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292A - 고주파 침봉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침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292A
KR20100055292A KR1020080114293A KR20080114293A KR20100055292A KR 20100055292 A KR20100055292 A KR 20100055292A KR 1020080114293 A KR1020080114293 A KR 1020080114293A KR 20080114293 A KR20080114293 A KR 20080114293A KR 20100055292 A KR20100055292 A KR 2010005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needle
generated
frequency generato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382B1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제중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중메디칼 filed Critical (주)제중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11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3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재생 및 치료 등을 위한 고주파 침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에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피부에 삽입되는 침에 고주파를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상기 고주파를 바이폴라 구동방식으로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상기 고주파를 단 펄스 또는 복합 펄스로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피부, 재생, 치료, 고주파, 침봉기, 시술침, 바이폴라, 복합 펄스

Description

고주파 침봉기{Aparatus for high frequency micro needle}
본 발명은 고주파 침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재생 및 치료 등을 위한 고주파 침봉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침을 이용한 미용도구 또는 의료기 들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로서, MTS 또는 더마롤러는 마이크로 니들 테라피 라고도 불리우며, 여러개의 바늘이 달린 간단한 미용도구이며 독일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이러한 침을 이용한 기기(이하 침봉기라 한다.)는 여드름 및 흉터의 움푹 들어간 부위의 피부 콜라겐을 자극하여 피부재생이 이루어진다.
또한, 바늘이 피부 밑 콜라겐층을 자극하게 되며 새로운 콜라겐 형성을 촉진하게 되어 주름살 제거 및 피부 탄력을 회복하게 된다.
또한, 피부 미백 효과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봉기는 피부에 단순히 침을 삽입하는 물리적인 힘만을 가하여 자극을 주거나 일정 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그 이상으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에 삽입되는 침에 고주파를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고주파 침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를 바이폴라 구동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를 단 펄스 또는 복합 펄스로 공급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침봉기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에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및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술침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어댑터에 의하여 소정 높이가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다수개의 시술침들이 상기 어댑터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시술침들의 배열 간격이 1mm 이상 5mm 이하인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시술침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노브가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시술침의 돌출 높이는 0.5mm 이상 3.5mm 이하로 설정하되, 상기 노브에 의하여 0.5mm 단위로 조절된다.
상기 시술침의 직경은 0.16mm 이상 0.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술침은 금, 은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바이폴라 구동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복합 펄스 방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복변조 방식으로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100㎑ 이상 50㎒ 이하 대역의 고주파를 10㎐ 이상 120㎐ 이하로 FM변조하여 복변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다수개의 시술침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시술침들에 전달하되,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는 중앙부의 시술침으로부터 외부의 시술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및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 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에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변경시킨다. 상기 입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문자, 도형, 기호 등으로 표시하는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침봉기에 의하면, 피부에 삽입되는 침에 고주파를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를 바이폴라 구동방식으로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를 단 펄스 또는 복합 펄스로 공급하여 피부 재생 및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함몰된 피부, 끊긴 피부 및 이상 돌출 피부 흔히 말하는 주름 등의 노화 피부 제거 그리고 그에 따른 피부 세포의 재생을 위하여 예로서, 인체에 무해한 0.16mm-0.3mm의 시술침을 0.5-3.5mm 정도의 미세한 깊이와 1mm-5mm 폭으로 환부에 침투시킨 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RF의 출력을 설정된 침의 침투 깊이와 폭만큼 피부에 인가하여 노화되거나 병변을 가진 세포를 괴사시킴으로써 새로운 피부 세포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때 괴사 면은 각각의 피부 병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침을 선택하여 시술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침봉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부(10), 고주파 발생부(20), 시술침 모듈(30), 어댑터(31), 시술침(32), 노브(33), 입력부(40), 제어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
전원부(10)는 통상의 110~220V 상용교류전압(AC)을 인가받아 장치에 필요한 크기의 교류 또는 직류전압(DC)을 변환하여 공급한다.
고주파 발생부(20)는 상기 전원부(1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킨다.
시술침 모듈(30)은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32)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술침(32)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어댑터(31)에 의하여 소정 높이가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시술침(32)들이 상기 어댑터(31)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어댑터(31)는 상기 시술침(32)들의 배열 간격이 1mm 이상 5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어댑터(31)는 상기 시술침(32)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노브(33)가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31)는 상기 시술침(32)의 돌출 높이는 0.5mm 이상 3.5mm 이하로 설정하되, 상기 노브(33)에 의하여 0.5mm 단위로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술침(32)의 직경은 0.16mm 이상 0.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술침(32)은 금, 은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50)는 연산, 비교 및 판단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MICOM) 또는 CPU, MPU 등의 중앙처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바이폴라 구동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복합 펄스 방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복변조 방식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100㎑ 이상 50㎒ 이하 대역의 고주파를 10㎐ 이상 120㎐ 이하로 FM변조하여 복변조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시술침(32)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시술침(32)들에 전달하되,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는 중앙부의 시술침(32)으로부터 외부의 시술침(3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입력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주파 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변경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부(40)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으로 구성된다.
표시부(60)는 상기 제어부(50)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60)는 상기 제어부(50)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문자, 도형, 기호 등으로 표시하는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술침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술침 모듈(3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시술침(32)이 어댑터(31)에 의하여 소정 높이가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어댑터(31)의 노브(33)는 상기 시술침(32)의 돌출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시술침(32)의 돌출 높이는 0.5mm 이상 3.5mm 이하로 설정하되, 상기 노브(33)에 의하여 0.5mm 단위로 조절된다.
또한, 상기 시술침(32)의 직경은 0.16mm 이상 0.3mm 이하이고, 재질은 금, 은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침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다수개의 시술침(32)들이 상기 어댑터(31)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어댑터(31)는 상기 시술침(32)들의 배열 간격이 1mm 이상 5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한다.
도 4는 도 3의 시술침 배열에 따른 바이폴라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바이폴라 구동방식으로 상기 시술침(32)을 동작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이 플레이트 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바이폴라 구동방식을 적용하는 이유는 도시된 모든 시술침(32)에 동시에 출력을 보낼 경우 전기적 특성상 가장 통전률이 좋은 시술침(32) 쪽으로 치우치게 고주파가 흘러 편중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바이폴라 구동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모든 시술침(32)에 골고루 고주파를 흘려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출력 시간은 깊이에 따라 시술자의 판단에 의하여 입력부(40)를 통하여 설정되어 지며, 대략 출력 시간은 10msec이상 100msec 이하이며 이는 단 펄스 혹은 복합 펄스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는 100㎑ 이상 50㎒ 이하 대역의 고주파를 10㎐ 이상 120㎐ 이하로 FM변조하여 복변조 한다. 즉, 구성 주파수는 100khz -5MHz대역의 고주파가 이용되며, 이를 다시 FM변조하여 10Hz-120Hz로 복변조 하여 사용한다.
또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상기 다수개의 시술침(32)들에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시술침(32)들에 전달하되,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는 중앙부의 시술침(32)으로부터 외부의 시술침(3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즉, 통전 방식은 핀 투 핀(pin to the pin) 방식으로 예를 들면 B 와 d 에 고주파 양극성을 출력시 16번핀과 22번핀에 고주파가 순간 흘러 치료되는 형식으로 전류를 중앙 부위부터 바깥부위로 조사하는 방식이다. 중앙에서 외곽부분으로 조사하는 이유는 발생되는 열의 분포를 균일화하기 위함이다(잠열 축척에 따른 불균등 치료 제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침봉기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이 개시되면, 전원부(10)가 온되어 통상의 110~220V 상용교류전압(AC)을 장치에 필요한 크기의 직류전압(DC)으로 변환하여 공 급한다(S100).
이후,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의 초기화 명령을 수행하고(S110), 사용자는 입력부(40)를 통하여 전압선택,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단계를 수행한다(S120).
이후, 시작키가 입력되면(S130),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값에 따른 동작 모드가 실행된다(S140).
따라서, 고주파 발생부(20)는 상기 전원부(1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시술침 모듈(30)은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32)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상기 고주파 발생부(20)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주파 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변경시Z킬 수 있다(S150).
이후, 동작 시간 및 횟수가 종료되면 상기 고주파 발생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60~S170).
이때, 표시부(60)는 상기 제어부(50)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침봉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술침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침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시술침 배열에 따른 바이폴라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침봉기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고주파 발생부
30 : 시술침 모듈 31 : 어댑터
32 : 시술침 33 : 노브
40 : 입력부 50 : 제어부
60 : 표시부

Claims (17)

  1.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에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및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침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어댑터에 의하여 소정 높이가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시술침들이 상기 어댑터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시술침들의 배열 간격이 1mm 이상 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시술침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시술침의 돌출 높이는 0.5mm 이상 3.5mm 이하로 설정하되, 상기 노브에 의하여 0.5mm 단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침의 직경은
    0.16mm 이상 0.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침은
    금, 은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바이폴라 구동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복합 펄스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복변조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100㎑ 이상 50㎒ 이하 대역의 고주파를 10㎐ 이상 120㎐ 이하로 FM변조하여 복변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3.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다수개의 시술침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시술침들에 전달하되,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는 중앙부의 시술침으로부터 외부의 시술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및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4.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시술침에 전달하는 시술침 모듈;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의 크기 및 주기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처리 결과 및 기기의 동작 상태를 문자, 도형, 기호 등으로 표시하는 화면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침봉기.
KR1020080114293A 2008-11-17 2008-11-17 고주파 침봉기 KR10107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293A KR101071382B1 (ko) 2008-11-17 2008-11-17 고주파 침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293A KR101071382B1 (ko) 2008-11-17 2008-11-17 고주파 침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92A true KR20100055292A (ko) 2010-05-26
KR101071382B1 KR101071382B1 (ko) 2011-10-11

Family

ID=4227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293A KR101071382B1 (ko) 2008-11-17 2008-11-17 고주파 침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405A3 (ko) * 2011-06-14 2013-04-04 Na Jong Ju 라-효과 또는 라플러스-효과에 의한 피부 개선 장치 및 방법
WO2018235986A1 (ko) * 2017-06-23 2018-12-27 안재석 피부 미용 시술 기기 및 방법
US10869812B2 (en) 2008-08-06 2020-12-22 Jongju N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71B1 (ko) 2003-02-19 2005-12-01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 장치
KR100725806B1 (ko) 2006-03-25 2007-06-11 신현순 피부치료 전극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9812B2 (en) 2008-08-06 2020-12-22 Jongju N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WO2012173405A3 (ko) * 2011-06-14 2013-04-04 Na Jong Ju 라-효과 또는 라플러스-효과에 의한 피부 개선 장치 및 방법
US11406444B2 (en) 2011-06-14 2022-08-09 Jongju Na Electrically based medical treatment device and method
EP4309639A3 (en) * 2011-06-14 2024-02-14 ViO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kin using a ra-effect or ra plus-effect
WO2018235986A1 (ko) * 2017-06-23 2018-12-27 안재석 피부 미용 시술 기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382B1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3364A1 (en) Non-invasive fat removal
KR102550410B1 (ko) 이종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 방법
US20080195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Using Ultrasound
JP6768788B2 (ja) フェイスリフト機
KR20090063618A (ko)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AU20212691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1057974B1 (ko)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KR101472983B1 (ko) 고주파 온열 치료 장치
KR101071382B1 (ko) 고주파 침봉기
KR20220065620A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관리 장치
KR200457996Y1 (ko) 고주파 치료기
JP7169688B2 (ja)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JP2022050711A (ja) 美容器
KR101597423B1 (ko)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38213B1 (ko) 피부의 미용적 개선효과를 위한 고주파 펄스의 피부 인가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부 미용 장치
KR102542441B1 (ko)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KR20100003943A (ko) 핸드피스 조작이 필요 없는 자동 형 고주파 피부치료 및지방제거 장치
KR20190094753A (ko) 중주파 시술 장치
KR102348660B1 (ko) 미세전류 및 필링을 이용한 피부 개선 기기
AU2022100167A4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JP7022960B2 (ja) 美容器
KR20010009543A (ko) 온열효과를 갖는 저주파 치료기
JP2023117155A (ja) 電気刺激装置
KR100634128B1 (ko) 저주파 및 흡입도자를 이용한 비만치료기
KR20150114742A (ko) 고주파 심부열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