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028A -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028A
KR20100056028A KR1020080114982A KR20080114982A KR20100056028A KR 20100056028 A KR20100056028 A KR 20100056028A KR 1020080114982 A KR1020080114982 A KR 1020080114982A KR 20080114982 A KR20080114982 A KR 20080114982A KR 20100056028 A KR20100056028 A KR 2010005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ing
extracted
string
touch sig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028A/ko
Publication of KR2010005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키 입력이 감지되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 모드에서 상기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드래그,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extracting information with touch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문자열 추출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각종 휴대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기능면에서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전통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 멀티미디어, 무선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의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새롭게 부가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폰 북 기능, 메모장 기능 및 휴대단말기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나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내용을 다른 휴대단말기로 송신하거나, 메모장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있는 전화번호나 계좌번호와 같은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해서 해당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 혹은 폰 북 기능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한 후 특정 문자열을 저장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전화번호나 계좌번호와 같은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열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입력을 통해 추출되는 문자열을 적용하여 통화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된 문자열을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키 입력이 감지되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 모드에서 상기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시하고, 드래그 이동을 통해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키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추출키 입력이 감지되면 문자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추출되는 문자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 발신함으로서 간편하게 전화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를 통해 실행 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방송 데이터 서비스 및 폰 북 기능 등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문자열'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내용 중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추출되는 특정 내용을 의미한다. 문자열은 화면상 에 블록화 되어 추출되고, 숫자, 글자, 알파벳 및 특수기호 등으로 구분되어 분석된다. 이 후, 문자열은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실행 될 수 있다. 이 때, 문자열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및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출되는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단말기 및 UMTS(Universi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단말기등과 같은 휴대단말기 및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터치스크린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110)는 터치센서(112)와 표시창(114)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부(110)의 터치센서(112)는 터치 감지부(미도시)와 신호 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터치 감지부는 터치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의 발생을 감지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터치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경우, 터치스크린 부(110)는 입력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터치센서(112)는 휴대단말기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모드 실행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112)는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과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창(114)은 휴대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창(114)은 액정 디스플레이 (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되며, LCD 제어부와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특히, 표시창(114)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 어플리케이션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및 추출되는 문자열을 적용하여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추출키, 메뉴 키 및 통화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특히, 입력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모드 실행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0)는 통화키 신호가 입력되면, 추출된 문자열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추출되는 문자열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단말기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드래그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영역은 추출되는 문자열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 때, 문자열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은 문자열에 포함된 글자, 숫자, 알파벳 및 특수 기호를 분석하여 구분함으로서,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으로 판단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문자열을 추출한 후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문자열을 지정하기 위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과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이 저장된다.
무선통신부(140)는 휴대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필요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무선통신부(140)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문자 메시지 서비스 실행 신호가 감지되면, 기지국과 통신을 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추출되는 문자열로 통화 연결하는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발신할 수 있도록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문자열 추출 모드에 대한 실행 신호를 입력부(120)로부터 전달 받는다. 추출 모드 실행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터치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모드를 활성화 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을 추출하는 터치 신호로서 드래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면, 드래그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좌표 값들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면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까지 드래그 이동에 의해 블록화 되는 문자열을 추출한다.
제어부(100)는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로서 플릭(Flick) 신호 및 스윙(Swing)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 입력을 감지 할 수 있다.
문자열이 추출된 화면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되는 숫자, 한 글, 알파벳 및 특수 기호 등을 구분하여 분석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숫자와 특수 기호만으로 구성된 문자열일 경우 해당 문자열이 전화번호나 계좌번호를 나타내는 문자열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특수 기호와 숫자를 분리하고, 숫자의 자리 수, 국번, 지역번호 및 이동통신사 번호 등으로 비교하여 전화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계좌번호 정보와 문자열을 비교하여 계좌번호 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한글, 알파벳 또는 숫자로만 구성된 문자열을 일반 문장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문자열이 분석되면, 해당되는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팝업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분석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인 경우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폰 북에 저장하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통화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문자열이 한글, 알파벳 또는 숫자로만으로 구성된 일반 문장인 경우 메모장에 저장하기, 이메일로 보내기 및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분석된 문자열이 계좌번호인 경우,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이메일로 전송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입력되는 통화키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문자열을 분석하여, 상기 문자열이 전화번호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특수 기호와 숫자를 분리하고, 숫자의 자리 수, 국번, 지역번호 및 이동통신사 번호 등으로 비교하여 전화번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이 전화번호이면,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부(1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방송 데이터 서비스 및 폰 북에 저장하기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문자열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관한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201단계에서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으로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및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숫자, 한글, 알파벳 및 특수 기호를 포함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203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모드를 활성화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추출 모드 활성화를 위한 입력부(120)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로는 휴대단말기의 입력 부(120)의 키패드에 포함되는 추출키 및 터치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추출키의 신호가 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2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터치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S207단계에서 화면에 터치 신호가 입력된 후,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면, 드래그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좌표 값들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면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저장하고,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까지 드래그 이동에 따라 블록화 되는 문자열을 추출한다.
문자열 추출 후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209단계에서 블록화 된 문자열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통화키 입력이 감지되면,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고, 상기 문자열이 전화번호일 경우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을 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00)는 문자열을 숫자, 한글, 알파벳 및 특수 기호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분석된 문자열을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숫자의 자리수, 국번, 지역번호 및 이동통신사 번호 등을 구분하여 유선 전화번호와 무선 전화번호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분석된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인 경우 폰 북에 저장하기,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및 통화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이 일반 문장인 경우 메모장에 저장하기, 이메일로 보내기 및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장이 계좌번호인 경우,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이메일로 전송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 S3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303단계에서 문자열 추출을 위한 추출 모드 실행에 대한 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추출 모드 실행에 대한 입력 신호로서, 특정 추출키나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터치 입력 신호가 있을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문자열 추출을 위한 문자열 추출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305단계에서 터치 신호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화면에 터치되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통해 터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07단계에서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한편, 드래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309단계에서 일정 시간 이상 화면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일정 시간의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일정 시간 이상 경과하면, 제어부(100)는 S31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문자열 추출에 대한 활성화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즉, 제어부(100)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계속 표시한다. 한편,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0)는 문자열 추출 모드 활성화를 수행하는 단계로 되돌아가서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이동이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00)는 S313단계에서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드래그 이동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15단계에서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부터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는 좌표 값 내에 있는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한다.
제어부(100)는 S317단계에서 드래그 이동 종료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 종료 신호로서, 드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면, 제어부(100)는 S319단계에서 드래그 이동이 종료된 좌표 값을 획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까지 드래 그 이동에 의해 블록화 되는 문자열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 내에 재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의한 드래그 이동을 문자열 추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 후 발생하는 드롭 신호가 감지되어도 이를 드래그 이동 종료 신호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00)는 재입력되는 드래그 이동을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다수 개의 문장을 문자열로 추출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고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최초 터치 신호 입력과 드래그 이동에 의해 블록화 된 문자열 추출을 해제하고, 다시 입력되는 터치 신호와 드래그 이동에 따른 좌표 값들에 해당되는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하여 재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321단계에서 문자열이 추출된 후 화면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23단계에서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글자, 숫자, 알파벳 및 특수 기호 등을 구분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을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숫자의 자리수, 국번, 지역번호 및 이동통신사 번호 등을 구분하여 유선 전화번호와 무선 전화번호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드래그 신호에 의해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입력되 는 터치 신호로는 플릭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다양한 터치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이 분석되면, 제어부(100)는 S325단계에서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팝업창 형태로 화면에 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문자열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폰 북에 저장하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통화하기 등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문자열이 계좌번호로 판단되면,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이메일로 전송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문자열이 일반 문장으로 판단되면,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이메일로 전송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327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한편, 터치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329단계에서 통화키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통화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3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글자, 숫자, 알파벳 및 특수 기호 등을 구분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을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자열 분석이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S333단계에서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인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문자열에 포함된 숫자의 자리수, 국번, 지역번호 및 이동통신사 번호 등을 구분하여 유선 전화번호와 무선 전화번호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통화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추출 모드 실행에 대한 기능 수행을 종료할 수 있다.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S335단계에서 추출된 문자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 발신을 한다. 한편,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S337단계에서 추출된 문자열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팝업창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에서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문자 메시지의 내용에는 다른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출키(401) 입력을 감지하고, 문자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기 위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403)과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405)을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403)부터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405)까지 이동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좌표 값들(403, 405) 사이에 해당하는 문자열(407)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의해 선택되는 좌표들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409)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신호(409)로는 플릭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다양한 터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409)가 감지되면,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시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팝업창(411)으로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통화하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폰 북에 저장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문자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장 기능이나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메모에서 문자 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메모장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메모장의 내용에는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출키(501) 입력을 감지하고, 문자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메모장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계좌번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에 표시된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전체 문장을 추출하기 위해 입력되는 터치 시작 좌표 값(503)부터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513)을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 종료 신호로서 화면에 터치 입력 중지되는 드롭 신호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좌표 값들(503 내지 513) 사이에 해당하는 문장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의 문자열(515)로 블록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에 표시된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전체 문장을 추출하기 위한 터치 신호가 입력 후 발생하는 드래그 이동과 드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드롭 신호가 발생하고 일정 시간 내에 재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재입력되는 시간을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시 신호와 다수개의 문장을 추출하기 위한 신호를 구분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드롭 신호 발생 후 감지되는 일정 시간 내에 재입력 되는 터치 신호를 문자 메시지에 표시된 내용 중에서 다 수개의 문장을 문자열로 추출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고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최초 터치 신호 입력과 드래그 이동에 의해 블록화 된 문자들을 문자열로 추출하지 않고, 다시 입력되는 터치 신호와 드래그 이동에 따른 좌표 값들에 해당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하여 문자열로 재 추출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의해 선택되는 좌표들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521)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신호(517)로는 플릭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다양한 터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517)가 감지되면, 문자열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시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에 해당하는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팝업창(519)으로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문자 메시지로 보내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및 이메일로 보내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문자열에 해당하는 계좌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메모장 기능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나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통화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문자 메시지의 내용에는 다른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출키(601) 입력을 감지하고, 문자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기 위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603)과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605)을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603)부터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605)까지 이동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좌표 값들(603, 605) 사이에 해당하는 문자열(607)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통화키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통화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여, 상기 문자열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로 확인되면, 제어부(100)는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화키 입력에 따라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통화 발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문자 메시지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은 메모장 기능이나 방송 데이터 서비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방송 데이터 서비스 실행 화면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방송 데이터 서비스 화면에는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출키(701) 입력을 감지하고, 문자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기 위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703)과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705)을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드래그 신호 시작 좌표 값(703)부터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705)까지 이동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좌표 값들 사이에 해당하는 문자열(707)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드래그 이동에 의해 선택되는 좌표들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709)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신호(709)로는 플릭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다양한 터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709)가 감지되면, 문자열을 이용 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시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에 따라 문자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팝업창(711)으로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통화하기, 메모장에 저장하기,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및 폰 북에 저장하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방송 데이터 서비스에 포함된 내용 중 전화번호 추출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지만, 방송 데이터 서비스 화면에 포함되는 내용 중 일반 문장이나 계좌번호도 문자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일반 문장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및 방송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추출되고, 일반 문장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이메일로 전송하기 및 메모장에 저장하기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관한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에서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메모에서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통화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방송 데이터 서비스 실행 화면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UI.

Claims (17)

  1.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키 입력이 감지되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 모드에서 상기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문자열이 추출된 후 상기 화면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팝업창으로 표시하고, 상기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통화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및 방송 데이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에 터치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에 해당하는 문자부터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에 해당하는 문자까지 순차적으로 블록화 하여 상기 문자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드래그 이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다수 개의 문장을 문자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고 입력되는 터치 신호와 드래그 이동에 따른 좌표 값들에 해당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하여 문자열로 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 후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는 숫자, 글자, 알파벳 및 특수기호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열을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10.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시하고, 드래그 이동을 통해 문자열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키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추출키 입력이 감지되면 문자열 추출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이동에 따라 문자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 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열이 추출된 후 상기 화면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팝업창으로 표시하고, 상기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열이 추출되고 나서 통화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추출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문자열이 전화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모장 기능 및 방송 데이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터치 입력되는 터치 신호 시작 좌표 값에 해당하는 문자부터 드래그 이동 종료 좌표 값에 해당하는 문자까지 순차적으로 블록화 하여 상기 문자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이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다수 개의 문장을 문자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이동이 종료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고 입력되는 터치 신호와 드래그 이동에 따른 좌표 값들에 해당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블록화 하여 문자열로 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는 숫자, 글자, 알파벳 및 특수기호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기 문자열을 전화번호, 계좌번호 및 일반 문장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장치.
KR1020080114982A 2008-11-19 2008-11-19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KR20100056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82A KR20100056028A (ko) 2008-11-19 2008-11-19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82A KR20100056028A (ko) 2008-11-19 2008-11-19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028A true KR20100056028A (ko) 2010-05-27

Family

ID=4228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982A KR20100056028A (ko) 2008-11-19 2008-11-19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0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783A1 (ko) * 2013-06-25 2014-12-31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99892B1 (ko) * 2014-09-2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783A1 (ko) * 2013-06-25 2014-12-31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60023661A (ko) * 2013-06-25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0078444B2 (en) 2013-06-25 2018-09-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1599892B1 (ko) * 2014-09-2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897B2 (en) Identification of candidate characters for text input
KR10053728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US8908973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nterface
USRE46139E1 (en) Language input interface on a device
KR101395480B1 (ko)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100770936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824428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09074047A1 (fr) Procédé, système, dispositif et terminal pour la correction d'erreur d'écran tactile
WO2010150764A1 (ja) 携帯端末、言語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言語設定方法
CN103106026A (zh) 用于具有触摸屏的移动终端的数据输入方法和装置
US20100241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KR20100127525A (ko)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US20090225034A1 (en) Japanese-Language Virtual Keyboard
CN105589642B (zh) 掌上型电子装置的输入法自动切换系统及方法
US20140240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
US2012025253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60543B1 (ko)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단말기
WO2006060263A2 (en) A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deographic character input
KR20100056028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 신호를 이용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US9014762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2010055434A (ja) 表示機器
KR1014312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CN112034995B (zh) 输入法输入界面的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5529325B2 (ja) 表示機器及び表示方法
KR10074142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기능의 바로가기 서비스를 구현하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9

Effective date: 2015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