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144A - 통기 신발 창 - Google Patents

통기 신발 창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144A
KR20100059144A KR1020080117807A KR20080117807A KR20100059144A KR 20100059144 A KR20100059144 A KR 20100059144A KR 1020080117807 A KR1020080117807 A KR 1020080117807A KR 20080117807 A KR20080117807 A KR 20080117807A KR 20100059144 A KR20100059144 A KR 2010005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oe
hole
sole
intern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철
배성수
Original Assignee
박장원
백기철
배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원, 백기철, 배성수 filed Critical 박장원
Priority to KR102008011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144A/ko
Publication of KR2010005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창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펌핑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내부 공동 구조체와,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상부 면에 형성되어 갑피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흡입 홀과, 상기 내부 공동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하부 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 홀이 구비되는 제1창과,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중에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제1창의 배출 홀과 연결되며 하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 홀로 이루어지는 홈이 구비되는 제2창과, 상기 제2창의 홈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창의 흡입 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2창의 통기 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신발, 창, 통기, 바닥, 돌출부, 일방향 밸브

Description

통기 신발 창{Sole which having many ventilation holes on bottom side}
본 발명은 신발 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의 내부에 내부 공동 구조체를 형성시키고 창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돌출부 내부에 밸브를 장착시킴으로써 외부 보행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갑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외부 수분이 신발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기 신발 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으로써, 신발의 주요 구성 부분인 창은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수분 등이 신발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행시 마찰력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보행시 착용자의 발로 직접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바닥면에는 여러 다양한 모양의 돌출부가 구비된다.
한편, 창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하여 밀폐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창의 밀폐 구조는 신발 자체의 통기성을 저하시켜 땀 등으로 인해 발의 위생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급격한 운동시에는 발과 창 사이의 마찰력 감소로 인해 경기력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창에 내부에 형성되는 통기로 및 펌프를 이용하여 신발 내부 공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여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나아가 일방향 밸브를 더욱 부가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되 외부 습기는 차단할 수 있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97304호도 이러한 기술 중의 일례로서, 이 기술은 다수의 공기 통로가 구비되는 신발 밑창,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는 신발 중창, 그리고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들은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반드시 많은 수의 펌핑수단이 필요하며, 펌핑수단들을 정확한 위치에 개별적으로 장착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 공정상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어백 구조의 단일 펌핑수단을 창의 내부에 안치시킨 다음 착용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신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이 역시 별도의 에어백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처럼 별도의 펌핑수단 및 에어백을 사용하여 통기성 신발 창 을 구성하는 경우 부품 상호간에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일체성이 저하되어 통기 효율을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현재 제안되고 있는 펌핑수단을 이용한 기술들 대부분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홀을 창의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배출 홀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디자인 측면상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으며, 착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응하여 신발 내부 공기를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배출 홀을 형성시켜야 하는데 이럴 경우 신발의 디자인이 더욱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관련 업계는 단일 배출 홀을 구비시킨 제품들을 유통시키고 있는바, 현재 시제품들에게서 원활한 통기가 가능한 신발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신발 창 내부에 구조체를 형성시켜 별도의 펌핑수단이 없이도 신발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신발 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잇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으로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내부에 일방향 밸브를 장착시킴으로써 신발 자체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는 신발 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 내부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외관상 신발 디자인의 훼손이 없이 다수의 배출 홀을 형성시킬 수 있는 신발 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신발 창으로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펌핑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내부 공동 구조체와,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상부 면에 형성되어 갑피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흡입 홀과, 상기 내부 공동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하부 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 홀이 구비되는 제1창과,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중에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제1창의 배출 홀과 연결되며 하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 홀로 이루어지는 홈이 구비되는 제2창과, 상기 제2창의 홈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창의 흡입 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2창의 통기 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창의 배출 홀은 흡입 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는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임의 재질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오목부에 장착되는 탄성 재질의 판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프 또는 에어백과 같이 부가적인 장치없이도 신발 창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동 구조체로서 펌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공동 구조체 자체가 창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체성의 훼손이 없다는 점에서 통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향 밸브 및 통기 홀을 신발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바닥면의 돌출부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신발 자체의 디자인이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의 돌출부에 다수의 배출 홀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신발 디자인 자체의 훼손이 없이 신발 내부 공기를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신발 창의 분리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신발 창의 결합 단면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창의 바닥면 구성도이며, 도 4a 및 4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창의 하부면 및 상부면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상세 작동 구성도로서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발과 직접 접하게 되는 제1창(10)과, 바닥면에는 통상적인 돌출부(22)가 구비되며 보행시 지면과 맞닿게 되는 제2창(20)과, 상기 제2창(20)의 돌출부(22) 내부에 장착되는 일방향 밸브(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창(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공동 구조체(12)가 구비되는데,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12)는 제1창(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그 공간 크기에 대응하는만큼 공기가 충전되어 펌핑 수단으로 기능하는 특징이 있다. 형성되는 내부 공동 구조체의 구체적인 갯수 및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1창(10)의 두께 및 재질, 그리고 펌핑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펌핑 작용이 일어남을 감안하면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12)는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일부 내부 공동 구조체 상호간에만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달리 도 4a와 같이 모든 내부 공동 구조체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12)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제1창과 동종 또는 이종의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충전될 수도 있는데, 어느 내부 공동 구조체를 충전시킬지 여부는 완전히 임의 사항이다.
상기 제1창(10)의 상부 면에는 흡입 홀(14)이 구비되며, 하부 면에는 배출 홀(1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홀(14)은 신발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제1창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동 구조체(12)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 홀(16)은 제1창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동 구조체(12)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입 홀(14) 및 배출 홀(16)이 동일한 내부 공동 구조체에 동시에 연통될 필요는 없으나, 서로 다른 내부 공동 구조체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그 내부 공동 구조체 상호간은 반드시 연결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흡입 홀 및 배출 홀을 형성시킴에 있어 그 갯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그 형상 역시 원활한 통기를 위해서 다양하게 변경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본 발명은 흡입 홀 및 배출 홀을 형성시킴에 있어 배출 홀의 크기를 흡입 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흡입 홀을 통해 배출 홀로 유동하는 순방향 흐름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내부 공동 구조체가 눌려지면 그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상대적으로 배출되기 쉬운 부분으로 이동한다는 유체의 흐름 원리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즉, 배출 홀의 크기를 흡입 홀에 비하여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신발 내부의 공기가 흡입 홀 → 내부 공동 구조체 → 배출 홀을 통해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제2창(20)은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으로서, 그 바닥면에는 돌출부(22)가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2)는 보행시 마찰력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보행시 착용자의 발로 직접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신발 창에 있어 통상적으로 구비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돌출부의 형상은 신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바 그 구체적인 형상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상적인 돌출부(22)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돌출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내부에 홈(24)을 형성시키고, 그 홈(24)에 일방향 밸브(30)를 장착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기 홈(24)의 형상은 완전히 임의적인 사항으로서 일방향 밸브(3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응은 물론이나, 일방향 밸브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돌출부에는 상기 홈(24)과 연통되는 통기 홀(26)을 동시에 형성시켜 일방향 밸브(3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홈의 상부는 제1창(10)의 배출 홀(14)과 연결되며, 홈의 하부는 통기 홀과 연통됨에 따라 신발 내부의 공기는 흡입 홀, 내부 공동 구조체, 배출 홀을 거쳐 홈으로 유입된 다음, 일방향 밸브의 작동에 따라 통기 홀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방향 밸브(30)는 제1창의 배출 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외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밸브의 일례로서 도 5a 내지 도 5c 각각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의 밸브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목부(34) 및 다수의 구멍(33)이 구비되는 지지판(32)과, 상기 오목부(34)에 안치되는 판막(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막(36)은 공기의 압력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 부 호 37은 판막을 지지판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도면부호 미도시)에 장착시키기 위한 끼움부이며, 38은 덮개이다.
이러한 구성의 일방향 밸브가 장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창의 작동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착용자의 체중이 내부 공동 구조체에 작용하면 내부 공동 구조체가 눌러지면서 내부 공동 구조체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가 제1창(10)의 배출 홀(16)을 통해 제2창(20)의 홈(24) 상부로 이동한다. 홈(24)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일방향 밸브의 지지판(32)의 구멍(33)을 통해 판막(36)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재질의 판막(36)이 아래로 처지게 되면 공기는 제2창의 통기 홀(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내부 공동 구조체에 대한 착용자의 체중 전달이 완료되면 내부 공동 구조체는 원래 크기로 확장하게 되는데, 외부 공기는 판막(36)에 의해 차단이 되기 때문에 신발 내부 공기가 제1창의 흡입 홀(14)을 통해 유입되어 내부 공동 구조체의 확장 공간이 충전되어 다음 작동을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
착용자의 체중이 내부 공동 구조체에 작용하는 경우 내부 공동 구조체 내부에 충전된 공기는 제1창의 배출 홀(16) 뿐 아니라 흡입 홀(14) 방향으로도 유동될 수 있으나, 흡입 홀(14)은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해 어느 정도 밀폐되기 때문에 흡입 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지극히 미미할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 홀을 흡입 홀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그 양이 무시할 정도로 줄어들 것임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신발 창의 분리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신발 창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창의 바닥면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창의 하부면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창의 상부면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분리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지지판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신발 창의 작동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창 12 : 내부 공동 구조체
14 : 흡입 홀 16 : 배출 홀
20 : 제2창 22 : 돌출부
24 : 홈 26 : 통기 홀
30 : 밸브 32 : 지지판
34 : 구멍 36 : 판막

Claims (5)

  1. 바닥면에 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신발 창으로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펌핑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내부 공동 구조체와,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상부 면에 형성되어 갑피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흡입 홀과, 상기 내부 공동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통되며 하부 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 홀이 구비되는 제1창과;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중에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제1창의 배출 홀과 연결되며 하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 홀로 이루어지는 홈이 구비되는 제2창과;
    상기 제2창의 홈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창의 흡입 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2창의 통기 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신발 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창의 배출 홀은 흡입 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신발 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는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신발 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동 구조체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임의 재질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신발 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오목부에 장착되는 탄성 재질의 판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신발 창.
KR1020080117807A 2008-11-26 2008-11-26 통기 신발 창 KR20100059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07A KR20100059144A (ko) 2008-11-26 2008-11-26 통기 신발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07A KR20100059144A (ko) 2008-11-26 2008-11-26 통기 신발 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44A true KR20100059144A (ko) 2010-06-04

Family

ID=4236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807A KR20100059144A (ko) 2008-11-26 2008-11-26 통기 신발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1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463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US20070294923A1 (en) Footwear
US10786036B2 (en)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for footwear
KR101659282B1 (ko) 신발 깔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KR20100059148A (ko) 통기 신발 창
KR100695616B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KR20100059144A (ko) 통기 신발 창
KR101801630B1 (ko) 신발 밑창
KR101141181B1 (ko) 환기가 되는 다중쿠션 신발창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JP2017176480A (ja) 換気靴及び逆止弁
JP2009502228A (ja) 通気ソール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200450567Y1 (ko) 통풍구조를 가지는 지압덧신
KR200356249Y1 (ko) 통풍용 신발의 체크밸브 구조
KR100906521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JP2008110081A (ja) 履物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100988922B1 (ko)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KR200401233Y1 (ko) 충격흡수겸용 통풍신발창
KR200433362Y1 (ko) 신발의 에어장치
JP4463585B2 (ja) 通気性を改善した靴
KR200469939Y1 (ko) 피스톤 방식의 환기구조를 갖는 신발
KR200367023Y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