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228A -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228A
KR20100058228A KR1020080116969A KR20080116969A KR20100058228A KR 20100058228 A KR20100058228 A KR 20100058228A KR 1020080116969 A KR1020080116969 A KR 1020080116969A KR 20080116969 A KR20080116969 A KR 20080116969A KR 20100058228 A KR20100058228 A KR 2010005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resin
secondary battery
oxide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건
김경수
김사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228A/en
Publication of KR2010005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2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PURPOSE: A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acro pores, squeezing out of a melted polymer, generation of shorts, and induction of fire and explosions. CONSTITUTION: A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es the following: a bulk layer including pores,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of 170~250 deg C; and a skin layer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bulk layer while including the pores and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resin with a melting point of 80~150 deg C. Either the bulk layer or the skin layer includes ceramic powder with a diameter of 0.1~1 micron. The thermosetting resin contains one or two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enol resin, a urea resin, an epoxy resin, and a polyester resin.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Separators for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according}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용융점 170 ~ 2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벌크층;의 단면 또는 양면을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스킨층;으로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lamin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or the bulk layer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 250 ℃; the skin layer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150 ℃; It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전지의 분리막은 전지 내부에서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놓여져 두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 즉 전극간의 단락을 억제하며 본래부터 갖고 있는 공극(pore)을 통해 전하흐름의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공극 내부에는 이온전도성 전해액이 함습되어 있어, 액체상을 통해 전하(이온)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The separator of the battery is plac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nside the battery, thereby suppressing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two electrodes, that is, shorting between the electrodes, and serves to provide a path of charge flow through the pores inherent. Ionic conductive electrolyte is impregnated inside the pores, so that charge (ion) flows through the liquid phase.

한편, 전지 사용 또는 방치 중 여러가지 위험 또는 오남용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특히, 고온에 노출되거나 과충전이 되거나 내부단락이 발생할 경우 등에 있어 전지는 발열 부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한 고온 상황에 있어서, 이상적인 안전 메카니즘 중 하나는 분리막의 공극이 막힘으로써(shutdown) 전하흐름을 차단하여 더 이상의 온도상승 즉, 열폭주(thermal runaway)를 억제하는 것이다. 즉, 분리막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융용점 부근에서 용융 및 흐름이 이루어져 공극을 막음으로써 상기 메카니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분리막의 치수 안정성 (dimensional stability)과 더불어 적정온도에서 공극 막힘이 가능하도록 고분자 재료 및 제조공정 등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한 고온 상황에서 상기한 안전 메카니즘이 작동하지 못하는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할 개연성이 크다. 예컨대, 일정온도까지는 공극 막힘 메카니즘이 작동할 수 있으나, ①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용융점(Tm) 이상으로 더욱 상승하거나 ②전지 내압에 의해 분리막이 압착(squeeze)될 경우에는 거대 공극(macro-pore)이 형성되거나 용융된 고분자가 압착분출(squeeze out)되어, 전극간 단락이 발생하고 고전류가 흐르게 되고 열폭주로 이어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지 외부의 온도가 하강하거나, 또는 안전 메카니즘에 의해 공극 막힘이 이루어져 전지 자체의 온도가 하강할 경우에는 종래기술의 공극 막힘 기능만으로써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불가피하게 외부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거나 공극 막힘만으로 불안전 상황을 차단하기 충분치 못하다면 종래기술만으로는 완전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use or neglect of the battery is in a variety of risks or abuse situations, in particular,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overcharge or internal short circuit occurs, the battery will cause an exothermic side reaction. In such high temperature situations, one of the ideal safety mechanisms is to shut off the charge flow by shutting down the pores of the separator to further suppress temperature rise, ie thermal runaway. In other words, the above mechanism is achieved by melting and flowing near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separator to close the por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a polymer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cess such that the pore clogging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s well as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eparator. Howev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n abnormal situation in which the safety mechanism does not operate at the high temperature may occur. For example, the pore blocking mechanism may operate up to a certain temperature, but if the temperature rises abnormally further above the melting point (T m ) or the membrane is squeezed by the battery internal pressure, the macro-pore The formed or molten polymer may squeeze out, resulting in short circuits between electrodes, high current flow, and thermal runaway.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utside the battery decrease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tself decreases due to a pore blocking due to a safety mechanism, only the pore blocking function of the prior art may be sufficient. However, unfortunately, if the outside temperature is further increased or the air gap is not enough to block the unsafe situation, the prior art alone may not be a complete solu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융점을 높인 내열성 분리막을 개발하고 있으나, 용융점(Tm) 및 MFR(melt flow rate)의 차이만 있을 뿐 현상은 동일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즉, 일반 분리막과 대비하여 조금 더 고온까지 치수안정성 측면에서 안 전할 뿐 이상적인 안전 메카니즘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문제가 근원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일반 분리막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Tm이 100 ~ 150℃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고분자를 사용하고, 내열성 분리막의 경우 Tm이 150 ~ 200℃인 고분자량 또는 초고분자량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eat resistant separator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is being developed, but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lting point (T m ) and the melt flow rate (MFR) is inevitably shown. In other words, the problem is not fundamentally solved in that it is safe in terms of dimensional stability to a little higher temperature than a general separator and does not realize an ideal safety mechanism. For example, a general separator uses a thermoplastic polyolefin polymer having a T m of 100 to 150 ° C.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nd a high molecular weight or ultra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olefin having a T m of 150 to 200 ° C. in a heat resistant separator.

따라서, 고효율 이차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기존 전지 분리막의 개선 또는 새로운 전지 분리막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ment of an existing battery separator or development of a new battery separator for developing a high efficiency secondary battery.

이에 본 발명자들이 기존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 연구한 결과, 높은 온도에서도 기본 두께 및 공극 구조가 유지되어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를 함유하는 벌크층 및 벌크층에 함유된 고분자 수지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고, 적정 온도에서 공극을 막을 수 있는 고분자 수지를 스킨층으로 도입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안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endless efforts and studi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separator, the bulk and bulk layer containing a polymer resin that can ensure the dimensional stability by maintaining the basic thickness and pore structure even at high temperature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polymer resin contained therein, and a polymer resin capable of blocking pore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skin lay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separator with improved safet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열경화성 수지 또는 용융점 170 ~ 2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공극(pore)을 갖는 벌크층;의 단면 또는 양면을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공극(pore)을 갖는 스킨층;으로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ulk layer having a pore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50 ° C .; a cross section or both surfaces of the skin layer having a pore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to 150 ° C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이차전지 오남용 시 발생할 수 있는 거대 공극 형성, 용융된 고분자의 압착분출(squeeze out) 발생 및 전극간 단 락(short) 발생으로 인한 열 폭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rmal runaway due to formation of large voids, squeeze out of molten polymer, and short circuit between electrodes. Bar, by using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열경화성 수지 또는 용융점 170 ~ 2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공극(pore)을 갖는 벌크층;의 단면 또는 양면을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공극(pore)을 갖는 스킨층;으로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ulk layer having a pore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50 ° C .; a cross section or both surfaces of the skin layer having a pore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to 150 ° C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벌크층 및 상기 스킨층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의 층은 직경 1 ㎛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 1 ㎛의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monolayer or two kinds of layers selected from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ar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ceramic powder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less, preferably 0.1 to 1 μm.

그리고,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And,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벌크층 및 상기 스킨층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의 층은 상기 세라믹 분말 및 공극형성제(pore form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ngle or two kinds of layers selected from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may further include the ceramic powder and a pore former.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상기 벌크층의 표면에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고분자 층, 즉 스킨층을 갖는다. 상기 벌크층 및 스킨층은 공극(pore)을 갖고 있으며, 이 공극을 통해 전하흐름이 이루어진다. 분리막에 공극이 없이 이온전도성 고분자로만 구성되어 고분자쇄(chain)를 따라 전하흐름이 가 능한 고분자전해질도 있으나, 본 발명의 분리막은 전해액을 사용하는 경우의 공극이 있는 고분자 분리막으로 한정한다.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mer layer, that is, a skin layer,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ulk layer. The bulk layer and skin layer have pores, through which the charge flows. There is also a polymer electrolyte capable of charge flow along the polymer chain (conducting only the ion conductive polymer without a pore in the separator), but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polymer separator having pores in the case of using an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는, 비정상적 상황에 있어서도 ① 거대 공극이 형성되거나 ② 용융(melt)된 고분자가 압착분출(squeeze out)되는 것을 억제하여, 전극간 단락(short)이 발생하고 고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로 인한 열 폭주로 이어지게 되는 가장 열악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large voids or squeeze out of melted polymer even under abnormal circumstances, resulting in a short circuit between electrodes and a high current flow. This is to prevent the worst situation that leads to thermal runaway.

따라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의 고분자 분리막보다 훨씬 고온에서도 기본 두께가 유지되는 등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벌크층과 적정한 온도에서 공극을 막을 수 있도록 용융점을 조절하여 적용한 스킨층을 갖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스킨층 고분자의 용융점 이상에서 스킨층 고분자의 용융 및 흐름에 의해 공극 막힘이 이루어지고 전하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전지 발열이 억제되고 전지 온도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령 보다 고온으로 상승한다 하더라도, 벌크 고분자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거대 공극이 형성되거나 압출되어 전극간 단락이 발생하는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스킨층 용융점보다 고온의 상황이라 해도, 용융되어 이미 공극 안으로 흘러들어간 스킨층 고분자는 좁은 공간 내에서 흐름이 억제되어 공극 밖으로 빠져나가기 어렵게 되므로 벌크층의 공극은 지속적으로 막혀있게 되어 전하흐름이 차단되고 온도가 하강하는 안전 메카니즘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벌크층이 변형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거대 공극이 발생하거나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전체 두께가 심하게 줄어드는 불안전 메카니즘은 억제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lk layer that can maintain dimensional stability at a much higher temperature than a polymer membrane of the prior art and a skin layer applied by adjusting a melting point to prevent void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basic configuration is used. As the pores are blocked and the charge flow is blocked by melting and flowing the skin layer polymer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skin layer polymer, battery heat generation is suppressed and the battery temperature can be lowered. In addition, even if the temperature rise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the bulk polymer maintains dimensional stability without causing deformation, thereby preventing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a large void is formed or extruded and short-circuit between electrodes occurs. Furthermore, even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skin layer, the skin layer polymer that has melted and has already flowed into the voids is inhibited from flowing in the narrow space, making it difficult to escape out of the voids, so that the voids in the bulk layer are continuously blocked and the charge flow is blocked. And the safety mechanism of temperature drop is activated. In addition, since the bulk layer does not cause deformation, dimensional stability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unstable mechanisms in which large voids occur or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is severely reduced.

이러한 본 발명을 구성성분에 따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다.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components.

벌크층Bulk lay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크층은 공극(pore)을 가지며, 열경화성 수지 또는 용융점 170 ~ 2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벌크층의 공극률은 30 ~ 70%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극률이 30% 미만이면 이온전도성이 떨어져 출력특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공극률이 70% 초과시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며 미세단락(micro-short) 발생이 용이하여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점이 170℃ 미만인 경우 분리막의 치수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250℃ 초과시 제조공정이 수월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스킨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보다는 높은 용융점을 갖는 것을 사용해야 하며, 벌크층에 사용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스티렌(poly styrene, PS), 폴리 에스테르(poly ester), 폴리카보네이트 (poly carbonate), 폴리아미드(poly amide),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E, UHMW PE)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bulk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ore and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50 ° C. Here, the porosity of the bulk layer is preferably 30 to 70%, more preferably 40 to 60%. If the porosity is less than 30%,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ion conductivity is lowered, the output characteristics are lowered. If the porosity is greater than 70%,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lowered, and micro-short is easily generated, and thus safety may be lowered.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less than 170 ° C.,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eparator, and when the melting point is higher than 250 ° C.,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eas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within the above range.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should use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thermoplastic resin used in the skin layer, the thermoplastic resin used in the bulk layer is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It is preferable to us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polyester, polycarbonate, polyamide,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 Polyethylene is more preferred, and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 PE) is more preferable.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페놀(phenol) 수지, 요소(urea) 수지, 에폭시(epoxy)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poly ester)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계 다공성 부직포, 펠트, 페이퍼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hermosetting resin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ol (urea) resin, urea (urea) resin, epoxy (epoxy) resin and polyester (polyester) or two or more kinds, polyester-based porous non-woven fabric, Felt, paper, etc. are more preferable.

벌크층의 두께는 5 ~ 50 ㎛, 바람직하게는 10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5 ㎛인 것이 좋은데, 여기서, 벌크층의 두께가 5 ㎛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 ㎛ 초과일 경우 분리막의 이온전도도 및 제조된 전지의 에너지밀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thickness of the bulk layer is preferably 5 to 50 μm, preferably 10 to 30 μm, more preferably 10 to 25 μm, where the problem that mechanical strength may deteriorate if the thickness of the bulk layer is less than 5 μm.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is greater than 50 μm, the ion conductivity of the separator and the energy density of the manufactured battery may decrease, so that the thickness is within the above range.

스킨층Skin layer

본 발명의 스킨층은 전지 및/또는 분리막이 오남용 상황에 처했을 때, 적절한 온도에서 분리막의 공극(pore)을 막아줌(shutdown)으로써, 전하흐름을 차단하여 불완전한 메카니즘의 작동을 억제하여 온도 상승 및 열 폭주(thermal runaway)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극(pore)을 가지며,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극률은 30 ~ 70%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극률이 30% 미만이면 이온전도성이 떨어져 출력특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공극률이 70% 초과시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며 미세단락(micro-short) 발생이 용이하여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점이 80℃ 미만인 경우 원치 않는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공극 막힘이 일어날 수 있으며, 150℃ 초과시 공극 막힘이 너무 늦게 일어나서 열 폭주를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ski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uts down the pores of the separato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when the battery and / or the separator is subjected to misuse, thereby blocking the flow of charge and suppressing the operation of the incomplete mechanism to raise the temperature. And prevents thermal runaway. It is also characterized by having a pore and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to 150 占 폚. Here, the porosity is preferably 30 to 70%, more preferably 40 to 60%. Here, if the porosity is less than 30%,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output characteristics are lowered due to poor ion conductivity, and when the porosity is greater than 70%,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lowered, and micro-short is easily generated, which may lower safety. have. In addition,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less than 80 ° C., void clogging may occur even in an unwanted and unnecessary situation, 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150 ° C., the pore blocking may occur too late,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rmal runaway. It is preferable to use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그리고, 스킨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용융지수 (MI: Melt Index 또는 MFR: Melt Flow Rate, ASTM D1238에 개시된 190oC/2.16kg 조건하 측정)는 500 g/10분 ~ 1,000 g/10분 및 용융지수비{MFRR, Melt Flow Rate Ratio, ASTM D1238에 개시된 조건하 측정, MFR(190oC/21.6kg)/MFR(190oC/2.16kg)}이 2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여기서, MFR은 고분자의 분자량에 반비례하는 지수로서, 500 g/10분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공극 막힘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완전한 공극 막힘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으며, MFR이 1,000 g/10분 초과시 지나치게 흐름성이 좋아서 공극 막힘이 너무 쉽게 일어나거나, 일단 막힌 공극 안에 고정되지 않고 다시 흘러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MFRR은 분자량 분포에 비례하며 물성의 균일성 또는 균일도(monodispersity)에 반비례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 가소성 수지는 MFRR이 20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면 물성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공극 막힘을 원하는 온도에서 정확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상당히 넓은 온도범위에서 공극 막힘이 불균일하게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MFR 및 MFRR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skin layer is a melt index (MI: Melt Index or MFR: Melt Flow Rate,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190 ° C / 2.16 kg disclosed in ASTM D1238) is 500 g / 10 minutes to 1,000 g / 10 minutes and Melt index ratio (MFRR, Melt Flow Rate Ratio,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disclosed in ASTM D1238, MFR (190 o C / 21.6 kg) / MFR (190 o C / 2.16 kg)) is preferably used that is 20 or less, where MFR is an index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and when it is used less than 500 g / 10 minutes, it may take longer to close the pores or it may be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the pores, and when the MFR exceeds 1,000 g / 10 minutes , This may cause pore blockages to occur too easily, or to run away again without being fixed in the enclosed voids. And MFRR is proportional to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uniformity or uniformity of the properties (monodispersity), the thermoplastic resin is used when the MFRR is more than 20, the uniformity of the physical properties is reduced, the pore clogging at the desired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rmoplastic resins having MFR and MFRR within these ranges because they can cause problems of improper operation and uneven pore clogging over a fairly wide temperature range.

이러한 상기 스킨층의 열가소성 수지는 벌크층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와 친 화성(접착력)이 우수해야 하는데, 친화성이 우수한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바람직하게는 분급 파라핀 왁스(fractionated paraffin wax),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도 0.950 ~ 0.980 g/cm3(ASTM D1505에 개시된 밀도구배법에 의해 측정)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급 파라핀 왁스(HDPE based fractionated paraffin wax)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skin layer should be excellent in affinity (adhesiveness) with the polymer resin used in the bulk layer, a paraffin wax having excellent affinity, preferably fractionated paraffin wax, more It is preferable to use HDPE based fractionated paraffin wax having a density of 0.950 to 0.980 g / cm 3 (measured by the density gradient method disclosed in ASTM D1505).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러한 스킨층은 1 ~ 10 ㎛, 바람직하게는 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3 ㎛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은데, 여기서, 상기 스킨층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충분하게 공극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 ㎛ 두께 초과시 분리막의 이온전도도 및 제조된 전지의 에너지밀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Such skin layer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 to 10 μm, preferably 1 to 5 μm, more preferably 2 to 3 μm, where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less than 1 μm to sufficiently prevent voids. The problem may occur, 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10 μm, problems may occur such that the ion conductivity of the separator and the energy density of the manufactured battery may decrease.

세라믹 분말Ceramic powder

본 발명은 상기 벌크층과 스킨층이 직경 1 ㎛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 1 ㎛의 세라믹 분말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스킨층과 벌크층의 기계적 강도 및 전해액 흡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킨층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경우 분리막의 열적 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계적, 전기적 오남용 상황에서도 안전성이 향상될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전해액으로서 극성 용매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스킨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친화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극복하게 되어 전해액 흡습성이 향상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벌크층에도 세라믹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벌 크층의 기계적 강도도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락 억제능력이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may include ceramic powder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less, preferably 0.1 to 1 μ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amic powder may have mechanical strength and electrolyte solution of the skin layer and the bulk layer. It serves to improve hygroscopicity. If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kin layer is improved, it can be expected that not only the thermal safety of the separator but also the safety will be improved even in a mechanical and electrical misuse situation. Also, a polar solvent is used as a general electrolyte of a secondary battery, and thus the thermoplastic used in the skin layer can be expect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lectrolyte hygroscopicity is improved by overcoming the problem of affinity with the resin. In addition, by mixing the ceramic powder in the bulk layer,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ulk layer can also be improved, and thus the short circuit suppressing ability can be further enhanced.

이러한 상기 세라믹 분말은 화학적,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가져야 하며, 전해액으로 쓰이는 유기 용매, 염 등과 반응성이 없거나 낮아야 하며, 기타 환경적인 안정성 특히, 고온에서 안정성을 갖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도 균일한 물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스킨층 및 벌크층에 사용되는 수지와의 친화성, 즉 결합력이 유지되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Such ceramic powders should have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stability, be less or less reactive with organic solvents, salts, and the like used as electrolyte, and should be used with other environmental stability, especially those having high temperature st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show uniform physical properties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use affinity with the resins used in the skin layer and the bulk layer, that is, those in which a bonding force is maintai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산화실리콘(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철(Fe2O3),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비스무스(Bi2O3), 산화납(PbO), 산화티탄바륨(BaTiO3), 산화티탄납(PbTiO3) 및 산화실리콘칼슘(CaSiO3)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산화물계 또는 상기 금속원소의 불화물(fluoride), 질화물(Nitride), 황화물(Sulfide), 인산염(Phosphate) 등 기타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 및 전해액 흡습성 향상 측면에서 이들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amic powder is silicon oxide (Si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iron oxide (Fe 2 O 3 ), zirconium oxide (ZrO 2 ) single or two or more oxides selected from bismuth oxide (Bi 2 O 3 ), lead oxide (PbO), titanium barium oxide (BaTiO 3 ), lead titanium oxide (PbTiO 3 ) and silicon oxide (CaSiO 3 ) Alternatively, other inorganic materials such as fluoride, nitride, sulfide, and phosphate of the metal element may be used, and in view of improving mechanical strength and hygroscopicity of the electrolyte, it is preferable to use them in combination.

그리고, 상기 벌크층과 스킨층에 사용되는 세라믹 분말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ramic powder used in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스킨층에 세라믹 분말을 사용할 경우, When using a ceramic powder in the skin layer,

상기 스킨층은 스킨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세라믹 분말 20 ~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5 중량%를 포함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세라믹 분말을 2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스킨층의 전해액 흡수성 증가 효과가 떨어지며, 75 중량% 초과 사용시 스킨층 내의 결착력과 스킨층-벌크층 간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skin layer is preferably used to include 20 to 75% by weight, preferably 20 to 60%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55%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skin layer, wherein the ceramic powder is 20 When used in an amount less tha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lectrolyte absorbency of the skin layer decreases, and when used in an amount greater than 75 wt%,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binding force in the skin layer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skin layer and the bulk layer may be weakened. It is good.

또한, 벌크층에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In addition, when using a ceramic powder for a bulk layer,

상기 벌크층은 벌크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세라믹 분말 5 ~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를 포함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세라믹 분말을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벌크층의 기계적 강도 증가 효과가 떨어지며, 20 중량% 초과 사용시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bulk layer is preferably used to contain 5 to 20%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more preferably 10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ulk layer, in which case, when using less than 5%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Sinc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layer is inferior, and the mechanical strength may be lowered when using more than 20% by weight, it is preferable to use within the above range.

공극형성제Pore former

상기 공극형성제는 스킨층 또는 벌크층의 공극을 보다 잘 만들어주기 위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상기 공극형성제는 저분자량의 파라핀 왁스(paraffin wax)나 올리고머(oligomer)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일반적인 필름 형성시 사용되는 오일류와, 디부틸프탈레이트(DBP, dibutylphthalate), 디옥틸프탈레이트(DOP, dioctylphthalate), 디옥틸아디페이트 (DOA, dioctyladipate),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CP, tricresylphosphate) 등의 가소제(plasticizer)류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추후 벌크 및 스킨과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고 벌크 및 스킨 고분자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라면 공극형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e pore forming agent serves to make pores of the skin layer or bulk layer better. Such pore forming agents may use low molecular weight paraffin wax or oligomer, and the like. Oils used in film formation, plasticizers such as dibutyl phthalate (DBP, dibutylphthalate), dioctylphthalate (DOP, dioctylphthalate), dioctyl adipate (DOA, dioctyladipate) and tricresylphosphate (TCP, tricresylphosphate) ) May also be used. That is, if the material can be extracted separately from the bulk and skin, and does not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ulk and skin polymer can be used as a pore-forming agent.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Referr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상기 벌크층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스킨층을 용융 압출(extrusion) 캐스팅시키며, 압출공정은 열가소성 수지의 일반적인 필름 제조 공정과 동일하다. 이때, 스킨층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벌크층의 열가소성 수지가 유기 용매 등에 용해될 수 있다면, 컴마, 다이, 스프레이, 그라비아 코팅 등의 방법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Melt extrusion casting the skin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bulk layer, the extrusion process is the same as the general film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At this time, if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skin layer or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bulk layer can b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or the like, a method such as comma, die, spray, gravure coating may be applied.

스킨층과 벌크층의 접착력을 보다 강화하거나 최종 두께를 고르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캐스팅 또는 코팅 후 열간 또는 냉간 프레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구조의 안정화를 위해 높지 않은 온도에서 어닐링(annealing)을 실시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adhesion between the skin layer and the bulk layer or to make the final thickness even, hot or cold pressing may be performed after casting or coating. In addition, annealing may be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for stabilization of the overall structure.

상기 스킨층의 캐스팅 또는 코팅시에 벌크층의 공극을 막지 않도록 주의하고 스킨층에도 벌크층 공극과 연결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정을 세심하게 컨트롤해야 한다. 만일 벌크층 공극이 막히거나 스킨층에 벌크층 공극과 연결된 공극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정상 상황에서도 분리막으로서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킨층 및 벌크층 중에서 선택된 층이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킨층을 용융 압출시 세라믹 분말을 혼합하여 실시하거나, 스킨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액 중에 세라믹 분말을 혼합할 수도 있고, 스킨층 융융 압출 캐스팅 직후에 스킨층 표면에 분말 분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캐스팅 또는 코팅 후 열간 또는 냉간 프레싱을 실시할 수 있으며, 어닐링을 실시할 수 있다. 가소성 고분자에 따라서는 컴마, 다이, 스프레이, 그라비아 코팅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Care should be taken not to block the voids in the bulk layer during casting or coating of the skin layer, and the process must be carefully controlled so that voids connected to the bulk layer voids can also be formed in the skin layer. If the bulk layer pores are blocked or no pores connected to the bulk layer pores are formed in the skin layer, they cannot function as separators under normal circumstances. When the layer selected from the skin layer and the bulk layer includes ceramic powder, the skin layer may be mixed with the ceramic powder during melt extrusion, or the ceramic powder may be mixed in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skin layer. Powder spraying is also possible on the surface of the skin layer immediately after layer fusion extrusion casting. In addition, hot or cold pressing may be performed after casting or coating, and annealing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plastic polymer, methods such as comma, die, spray, and gravure coating may be applied.

벌크층과 스킨층의 공극을 보다 잘 만들어주기 위하여 공극형성제 (pore former)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공극형성제는 양층 모두에 포함될 수도 있고 한쪽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공극형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벌크층 제조 후 공극형성제 추출, 그리고 벌크층 위에 스킨층 제조하는 순서를 따르거나, 벌크와 스킨을 동시에 압출하면서 접합시키고 공극형성제를 한꺼번에 추출하는 순서를 따를 수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변형 방식이 가능하다.A pore former may be used to make the pores of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better. In some cases, the pore former may be included in both layers or may be included in only one side. In the case of using the pore-forming agent, following the procedure of extracting the pore-former after preparing the bulk layer and preparing the skin layer on the bulk layer, or by simultaneously extruding the bulk and the skin, bonding and extracting the pore-forming agent at once. Can be followed.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Example 1

열경화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구성된 두께 25 ㎛, 공극률 55 %의 벌크층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급 파라핀 왁스(용융점 100℃, MFR 700 g/10분, MFRR 11, 밀도 0.960 g/cm3)로 구성된 스킨층을 압출 캐스팅한 뒤, 60℃ 열간에서 프레싱 및 동일온도에서 2 시간 어닐링(annealing)하여 상기 표에 개시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주사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은 도 1(a)와 같다. 도 1(a)로부터 벌크층 위에 형성된 스킨층 및 스킨층의 공극을 확인할 수 있다.High-density polyethylene-class paraffin wax (Temperature melted at 100 ° C, MFR 700 g / 10 min , MFRR 11, density 0.960 g / cm 3 ) on both sides of a bulk layer with a thickness of 25 μm and a porosity of 55% consisting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 thermosetting resin After extrusion-casting the skin layer consisting of, and pressurized at 60 ℃ hot and annealed (annealing) at the same temperature for 2 hours to prepare a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disclosed in the table,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prepared secondary battery separat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 photo is shown in Figure 1 (a). The pores of the skin layer and the skin layer formed on the bulk layer can be seen from FIG.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다만, 상기 스킨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급 파라핀 왁스(용융점 100℃, MFR 700 g/10분, MFRR 11, 밀도 0.960 g/cm3) 45 중량%와 입경 0.8 ~ 1 ㎛의 산화알루미늄 55 중량%가 되도록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SEM 사진은 도 1(b)와 같다. 도 1(b)로부터 벌크층 위에 형성된 스킨층, 스킨층을 구성하는 세라믹 분말 및 공극을 확인할 수 있다.A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skin layer is 45% by weight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classification paraffin wax (melting point 100 ℃, MFR 700 g / 10 minutes , MFRR 11, density 0.960 g / cm 3 ) and 55% by weight of aluminum oxid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8 ~ 1 ㎛ A secondary battery separator was prepared, and a SEM photograph of the prepared secondary battery separator is shown in FIG. 1 (b). The skin layer formed on the bulk layer, the ceramic powder constituting the skin layer, and the pores can be seen from FIG.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되,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separator,

열가소성 수지인 용융점 190℃(ASTM D2117), 분자량 200,000 g/mol (solution viscosity method)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85 중량% 및 입경 0.8 ~ 1 ㎛의 산화알루미늄 15 중량%를 포함하는 벌크층을 제조한 뒤,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급 파라핀 왁스(용융점 100℃, MFR 700 g/10분, MFRR 11, 밀도 0.960 g/cm3) 45 중량%와 입경 0.8 ~ 1 ㎛의 산화알루미늄 55 중량%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갖는 이차전 지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fter preparing a bulk layer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melting point 190 ℃ (ASTM D2117), 85% by weight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000 g / mol (solution viscosity method) and 15% by weight of aluminum oxid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8 ~ 1 ㎛, Secondary with a skin layer comprising 45% by weight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classified paraffin wax (melting point 100 ° C., MFR 700 g / 10 min , MFRR 11, density 0.960 g / cm 3 ) and 55% by weight of aluminum oxide with a particle diameter of 0.8-1 μm A battery separator was prepared.

비교예 1 ~ 2Comparative Examples 1 and 2

상기 본 발명인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 상용제품을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 비교예 1은 열가소성 수지인 용융점 140℃ (ASTM D2117), Gurley index 21초인 폴리프로필렌 만을 함유한 두께 25 ㎛, 공극률 45 %인 단일막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In order to compar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commercial products were selected as follows. Comparative Example 1 is a secondary battery separator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40 ° C. (ASTM D2117), a polypropylene having a Gurley index of 21 seconds, and a thickness of 25 μm and a porosity of 45%.

비교예 2는 열경화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구성된 두께 25㎛, 공극률 50%의 단일막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서, 실시예 1 및 2의 벌크층으로 사용된 제품이다.Comparative Example 2 is a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ies composed of a single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and a porosity of 50% composed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which is a thermosetting resin, and is a product used as the bulk layers of Examples 1 and 2.

그리고, 제조된 비교예 1, 비교예 2의 이차전지용 분리막 SEM 사진은 도 2(a), 도 2(b)와 같다. 도 2로부터 벌크층 고분자의 형상 및 공극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EM pictures of the prepared separators for Comparative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2 (a) and 2 (b). From FIG. 2, the shape, voids, and the like of the bulk layer polymer can be confirmed.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하기 방법에 의하여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effects of the separators for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전해액 함습(1) electrolyte solution

소정의 치수로 재단한 분리막을 리튬염이 포함된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꺼내어 분리막 무게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The separator cut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was impregnat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lithium salt and then taken out to measure the weight increase rate of the separator.

(2) 이온전도도(2) ion conductivity

소정의 치수로 재단한 분리막을 리튬염이 포함된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두 개의 스테인레스 스틸(SUS) 전극 사이에 접착시킨 다음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The separator cut to a predetermined size was impregnated into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lithium salt, and then bonded between two stainless steel (SUS) electrodes, and then ion conductivity was measured.

(3) 공극막힘(shutdown)(3) shut-down

소정의 치수로 재단한 분리막을 리튬염이 포함된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온도에 따른 전기저항을 측정(Hot ER 시험)하여,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온도를 공극막힘 온도로 정의하였다.After impregnating the separator cut into a predetermined dimension in the electrolyte containing lithium salt, the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Hot ER test),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esistance rapidly increased was defined as the pore blocking temperature.

(4) 두께감소 및 수축률 (4) thickness reduction and shrinkage

소정의 치수로 재단한 분리막을 150℃ 오븐에서 10 분간 방치 후 두께측정 및 분리막의 면적 변화를 측정하여 수축률을 계산하였으며, 도 4의 (a)는 고온 방치 전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표면 사진이며, 도 4의 (b)는 고온 방치 후의 표면 사진이다.After leaving the separator cut to a predetermined size in a 150 ℃ oven for 10 minutes, the shrinkag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hickness change and the area change of the separator, Figure 4 (a) is the surface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before the high temperature standing It is a photograph and FIG.4 (b)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after high temperature standing.

구 분division 전해액함습
(%)
Electrolyte solution
(%)
이온전도도
(mS/㎝)
Ion conductivity
(mS / cm)
공극막힘
(℃)
Pore blockage
(℃)
두께감소
(㎛)
Thickness reduction
(Μm)
수축률
(%)
Shrinkage
(%)
실시예 1Example 1 5959 0.450.45 ~ 110To 110 - 4- 4 55 실시예 2Example 2 6565 0.540.54 ~ 110To 110 - 2- 2 33 실시예 3Example 3 6868 0.550.55 ~ 110To 110 - 6-6 8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454 0.300.30 ~ 140To 140 - 15-15 252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3939 0.170.17 -- - 1- One 55

비교예 1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140℃ 내외에서 공극 막힘이 일어나는데, 이 경우 공극 막힘이 너무 늦게 이루어짐으로써 열폭주를 억제하는 효과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 1, pore blocking occurs around 140 ° C., in which case the pore blocking is too late, and thus, there is little effect of suppressing thermal runaway.

비교예 1의 경우 두께감소 및 수축률의 변화가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열수축에 의한 전지 내부단락을 일으켜 열폭주를 야기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 3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열수축이 없으므로 고온에서 전지 내부단락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thickness and shrinkage rate is very large, which causes the battery short circuit due to heat shrinkage, causing thermal runaway. On the contrary, the separators for secondary batteries of Examples 1 to 3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cause thermal short circuits at high temperatures since there is no heat shrinkag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전기저항특성 실험Electric resistance characteristic test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리튬염이 포함된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온도에 따른 분리막의 전기저항을 측정(Hot ER 시험)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각각 나타내었다. After impregnating the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in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lithium salt,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eparator according to temperature was measured (Hot ER tes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It is shown in FIG.3 (b), respectively.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온도가 공극 막힘이 일어나는 온도를 의미하며, 도 3 (a)를 보면, 실시예 2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110℃ 내외의 적절한 온도에서 공극 막힘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보면, 비교예 1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140℃ 내외에서 공극 막힘이 일어나는데, 이 경우 공극 막힘이 너무 늦게 이루어짐으로써 열폭주를 억제하는 효과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esistance increases rapidly mean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pore blocking occurs. Referring to FIG. 3 (a), it can be seen that the pore blocking occurs at a suitable temperature of about 110 ° C. in the separator for the secondary battery. 3 (b),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pore blockage at about 140 ° C. In this case, the pore blockage is made too late, and thu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little effect of suppressing thermal runaway.

제조예Production Example

이차전지의 제조Manufacture of Secondary Battery

양극활물질로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산화물(LiNi1/3Co1/3Mn1/3O2) 94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3 중량%, 결합제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3 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에 용매인 N-메칠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을 첨가하여 유성 교반기 (planetary-disper mixer)에서 4시간 동안 혼련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리버스 콤마 코팅 (reverse comma coating) 방식으로 양극 집전체인 두께 20 μm 알루미늄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롤 프레스 (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composite oxide (LiNi1 / 3Co1 / 3Mn1 / 3O2)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94% by weight, carbon black 3% by weight and 3% by weight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binder N-methylpyrrolidone, a solvent, was added to the mixture and kneaded in a planetary-disper mixer for 4 hours to prepare a cathode mixture slurry.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was applied to a 20 μm thick aluminum thin film, which i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y reverse comma coating, dried, and roll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음극활물질로 흑연 분말 95 중량%, 결합제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5 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에 용매인 N-메칠피롤리돈을 첨가하여 양극과 동일한 방식으로 4 시간 동안 혼련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슬러리를 양극과 동일한 방식으로 음극 집전체인 두께 10 μm 구리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롤 프레스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N-methylpyrrolidone as a solvent was added to a mixture composed of 95 wt% graphite powder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5 wt%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binder, and kneaded for 4 hours in the same manner as the positive electrode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was applied to a 10 μm-thick copper thin film, which i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same manner as the positive electrode, dried, and subjected to roll press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적층하여 조립하였다. 상기 적층물을 외장재인 알루미늄 파우치 (pouch)에 집어넣고, LiPF6 리튬염이 1.1M 용해된 EC(ethylene carbonate) 및 DEC(diethyl carbonate)가 부피비 3:7를 갖는 유기용액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전해액을 주입 및 밀봉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여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를 실시하였다.The prepared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were cut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and assembled by stacking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s prepar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laminate is placed in an aluminum pouch, which is an exterior material, and a general electrolyte solution composed of an organic solution in which ethylene carbonate (EC) and DEC (diethyl carbonate) in which LiPF 6 lithium salt is dissolved has a volume ratio of 3: 7 is injected. And the secondary battery was prepared by sealing to carry out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이차전지의 충방전 횟수에 따른 용량유지율 및Capacity maintenance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수명특성 실험Life characteristic experiment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의 수명특성을 하기 조건 및 방법에 의해 실험하였고, 그 결과는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were tested by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graphically in FIG. 5.

도 5를 통하여 비교예 1의 상용 분리막을 사용하여 제조한 이차전지와 본 발명인 실시예 2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이용하여 제조한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유사한 성능을 발현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FIG. 5 that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using the commercial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secondary battery prepared by using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similar performance.

충전 조건 : CC (1.0C) / CV (4.2 V to 0.1C)Charging Condition: CC (1.0C) / CV (4.2 V to 0.1C)

방전조건: CC (1.0C) to 3.0 VDischarge Condition: CC (1.0C) to 3.0 V

* CC : constant current (정전류), CV : constant voltage (정전압)* CC: constant current, CV: constant voltage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과충전 안전성 측정 실험Overcharge safety measurement experiment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의 과충전(overcharge) 안정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도 6의 (a)와 (b)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An overcharge stability measurement experiment of the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graphically in FIGS. 6A and 6B.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전지를 1 C율의 전류치로 12 V까지 150분간 과충전을 시키면서 전지 전압 및 전지 표면온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The batterie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were overcharged to 12 V at a current value of 1 C rate for 150 minutes, and changes in battery voltage and battery surface temperature were observed.

제조예 1의 경우, 내부 단락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전지 최고 표면온도도 90℃ 내외로 매우 안전함을 도 6의 (a)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온도에서 분리막 공극을 막음으로써 전하의 흐름을 차단하고, 분리막 열수축이 없어 전지 내부단락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비교제조예 1의 이차전지의 경우, 분리막 공극 막힘이 너무 늦게 이루어짐으로써 열폭주를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분리막 열수축으로 인해 전지 내부단락을 일으켜 열폭주와 더불어 전지가 발화하였다. In the case of Preparation Example 1, no internal short circuit occurred and the maximum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ttery was also very safe at about 90 ° C., which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FIG. This is because the flow of charge is blocked by blocking the membrane pore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re is no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the absence of membrane heat shrinka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of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the membrane pore blocking was too late, so tha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rmal runaway was insignificant, and the battery ignited with thermal runaway due to the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the membrane heat shrinkage.

* 과충전 조건 : CC (1.0C) / CV (12 V to 150min)Overcharge condition: CC (1.0C) / CV (12 V to 150mi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실험예 1 ~ 4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that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SEM 사진이며, (b)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SEM 사진이다.1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prepared in Example 1, (b) is a SEM photograph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prepared in Example 2.

도 2의 (a)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SEM 사진이며, (b)는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SEM 사진이다.2 (a) is a SEM photograph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b) is a SEM photograph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도 3는 실험예 2의 전기저항특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실시예 2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실험결과이며, (b)는 비교예 1의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대한 실험결과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test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2, (a) i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Example 2, (b) i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1.

도 4는 실험예 1의 수축률 실험 전,후의 사진으로서, (a)는 실험 전, (b)는 실험 후의 사진이다.Figure 4 is a photograph before and after the shrinkage experiment of Experimental Example 1, (a) is before the experiment, (b) is a photograph after the experiment.

도 5는 실험예 3에서 수행한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이차전지의 충방전 횟수에 따른 용량유지율 측정실험의 결과이다.5 is a result of the capacity maintenance rate measurement experi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ge and dis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performed in Experimental Example 3.

도 6 은 실험예 4에서 수행한 이차전지의 과충전 안전성 실험의 결과로서, (a)는 제조예 1, (b)는 비교제조예 1에 대한 실험결과이다.6 is a result of the overcharge safety test of the secondary battery performed in Experimental Example 4, (a) is a manufacturing example 1, (b) is a test result for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Claims (10)

열경화성 수지 또는 용융점 170 ~ 2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공극을 갖는 벌크층;의 단면 또는 양면을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공극(pore)을 갖는 스킨층;으로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A bulk layer having pores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50 ° C .; a cross-section or both sides of a bulk layer having a pore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to 150 ° C .;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i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벌크층 및 상기 스킨층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의 층은 직경 0.1 ~ 1 ㎛을 갖는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Separation type or two kinds of layers selected from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comprises a ceramic powder having a diameter of 0.1 ~ 1 ㎛ secondary battery separa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벌크층 및 상기 스킨층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의 층은 공극형성제(pore former)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Separation type or two kinds of layers selected from the bulk layer and the skin layer further comprises a pore former (pore former)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ermosetting resin 페놀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선택된 단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two or more resins selected from phenol resins, urea resins, epoxy resins and polyester resi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점 170 ~ 250℃인 열가소성 수지는 The thermoplastic resin of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50 ° C.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amide resin, polyethylene resin and polypropylene resin selected from single or two or more kinds of resi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는 MFR 500 g/10분, ~ 1,000 g/10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The separator of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150 ° C. is MFR 500 g / 10 min, and 1,000 g / 10 min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점 80 ~ 150℃인 열가소성 수지는 밀도 0.950 ~ 0.980 g/cm3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급 파라핀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The separator of claim 6, wherein the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to 150 ° C. is a high density polyethylene classified paraffin wax having a density of 0.950 to 0.980 g / cm 3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벌크층의 두께는 5 ~ 50 ㎛이고,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1 ~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The thickness of the bulk layer is 5 ~ 50 ㎛,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a secondary battery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1 ~ 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ramic powder 직경 0.1 ~ 1 ㎛ 이고, 산화실리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지르코늄, 산화비스무스, 산화납, 산화티탄바륨, 산화티탄납 및 산화실리콘칼슘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It is 0.1-1 micrometer in diameter, and it is single or 2 or more types chosen from silicon oxide,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zinc oxide, iron oxide, zirconium oxide, bismuth oxide, lead oxide, a titanium barium oxide, lead titanium oxide, and a silicon calcium oxide.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epara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080116969A 2008-11-24 2008-11-24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KR201000582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969A KR20100058228A (en) 2008-11-24 2008-11-24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969A KR20100058228A (en) 2008-11-24 2008-11-24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228A true KR20100058228A (en) 2010-06-03

Family

ID=4235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969A KR20100058228A (en) 2008-11-24 2008-11-24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22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7328A (en) * 2013-08-14 2015-02-25 三星Sdi株式会社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N110794256A (en) * 2019-09-26 2020-02-14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Analysis method for high-temperature fusing of transmission conductor in operation proc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7328A (en) * 2013-08-14 2015-02-25 三星Sdi株式会社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N110794256A (en) * 2019-09-26 2020-02-14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Analysis method for high-temperature fusing of transmission conductor in operation pro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6668B (en)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101734328B1 (en) Electrod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de assembly
KR101577383B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9225012B2 (en) Electrode of secondary cell including porous insul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46827B1 (en) Electrode assembly,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171856B (en) There is the barrier film of porous coating and the electrochemical appliance containing this barrier film
CN102272977B (en) Separator with porous coating laye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TWI497790B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101602867B1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WO2012137376A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WO2002065561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battery
US20230155165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90141082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5794032B (en) Secondary cell with improved life characteristic
KR101705306B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7092050A (en) Porous layer, laminated body, membe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rous layer,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rous layer
KR20170103208A (en) An electrode assembly with enhanced interlayer binding force between a separator and an anode
JP2642206B2 (en) Explosion-proof secondary battery
KR101910222B1 (en) A multi-layered separator having high heat resistance property for a secondary battery
KR20100058228A (en)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containing thereof
KR20200129718A (en) A binder resin composition and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38338B1 (en)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JP2014235835A (en) Multilayer separator and battery
KR20210053030A (en) Separat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82492A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