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096A -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 - Google Patents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096A
KR20100057096A KR1020107008971A KR20107008971A KR20100057096A KR 20100057096 A KR20100057096 A KR 20100057096A KR 1020107008971 A KR1020107008971 A KR 1020107008971A KR 20107008971 A KR20107008971 A KR 20107008971A KR 20100057096 A KR20100057096 A KR 2010005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on
active profile
network
presenc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띠 라우릴라
에바-마리아 레빼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5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4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 H04L41/0843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based on generic tem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수신한다. 그러면 그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는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을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기는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통신을 위한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프로젠스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 {Active profile selection}
본 발명은 기기의 액티브 프로파일이 될 것으로 선택되는 사용 프로파일 (usage profile)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기들은 상이한 사용 프로파일들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프로파일들은 상이한 사용의 경우들을 위한 세팅들을 규정하는 것이다. 모바일 전화기의 경우, 예를 들면, "미팅" 또는 "묵음 (silent)" 프로파일들은 묵음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비프 모드로 세팅되도록 구성되는 특정 발신음 (ringing tone)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기기에서 정의되는 상기 사용 프로파일들은 미리 완전하게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그 사용 프로파일들은 미리 정의될 수 있을 것이지만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디폴트 세팅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프로파일들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는 정의된 사용자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가 액티브 프로파일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그 액티브 프로파일에서 규정된 세팅들은 기기 내부 기능성을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액티브 프로파일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모습으로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 (element)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첫 번째 모습에 대해, 또한,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 (component)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다.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장치에서의 동작을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에 속한다.
상기 첫 번째 모습에 대해,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설명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첫 번째 모습의 방법을 실현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개별 메모리 기기 또는 전자 기기 내에 집적될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와는 독립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첫 번째 모습에 대해, 마지막으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 (element)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의 첫 번째 모습은 기기의 액티브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그 기기의 내부 기능성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으로부터 진행된다. 대신, 그 정보는 네트워크의 상기 기능성을 위해서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그 기기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는 그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동작을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첫 번째 모습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기능들 및 서비스들이 상이한 사용 프로파일들을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능들 및 서비스들은 상기 네트워크를 경유한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에 특히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모습은, 예를 들면, 국가들, 오퍼레이터들 및 모바일 단말들을 가로질러 동작하는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인에이블러 (enalbler)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Open Mobile AllianceTM (OMA))에 의해 정의된 구조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목 "Converged IP Messaging Requirements" (Draft Version 1.0 - 08 February 2007, Open Mobile Alliance, document code OMA-RD-CPM-V1_0-20070208-D)의 OMA 문서는 다음의 높은 수준의 기능성 요구 사항을 규정한다: "CPM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호 대상들을 여러 프로파일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그 중의 하나를 액티브 프로파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프로파일들은, 가정, 사무실, 여행, 슬립, 미팅 등과 같은 상이한 시나리오용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표시된 요구 사항을 보충하기 위한 OMA CPM 구조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에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을 어떤 다른 구조에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통신 요청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위한 조건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규칙들은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에 근거하여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리 정의된 규칙들은 그 규칙들을 적용하는 엔티티 (entity)가 아닌 다른 엔티티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상기 액티프 프로파일의 표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위한 조건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요청 필터링 기능을 위한 조건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필터링은, 예를 들면, 특정 사용 프로파일들이 활성화될 때마다, 선택된 기기들로부터의 통신 요청들만이 수용될 것이며, 다른 기기들로부터의 요청들은 거부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될 통신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표현 통신 데이터 (expression communication data)가 통신 시그날링 데이터 또는 통신 콘텐트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일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발신음이 텍스트 통보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음성 메시지가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는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언제 그리고/또는 어떻게 배송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리 정의된 사용 프로파일이 활성화되자마자, 예를 들면, 저장되었던 오프라인 통신이 보류되었던 메시지로서 기기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통신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여러 가지 기기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에,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는, 통신 요청이 있을 때에 복수의 기기들 중의 어느 것이 통신에서 사용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기를 선호하는 기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해결책들은 기기마다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해결책들이며, 그래서, 그 전통적인 해결책들은 여러 개의 기기들에 대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상기의 첫 번째 모습의 각 장치는 인터페이스와 같은 추가의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장치는 완전한 기기일 수 있을 것이며 또는 기기를 위한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그 장치는, 예를 들면, OMA 정책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문서 관리 서버, 그런 서버용의 컴포넌트 또는 그런 서버를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을 것이다. 그 장치는 또한, 예를 들면, OMA 복합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징 기능 센터 (an open mobile alliance converged internet protocol messaging capability center), 그런 센터용의 컴포넌트 또는 그런 센터를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을 것이다. 그 장치는 또한, 예를 들면, OMA 메시지 및 매체 저장 엔티티, 그런 엔티티용의 컴포넌트 또는 그런 엔티티를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모습으로서,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 (presence information content)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기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상기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두 번째 모습으로,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presence information)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프레즌스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들 둘 모두는 동일한 프로세싱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개별적인 프로세싱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모습으로, 상기 두 번째 모습의 장치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로의 상기 프레즌스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기를 설명한다.
상기 두 번째 모습으로, 더 나아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설명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두 번째 모습의 방법을 실현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면, 개별 메모리 기기 또는 전자 기기 내에 집적될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와는 독립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두 번째 모습으로서,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 (presence information content)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기기에서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마지막으로 설명한다.
프레즌스 (presence) 정보는 잠재적인 통신 파트너,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의 사용자가 통신하기 위한 가능성 및/또는 자발성을 표현하는 상태 표시자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비즈니스 세팅 내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통신으로 향하는 발전적인 도구이며, 이는 짧은 시간의 미팅이나 컨퍼런스 호출을 위한 공동의 네트워크에서 누가 즉시 이용가능한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OMA는 프레즌스 인에이블러 (presnence enabler)를 "Presence SIMPLE Architecture Document" ( Approved Version 1.0.1 - 28 Nov 2006, Open Mobile Alliance, document code OMA-AD-Presence_SIMPLE-V1_0_1-20061128-A)를 포함하는 "Presence SIMPLE Specification, OMA-ERP-Presence_SIMPLE-V1_0"에서 규정하였다. 이 규격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는 프레즌스 소스들, 예를 들면, 사용자 클라이언트 내의 특정 에이전트에 의해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된다. 이런 맥락에서, 소위 프레즌티티 (presentity) ("프레즌스 (presence)"와 "엔티티 (entity)" 단어들의 합성어)는 연관된 프레즌스 정보를 구비한 엔티티로서 이해되며, 그 경우 상기 프레즌스 정보는 다수의 프레즌스 소스들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단순한 예들을 나타내기 위해, 프레즌티티가 "헬프 데스크 (help desk)" 또는 미팅 룸과 같은 자원일 수 있을 것이지만, 프레즌티티는 예를 들면, 사람일 수 있을 것이다. 프레즌스 서버는 프레즌스 정보를 받아들이고, 저장하며 그리고 배포한다. 와처 (watcher)는 프레즌스 서비스로부터 프레즌티티에 관한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엔티티로서 이해된다. 와처는 예를 들면 다른 사람 (프레즌티티)과 통신하기를 원하는 개인일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이 프레즌티티에 관한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모습에 따르면, 기기의 프레즌스 상태는 선택된 사용 프로파일을 반영한다. 현재, 사용자는 프레즌스 정보를 업데이트한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프레즌스 정보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프로파일 선택을 기반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갱신된다면, 상기 프레즌스 정보는 항상 최신일 것이며 그리고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의 실제 능력들을 반영할 것이다.
선택된 사용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는 예를 들면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그 프레즌스 정보와 병렬로 어떤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는 예를 들면 사용자 프로파일의 일부 또는 프레즌스 정보 중의 어느 하나로서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두 번째 모습은 예를 들면 OMA에 의해 정의된 구조에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기의 사용자가 사용 프로파일을 액티브 프로파일로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기기는 프레즌스 정보를 발행할 수 있을 어떤 구조에서도 본 발명의 두 번째 모습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시된 모든 모습들의 특징들과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한 어떤 적합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결하여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 도면들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설계된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에 대한 정의로서 설계된 것이 아니며, 그런 한계를 위해서는 첨부된 청구범위만을 참조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은 크기에 맞추어서 그려진 것이 아니며 그 도면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구조들 및 절차들을 개념적으로 예시하기 위해서 의도된 것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액티브 프로파일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가능한 XDM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가능한 CPM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결부된 구조적인 엔티티들 및 그 엔티티들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결부된 구조적인 엔티티들 및 그 엔티티들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려는 통신 요청을 처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의 개선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실시예들은 OMA에 의해 규정된 응용의 프로토콜들을 개선하기 위해 특히 사용된다. 그러므로 실제의 구현은 선택된 OMA 구조로의 짤막한 도입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기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사용 프로파일 중의 하나를 액티브 프로파일로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어떤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OMA는, 사용자-특정 서비스-관련 정보를 그 정보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인에이블러 (enalber)들에게 액세스 가능하게 만드는 공동의 메카니즘을 정의하는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문서 관리 (Document Management) (XDM) 용의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정의했다 (비고: OMA 규격 "XML Document Management (XDM) specifications, OMA-ERP-XDM-V2_0 (진행중인 작업)"으로부터의 문서 "XML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 Candidate Version 2.0 - 24 Jul 2007, Open Mobile Alliance, document code OMA-AD-XDM-V2_0-20070724-C)). 그런 정보는, 그 정보가 위치되고, 액세스되며 그리고 조작될 (생성되고, 변경되고, 삭제되는 등) 수 있는 네트워크 내에 저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XDM은 그런 정보가 잘 구조화된 XML 문서들 내에서 어떻게 정의되는가를 규정하고, 그런 XML 문서들의 액세스 및 조작 (manipulation)을 위한 공통의 프로토콜 역시 규정한다.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에 의해 정의된 XML 설정 액세스 프로토콜 (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XCAP)은 (비고: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XCAP)", Rosenberg, J., May 2007, document code RFC4825)) 공동의 XML 문서 관리 프로토콜로서 선택되었다.
XCAP을 경유하여 액세스되고 조작되는 문서들은, XML 문서 관리 서버들 (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s (XDMS))이라고 불리는, 네트워크에서의 논리적인 저장소들에 저장된다. 각 저장소는 자신의 데이터를 자신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적인 엔티티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문서들에 액세스하고 조작하는 것은, 예를 들면, XDM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될 수 있을 것이다.
XDM 2.0 구조는 공유 정책 (Shared Policy) XDMS 라고 불리는 새로운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도입하는데, 이 공유 정책 XDMS는, PoC XDMS에 저장되었던 PoC 1.0 사용자 액세스 정책 문서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인에이블러를 위한 재사용가능한 사용자 액세스 정책 문서 (즉, 셀룰러를 통한 푸시-투-토크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및 인스탄트 메시징 (Instant Messaging (IM)))를 포함한다 (비고: 문서 "PoC XDM Specification", Approved Version 1.0.1 - 28 Nov 2006, Open Mobile Alliance, document code OMA-TS-PoC_XDM-V1_0_1-20061128-A). 이 새로운 공유 사용자 액세스 정책 문서에서, 사용자는 어떤 사용자(들)/그룹(들)로부터의 통신이 여러 기준들을 기반으로, 예를 들면, 사용된 매체 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수락/거부될 수 있는, 정책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정책의 한 가지 예는 사용자는 친구들이라고 불리는 자신의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목록에 포함되는 사람들을 제외한 모든 다른 사용자들로부터의 모든 그룹 광고 메시지들을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상기에서 언급된 문서 "XML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에서 제시된 것과 유사한 XDM 구조의 블록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XDM 클라이언트 (101), 집합 프록시 (102), 공유 XDMS들 (103),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 인에이블러-특정 서버 (105), 세션 개시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IP 코어 (106) 및 검색 프록시 (107)를 포함한다. 추가로, 원격 네트워크의 집합 프록시 (108) 그리고 원격 네트워크의 검색 프록시 (109)가 도시된다.
XDM 클라이언트 (101)는 공유 XDMS들 (103) 및 인에이블러 특정 XDMS (104)의 특징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그 특징들은 엔티티들로 하여금 네트워크에 저장된 자신들의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XML 문서로서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런 문서들에 가해진 변화들에 대해 엔티티들이 통보받을 수 있는 가입/통보 메카니즘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엔티티들로 하여금 네트워크에 저장된 서비스 관련된 데이터를 XML 문서로서 검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엔티티들은, 예를 들면, 사용자들 또는 서비스 인에이블러들/애플리케이션들일 수 있다. XDM 클라이언트 (101)는 단말에서 또는 서버 엔티티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집합 프록시 (102)는 XDMS들 (103 및/또는 104)에 저장된 XML 문서들에 액세스하고 조작하기 위해 XDM 클라이언트 (101)에 대한 접촉 포인트로서 동작한다. 그것은, 예를 들면, XDM 클라이언트 (101)를 인증하고, 올바른 XDMS 로의 또는 원격 네트워크의 집합 프록시 (108)로의 XCAP 요청들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추가로, 그런 요청들을 검색 프록시 (107)로 라우팅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 XDMS들 (103)은 상이한 서비스 인에이블러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XDM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복수의 XDM 서버들은 공유 그룹 XDMA, 공유 프로파일 XDMS, 공유 목록 XDMS 및 공유 정책 XDMS의 유형일 수 있다.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는 예를 들면 CPM 인에이블러와 같은 특정 서비스 인에이블러의 XML 문서들을 관리하며, 이는 아래에서 아주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든 XDMS들 (103, 104)은 각각의 XDMS에 저장된 XML 문서들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며 SIP 가입자/통보를 지원하며, XDM 클라이언트 (101)가 XDMS에서 XML 문서의 변경을 통보하는 것을 구독 (subscribe)하도록 허용한다. 공유 XDMA들 (103) 및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의 공유 프로파일 XDMS는, 가능하다면, 추가의 검색 결과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XDMS들 (103, 104)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 경우 그 소프트웨어는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검색 프록시 (107)는 관련된 XDMS로의 검색 요청과 원격 네트워크의 검색 프록시들 (109)로의 검색 요청들 라우팅하고 그리고 획득한 결과들을 요청한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기 전에 그 획득한 결과들을 결합한다.
인에이블러 특정 XDMS (104)와 유사하게, 엔이이블러-특정 서버 (105)는, 예를 들면, CPM 인에이블러와 같은 특정 서비스 인에이블러에 관련된다. 상기 인에이블러-특정 서버 (105)는 XDM 클라이언트들이 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XDM 서버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SIP/IP 코어 (106)는 서버들의 네트워크, 예를 들면, XDM 서비스들의 특정 기능들을 지원하는 프록시들 및/또는 레지스트라 (registrar)들을 대표한다. 특히, XDM 클라이언트 (101)와 XDMS들 (103, 104) 사이에서의 SIP 시그날링을 라우팅하는 것이 SIP/IP 코어 (106)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은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을 도시한다. 레퍼런스 포인트 XDM-1은 SIP를 이용하여 SIP/IP 코어를 경유해서 어떤 XML 문서들의 변경들을 구독하거나 그 변경을 통보하는 것을 제공한다. 레퍼런스 포인트 XDM-2는 SIP을 경유하여 공유 XML 문서들의 변경을 구독하거나 그 변경을 통보하는 것을 제공한다. 레퍼런스 포인트 XMD-3은 XCAP를 경유하여 인증 및 XML 문서 관리 (예를 들면, 문서 조작 (manipulation))를 제공한다. 레퍼런스 포인트 XMD-4는 XCAP를 경유하여 공유 XML 문서 관리 (예를 들면, 조작)를 제공한다. 유사한 레퍼런스 포인트들, 예를 들면, SIP/IP 코어 (106)와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 사이에서 SIP를 경유하여 XDMS (104)에서 XML 문서들의 변경을 구독하고 그리고 통보하기 위한 레퍼런스 포인트 그리고 집합 프록시 (102)와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 사이에서 XCAP를 경유한 XML 문서 관리 (예를 들면, 조작)를 위한 레퍼런스 포인트가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에 관하여 정의될 수 있다. XDM 클라이언트 (101)와 집합 프록시 (102)사이에서의 레퍼런스 포인트 XDM-5는 어떤 XMDS에 저장된 XML 문서들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들을 제공한다. 집합 프록시 (102)와 검색 프록시 (107) 사이에서의 레퍼런스 포인트 XDM-6은 어떤 XMDS에 저장된 XML 문서들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들을 제공한다. 검색 프록시 (107)와 공유 XDMS들 (103)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XDM-7은 공유 XDMS들 (103)의 공유 프로파일 XDMS 또는 공유 그룹 XDMS의 어느 하나에 저장된 XML 문서들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검색 프록시 (107)와 원격 네트워크의 검색 프록시 (109)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XDM-9는 상기 검색 프록시와 원격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검색 결과들/응답들을 포워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추가의 상세한 내용을 위해서는, 상기에서 인용한 문서 "XML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 문서는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특히 OMA 프레즌스 인에이블러를 위한 유사한 구조는 상기에서 인용된 "Presence SIMPLE Architecture Document"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문서는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OMA는 문서 "Converged IP Messaging Architecture" (Open Mobile Alliance, Draft Version 1.0, 20 Mar 2007, document code OMA-AD-CPM-V1_0-20070320-D)에서 추가의 복합 IP 메시징 (Converged IP Messaging (CPM))에서 정의된다. CPM은 지연되고 즉각적인 메시징, 세션-기반의 메시징 및 반이중/전이중 회의 (conferencing)과 같은 상이한 사용자 경험들을 조절하는 메시징 프레임워크이다. 그것은 현존하는 메시징 서비스들과 SIP-기반의 기술들이 가져온 통신들의 복합에 의해 도입된 새로운 특징들을 통합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그것은 프레즌스 및 XDM과 같은 다른 OMA 인에이블러들과 상호 작용한다 (interact).
다양한 서비스 영역들에서의 오늘날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들을 고려하여, 상기 CPM 인에이블러는, 서비스 제한들을 베어러-불가지론 (bearer-agnostic) 방식으로 중점을 두어 다루어서 모든 IP 네트워크들 (모바일, 홈, 인터넷 세상들)을 위한 많은 서비스 영역들을 통해 일치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둔다. 다른 특징은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에서의 (로밍 조건들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상호 운용이다.
CPM은 다음의 서비스들과 함께 제공되는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복합된 메시징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 메시징이 가능한 서비스들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 (SMS)), 인스탄트 메시징 및 프레즌스 서비스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IMPS)), 단순 인스탄트 메시징 (SIMPLE Instant Messaging (IM)), 이메일, 멀티미디어메시징 서비스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음성이 가능한 서비스 (예를 들면, PoC, Voice-over-IP (VoIP)) 및 비디오가 가능한 서비스 (예를 들면, Video-o-IP).
도 2는 상기에서 인용된 문서 "Converged IP Messaging Architecture"에서 제시된 것과 유사한 CPM 구조의 도면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 (UE) (200)로 구성될 수 있을 CPM 클라이언트 (201)는 사용자가 다른 CPM 컴포넌트들, 예를 들면, CPM 구조의 주된 로직과 제어를 수행하는 CPM 기능 센터 (202)와 상호 작용 (interact) 하도록 한다. CPM 기능 센터 (202)는 다른 CPM 컴포넌트들로부터의 그리고 또한 예를 들면, 원격 CPM 환경 (208)과 같은 외부 엔티티들로부터의 서비스들을 기반으로 하는 CPM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메시지 & 미디어 저장부 엔티티 (204)는 관리 및 저장 기능 둘 다를 포함하며, CPM 클라이언트 (201)와 CPM 기능 센터 (202)에 의해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액세스될 수 있다. 모여준 주소록 엔티티 (205)는 사용자의 주소록을 처리하고 동기화시키며, 이는 사용자가 소유한 여러 가지 기기들의 경우에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CPM 사용자 선호 엔티티 (206)는 CPM 서비스들에 관련된 사용자 선호들을 지원한다. 상호 연동 기능 엔티티 (207)는,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MMMS)와 같은 외부의 비-CPM 서비스들 (211)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들 (212)은 부가 (value-added) 서비스들을 배송하기 위해 CPM을 이용한다. 지원 인에이블러들 (210)은 CPM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 지원 인에이블러들의 예들은 XDM 또는 프레즌스 인에이블러들이다. 상기 지원 인에이블러들 (210)은 예를 들면 CPM 사용자 선호 엔티티 (206)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UE (200)에서 지원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들 (213)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IP/IP 코어 (203)는 SIP을 기반으로 하는 CPM 구조의 컴포넌트들을 경유하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을 허용한다. CPM 클라이언트 (201)와 CPM 기능 센터 (202) 사이의 CPM 세션 시그날링과 메시지 교환은 상기 SIP/IP 코어 (203)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그것은 인에이블러-특정 XDMS 또는 공유 XDMS에 저장된 XML 문서들의 변경을 구독하고 그리고 통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의 CPM 구조는 도 1의 XDM 구조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기본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CPM이 필요한 모든 데이터 관리 컴포넌트들 (예를 들면, CPM 사용자 선호 엔티티 (206), 모여진 주소록 엔티티 (205) 및 메시지 및 미디어 저장부 엔티티 (204))이 이미 정의된 일부 XDMS 내부에서 잘 들어맞지 않으면, 그것들을 위한 새로운 XDMS들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원 인에이블러들 엔티티 (210)는 도 1의 XDM 집합 프록시 (102) 및 검색 프록시 (107)와 같은 다른 것들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도 1의 공유 XDMS들 (103)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UE에서의 지원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들 (213)은 특히 XDM 클라이언트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CPM 사용자 선호 엔티티 (206)는 XDMS (이 XDMS는 공유 XDMS들 (103)이나 인에이블러-특정 XDMS (104) 중의 하나이다, 도 1 참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XCAP을 이용하여 지원 인에이블러 엔티티 (210)에 의해 구현되는 집합 프록시를 경유하여 상기 지원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 (213)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CPM 기능 센터 (202)는 도 1의 인에이블러-특정 서버 (105)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상세한 내용을 위해서, 상기에서 인용된 문서인 "Converged IP Messaging Architecture" 문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문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 (310), 프레즌스 서버 (320), 공유 정책 XDMS (33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기기 (310)는 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기일 수 있으며, 도 2의 UE (200)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기기 (310)는 프로세서 (311), 메모리 (312) 및 인터페이스 (315)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311)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13)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메모리 (312)에 저장되고 그 메모리로부터 인출될 수 있을 것이다.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다른 기능들 기기들 내부 기능들과 도 2의 지원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들(213)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XDM 클라언트 (101)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기능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CPM 클라언트 (20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리 (312)는 복수의 정의된 사용 프로파일들을 저장하기 위해 추가로 데이터베이스 (31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 프로파일들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연관된 발신음 1 그리고 연관된 몇몇 배경 모습을 구비한 첫 번째 사용 프로파일 "홈 (home)", 연관된 발신음 2를 구비한 두 번째 사용 프로파일 "사무실" 그리고 연관된 발신음 3을 구비한 세 번째 사용 프로파일 "미팅"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발신음 3은 예를 들면, "묵음 (mute)" 또는 "비프 (beep)"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315)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른 사용자 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하고 그리고 상기 프레즌스 서버 (3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즌스 서버 (320)는 예를 들면 도 2의 지원 인에이블러들 (210) 중의 하나에 속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레즌스 서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인에이블러-특정 서버 (105)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레즌스 서버 (320)는 프로세서 (321), 메모리 (322) 및 인터페이스 (325)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321)는, 상기 메모리 (322)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며 그 메모리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23)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메모리 (322)는 프레즌스 정보와 각 사용자를 위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들을 저장하기 위한 추가의 데이터베이스 (32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인터페이스 (325)는 사용자 기기 (31)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그리고 공유 정책 XDMS (320)을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유 정책 XDMS (330)는, 예를 들면, 도 1의 공유 XDMS들 (103)의 공유 정책 XDMS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도 2의 CPM 기능 센터 (202)에 의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공유 정책 XDMS (330)는 프로세서 (331), 메모리 (332) 및 인터페이스 (335)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331)는, 상기 메모리 (332)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며 그 메모리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23)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메모리 (332)는 사용자 액세스 정책들에 대한 정책 규칙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33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규칙들은 통신 요청들에 적용될 수 있다. 각 규칙은 합치될 조건들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들 및/또는 통신 콘텐트 변환 또는 정의된 조건들이 합치되는 경우를 위한 시그날링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실행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3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334) 내에 상기 규칙들을 저장하는 것을 지원하고 그 저장된 규칙들을 요청 엔티티로 제공하는 것을 지원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335)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를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는 예를 들면, 도 2의 CPM 기능 센터 (202)에서의 CPM 서버로서 구현된, 도 1의 인에이블러-특정 서버 (105)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는 PoC 서버 또는 IM 서버 등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는 프로세서 (341), 메모리 (342) 및 인터페이스 (345)를 또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341)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23)을 실행시킬 수 것이며, 그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상기 메모리 (342)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며 그 메모리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43)은, 음성, 비디오나 메시징 세션들과 유사한 실시간 통신 연결들을 관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345)는 프레즌스 서버 (320)와 공유 정책 XDMS (330)를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엔티티들은 다음과 같이 상호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313)을 실행시키는 상기 프로세서 (311)는 기기 (310)의 사용자가 정의된 사용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를 액티브 프로파일로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액티브 프로파일은 사용자 기기 (310)를 위해 특별히 또는 사용자의 복수의 기기들을 위해 특별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프로파일 "미팅"을 액티브 프로파일로서 선택했다. 일단 사용자가 액티브 프로파일이 되도록 어떤 사용 프로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313)는 상기 메모리 내의 이 사용 프로파일의 상태 파라미터를 값 "액티브"로 설정한다. 추가로,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313)는 액티브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를 결정한다. 상기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사용자가 그 통신 유형에 대해 현재 이용가능한가 그리고 그 사용자가 지원할 용의가 있는 통신 유형인가와 같은 통신 유형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 "미팅"은 오직 SMS, MMS 그리고 이메일이 존재하는 것에 연관되는가 그리고 SMS가 선호하는 유형의 통신인가에 관해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313)는 미리 정해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를 포함하는 프레즌스 정보와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조립하며 그리고 인터페이스 (315)를 경유하여 프레즌스 서버로 향하는 전송을 일으키게 한다.
상기 프레즌스 서버 (320)는 그 자신의 인터페이스 (325)를 경유하여 상기 조립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 (321)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323)을 실행시켜서, 상기 수신한 메시지 내의 정보에 따라서 메모리 (322) 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현재의 상황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프레즌스 정보에서 SMS, MMS 및 이메일을 위해서 이용 가능하다고 표시된다. SMS는 현재 선호되는 통신 유형이 될 것으로 추가로 설정되고 "우선순위 = 1"이라는 표시를 구비하여 제공된다.
또한, 파라미터 "액티브 프로파일"은 "미팅"으로 설정된다. 액티브 프로파일이 기기 (310)의 사용자의 복수의 기기들에 대해 유효하면, 파라미터 "액티브 프로파일"은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사람> 주 엘리먼트 (main element)에 대해 "미팅"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이 기기 (310)에 대해서 특별하게 유효한 경우, 상기 파라미터 "액티브 프로파일"은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기기> 주 엘리먼트에서 "미팅"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그 사용자의 다른 기기들에 대한 액티브 프로파일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연관된 <기기> 엔트리에서 다른 값, 예를 들면 "홈"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기기가 사용자 기기 (310)과 통신할 것을 요청할 때에, 이 요청은 요청된 통신 유형을 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에 의해 프로세스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의 실행된 프로그램 코드 (343)는 미리 정의된 정책 규칙들을 적용함으로써, 통신 요청에 대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이런 규칙들은 실행된 프로그램 코드들 (343)에 의해 공유 정책 XDMS (330)로부터 페치 (fetch)된다. 그 규칙들은 상기 통신 요청이 향하는 기기 (310)의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하나의 선택 기준으로서 이용한다. 그 규칙들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는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들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프레즌스 서버 (320)로부터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추가로 페치한다. 공유 정책 XDMS (330)으로부터 정책 규칙들을 페치하는 것은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333)에 의해 지원되며, 프레즌스 서버(320)로부터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페치하는 것은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323)에 의해 지원된다. 제시된 상황에서, 상기 페치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는 액티브로 될 프로파일 "미팅"을 나타낸다.
액티브 프로파일 "미팅"을 구비하여, 예를 들면, 첫 번째 규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규칙은 주소가 부여된 파티 (party)의 액티브 프로파일이 "미팅"인 조건 하에서 사용되도록 정의될 수 있을 것이어서, 그 요청은 상기 주소가 부여된 파티의 URI 목록에서와 같이 등록된 "친구"로부터이며, 그리고 요청 유형은 "음성"이다. 이런 조건들이 합치되면, 적용된 동작들은 그 요청을 수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적용된 변환들은 호출을 음성 메일로 형식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주소가 부여된 파티의 액티브 프로파일이 "미팅"인 조건에 대한 다른 규칙들은 예를 들면 친구들이 아닌 다른 요청 엔티티들에 대해서 그리고/또는 음성이 아닌 다른 통신 유형들에 대해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규칙들은 "미팅"이 아닌 다른 액티브 프로파일들의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그 규칙들은, 예를 들면, 주소가 부여된 파티의 액티브 프로파일이 "홈"인 조건 하에서 사용될 수 있을 규칙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조건이 합치되면, 적용된 기능들은 상기 요청을 수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적용된 변환들은 그 요청을 액티브 프로파일이 "홈"일 때에 사용될, 주소가 부여된 파티의 사용자 기기로 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규칙들은 다른 조건 배열들에 따라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시스템은 또 다시 사용자 기기 (410), 프레즌스 서버 (420), 공유 정책 XDMS (43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440)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도 3의 사용자 기기 (310), 프레즌스 서버 (320), 공유 정책 XDMS (33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와 유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상기 시스템은 추가로 저장 엔티티 (45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 엔티티 (450)는 예를 들면 공유 XDMS들 (103)의 공유 프로파일 XDMS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인에이블러 특정 XDMS (104)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 시스템에서, 상기 저장부 엔티티 (450)는 상기 지원 인에이블러 엔티티 (210)에 의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CPM 사용자 선호 엔티티 (206)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저장부 엔티티 (450)는 프로세서 (451), 메모리 (452) 및 인터페이스 (455)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451)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453)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상기 메모리 (452)에 저장되고 그 메모리로부터 인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리는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45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여러 개의 기기들을 구비하는 경우,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는 사용자의 모들 기기들에 공통인 것과 연관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각 기기마다 개별적으로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455)는 사용자 기기 (410)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와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440)를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4의 엔티티들은 다음과 같이 상호 작용할 것이다:
사용자 기기 (31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사용자 기기 (410) 또한 사용자가 정의된 사용 프로파일들 중의 하나를 액티브 프로파일로서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프로파일 "미팅"을 액티브 프로파일로서 다시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프로파일의 상태 파라미터는 값 "액티브"로 설정된다. 추가로, 상기 사용자 기기 (410)는 상기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를 유도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그 프레즌스 정보를 공표 (publication)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기기 (410)는 결정된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를 포함하는 프레즌스 정보만을 상기 프레즌스 서버 (420)로 전송한다. 추가로, 상기 사용자 기기 (410)는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상기 저장부 엔티티 (450)로 전송한다.
상기 프레즌스 서버 (420)는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들은 이 경우에는 상기 프레즌스 서버 (42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부 엔티티 (450)는 자신의 인테페이스 (455)를 경유하여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453)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에 따라서 메모리 (452)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현재의 예에서, 파라미터 "액티브 프로파일"은 "미팅"으로 설정된다. 그런 파라미터는 기기 (410)의 사용자를 위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이 사용자의 모든 기기들에 대하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그런 파라미터는 상기 기기 (410)를 위해 특별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반면에, 그 사용자의 다른 기기들을 위한 액티브 프로파일 파라미터는 다른 값, 예를 들면 "홈"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기기가 사용자 기기 (410)와의 통신을 요청할 때에, 이 요청은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선택 기준으로 사용하는 미리 정의된 규칙들에 따라서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440)에 의해 프로세스 된다. 통신 요청을 수신할 때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440)는, 미리 정의된 규칙들 중에서 적절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먼저 상기 공유 정책 XDMS (430)로부터 정책 규칙들을 페치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 (410)를 위해 상기 저장부 엔티티 (450)로부터 액티브 프로파일을 페치하며, 그리고, 연관된 동작들 그리고 변환들을 적용한다.
도 3 및 도 4 모두에서, 통신 (음성, 비디오, 메시징 등)을 설립하기 위해 SIP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데이터 저장부 서버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XCAP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인입 (incoming) 요청 처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 (510, 520)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며, 상기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은 상이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동작되며,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들 중의 두 네트워크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각각의 블록 (511, 512)에 요약되어 있다. 각 네트워크는 프레즌스 서버 (PS) (512, 522)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520)에 대해서, 추가로 SIP 애플리케이션 서버 (AS) (523)과 공유 정책 XDMS (524)가 도시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 (IMS)에 속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모바일 기기들이 상기 네트워크들에 부착된다. 모바일 기기 (531)는 네트워크 (510)에 부착되고, 모바일 기기들 (532, 533 및 534)은 네트워크 (520)에 부착디며, 그리고 모바일 기기 (535)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네트워크에 부착된다. 모바일 기기들 (532, 533)은 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기기 (531 - 535)는 자신의 프레즌스 정보를 공표한다 (publish). 그 정보는 기기의 홈 네트워크의 프레즌스 서버로 전달된다. 이는 도 5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들 (532, 533)에 의해 공표된 프레즌스 정보는 프레즌스 서버 (522)로 공급된다 (각각 참조번호 11 및 12의 점선 화살표). 수신된 프레즌스 정보는 프레즌스 서버 (512, 522)에 저장된다. 프레즌스 정보의 콘텐트는,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기기 (310)에 대해 설명된 것과 같이,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기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이 있으면 프레즌스 공표는 자동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기 때문에, 기기 (531 - 535)의 사용자 (=프레즌티티)는 프레즌스 정보를 최신으로 유지할 것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
상기 모바일 기기들 (531 - 535)에 의해 결정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는 상기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공표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상기 프레즌스 서버들 (512, 522)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상기 프레즌스 서버들 (512, 522)은 상기 수신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 역시,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즌스 서버 (320)에 대해 설명된 것처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는, 사용자의 복수의 기기들에 관하여 결합된 세팅을 위해 (예를 들면, <사람> 주 엘리먼트의 일부로서) 프레즌스 서버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기 특정 세팅을 위해 (예를 들면, <기기> 주 엘리먼트의 일부로서) 프레즌스 서버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결합된 세팅과 기기 특정 세팅 둘 다를 위해, 프레즌스 서버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상이한 기기들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액티브 프로파일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된 세팅이 사용자의 결정을 기반으로 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기기들 중의 오직 하나만이 그 정보를 공표하도록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기기 (531 - 535)는 프레즌스 서버에 의한 저장을 위해 프레즌스 정보만을 공표할 수 있을 것이며, 저장을 위해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몇몇의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공유 프로파일 정보로서 공유 사용자 프로파일 XDMS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대안으로, 기기는 저장을 위해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만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마지막 대안은 특히 기기 구현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또는 어떤 프레즌스 정보도 공표하지 않겠다는 사용자의 바람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모바일 기기 (531 - 535)는 다른 사용자들의 프레즌스를 알기 위해 그 다른 사용자들 또는 다른 기기들의 프레즌스 정보를 또한 구독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들은 구독이 설립되는 다른 기기의 프레즌스 정보에서의 각 변경마다 통보를 받는다. 도 5에서, 상기 구독은 기기들 (531 - 535)과 프레즌스 서버들 (512, 522) 사이에서의 파선 화살표들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 (531)는 프레즌스 서버 (522)를 이용하여 (파선 화살표 21) 모바일 기기 (533)의 프레즌스 정보를 구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시스템에서의 통신들을 위한 요청들은 SIP 메시지들을 이용하며, 이는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다.
모바일 기기 (531)가 특정 유형의 통신을 위해서 특정한 사용자의 기기 (532)의 프레즌스에 관하여 프레즌스 서버 (522)에 의해 통보받고 사용자 (532)의 사용자와 접촉하기를 바랄 때에, 그 모바일 기기는 통신을 위한 SIP 요청을 네트워크 (510)로 송신한다 (실선 화살표 31). 그 요청은 네트워크 (510)의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 (511)에 의해 네트워크 (520)의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521)로 라우팅된다 (실선 화살표 32).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52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에 접촉한다 (실선 화살표 33).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정의된 사용자 액세스 정책들을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520)에서 실시간 통신 접속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도 3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340)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인입하는 (incoming) 요청을 어떻게 처리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공유 정책 XDMS (524)로부터 정책 규칙들을 페치하고 (이중 파선 화살표 41) 모바일 기기 (532)에 대한 액티브 프로파일 표시를 프레즌스 서버 (522)로부터 페치한다 (이중 파선 화살표 42). 상기 공유 XDMS (524)는 도 3의 공유 정책 XDMS (330)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이 "미팅" 프로파일이거나 또는 "묵음" 프로파일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구현된 규칙들에 따라 상기 요청을 음성 메일이나 메시지 저장부와 같은 다른 주소 또는 저장부로 포워딩할 것을 필요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상기 표시된 액티브 프로파일 그리고 시작한 주체 (originator)의 신원을 기반으로 하여, 미리 정의된 응답을 그 시작한 기기 (531)로 송신하여 상기 요청을 거부하도록 또한 요청받을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대안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 (532)로 텍스트 기반의 통지만을 배송함으로써, 상기 표시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콘텐트를 조절하도록 또한 요청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필요할 수 있을, 가능한 추가의 처리를 제시한다. 모바일 기기 (53)에 대한 현재의 액티브 프로파일과 함께,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예를 들면, 기기 특정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들을 평가함으로써, 기기 (532)로의 통신 요청을 사용자의 복수의 기기들 (532, 533) 중의 적절한 기기로 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제시된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523)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521)로 하여금 그 요청을 참조번호 532의 모바일 기기 대신에 참조번호 533의 모바일 기기로 라우팅하도록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2의 메시지 & 미디어 저장부 엔티티 (202)는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시지 & 미디어 저장부 엔티티 (202)는 저장된 항목들에 관련된 통보를 사용자의 기기로 언제 그리고 어떻게 송신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 정보를, 예를 들면, 사용자 선호 정보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시지 & 미디어 저장부 엔티티 (202)는, 예를 들면, 통보가 특정 기기들에게로만 송신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조작 기능들을 구비한 어떤 다른 데이터 저장부도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은 기기 프로파일 정보와 그 프로파일 정보의 구조가 그와 같이 미정의된 상태인 것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현재의 독점의 기기 프로파일 솔루션들을 이용하고 그리고 그 액티브 프로파일 정보를 공표하거나 저장하기만 하는 기능으로 그 솔루션들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사용자 선호 유형의 정보 그리고 액티브 프로파일 정보를 공표/저장하는 것 두 가지 모두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를 대신한 사용자 기기들에 의해) 설정되기 때문에, 그 표시는 선호 세팅들과 합치하며, 그리고,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들의, 예를 들면, 고정된 집합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자유스럽게 새로운 프로파일들을 생성할 수 있는 구현들과 또한 양립한다.
메모리 (342)로부터의 프로그램 코드들 (343)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 (341)에 의해 예시되는 기능들은, 상이한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위한 액티브 프로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리고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또한 보여질 수 있다. 메모리 (342)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들 (343)은 기능적인 모듈들의 모습인 그와 같은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보여질 수 있다.
메모리 (312)로부터의 프로그램 코드들 (313)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 (311)에 의해 예시되는 기능들은,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 [상기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에 대한 상기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또한 보여질 수 있다. 메모리 (342)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들 (343) 역시 기능적인 모듈들의 모습인 그와 같은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메모리 (312)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 코드들 (313)은 기능적인 모듈들의 모습인 그와 같은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적용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이며 신규한 특징들이 보여지고 설명되며 지적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기기들과 방법들의 모습과 상세한 내용들에서의 다양한 생략 및 대체 및 변경들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결과들을 획득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그런 엘리먼트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을 결합한 모든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명시적으로 의도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임의의 개시된 형상 또는 실시예와 연결하여 도시되고 그리고/또는 설명된 구조들 및/또는 엘리먼트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은 일반적인 설계 선택의 문제로서 어떤 다른 개시된 또는 설명이 된 또는 제시된 모습이나 실시예에서 병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 표시된 것으로만 제한될 것이라는 것이 의도이다. 더 나아가, 청구항들에서의 means-plus-function 절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구조들이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그리고, 구조적으로 등가인 것만이 아니라 동등한 구조들을 커버하려고 의도된 것이다.

Claims (32)

  1.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 (element)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 (active profile)의 표시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규칙에 대한 조건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을 위한 액세스 제어에 대한 조건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청 필터링 동작을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될 통신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언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어떻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통신 요청이 있을 때에 복수의 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가 통신에서 사용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장치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컴포넌트 (component)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에 속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규칙에 대한 조건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을 위한 액세스 제어에 대한 조건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통신 요청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청 필터링 동작을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될 통신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언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어떻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배송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통신 요청이 있을 때에 복수의 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가 통신에서 사용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인, 장치.
  18. 제9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open mobile alliance) 정책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 관리 서버;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복합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징 기능 센터 (open mobile alliance converged internet protocol messaging capability center);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메시지 및 매체 저장 엔티티;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정책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문서 관리 서버용의 컴포넌트;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복합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징 기능 센터용의 컴포넌트; 또는
    개방 모바일 얼라이언스 메시지 및 매체 저장 엔티티용의 컴포넌트;
    중의 하나인, 장치.
  19. 제9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에 속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9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21.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엘리먼트 (element)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용의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액티브 프로파일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의 동작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3.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 (presence information content)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기기에서 사용하며 [상기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나타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표시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상기 표시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6.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presence information)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컴포넌트 [상기 프레즌스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나타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표시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전송을 하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 전화기인, 장치.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로의 상기 프레즌스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기.
  31.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제23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선택된 액티브 프로파일을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 (presence information content)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기기에서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즌스 정보 콘텐트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기기의 사용자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07008971A 2007-09-26 2008-07-29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 KR20100057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04,618 US20090080404A1 (en) 2007-09-26 2007-09-26 Active profile selection
US11/904,618 2007-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096A true KR20100057096A (ko) 2010-05-28

Family

ID=3988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971A KR20100057096A (ko) 2007-09-26 2008-07-29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80404A1 (ko)
EP (1) EP2191632A1 (ko)
KR (1) KR20100057096A (ko)
CN (1) CN101861723A (ko)
TW (1) TW200920059A (ko)
WO (1) WO2009040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7428B2 (en) 2006-11-30 2012-12-04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ing linked accounts
US8196092B2 (en) * 2007-06-14 2012-06-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XSL dialog modules
US8914508B2 (en) * 2007-11-30 2014-1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XML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
KR101414373B1 (ko) * 2008-02-13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US20110061008A1 (en) 2008-04-07 2011-03-10 Microsoft Corporation Single device with multiple personas
CA2740033C (en) * 2008-10-16 2015-09-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heduling policy and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presence access layer
WO2010082803A2 (en) * 2009-01-19 2010-07-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 based on cpm service and server thereof
US9357384B2 (en) 2009-02-09 2016-05-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identity theft protection as part of a distributed service oriented ecosystem
WO2010148116A2 (en) *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dynamic address book application
EP2443812A1 (en) * 2009-06-19 2012-04-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orward docume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325208A1 (en) * 2009-06-19 2010-12-23 Suresh Chitturi Methods and apparatus to forward docume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208813A1 (en) * 2009-06-30 2011-08-25 Nortel Networks Limited Personal status communications manager
EP2457172A2 (en) * 2009-07-20 2012-05-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use a network repository as a proxy to exchange converged address book service requests and responses
US20110214051A1 (en) * 2009-09-04 2011-09-01 Dejan Petronijevic Methods and apparatus to subscribe for change notifications in a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9794356B2 (en) 2011-01-12 2017-10-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licy management
CN102769634B (zh) * 2011-05-03 2016-08-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web在线信息管理方法及系统
US20160098577A1 (en) * 2014-10-02 2016-04-07 Stuart H. Lace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Based Permissioning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US20180295019A1 (en) * 2015-11-06 2018-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Technique for a Network El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0180B2 (en) * 2001-04-05 2006-01-2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Short voice message (SVM)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7522910B2 (en) * 2002-05-31 2009-04-2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provided to a mobile device
US20040203659A1 (en) * 2002-12-06 2004-10-14 Mikan Jeffrey Clinto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instant messaging presence relative to a calendar function
EP1434409A1 (en) * 2002-12-23 2004-06-30 Koninklijke KPN N.V. Setting user preferences via a mobile terminal
US20050037762A1 (en) * 2003-08-15 2005-02-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native routing of text based messages o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CN1794652B (zh) * 2005-11-09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置呈现体配置信息的方法、系统、服务器及单元
KR101232434B1 (ko) * 2005-11-15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PoC 시스템에서 동시 다중 세션 PoC 멀티미디어서비스 제공 방법과 단말기 및 그 시스템
KR20070108311A (ko) * 2005-11-15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CN100563196C (zh) * 2005-11-25 2009-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系统和在通信系统中查询信息的方法
US8254537B2 (en) * 2006-02-03 2012-08-2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presence attribute
US20070280453A1 (en) * 2006-05-30 2007-12-0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ccess network information to a service
WO2008016263A1 (en) * 2006-08-01 2008-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preference profile
WO2008130282A1 (en) * 2007-04-19 2008-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profiles in a multimedia servic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80404A1 (en) 2009-03-26
CN101861723A (zh) 2010-10-13
EP2191632A1 (en) 2010-06-02
TW200920059A (en) 2009-05-01
WO2009040167A1 (en)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7096A (ko) 액티브 프로파일 선택
US93632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presence information to provide a simplified unified presence
KR101635906B1 (ko) 통신 이력 제공 방법
EP1397923B1 (en) Mobile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EP1759513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to enable querying of resources in a certain context by defining a sip event package
US9357026B2 (en) Presentity authorization of buddy subscri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2170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of presence information regarding one or more telephony devices
US201203240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s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messaging ser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
US8458309B2 (en) Orthogonal subscription
RU2477014C2 (ru) Способ группового оповещения в службе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на основе протокола инициации сеанса связи &#34;sip&#34;
EP216673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presence information to provide a simplified unified presence
CN101388837A (zh) 路由选择方法、业务网络、网络设备及终端
KR20090087790A (ko)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EP28765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ocial relationship in a social service providing system
US2010028577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JP6254530B2 (ja) 連絡先情報の購読を招待する装置及び方法
US9571563B2 (en) Handling a shared data object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87791A (ko) 비통합메시징 서비스와 인터워킹하기 위한 통합메시징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84225B1 (ko) 프리즌스 시스템에서의 폰북 어드레스(pba) 기반의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616134A (zh) 一种信息呈现方法、系统和装置
WO2009054614A1 (en)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cpm service and a non-cpm service
Zhang et al. Inter-working between SIMPLE and IMPS
KR100668362B1 (ko) 이기종 프리젠스 시스템간의 친구목록 정보를 교환할 수있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Boonlert et al. Design Framework and Architecture of Unified Presence Service
WO2010075870A1 (en) Filtering of user availability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