계는 각 나라마다 다를 수 있으며, 그 분류 방식 또한 자유번호, 도로 위주 번호, 우편번호 등과 같이 각 나라별로 차이가 있다.The lighting identifier is divided into a constant part and a variable part. The constant par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area where the lighting is currently located or the vicinity of 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ystem, and uses this information to distinguish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or the area where the lighting infrastructure is installed. In FIG. 3, a system similar to the current address system is used. Looking at the current address system around the world,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untry, location by administrative unit, specific address and location of building. The addressing system may be different in each country,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may also be different in each country such as free number, road-based number, and postal code.

행정 지역 단위의 구분은 현재 사용되는 우편번호와 비슷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우편번호만으로 각 지역을 어느 정도 세분화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번지와 건물을 구분하는 숫자가 더해진다면 각 건물을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건물의 층별 구분과 설치된 층을 구분하는 부분을 더하면 조명 식별자의 불변 부분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불변 부분은 좌표계에 따른 절대위치를 나타내는 방법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The division of administrative regions can be us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postal code currently used, and each region can be subdivided to some extent only by the postal code. Each building can be distinguished if the number that distinguishes the specific address and the building is added, and the part of each building and the installed floor are added to complete the constant part of the lighting identifier. Such invariant parts may be replaced by other methods such as a method of representing an absolute position according to a coordinate system.

가변 부분에서는 조명 위치의 가변성과 설치 개수 등을 고려하여 각 조명에 해당하는 번호를 설정한다. 조명 식별자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각각 다른 조명 식별자를 부여받을 수도 있고, 일부 조명들이 그룹화 되어 같은 조명 식별자를 부여받을 수도 있다. In the variable part, the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ligh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bility of the light posi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The lighting identifiers may be given different lighting identifiers according to their purpose of use, or some lights may be grouped to be given the same lighting identifier.

일 예로 같은 층에 여러 개의 방이 존재하는 경우나 여러 개의 파티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3의 가변 C 부분을 이용하여 구분해 두는 것이 식별자 관리에 좀 더 용이할 수 있다. 조명과 조명이 인접해 있다 하더라도 각각 다른 방 또는 파티션에 존재하는 경우라면 서로의 상황을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파티션의 구분은 중요하다. 물론 같은 파티션에 존재하면서 조명과 조명이 인접한 경우라고 해도 각 조명을 구분해야 할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변 D, E 영역을 이용하여 각 조명마다 조명 식별자를 부여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multiple rooms exist on the same floor or multiple partitions, it may be easier to manage identifiers by using the variable C part of FIG. 3. Partitioning is important because even if the lights and ligh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f they exist in different rooms or partitions, they cannot recognize each other's situation. Of course, even if the ligh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partition,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each light. In this case, an illumination identifier may be assigned to each illumination by using the variable D and E regions.

다른 예로 여러 개의 조명이 하나의 파티션에서 존재하며 사용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가 되는 상황인 경우 방안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방안에 존재하는 모든 조명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그룹화 등을 통하여 해당 파티션 내에 위치한 여러 개의 조명에 하나의 조명 식별자를 부여한다. 도 3에 도시된 가변 G 부분에 그룹화 영역을 부여하고, 가변 H 부분으로 조명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several lights exist in one partition and the user's field of view is sufficiently secured, it is not meaningful to distinguish all the lights in the room to distinguish the location of the room. Therefore, one lighting identifier is assigned to several lights located in the partition through grouping. The grouping region may be assigned to the variable G portion illustrated in FIG. 3, and the illumination identifier may be collectively assigned to the variable H por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반사기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역반사기(235)를 가지는 조명 램프 및 이동단말기(407)로 구성된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tro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an illumination lamp having a retro reflector 235 and a mobile terminal 407.

조명 램프는 조명(401) 역할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조명 식별자(403)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단말기(300)로 가시광(VL1a)을 송신한다. 또한 이동단말기(407)로부터 입사된 광신호에 해당하는 조명 식별자 확인 요구 신호(VL2)를 다시 입사된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역반사기(235)를 포함한다. 역반사기(235)는 입사된 광신호를 입사된 방향으로 다시 보내주는 장치로, 입사된 방향으로 광신호를 다시 보내주는 과정에서 변조기를 설치하여 입사된 광신호(VL2)를 조명 램프의 조명 식별자(403)를 포함한 광신호(VL1b)로 변조한 후 이동단말기(300)에 보낼 수 있다. The lighting lamp includes a lighting identifier 403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the same time as the lighting 401 and transmits visible light VL1a to the mobile terminal 300. In addition, the retroreflector 235 is included to reflect the illumination identifier confirmation request signal VL2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signal incident from the mobile terminal 407 in the incident direction. The retroreflector 235 is a device for sending an incident optical signal back to the incident direction. The retroreflector 235 installs a modulator in the process of sending back the optical signal in the incident direction to convert the incident optical signal VL2 into an illumination identifier of an illumination lamp. After modulating into the optical signal VL1b including 403, it may be sent to the mobile terminal 300.

이는 가시광 통신에서 송수신 링크가 정확해야만 통신이 가능한 환경에서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VL2)에 바로 응답하면서 해당 조명 램프(250)의 조명 식별자까지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단말기(300)의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역반사기를 이용하여 조명 램프와 이동단말기 간의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표현하면 하기와 같다.This is because 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link is accur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lighting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lamp 250 to the mobile terminal while responding directly to the optical signal VL2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300 can be improv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optical signal between an illumination lamp and a mobile terminal using a retro reflector is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반사기의 내부구성도이다. 역반사기(235)는 2개의 반사판(231, 233)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반사판의 개수가 추가될 수도 있다.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tro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roreflector 235 is composed of two reflectors 231 and 233, and the number of reflectors may be added as necessary.

하나의 이동단말기로부터 입사된 광신호는 제1 반사판(231)을 통하여 반사되고, 변조기(232)에서 조명 램프의 조명 식별자(220)로 변조된 후 제2 반사판(233)을 통하여 이동단말기(300)로 반사된다. 역반사기(235)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VL2)를 변조시켜 해당 조명 램프의 식별자를 포함한 광신호(VL1b)로 변조하여 다시 보내는 것으로, 조명 램프(250)의 조명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조명 식별자를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역반사기는 조명 램프의 조명 기능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기의 조명 식별자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조명 식별자 신호로 변조하여 다시 이동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단방향, 양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된다. 단, 단방향의 경우에는 조명 식별자 요구 신호를 조명 램프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가시광 송신 모듈이 별도로 포함되어야 한다.The optical signal incident from one mobile terminal is reflected through the first reflecting plate 231, modulated by the modulator 232 in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220 of the illumination lamp, and then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second reflecting plate 233. ) Is reflected. By modulating the optical signal VL2 incident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using the retro-reflector 235 and modulating the optical signal VL1b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lamp and sending it back,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lamp 250 Even when the function does not work correctly, the lighting identifier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at is, the retroreflector may receive the lighting identifier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regardless of whether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lighting lamp is operated, modulate it into the lighting identifier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terminal again. This applies regardless of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However, in the unidirectional case,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module should be separately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transmit the lighting identifier request signal to the lighting lamp.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 조명 램프 및 콘텐트 서버 간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조명 램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단, 단순히 조명 램프의 식별자만을 송신하거나 적은 양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통신 속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exchang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 illumination lamp, and a content server in a un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are characterized by eliminating the need for network connections between lighting lamps. However, it is possible to simply transmit only the identifier of the lighting lamp or only a small amount of pre-stored data. Therefore, the service can be provided at a low communication speed.

601단계에서 이동단말기(30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고속 데이터 전송용 조명기(67)로부터 기본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고속 데이터 전송용 조명기(67)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정보를 콘텐트 서버(100)로부터 불러와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콘텐트 서버(100)에는 특정 빌딩이나 백화점, 박물관, 지하도 등과 같은 지도 정보와 각 지역에 맞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603단계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콘텐트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도 정보를 표시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605단계로 진행하여 이동단말기(300)는 수신되는 조명 램프 1의 식별자를 통하여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점을 콘텐트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지도 정보에 매칭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607단계에서 611단계를 통하여 이동단말기(300)가 이동하면서 수신되는 조명 램프들(램프2, 3, ... ,n)의 식별자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점을 갱신하여 지도 정보에 매칭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단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조명 램프는 단순히 조명 식별자를 송신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단말기(300)는 수신만 하면 되므로 비교적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단, 조명 램프가 조명의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경우, 조명 식별자 요구 신호를 조명 램프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가시광 송신 모듈이 별도로 포함되어야 한다.In step 601, the mobile terminal 300 uses the pre-stored data or receives basic data from the illuminator 67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Here, th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lluminator 67 serves to retrieve map information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content server 100 based on the reg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nd transmit the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e content server 100 may store map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building, a department store, a museum, an underpass, and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region. In operation 603, the mobile terminal 300 displays map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which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100, on a display unit (not shown). In operation 605, the mobile terminal 300 matches the ma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300 to the display unit by matching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300 is located with the identifier of the illumination lamp 1. Thereafter, in step 607,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the identifiers of the lamps (lamps 2, 3, ..., n) that are received while the mobile terminal 300 moves in real time, and updates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300 is locat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the lighting lamp merely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he mobile terminal 300 only needs to be received so that it is relatively easy to install and easy to maintain. However, when the lighting lamp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lighting correctly,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module must be separately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ransmit the lighting identifier request signal to the lighting lamp.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 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 복수의 조명 램프 및 콘텐트 서버 간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 대비 양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이동단말기와 복수의 조명 램프 모두 데이터 송수신 능력을 갖추어야 하고, 필요 시 복수의 조명 램프와 콘텐트 서버 간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exchange between a mobile terminal, a plurality of lighting lamps, and a content server in a b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two-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ot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should b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if necessary, a network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and the content server should be able to be established.

701단계에서 사용자는 이동단말기(300)를 통하여 콘텐트 서버(100)에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 요청 신호를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단 말기(300)는 직접 콘텐트 서버(100)에 요청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고속 데이터 전송용 조명기(77)에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703단계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용 조명기(77)는 상기 이동단말기(300)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정보를 콘텐트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이동단말기(300)에 송신한다. 705단계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콘텐트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지도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In step 701, the user requests the map server request signal for the area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Here, the mobile terminal 300 does not directly transmit the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server 100, but transmits the request signal to the illuminator 77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In operation 703, th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lluminator 77 receives map information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content server 100 based on the reg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300 is located and transmits the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In operation 705, the mobile terminal 300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100 on the display unit.

707단계에서 이동단말기(300)는 현재 자신의 위치를 알기 위하여 조명 램프 1의 조명 식별자만을 요청할 수 있고,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조명 램프 1로 송신할 수도 있다. 709단계에서 조명 램프 1은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이동단말기(300)의 고유 식별자를 콘텐트 서버(100)에 전달한다. 이후 712단계로 진행하여 조명 램프 1은 콘텐트 서버(100)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다시 이동단말기(300)에 전달한다. 이동단말기(300)의 고유 식별자는 현재 자신을 조명하는 조명 램프로 별도의 요청 없이 송신되므로 부가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콘텐트 서버(100)로 송신이 가능하다.In operation 707, the mobile terminal 300 may request only the lighting identifier of the lighting lamp 1 to know its current location, and may transmit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lighting lamp 1. In operation 709, the lighting lamp 1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to the content server 100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In operation 712, the lighting lamp 1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100, and then deliver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Sinc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lighting lamp that illuminates itself without a separate request,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100 together with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s.

만약, 이동단말기(300)가 조명 램프 1에게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에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다면, 713단계에서 717단계에서와 같이, 이동단말기(300)는 조명 램프 1이 아닌 이동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을 조명하는 다른 조명 램프들(램프2, 3, ... ,n)을 통하여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300)의 고유 식별자는 현재 자신을 조명하는 조명 램프로 별도의 요청 없이 송신되므로, 콘텐트 서버(100)는 해당 네트워크 내에 이동단말기(300)를 조명하는 조명 램프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이동단말기(300)를 조명하는 조명 램프에게 부가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다른 조명 램프들을 통하여 부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각 조명 램프와 콘텐트 서버(100)와의 네트워크 구성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If the mobile terminal 300 moves to another location after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lighting lamp 1, as in steps 713 to 717, the mobile terminal 300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other than the lighting lamp 1.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received via other lighting lamps (lamps 2, 3, ..., n) illuminating the area in which it is located. Sinc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lighting lamp that illuminates itself without a separate request, the content server 100 searches for whether there is an lighting lamp for illuminating the mobile terminal 300 in the corresponding network. Additional information is sent to the illumination lamp illuminating 30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other lighting lamps, a network configuration of each lighting lamp and the content server 100 must be made.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조명 램프는 송수신 기능을 하는 단말기와 송수신 기능이 가능한 복수의 조명 램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콘텐트 서버가 필요하므로 시스템이 다소 복잡해지지만, 콘텐트 서버에서 충분한 계산과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동단말기는 필요한 정보를 좀 더 용이하게 획득 할 수 있다. In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the lighting lamp requires a terminal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plurality of lighting lamp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networked content server, so that the system becomes more complicated, but the content server can provide enough calculation and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can acquire the necessary information more easily.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 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one-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 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wo-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식별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반사기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4 is an illustration of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tro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반사기를 포함하는 조명 램프의 내부구성도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lamp including a retro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 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 조명 램프 및 콘텐트 서버 간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exchang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 illumination lamp, and a content server in a un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 방향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 조명 램프 및 콘텐트 서버 간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exchang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 illumination lamp, and a content server in a bidirec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지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지도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트 서버와,A content server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고유의 조명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조명 식별자를 가시광의 형태로 송신하는 조명 램프와,An illumination lamp having a unique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identifier in the form of visible light; 상기 지도 정보와 상기 조명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조명 램프의 조명 식별자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map information and the illumination identifier, generate a map image by match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of the illumination lamp with the map information, and display the map imag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p information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램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lamp 가시광 송신 모듈을 구비하여 자신의 조명 식별자를 가시광 신호에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visible light transmission module to transmit its illumination identifier to the mobile terminal by including its illumination identifier in a visible light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식별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identifier is 가변 부분과 불변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불변 부분은 상기 조명 램프가 존재하는 지역 또는 부근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상기 가변 부분은 상기 조명 램프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명 식별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The variable part is divided into a variable part and a constant part, wherein the constant part further distinguishes a location in or near the area where the illumination lamp exists, and the variable part has an illumination identifier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illumination lamp.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명 램프가 가시광을 송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입사되는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반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역반사기와,One or more retro-reflectors for reflecting an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incident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llumination lamp fails to transmit visible light; 상기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조명 식별자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in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지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가시광 수신 모듈과, A visible ligh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map information;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ap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조명 램프가 가시광을 송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조명 램프에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가시광 송신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visible light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to the lighting lamp when the lighting lamp fails to transmit visible light.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visible light illumination identifier, 콘텐트 서버가 지도 정보를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the content server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조명 램프가 고유의 조명 식별자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the lighting lamp transmitting a unique lighting identifi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지도 정보와 상기 조명 식별자를 수신한 이동단말기가 상기 지도 정보와 상기 조명 식별자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And a third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illumination identifier to generate a map image by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wit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o display the map imag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rocess is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And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within a preset range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an area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process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고유의 조명 식별자를 가시광 신호에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 And the illumination lamp transmits the unique illumination identifier to the mobile terminal by including the unique illumination identifier in the visible light signal.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조명 램프가 가시광을 송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가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조명 램프로 송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an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to the illumination lamp when the illumination lamp fails to transmit visible light;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조명 식별자로 변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And modulating the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optical signal in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lamp to the mobile terminal. 이동단말기를 구비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해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지도 정보 혹은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트 서버와,A content server for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트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콘텐트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 송신하는 복수의 조명 램프를 포함하며,A plurality of lighting lamps for receiv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server, and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콘텐트 서버로부터 상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 램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map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receiv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matche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with the map information, and generates a map imag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램프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상기 콘텐트 서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가시광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콘텐트 서버 및 상기 이동단말기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forming a network with the content server and including a visible light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o perform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 식별자와 함께 상기 콘텐트 서버로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uniqu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p information is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식별자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ing identifier is 가변 부분과 불변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불변 부분은 상기 조명 램프가 존재하는 지역 또는 부근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상기 가변 부분은 상기 조명 램프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명 식별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The variable part is divided into a variable part and a constant part, wherein the constant part further distinguishes a location in or near the area where the lighting lamp exists, and the variable part has an illumination identifier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lighting lamp.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램프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상기 조명 램프가 가시광을 송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입사되는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반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역반사기와,One or more retro-reflectors for reflecting an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incident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llumination lamp fails to transmit visible light; 상기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조명 식별자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in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콘텐트 서버 및 상기 조명 램프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가시광 송수신 모듈과, A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for perform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server and the lighting lamp;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ap imag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obile terminal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 요청 신호를 특정 조명 램프로 송신하고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조명하는 다른 조명 램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관 통신 시스템.And a unique identifier, and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another lighting lamp which illumin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lighting lamp and moved. 가시광 조명 식별자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visible light illumination identifier, 콘텐트 서버가 이동단말기의 지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지도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ontent server receives the map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조명 식별자를 포함한 부가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A second lamp for transmitting the signal reques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ontent server when the lighting lamp reques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ighting identifier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Process,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매칭하여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And a third step of the mobile terminal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generate a map image and displaying the map image.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process is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And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within a preset range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an area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조명 램프가 가시광을 송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가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조명 램프로 송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an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light signal to the illumination lamp when the illumination lamp fails to transmit visible light;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조명 식별자 요구 광신호를 상기 조명 식별자로 변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방법.And modulating the illumination identifier request optical signal into the illumination identifier and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lamp to the mobile terminal.
KR1020080117879A 2008-11-26 2008-11-26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KR201000591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79A KR20100059194A (en) 2008-11-26 2008-11-26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79A KR20100059194A (en) 2008-11-26 2008-11-26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94A true KR20100059194A (en) 2010-06-04

Family

ID=4236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879A KR20100059194A (en) 2008-11-26 2008-11-26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194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76A2 (en) * 2011-05-17 2012-1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position measuring system using same
US8332139B2 (en) 2009-07-07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a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234894B1 (en) * 2011-05-17 2013-0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mobile terminal
KR101408937B1 (en) * 2011-11-25 2014-07-17 (주)모비다임 Receiver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837952B2 (en) 2011-05-18 2014-09-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xtile-structure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system
KR20150017861A (en) 2013-08-08 2015-02-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os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of
KR101501600B1 (en) * 2014-01-17 2015-03-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apparatus and method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upled with led lamp
KR20170140957A (en) * 2016-06-14 2017-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process for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20190051209A (en) * 2017-11-06 2019-05-15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osition of terminal in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2139B2 (en) 2009-07-07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a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798912B2 (en) 2009-07-07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a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9107039B2 (en) 2009-07-07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a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O2012157976A2 (en) * 2011-05-17 2012-1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position measuring system using same
WO2012157976A3 (en) * 2011-05-17 2013-01-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position measuring system using same
KR101234894B1 (en) * 2011-05-17 2013-0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mobile terminal
US8837952B2 (en) 2011-05-18 2014-09-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xtile-structure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system
KR101408937B1 (en) * 2011-11-25 2014-07-17 (주)모비다임 Receiver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20150017861A (en) 2013-08-08 2015-02-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os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of
KR101501600B1 (en) * 2014-01-17 2015-03-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apparatus and method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upled with led lamp
KR20170140957A (en) * 2016-06-14 2017-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process for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20190051209A (en) * 2017-11-06 2019-05-15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osition of terminal in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9194A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id
US8510033B2 (en) Indoor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illumination lamps
KR1016121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in lbs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326526B2 (en) Method for exchanging messages in a navigation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KR101355302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ee et al. Two hybrid positioning system design techniques with lighting LEDs and ad-hoc wireless network
EP29597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navigation control by led lighting devices
CN105378503B (en) It determines and is orientated
KR20110083961A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navigation using led lamp
US20020089722A1 (en) Optically-based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at a structure
US20090171571A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W201407568A (en) Smart streetlight, server and system for advertising
CN107063266A (en) The method that indoor positioning is realized based on indoor LED lamp and smart mobile phone camera
CN103491499A (en) Lighting fixture and pos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0187961B2 (en) Combination light, RFID and software radio assembly to replace standard or existing lighting with RFID enabled lighting
JPH11252121A (en) Position dependent information service system
CN112291004B (en) Office seat query system, method and device, LiFi communication end and user end
RU2698096C2 (en) Lighting control
JP2005277809A (en) Illumination light communication system, illumination light modulating device and receiver
JP2005277828A (en) Illumination light communication system
KR101535005B1 (en) Smart apparatus, System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1949200B1 (en) Kiosk device with internet of light
WO2021238365A1 (en) Indoor position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207335731U (en) A kind of indoor locating system
KR201501327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Positioning by Using Beacon and Visible Light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