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101A -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101A
KR20100058101A KR1020080116789A KR20080116789A KR20100058101A KR 20100058101 A KR20100058101 A KR 20100058101A KR 1020080116789 A KR1020080116789 A KR 1020080116789A KR 20080116789 A KR20080116789 A KR 20080116789A KR 20100058101 A KR20100058101 A KR 2010005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hedge
risk
r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열
정교설
Original Assignee
에프엑스코어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엑스코어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프엑스코어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08011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101A/ko
Publication of KR2010005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업의 영업환위험을 관리 대상으로, 사전적인 외화 가격견적(Pricing), 외화 현금흐름 관리, 영업환위험 측정, 측정된 영업환위험의 임팩트 분석, 목표 수익률 설정을 통해 환위험이 발생하더라도 목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헤지 비율을 도출하여, 헤지 거래를 실행하고, 환위험 발생 현황 및 헤지 거래효과 모니터링을 통해 실행결과를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체계화된 과정을 통해 기준시점에 예상한 목표 수익률을 환율의 변동(환위험)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업이 환율의 변동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영업환위험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석 기능을 기업의 업무흐름과 부합되게 설계하여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장기 안정적인 현금흐름 및 수익성을 보호하는데 그 효과가 있으며, 기업의 연간 또는 분기별 사업계획이나 프로젝트별 실행계획 등의 수익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영업환위험을 사전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관리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영업 이익을 달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 특히 건설, 기계, 조선, 플랜트 등 현금흐름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는 해외 프로젝트의 경우 환율의 변동으로 재무제표 상에 표시되지 않고 해당 프로젝트의 매출이나 매출원가(수입의 경우)증감으로 수익성이 훼손되거나 적자 프로젝트로 전환되는 위험을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품을 수시로 수출입 하는 일 반기업에도 관리 대상 기간을 설정하여 기간별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동일한 로직과 방법으로 영업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즉, 기업의 외화 현금흐름의 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한 로직과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표준적인 관리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담당자나 관리자의 환율 전망에 따른 주관적인 헤지 여부 판단이나 헤지 금액 결정이 아니라 합리적인 수익성 달성을 위한 헤지금액, 기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기업이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영업환위험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영업환 위험, 임팩트(Impact), 목표수익률, VaR 환율, 헤지금액, 헤지기간.

Description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Operat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Enterprise's Decision-Making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기업의 영업환위험을 관리 대상으로, 사전적인 외화 가격견적(Pricing), 외화 현금흐름 관리, 영업환위험 측정, 측정된 영업 환위험의 임팩트 분석, 목표 수익률 설정하여, 환위험이 발생하더라도 목표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헤지 비율을 도출하여 헤지 거래를 실행하고, 환위험 발생 현황 및 헤지 거래효과 모니터링을 통해 실행결과를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체계화된 과정을 통해 기준시점에 예상한 목표 수익률을 환율의 변동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 되면서 기업들은 여러 나라의 다양한 통화로 거래하게 됐으며 필연적으로 환위험(Foreign exchange risk)에 직면하게 되었다. 환위험이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수익성, 순 현금흐름 및 시장가치 등 기업의 경제적 가치가 변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기업이 환율의 변동과 관련하여 직면하는 환위험은 영업환위험과 거래환위험으로 대별된다. 대부분의 경우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영업환위험이 거래환위험에 비하여 휠씬 큰 것이 일반적이지만, 영업환 위험의 특성 상 손익계산서에 별도의 손익 항목으로 구별되어 표시되지 않고, 매출액이나 매출원가에 포함되기 때문에 재무재료를 통해 그 위험성이 쉽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많은 경영자들이나 회사의 직원이나 담당자들이 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기업들은 영업환위험의 인식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업의 장기 안정적인 현금흐름 및 수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반드시 이러한 영업환위험 관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고정 환율제도에 가까웠던 1997년 이전과는 달리 IMF 외환위기 이후 자유변동환율제도가 도입되자,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되어 많은 기업들이 도산에 이르게 되고 기업의 환위험이 고스란히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전가되어 부실의 크기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재경부를 통해 "공기업 환위험관리 표준지침"을 제정하고, 금융감독원을 통해 은행이 매년 거래 기업의 여신심사 갱신 시 해당기업의 환위험 관리 실태평가 결과를 10% 이상 반영하여 금리를 조정하도록 하는 등 기업의 환위험관리를 제도적으로 강제하고 있지만, 환위험 관리를 위해 개발된 핵심논리나 방법 및 시스템 대부분이 금융기관을 포함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어서 금융기관과는 상이한 환위험 특성 및 유형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게 해당 제도를 강제로 적용하기는 불가능하였으며, 시장 친화적이지도 않는 제도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위험을 헤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국내특허 특 2001-0000786호(2001. 1. 5 공개)"환 리스크 분석방법 및 이를 위한 분석 시스템"이 개발된 바, 그 특허는 수출입금액, 외화차입금, 외화대출금 등의 실현된 외화거래를 기초로 거래환위험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위험을 계량화하여 금액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기업에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또는 어떻게 환위험을 헤지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로직(Logic)이나 방법까지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2005-0047689호(2005. 5. 23 공개)"환 리스크 관리 시스템" 역시 거래 환위험의 기간구조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진일보한 시스템이나 이 역시 영업환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분석 툴을 갖추고 있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업의 영업환위험을 관리 대상으로, 사전적인 외화 가격견적(Pricing), 외화 현금흐름 관리, 영업환위험 측정, 측정된 영업환위험의 임팩트 분석, 목표 수익률 설정을 통해 헤지 비율을 도출하여 헤지 거래를 실행하고, 환위험 발생 현황 및 헤지 거래효과 모니터링을 통해 실행결과를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체계화된 과정을 통해 기준시점에 예상한 목표 수익률을 환율의 변동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수출입 견적, 계약, 기간별 예상 수출입 데이터와 실제 수출/수입 거래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업 ERP(전사적 자원관리) 서버(1)와; 환율 및 금리와 같은 시장 가격정보와 환율간 상관계수(Correlation)를 포함한 가공정보를 제공하는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와; 상기 기업 ERP 서버(1) 및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기업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업측으로부터 목표 수익률 정보를 통해 적정 헤지비율을 연산하여 제공하고, 그 헤지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환헷지 목표금액을 산출하며 기업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관리서버(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는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시장의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는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업환 위험과 관련하여 Pricing 시뮬레이션, 영업환위험 금액 측정, 영업환위험의 Impact를 측정하고, 헤지 의사결정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목표수익률을 설정하고 헤지 수준을 도출할 수 있도록 헤지비율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는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와 세션이 설정될 때, 그 서버의 진위를 검증하기 위해 서버의 URL 주소 및 맥어드레스를 포함한 인증데이터를 검증처리하며, 경영관리부서(4) 및 최고경영자(5), 외환관리부서(6)의 각 담당자를 인증하기 위해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 처리하는 인증처리부와;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로부터 기업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업측으로부터 목표 수익률 선택정보 및 환헤지 비율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와; 기업측 컴퓨터로 목표수익률에 따른 헤지비율 정보 및 해당 헤지비율을 통한 헤지금액 정보, 확보 가능한 수익률 정보를 전송처리하는 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갱신처리하며, 영업환 위험도 또는 헤지비율 결정시 기초 외환정보를 자동으로 적용시키는 외환기초정보 수집 프로세서와; 상기 기업 ERP 서버(1)로부터 사업계획 또는 개별 해외프로젝트와 관련된 계획된 수출입 스케쥴 데이터(특정 대상기간 또는 프로젝트 기간정보 포함)와 수출입 결제 데이터를 통한 영업환 위험의 대상이 되는 캐쉬 플로우를 집계 처리하는 캐쉬플로우 집계 프로세서와; 현재 환율과 미래의 추정 환율을 비교하여 환율 리스크와 환율 수익을 영업환에 적용하여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도 측정 프로세서와; 기업의 규모 및 기업의 업종, 매출액에 대한 환위험 강도를 수치로 측정하는 임팩트 측정 프로세서와;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한 헤지금액을 산출하고, 그 헤지 금액을 통해 적정한 헤지비율을 연산하여 제시하기 위한 헤지비율결정 프로세서와; 각 기업 및 관련 서버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바(VaR:Value at Risk)환율을 탑재하고 있으면서, 각 기업별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 목표 수익률 선택정보 및 환헤지 비율, 헤지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헤지 위험도를 측정하고, 그 위험도에 노출된 환위험 금액을 특정하여 각 기업으로 제시하고, 각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에 따른 헤지금액을 연산하여 제시하기 위해 각 프로세서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각 기업의 수출입 매출정보 및 환율정보, VaR 환율정보를 통해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여 헤지 금액 및 비율을 산출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가 구비된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있어서, 환율 및 금리와 같은 시장 가격정보와 환율간 상관계수(Correlation)를 포함한 가공정보를 수집하는 제 1과정과; 각 기업의 수출입 견적, 계약, 기간별 예상 수출입 데이터와 실제 수출/수입 거래 데이터를 집계하는 제 2과정과; 해당 기업의 수출입 견적 및 기간을 통해, 해당 기업의 영업환 노출금액 및 기간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영업환 위험도 및 임팩트를 측정하는 제 3과정과; 해당 기업으로부터 환헤지 의사결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 4과정과; 해당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을 통해 헤지수준값을 산출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과정은 수출입 금액 및 Net 금액이 환율 변동에 따라 감소되는 금액을 산출하는 과정과; 환율 변동에 따라 감소된 수익을 반영한 내부 수익률과, 기업이 목표로 한 내부 수익률 정보를 대비하여 헤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업측에 제공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5과정에서 산출되는 헤지 수준값은 헤지할 금액 및 헤지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각 기업의 영업환 발생 현황과, 헤지로 인한 매출 보전값과, 미헤지로 인한 매출손실값을 비주얼하게 제시하여 각 기간별 모니터링 정보를 각 기업에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5과정은 계획 구간의 가중 평균 계획 환율에 대비하여, VaR 환율 궤적에 따라 해당 설정기간내의 가중 평균 VaR 환율이 적용될 때의 영업 이익률 감소분이 헤지 목표 이익금액이며, 그 헤지 목표이익 금액을 (가중평균 계획환율-VaR 환율)로 나눈 금액이 헤지 금액으로 산출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기업이 환율의 변동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영업환위험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석 기능을 기업의 업무흐름과 부합되게 설계하여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장기 안정적인 현금흐름 및 수익성을 보호하는데 그 효과가 있으며, 기업의 연간 또는 분기별 사업계획이나 프로젝트별 실행계획 등의 수익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영업환위험을 사전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관리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영업 이익을 달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 특히 건설, 기계, 조선, 플랜트 등 현금흐름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는 해외 프로젝트의 경우 환율의 변동으로 재무제표 상에 표시되지 않고 해당 프로젝트의 매출증감으로 수익성이 훼손되거나 적자 프로젝트로 전환되는 위험을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품을 수시로 수출입 하는 일반기업에도 관리 대상 기간을 설정하여 기간별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동일한 로직과 방법으로 영업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즉, 기업의 외화 현금흐름의 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한 로직과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표준적인 관리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담당자나 관리자의 환율 전망에 따른 주관적인 헤지 여부 판단이나 헤지 금액 결정이 아니라 합리적인 수익성 달성을 위한 헤지금액, 기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기업이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영업환위험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은 기업의 영업환위험을 관리 대상으로, 사전적인 외화 가격견적(Pricing), 외화 현금흐름 관리, 영업환위험 측정, 측정된 영업환위험의 임팩트 분석, 목표 수익률 설정을 통해 헤지 비율을 도출하여 환 헤지처리를 수행하고, 환위험 발생 현황 및 헤지 거래효과 모니터링을 통해 실행결과를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체계화된 과정을 통해 기준시점에 예상한 목표 수익률을 환율의 변동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은 상이한 수익 구조를 갖는 각 기업별로 최적의 환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적절한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고, 그 목표 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헤지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는 그 내부에 기업의 수출입 견적, 계약, 기간별 예상 수출입 데이터와 실제 수출/수입 거래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업 ERP(전사적 자원관리) 서버(1)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환율 및 금리와 같은 시장 가격정보와 환율간 상관계수(Correlation)를 포함한 가공정보를 제공하는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는 상기 기업 ERP 서버(1) 및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기업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업측으로부터 목표 수익률 정보를 통해 적정 헤지비율을 연산하여 제공하고, 그 헤지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환헷지 목표금액을 산출하며 환헷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관리서버(3)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서버(3)는 실질적인 환헤지 처리는 수행하지 않고, 경영자나 외환담당자 및 경영관리자의 의사결정만을 돕기 위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목표수익률 정보 및 그 목표수익률에 따른 헤지비율 정보만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업 ERP 서버(1)는 사업계획 또는 개별 해외프로젝트와 관련된 계획된 수출입 스케쥴 데이터와 수출입 결제 데이터, 헤지 실행 데이터를 보관하게 되며 필요시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는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시장의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는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업환 위험과 관련하여 Pricing 시뮬레이션, 영업환위험 금액 측정, 영업환위험의 Impact를 측정하고, 헤지 의사결정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목표수익률을 설정하고 헤지 수준을 도출할 수 있도록 헤지비율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에서 산출된 결과는 영업환위험 모니터, 수익성 차트 등의 정보로 정리되어 경영기획부서(3), 최고경영자(4), 위험 관리부서(5)의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함으로써 영업환위험 관련한 필요한 의사결정을 합리적인 분석을 기초로 적기에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는 그 내부에 인증처리부 및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 전송부, 외환기초정보 수집 프로세서, 캐쉬플로우 집계 프로세서, 영업환 위험도 측정 프로세서, 임팩트 측정 프로세서, 헤지비율결정 프로세서, 헤지처리 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조부호 10은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와 세션이 설정될 때, 그 서버의 진위를 검증하기 위해 서버의 URL 주소 및 맥어드레스를 포함한 인증데이터를 검증처리하며, 경영관리부서(4) 및 최고경영자(5), 외환관리부서(6)의 각 담당자를 인증하기 위해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 처리하는 인증처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2는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로부터 기업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업측으로부터 목표 수익률 선택정보 및 환헤지 비율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4는 기업측 컴퓨터(미도시)로 목표수익률에 따른 헤지비율 정보 및 해당 헤지비율을 통한 헤지금액 정보, 확보 가능한 수익률 정보를 전송처리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6은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갱신처리하며, 영업환 위험도 또는 헤지비율 결정시 기초 외환정보를 자동으로 적용시키는 외환기초정보 수집 프로세서를 나타낸 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기업 ERP 서버(1)로부터 사업계획 또는 개별 해외프로젝트와 관련된 계획된 수출입 스케쥴 데이터(특정 대상기간 또는 프로젝트 기간정보 포함)와 수출입 결제 데이터를 통한 영업환 위험의 대상이 되는 캐쉬 플로우를 집계 처리하는 캐쉬플로우 집계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0은 현재 환율과 미래의 추정 환율을 비교하여 환율 리스크와 환율 수익을 영업환에 적용하여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도 측정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기업의 규모 및 기업의 업종, 매출액에 대한 환위험 강도를 수치로 측정하는 임팩트 측정 프로세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한 헤지금액을 산출하고, 그 헤지금액을 통해 적정한 헤지비율을 연산하여 제시하기 위한 헤지비율결정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6은 상기 헤지비율 결정프로세서(24)를 통해 결정된 헤지비율 및 헤지금액을 FX 환율선물의 매도를 통해 목표 수익률이 유지될 수 있도록 헤지 처리를 수행하는 헤지처리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이때, 헤지처리를 위해 FX 환율선물 매도의 기술은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적정 환헤지 비율을 제시해주는 기능까지만 포함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헤지처리 프로세서(26)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님을 미리 밝힌다.
참조부호 28은 각 기업 및 관련 서버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바(VaR:Value at Risk)환율을 탑재하고 있으면서, 각 기업별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 보, 목표 수익률 선택정보 및 환헤지 비율, 헤지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0은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헤지 위험도를 측정하고, 그 위험도에 노출된 환위험 금액을 특정하여 각 기업으로 제시하고, 각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에 따른 헤지금액을 연산하여 제시하기 위해 각 프로세서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한 영업환 위험과 거래환 위험을 비교한 비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한 임팩트 측정도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실시되는 목표수익률 및 헤지비율 분석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실시되는 헤지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영업환 위험 모니터링 및 헤지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헤지실시시의 수익성 챠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은 고객 즉, 기업의 경영자나 외환관리팀에서 용이하게 환헤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당 기업의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고, 그 임팩트를 측정하여 제공하며, 기준시점으로부터 환율 변동에 따른 내부 수익률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환헤지 비율 및 환헤지 금액을 산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때, 상기 기준시점이란 어느 특정 기업이 환위험에 대한 관리 계획을 수립한 시점을 의미하며, 향후 측정한 환위험 관리의 개시 시점을 의미한다. 만약, 프로젝트성 수출입에 대한 수주가 발생된 기업의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성 수출입 수주시점 또는 견적 시점일 것이다. 즉, 수주 견적의 경우 향후 수주 계약이 이루어진 이후, 해당 수주 견적시의 수출입 금액으로 수출이나 수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달러로 계약이 이루어진 수주 견적을 통해 해당 기업이 납입대금을 지급받거나 지급하게 되므로 수주 견적시점이 기준 시점이 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은 수주 견적시점 즉, 기준 시점에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서버(3)가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기업의 상기 기업 ERP 서버(1)로부터 사업계획 또는 개별 해외프로젝트와 관련된 계획된 수출입 스케쥴 데이터(특정 대상기간 또는 프로젝트 기간정보 포함)와 수출입 결제 데이터를 통한 영업환 위험의 대상이 되는 캐쉬 플로우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는 환율 수준에 따른 적정 외화 견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외화 견적의 시뮬레이션은 해당 기업의 캐쉬 플로우가 어느 정도의 영업환 위험을 갖는 지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첫째, 환율수준에 따른 적정 외화 견적가격 및 수익성분석 시뮬레이션이다.
영업환위험 관리의 출발점이자 향후 헤지 의사결정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분석으로서, 견적 시에 결정된 외화가격이나 프로젝트의 외화대금은 환율변동에 따라 변동 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어서(변동 시킬 수 있다면 환위험 관리는 불필요 함), 외화 가격 견적 이후 환율의 불리한 변동으로 계획 또는 계약 시 예상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없게 되거나 조선 등과 같이 프로젝트 기간이 장기인 경우 환율 변동으로 적자 프로젝트로 전환 될 수 있다.
동작과정은 기업의 ERP서버(1)로부터 특정 대상기간 또는 프로젝트 기간 동안의 유출, 유입 항목별, 통화 별 유, 출입 금액 스케쥴(Schedule)을 전송 받거나,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에 직접 입력하여, 해당 외화의 환율 변동에 따른 유입, 유출금액 및 이익, 이익률 변동 관계를 분석하고, 현재 환율 수준에서의 대상 기간 또는 해당 프로젝트의 수익률 및 손익분기환율(BEP 환율)을 계산하여 저장한다.
* 손익분기 환율 산식 = - (원화유입항목 합계액 - 원화유출항목 합계액)/(외화유입항목 합계액 - 외화유출항목 합계액)
둘째, 영업환위험 금액 및 Impact 측정단계이다.
첫 번째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는 기초 정보에 대한 수집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두 번째 과정으로 영업환 위험금액 및 영업환 위험 임팩트를 측정한다.
영업환위험은 환율변동으로 인한 미래 매출 및 매출원가의 변동가능성을 말한다. 최근 5년간의 환율변동에 따른 영업환위험의 크기를 계산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1]
구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달러매출($) 1억불 1억불 1억불 1억불 1억불
평균환율(원) 1,291 1,251 1,192 1,144 1,024
매출액으로 계상되는 금액(원) 1,291억 1,251억 1,192억 1,144억 1,024억
예를 들어 매년 1억 달러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경우, 2004년에 비해 2005년에는 환율변동으로만 120억원의 원화매출 감소를, 2001년에 대비해서는 266억원의 원화매출 감소를 초래 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업의 영업환위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대상기간이 특정되어야 하며 그 기간동안 예상되는 외화의 유입, 유출에 대한 유출입 스케쥴정보를 알아야 한다. 각 기업에서는 연간 사업계획 작성이나, 특정 프로젝트 수주 시 이런 데이터들을 ERP(전사적 자원관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이 데이터는 영업환위험을 측정하기 위한 통화별 기간별 현금흐름을 관리하는데 기초로 활용된다. (ERP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의 경우 상기 정보를 영업환위험 관리서버에 직접 입력 할 수 있음)
영업환위험을 측정하기 위해 두 번째로 파악해야 하는 것은 시장과 관련된 가격데이터들이다. 이 정보는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를 통해 관리 되며, 이 서버를 통해 매일 매일의 환율 자료를 기초로 여러 가지 유형의 변동성을 계산하게 된다.
환위험 금액을 측정하는 계량화 방법은 이론적으로 검증되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금융 공학적 VaR 방법을 적용하며, VaR 및 VaR 환율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에 탑재되어져 있다.
* VaR의 일반적인 산식
VaR = 외화금액 ㅧ 현재 환율 ㅧ 환율변동성 ㅧ 신뢰수준 ㅧ √노출기간
상기 산식에서 변동성을 어떻게 산출하느냐에 따라 위험 금액이 달라 질 수 있다. 즉 외환의 변동성은 6M MA (6개월 이동평균), 1Y MA (1년 이동평균), EWMA (지수가중이동평균)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신뢰수준은 90%, 95%, 99%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기업은 위험을 관리하고자 하는 기간 등의 실정에 적합한 변동성 데이터 유형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측정된 영업환위험 금액(VaR)의 의미는 정상적인 시장여건 하에서 시장이 불리한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주어진 신뢰수준에서 일정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손실 가능금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VaR 금액을 활용하여 영업환위험 관리를 위한 "VaR환율" 개념을 도입했다.
* VaR 환율 산식
VaR 환율 = 현재 환율 ㅧ 환율변동성 ㅧ 신뢰수준 ㅧ √노출기간
VaR환율의 의미는 일정 신뢰 수준에서 환율이 불리하게 하락 또는 상승 가능한 환율을 의미한다. 현금흐름 매 기간(월 단위) 마다 VaR환율이 계산되며, 각 기간의 현금흐름과 해당 VaR환율을 곱하여 전 대상 기간의 가중평균 VaR 환율을 계산한다.
이제는 외화의 유입, 유출 스케쥴에 대한 정보, 선택된 변동성, 신뢰수준을 통해서 영업환위험의 크기를 측정하게 된다.(도 5 참조)
* 예상된 순 유입액 = (수주 환율ㅧ 외화유입액)-(수주 환율ㅧ 외화유출액)
* VaR환율 시 순 유입액 = (VaR환율ㅧ 외화유입액)-(VaR환율ㅧ 외화유출액)
* 영업환위험 금액= 예상된 외화 순 유입액 - VaR환율 시 순 유입액
측정된 영업환위험 금액의 의미는 예상되는 현금흐름 스케쥴에서 환율이 불리하게 변동 되는 경우 주어진 신뢰 수준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원화 유입 감소 가능금액(수출)과 원화유출 증가 가능금액(수입)을 의미하게 된다. 모든 환위험 관리 시스템이 VaR 금액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측정된 VaR 금액을 전략적으로 헤지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로직과 방법을 구현하고 있다. 즉 영업환위험이 발생하게 되면 수주(계획)환율 대비 영업이익률이 얼마나 감소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영업환위험 측정과 동시에, 측정된 영업환위험이 대상 기간이나 프로젝트의 수익률(EBIT)에 미치는 Impact 정도를 측정한다. Impact 측정이란 미래의 영업환위험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매 출 2,000억원, 수출비중 20%(400억원), 당기순이익 200억원인 회사와, 매출 500억원, 수출비중 80%(400억원), 당기순이익 50억원인 회사는 동일한 환위험 10억원일 경우 환위험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가장 비중을 두는 것이 영업이익률로서 기업의 중요한 의사결정 기준으로 이용 되므로 영업환위험관련 의사결정을 위해서도 측정된 영업환위험이 영업이익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Impact의 지표로 활용하는 것이다. (도5 참조)
측정된 Impact는 기업이 영업환위험을 헤지 해야 할지, 아니면 Impact가 크지 않아서 Open(미 헤지)해도 될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가 A 기업 및 B 기업으로부터 기초 캐쉬 플로우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해보기로 한다.
[표 2: A 기업의 영업환 위험 측정결과]
외화 계획시
(적용환율 1,150원)
VaR 환율 적용시 영업환 위험
(계획환율시-VaR 환율시)
원화매출
수출

1,200
5,000,000
1,380,000
6,380,000
5,000,000
1,312,946
6,312,946
67,054
원화
수입

360
4,000,000
414,000
4,414,000
4,000,000
393,884
4,393,884
20,116
이익(Net) 840
1,966,000
(이익률 31%)
1,919,063
(이익률 30%)
46,937
[표 3: B 기업의 영업환 위험 측정결과]
외화 계획시
(적용환율 1,150원)
VaR 환율 적용시 영업환 위험
(계획환율시-VaR 환율시)
원화매출
수출

1,200
200,000
1,380,000
1,580,000
200,000
1,312,946
1,512,946
67,054
원화
수입

360
1,000,000
414,000
1,414,000
1,000,000
393,884
1,393,884
20,116
이익(Net) 840
166,000
(이익률 11%)
119,062
(이익률 8%)
46,937
위의 A기업와 B 기업의 목표로 한 내부 수익률이 A 기업은 20% 이며, B 기업은 10%라고 가정한다.
그 상태에서, A 기업은 내수 수익률이 20% 인데, 계획시(수주 견적시점 또는 현재시점) 이익률은 31%이며, VaR 을 적용하여 환율이 불리하게 변동될 경우라도 30%의 이익률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헤지를 하지 않아도 된다. 즉, 미헤지 상태인 오픈 상태로 기업을 운영하여도 무관하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B 기업의 경우에는 목표로 한 내부 수익률이 10% 인데, 계획시 이익률은 11%로 내부 수익률보다 높지만 환율이 불리하게 변동할 경우, 8%의 이익으로 내부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므로 헤지를 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는 각 기업의 매출 내역 및 수출입 내역과, 각 기업의 내부 수익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한 과정을 통해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게 된다.
셋째, 헤지 의사결정 단계이다.
측정된 영업환위험의 Impact가 커서 헤지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헤지 금액과 기간에 대한 의사결정 기준이 필요하다. 기업에서 영업환위험 관리와 관련해서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헤지 여부 판단 기준 및 헤지 금액과 기간 설정 기준이다. 대부분의 기업이 명확한 원칙과 기준이 없이 담당자의 주관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헤지 의사결정과 관련해서, 기업이 영업환위험을 관리 본래의 목적인 장기 안정적인 현금흐름 및 수익성 보전에 부합되는 합리적인 기준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이다.
즉 전 단계에서 측정된 영업환위험 및 Impact를 통하여 대상 기간의 "실현가능한 영업이익률 구간"이 도출 된다. 실현가능한 영업이익률 구간은 계획환율로 헤지를 100% 실행한 경우의 영업이익률과 헤지를 전혀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환위험이 실제 발생한 경우의 영업이익률의 구간을 의미한다. (도6 참조)
기업은 측정된 실현가능한 영업이익률 구간에서 영업환위험이 실제 발생하더라도 달성하고자하는 목표 영업이익률(최소 영업이익률)을 설정하게 되고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에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기간별 환율이 VaR 환율까지 불리하게 변동 되더라도 목표로 하는 영업이익률을 달성 할 수 있는 헤지 금액과 기간 그리고 영업환위험의 감소 금액이 도출한다.(도 7참조)
도출된 헤지 금액의 의미는, 환율이 VaR환율까지 불리하게 변동하여도 도출된 헤지 금액과 기간을 실행한다면, 헤지를 실행하지 않고 노출(Open)된 외화 현금흐름에서 손실을 보더라도 목표로 하는 영업이익률 목표는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분석에서는 반대로 헤지 금액과 기간을 임의로 결정하여 헤지 한다면 달성 가능한 영업이익률을 측정 할 수 있으며, 헤지 금액에 대하여 헤지 실행 환율의 변동에 따라 목표 영업이익률의 변동을 분석할 수 있다.
물론 실제 환율은 변동성을 토대로 추정된 최대치인 VaR환율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VaR 개념 상 신뢰수준을 95%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면, 측정된 VaR환율 보다 더 크게 변동할 확률은 5% 이하라는 의미이다. 실제 환율이 VaR환율 보다 작게 변동할 경우에는 위 목표 영업이익률보다 더 높은 이익률을 달성하게 된다. 미래의 환율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안적 수단이 위험을 확률적으로 측정하는 VaR개념이며,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으로 인정되어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VaR의 개념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에 비추어 환율변동으로 최대한 입을 수 있는 손실가능액을 위험으로 규정하고, 이를 기초로 헤지 비율을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는 헤지의 의사결정으로 인해 목표 수익률을 통한 헤지 수준을 결정할 수 있도록 헤지 금액 및 매출 대비 헤지비율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기업에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표 3에 기재된 B 기업의 헤지 금액 및 헤지비율을 산출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환 위험도에 노출된 기간을 입력하여야 하는 바, 환위험 기간은 환관리 기관을 의미하며 1년을 기준으로 산출해본다.
[표 4]
외화 환율 가중평균
수출
수입
Net
③(①-②)
계획환율
VaR 환율
계획환율
③ㅧ ④
VaR 환율
③ㅧ ⑤
11월 100 30 70 1,150 1,150 80,500 80,500
22월 100 30 70 1,150 1,124 80,500 78,680
33월 100 30 70 1,150 1,113 80,500 77,926
44월 100 30 70 1,150 1,105 80,500 77,347
55월 100 30 70 1,150 1,098 80,500 76,859
66월 100 30 70 1,150 1,092 80,500 76,430
77월 100 30 70 1,150 1,086 80,500 76,041
88월 100 30 70 1,150 1,081 80,500 75,684
99월 100 30 70 1,150 1,076 80,500 75,351
110월 100 30 70 1,150 1,072 80,500 75,039
111월 100 30 70 1,150 1,068 80,500 74,744
112월 100 30 70 1,150 1,064 80,500 74,463
합계 1,200 360 840 966,000 919,06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는 B 기업의 환노출 금액을 산출하여 그 노출기간을 근거로, 바람직한 헤지 금액 및 매출 대비 헤지비율을 산출하도록 한다.
표 3과, 표 4를 참조하면, B 기업의 헤지 기준은 내수 수익률 10%로 가정한다면, B 기업의 매출금액인 1,580,000원의 10%인 158,000원의 이익이 B 기업에 발생되면 목표 수익률 10%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 3에서 목표 수익률 10%의 기준이 되는 매출은 VaR 환율 적용시의 매출이 아니고, 계획 환율시의 매출이 되어야 한다. 환율이 불리하게 적용될 경우의 이익이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119,062원이므로, 158,000원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38,938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표 4를 참조할 때, 가중 평균 계획환율은 1,150원이며, 가중평균 VaR 환율은 1,094원이다.
헤지금액=헤지목표금액/(가중평균 계획환율-가중평균 VaR 환율)
이므로, B 기업의 헤지금액=38,938원/(1,150-1,094)=697달러가 산출된다.
또한, 헤지비율은 헤지금액을 1년 Net 금액으로 나눈 값, 즉 697달러/840달러=83%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3)는 B 기업이 목표로 한 내부 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해, 어느 정도 금액의 환헤지를 수행해야 되는 지, 헤지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실제 발생한 영업환위험과 실행한 헤지 거래의 환위험 커버 효과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까지의 단계에서 기업은 영업환위험의 Impact에 따라 헤지 여부를 판단하고, 목표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헤지 금액 및 기간을 결정하게 된다. 대상 기간에 실제로 수출입 거래가 발생하고 헤지 거래를 실행한 내역은 기업ERP서버(1)에서 전송 받거나 직접 영업환위험 관리서버에 입력되어 분석하게 된다.
전 단계에서 대상 기간에 대하여 측정한 순 현금흐름, 영업환위험 금액, 헤지 계획 금액, 헤지시의 영업환위험 금액 및 위험 노출 현금흐름(Open) 등의 계획과 실제 현재까지 수출입 거래를 통하여 발생한 영업환위험 발생금액 과 헤지 실행금액 및 헤지 거래의 위험 커버효과를 금액과 그래프로 분석한다.
즉, 영업환위험에 대한 계획 및 현황을 영업환위험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준다. 이 기능에서는 위험측정치 즉, VaR환율에 대하여 계획 시의 VaR환율 추이와 조회일 현재 새롭게 추정한 VaR환율 추이를 그래프로 출력하 여 조회하게 함으로써 위험 추이도 모니터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획환율과 현재환율의 대상 기간 동안의 단순평균 환율 추세를 그래프로 분석하여, 계획환율 보다 유리하고, 평균환율 보다 유리한 상황을 헤지 타이밍으로 분석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헤지 타이밍에 대한 분석도 제공하게 된다. (도 8 참조 )
아울러 환율의 변동에 따른 수익률의 변동 상황을 "헤지 포함 시"와 "헤지 미 포함 시"의 경우를 수익성 차트라는 하나의 그래프에서 분석함으로써 헤지 효과를 수익률 도표에서 분석 및 모니터 할 수 있도록 하고,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률 변동 시뮬레이션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다. 헤지 전과 후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서 헤지 거래의 효과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9 참조)
이 모니터링 과정에서 외화 현금흐름의 변동 등으로 헤지 금액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헤지 의사결정 Simulation으로 되돌아가 적합한 헤지 수준을 다시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한 영업환 위험과 거래환 위험을 비교한 비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한 임팩트 측정도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실시되는 목표수익률 및 헤지비율 분석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실시되는 헤지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영업환 위험 모니터링 및 헤지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헤지실시시의 수익성 챠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업 ERP 서버, 2: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
3:영업환 위험관리서버.

Claims (9)

  1. 기업의 수출입 견적, 계약, 기간별 예상 수출입 데이터와 실제 수출/수입 거래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업 ERP(전사적 자원관리) 서버(1)와;
    환율 및 금리와 같은 시장 가격정보와 환율간 상관계수(Correlation)를 포함한 가공정보를 제공하는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와;
    상기 기업 ERP 서버(1) 및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기업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업측으로부터 목표 수익률 정보를 통해 적정 헤지비율을 연산하여 제공하고, 그 헤지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환헷지 목표금액을 산출하며 기업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관리서버(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는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시장의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는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업환 위험과 관련하여 프라이싱(Pricing) 시뮬레이션(Simulation), 영업환위험 금액 측정, 영업환위험 의 임팩트(Impact)를 측정하고, 헤지 의사결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목표수익률을 설정하고 헤지 수준을 도출할 수 있도록 헤지비율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업환위험 관리서버(3)는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와 세션이 설정될 때, 그 서버의 진위를 검증하기 위해 서버의 URL 주소 및 맥어드레스를 포함한 인증데이터를 검증처리하며, 경영관리부서(4) 및 최고경영자(5), 외환관리부서(6)의 각 담당자를 인증하기 위해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 처리하는 인증처리부와;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로부터 기업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업측으로부터 목표 수익률 선택정보 및 환헤지 비율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와; 기업측 컴퓨터로 목표수익률에 따른 헤지비율 정보 및 해당 헤지비율을 통한 헤지금액 정보, 확보 가능한 수익률 정보를 전송처리하는 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가격정보 분석가공서버(2)로부터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갱신처리하며, 영업환 위험도 또는 헤지비율 결정시 기초 외환정보를 자동으로 적용시키는 외환기초정보 수집 프로세서와; 상기 기업 ERP 서버(1)로부터 사업계획 또는 개별 해외프로젝트와 관련된 계획된 수출입 스케쥴 데이터(특정 대상기간 또는 프로젝트 기간정보 포함)와 수출입 결제 데이터를 통한 영업환 위험의 대상이 되는 캐쉬 플로우를 집계 처리하는 캐쉬플로우 집계 프로세 서와; 현재 환율과 미래의 추정 환율을 비교하여 환율 리스크와 환율 수익을 영업환에 적용하여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도 측정 프로세서와; 기업의 규모 및 기업의 업종, 매출액에 대한 환위험 강도를 수치로 측정하는 임팩트 측정 프로세서와;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한 헤지금액을 산출하고, 그 헤지금액을 통해 적정한 헤지비율을 연산하여 제시하기 위한 헤지비율결정 프로세서와; 각 기업 및 관련 서버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환위험 측정 프로그램(VaR)을 탑재하고 있으면서, 각 기업별 수출입 거래정보 및 환율 관련 정보, 목표 수익률 선택정보 및 환헤지 비율, 헤지금액 정보를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통화별 환율, 통화별 금리, 통화별 상관관계, 현,선물 환율 스프레드, 변동성을 포함한 외환시장의 기초 가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업 ERP 서버(1)와 가격정보 분석가공 서버(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헤지 위험도를 측정하고, 그 위험도에 노출된 환위험 금액을 특정하여 각 기업으로 제시하고, 각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에 따른 헤지금액을 연산하여 제시하기 위해 각 프로세서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5. 각 기업의 수출입 매출정보 및 환율정보, VaR 환율정보를 통해 영업환 위험도를 측정하여 헤지 금액 및 비율을 산출하기 위한 영업환 위험관리 서버가 구비된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에 있어서,
    환율 및 금리와 같은 시장 가격정보와 환율간 상관계수(Correlation)를 포함 한 가공정보를 수집하는 제 1과정과;
    각 기업의 수출입 견적, 계약, 기간별 예상 수출입 데이터와 실제 수출/수입 거래 데이터를 집계하는 제 2과정과;
    해당 기업의 수출입 견적 및 기간을 통해, 해당 기업의 영업환 노출금액 및 기간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영업환 위험도 및 임팩트를 측정하는 제 3과정과;
    해당 기업으로부터 환헤지 의사결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 4과정과;
    해당 기업이 소망하는 목표 수익률을 통해 헤지수준값을 산출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수출입 금액 및 Net 금액이 환율 변동에 따라 감소되는 금액을 산출하는 과정과;
    환율 변동에 따라 감소된 수익을 반영한 내부 수익률과, 기업이 목표로 한 내부 수익률 정보를 대비하여 헤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업측에 제공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에서 산출되는 헤지 수준값은 헤지할 금액 및 헤지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각 기업의 영업환 발생 현황과, 헤지로 인한 매출 보전값과, 미헤지로 인한 매출손실값을 비주얼하게 제시하여 각 기간별 모니터링 정보를 각 기업에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은 계획 구간의 가중 평균 계획 환율에 대비하여, VaR 환율 궤적에 따라 해당 설정기간내의 가중 평균 VaR 환율이 적용될 때의 영업 이익률 감소분이 헤지 목표 이익금액이며, 그 헤지 목표이익 금액을 (가중평균 계획환율-VaR 환율)로 나눈 금액이 헤지 금액으로 산출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방법.
KR1020080116789A 2008-11-24 2008-11-24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8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89A KR20100058101A (ko) 2008-11-24 2008-11-24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89A KR20100058101A (ko) 2008-11-24 2008-11-24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101A true KR20100058101A (ko) 2010-06-03

Family

ID=4235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789A KR20100058101A (ko) 2008-11-24 2008-11-24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1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97A1 (ko) * 2013-08-30 2015-03-05 Im Carl Jung Choon 거래 행동을 제공하는 재무 위험 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220277391A1 (en) * 2021-02-26 2022-09-01 Kantox Limited Automated hedg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97A1 (ko) * 2013-08-30 2015-03-05 Im Carl Jung Choon 거래 행동을 제공하는 재무 위험 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220277391A1 (en) * 2021-02-26 2022-09-01 Kantox Limited Automated hedg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631131B2 (en) * 2021-02-26 2023-04-18 Kantox Limited Automated hedg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51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d optimizing transaction costs
US81905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ap contracts management with a discount curve feedback loop
Coppejans et al. Resiliency in an automated auction
JP2002063347A (ja) 天候に基づく測定基準を用いて天然ガス契約を評価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090076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dging portfolios of variable annuity liabilities
KR101793619B1 (ko) 단기의 월별 전사 경영계획관리지원을 위한 경영계획관리지원 방법
US20040093298A1 (en) Method for providing energy commodities trade outsourcing services within the energy markets
Jackson CRM: From ‘art to science’
US8275637B1 (en) Earnings at risk method and system
Göx et al. Optimal information design and incentive contracts with performance measure manipulation
Huang et al. Constrained liquidity provision in currency markets
KR20060023588A (ko) 기업의 영업환위험 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KR20100058101A (ko) 환위험 헤지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6250B1 (ko)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시스템
CN115221212A (zh) 基金投资数据管理系统及方法
CN113393315A (zh) 一种基于电力供应链数据的贷款客户推荐方法及系统
Apatova Mechanisms and resources of virtual enterprise risk management
Ponde Information Technology in Management
KR100634336B1 (ko) 환 리스크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Bu et al. Research on the risks of e-commerce mode
GE et al. E-Banking Service Quality, Internal Control System and Organisational Performance of Selected Deposit Money Banks in Nigeria
Zhu The Cost Estimation Model of Real Estate Development in Small-medium Cities in Coastal Province
Grubisic et al. DEMI MODELSAPPLICATION IN VARIANCE ANALYSIS
Benatia et al. Strategic Reneging and Market Power in Sequential Markets
Akkizidis et al. Operational Risk in Islamic Fi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