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171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171A
KR20100055171A KR1020080114122A KR20080114122A KR20100055171A KR 20100055171 A KR20100055171 A KR 20100055171A KR 1020080114122 A KR1020080114122 A KR 1020080114122A KR 20080114122 A KR20080114122 A KR 20080114122A KR 20100055171 A KR20100055171 A KR 2010005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acket
nodt
tim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494B1 (ko
Inventor
이종석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방법은,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는 과정과,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의 다음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NODT(Next Operating Discard Time)값을 관리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발생 시, 상기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UMTS, 송신 패킷, 폐기 타이머, 핸드오버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CARD TIMER FOR TX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는 유럽식 이동통신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Broadband)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는 제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이다. 현재 UMTS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3rdGenerationPartnershipProject)는 UMTS의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상기 LTE 시스템은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최대 100Mbps 정도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지원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에서 프로토콜 계층간 통신시 송신 패킷에 대한 폐기(discard)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TE 시스템의 경우, 라디오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계층, RLC(Radio Link Control)계층,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PHY(PHYsical)계층을 포함한다. 만일, 송신될 PDCP SDU(Service Data Unit)가 상위 계층(upper layer)으로부터 수신될 경우, PDCP계층은 수신된 PDCP SDU에 대해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DCP SDU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PDCP SDU가 RLC계층으로 전달되지 못할 경우, 상기 PDCP 계층은 해당 PDCP SDU를 폐기한다. 이와 같이, 폐기 타이머는 PDCP계층으로 수신되는 모든 PDCP SDU들 각각에 대해 별도로 구동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DCP 송신 버퍼 및 폐기 타이머 운용의 예를 보여준다.
도 1에서, PDCP PDU(Protocol Data Unit)는 PDCP계층 프로세싱(예: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암호화(ciphering) 등)을 통해 생성된 패킷을 나타내고, PDCP SDU는 PDCP계층 프로세싱 전의 패킷(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PDCP 송신버퍼(또는 송신큐)는 FIFO(First Input First Output) 구조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가지 상태의 패킷들이 존재할 수 있다. (1)의 경우는, PDCP계층 프로세싱이 수행되었고 하위계층으로 패킷이 전달되었으며, 상기 하위계층으로부터 패킷 송신에 대한 확인(confirm)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낸다. (2)의 경우는, PDCP계층 프로세싱이 수행되었고, 하위계층으로 패킷이 전달되었으나, 상기 하위계층으로부터 패킷송신에 대한 확인(confirm)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3)의 경우는, PDCP계층 프로세싱이 수행되었으나 하위계층으로 패킷이 아직 전달되지 않는 상태이다. (4)의 경우는, PDCP계층 프로세싱이 아직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PDCP 송신버퍼로 PDCP SDU가 입력되면, PDCP계층은 우선 해당 PDCP SDU에 대해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구동시킨다. 상기 PDCP 송신버퍼로 PDCP SDU들이 순차로 입력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폐기 타이머들이 SDU가 PDCP 송신버퍼에 입력된 시간에 따라 순차로 구동된다. 상기 폐기 타이머의 운용시간은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동일한 RB(Radio Bearer)에 속하는 모든 PDCP SDU들에 대해 동일한 값이 적용된다. 하위계층(RLC계층)으로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되면, 해당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는 중지된다. 도 1에서 (1)과 (2)에 해당되는 패킷들에 대한 폐기 타이머는 중지된 상태이고, (3)과 (4)에 해당되는 패킷들에 대한 폐기 타이머는 계속 구동중인 상태이다.
상술한 도 1의 상태에서, 핸드오버가 발생되면, 단말(UE : User Equipment)은 이전 서빙 기지국(eNB : enhanced Node B)으로 송신된 패킷들에 대한 수신여부를 나타내는 PDCP 상태보고(status report)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PDCP 상태보고 메시지에 따라 재전송이 요구되는 패킷 을 타겟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상기 PDCP 상태보고 메시지에 의한 재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은 도 1의 (3)과 (4)에 해당되는 패킷을 순차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발생 시 RLC AM(Radio Link Control Acknowledged Mode)가 적용된 데이터를 손실 없이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PDCP 송신버퍼에 저장된 패킷들에 대한 폐기 타이머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값으로 리셋(reset)되거나 기존에 동작중인 타이머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오버 상황에 대한 폐기 타이머 운용의 예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1 내지 24는 기존에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를 계속 유지시키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먼저 시작된 폐기 타이머는 앞으로 동작될 잔여 시간(remain time)이 작아 PDCP PDU를 전송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즉, 폐기 타이머의 만료로 인해 해당 패킷을 폐기할 확률이 높다.
다른 방법으로, 현재 송신 버퍼에 저장된 모든 패킷들의 폐기 타이머를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타이머 값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참조번호 25 내지 28은 폐기 타이머를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값으로 재설정하는 경우이다. 송신 버퍼에 저장된 모든 패킷들의 폐기 타이머들은 동일한 시점에 구동되어 동일한 시점에 만료될 것이다. 이때, 송신 버퍼에 저장된 패킷들은 저장된 순서대로 처리되어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이런 경우, 나중에 전송될 패킷들은 상대적으로 폐기 타이머의 잔여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즉, 폐기 타이머의 만료로 인해 해당 패킷이 손실될 확률이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폐기 타이머 운용 방안은 핸드오버가 발생될 경우 패킷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를 갱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모든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를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와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의 차이를 이용해서 갱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타이머를 운용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발생 시, 타겟 기지국의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현재 폐기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이 설정된 상기 폐기타이머를 구 동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큐에 저장된 나머지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Next Operating Discard Timer)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는 과정과,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의 다음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NODT(Next Operating Discard Time)값을 관리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발생 시, 상기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패킷들을 저장하는 송신 큐와, 상기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한 NODT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송신 큐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며, 핸드오버 발생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된 값에 의해 구동되며, 타이머 만료 시 이를 상기 프로세서로 발생하는 상기 폐기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함으로써,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핸드오버 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를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와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의 차이를 이용해서 갱신함으로써, 폐기 타이머의 만료로 인한 패킷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든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며, 핸드오버 발생시 폐기 타이머를 효율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 패킷에 대해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는 통신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UE)과 기지국(eNB)간 라디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프로토콜 구조는 물리(PHY : PHYsical)계층(301), MAC계층(303), RLC계층(305), PDCP계층(307)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물리계층(301)는 무선링크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물리계층 처리(processing)하여 MAC계층(303)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상기 MAC계층(303)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물리계층 처리하여 상대국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물리계층(301)는 신호 송신을 위해 채널코딩부, 변조부, RF송신부 등을 포함하고, 신호 수신을 위해 RF수신부, 복조부, 채널디코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AC계층(303)은 상기 물리계층(301)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MAC계층 처리하여 RLC계층(305)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상기 RLC계층(303)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MAC계층 처리하여 상기 물리계층(301)로 전달한다. 상기 MAC계층(303)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채널(logical channel)들과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들 사이의 매핑 기능, RLC PDU들의 다중화(multiplexing) 및 역 다중화(demultiplexing) 기능, 트래픽 볼륨 측정 보고(traffic volume measurement reporting) 기능,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를 통한 에러정정(error correction) 기능, 논리채널들 사이의 우선순위 핸들링(priority handling) 기능, 단말들 사이의 우선순위 핸들링 기능, 전송 포멧 선택(transport format selection)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RLC계층(305)는 상기 MAC계층(303)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RLC계층 처리하여 PDCP계층(307)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상기 PDCP계층(307)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RLC계층 처리하여 상기 MAC계층(303)으로 전달한다. 상기 RLC계층(305)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Acknowledged Mode) 또는 UM(Unacknowledged Mode)를 지원하는 상위계층 PDU들의 전송 기능. TM(Transparent Mode) 데이터 전송 기능, ARQ를 통한 에러 정정 기능, TB(Transport Block) 크기에 따른 세그먼트(segment) 기능, 재전송이 필요한 PDU들의 재세그먼트(re-segment) 기능, 동일 라디오 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SDU들의 연접(concatenation) 기능, 핸드오버를 제외한 상황에서 상위계층 PDU들의 인-시퀀스 전달(In-sequence delivery) 기능, 수신패킷의 중복여부 검출(duplicate detection) 기능, 프로토콜 에러 검출(protocol error detection) 및 복구(recovery) 기능, SDU 폐기(discard)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PDCP계층(307)은 상기 RLC계층(305)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PDCP계층 처리하여 상위계층(upper layer)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상기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PDCP계층 처리하여 상기 RLC계층(305)으로 전달한다. 상기 PDCP계층(307)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더 압축(compression) 및 압축해제(de-compression) 기능, RLC AM으로 매핑된 DRB(Data Radio Bearer carrying user plane data)에 대해 핸드오버 시 상위계층 PDU들의 인-시퀀스 전달 기능, RLC AM으로 매핑된 DRB에 대해 핸드오버 시 하위계층 SDU들의 수신패킷의 중복여부 검출 기능, RLC AM으로 매핑된 DRB에 대해 핸드오버 시 PDCP PDU들의 재전송 기능, 암호화(ciphering) 기능, 업링크(uplink)에 대한 타이머 기반(timer-based) SDU 폐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PDCP계층(307)의 타이머 기반 SDU 폐기 기능에 관한 것으로, 폐기 타이머를 각 PDCP SDU별로 구동하지 않고 상기 PDCP계층(307)에서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PDCP SDU(N)이 송신 큐(또는 송신버퍼)에 입력될 때 이전에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가 없으면, PDCP계층의 프로세서는 상기 PDCP SDU(N)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시작한다(401). 여기서, N은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이고, 상기 폐기 타이머의 값은 상위계층에서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대국과 교섭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PDCP SDU(N+1)이 상기 송신 큐에 입력되면, 현재 동작중인 PDCP SDU(N)에 대한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emain time(N))을 확인하고, 상기 폐기 타이머 값에서 상기 확인된 잔여시간(remain time(N))을 감산한 값을 NODT(N+1)에 저장한다(403). 상기 NODT(Next Operating Discard Timer Time) 값은 현재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다음 PDCP SDU에 대해 구동되는 폐기 타이머의 시간을 나타내며, PDCP SDU(N+1)의 패킷 정보(packet information)에 연관되어 저장된다. 현재 폐기 타이머가 동작중인 PDCP SDU(N)에 대한 NODT(N) 값은 '0'이다.
이후, 다시 PDCP SDU(N+2)가 상기 송신 큐에 입력되면, 역시 현재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emain time(N))을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NODT(N+1) 값과 상기 잔여시간을 가산하며, 기본 폐기 타이머 값에서 상기 가산된 값을 감산한 값을 NODT(N+2)에 저장한다(405). 이때, 상기 NODT(N+2) 정보는 상기 PDCP SDU(N+2)의 패킷 정보에 연관되어 저장된다.
이후, 상기 PDCP SDU(N)의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PDCP SDU(N)을 폐기하고, 다음 PDCP SDU(N+1)을 위한 폐기 타이머를 시작한다(407). 이때, 상기 폐기 타이머의 시간은 PDCP SDU(N+1)에 대해 저장된 NODT(N+1) 값으로 설정된다.
이후, 다시 PDCP SDU(N+3)이 상기 송신 큐로 입력되면 현재 동작중인 PDCP SDU(N+1)에 대한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emain time(N+1))을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NODT(N+2) 값과 상기 잔여시간을 가산하며, 기본 폐기 타이머 값에서 상기 가산 값을 감산한 값을 NODT(N+3)에 저장한다(409). 이때, 상기 NODT(N+3) 정보는 상기 PDCP SDU(N+3)의 패킷 정보에 연관되어 저장된다.
이후, 다시 PDCP SDU(N+4)가 상기 송신 큐로 입력되면, 현재 동작중인 PDCP SDU(N+1)에 대한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emain time(N+1))을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NODT(N+2) 값과 상기 NODT(N+3) 값과 상기 잔여시간(remain time(N+1))을 가산하며, 기본 폐기 타이머 값에서 상기 가산 값을 감산한 값을 NODT(N+4)에 저장한 다(411). 이때, 상기 NODT(N+4) 정보는 상기 PDCP SDU(N+4)의 패킷 정보에 연관되어 저장된다.
이후, 상기 PDCP SDU(N+1)의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PDCP SDU(N+1)을 폐기하고, 다음 PDCP SDU(N+2)를 위한 폐기 타이머를 시작한다(413). 이때, 상기 폐기 타이머의 시간은 PDCP SDU(N+2)에 대해 저장된 NODT(N+2) 값으로 설정된다.
이후, 상기 PDCP SDU(N+2)의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PDCP SDU(N+2)를 폐기하고, 다음 PDCP SDU(N+3)을 위한 폐기 타이머를 시작한다(415). 이때, 상기 폐기 타이머의 시간은 PDCP SDU(N+3)에 대해 저장된 NODT(N+3) 값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 큐로 새로운 패킷이 입력될 때 마다,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 및 이전 패킷에 대한 NODT을 이용해서 상기 입력된 패킷에 대한 NODT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 만료 시 해당 패킷을 폐기한 후, 다음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시작한다. 이때, 상기 다음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의 시간은 상기 다음 패킷에 대한 NODT 값으로 설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5는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해당 PDCP PDU가 정상적으로 하위계층으로 전달된 경우 폐기 타이머의 운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송신 큐로 새로운 패킷이 입력되면, 현재 구 동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 및 이전 패킷에 대한 NODT을 이용해서 상기 입력된 패킷에 대한 NODT를 계산하여 저장한다.
PDCP SDU(N)에 대한 폐기 타이머 구동 중 상기 PDCP SDU(N)이 정상적으로 하위계층으로 전달된 경우, 다시 말해 상기 폐기 타이머 구동 중 하위계층으로부터 패킷 전송에 대한 확인(confirm)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PDCP계층의 프로세서는 현재 동작중인 상기 PDCP SDU(N)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중단한다(501).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emain time(N))을 확인하고, 이전에 계산된 NODT(N+1) 값에 상기 잔여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NODT(N+1) 값을 갱신한다(503).
이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갱신된 값만큼 PDCP SDU(N+1)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구동한다(50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해당 패킷이 하위계층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된 경우 상기 폐기 타이머를 중단하고, 다음 패킷에 대한 NODT를 상기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이용해서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다음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상기 갱신된 값으로 구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6은 상위계층으로부터 SDU가 수신된 경우, PDCP계층에서 해당 SDU에 대해 NODT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송신기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업링크 통신인 경우 단말이 되고, 다운링크 통신인 경우 기지국 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PDCP계층은 601단계에서 상위계층으로부터 SDU들을 수신한다. 상기 상위계층으로부터 SDU들이 정상 수신되면, 상기 PDCP계층은 603단계에서 폐기 타이머(DT : Discard Timer) 값을 획득한다. 상기 폐기 타이머 값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605단계에서 상위계층 큐(Upper layer Queue)의 가장 처음 위치된 SDU 처리를 위해 큐 인덱스 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07단계에서 상기 큐 인덱스 값을 참조하여 PDCP SDU를 상기 상위계층 큐에서 인출하고, 609단계에서 상기 인출된 SDU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인출된 SDU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PDCP계층은 643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PDCP 처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인출된 SDU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PDCP계층은 611단계로 진행하여 변수 AT(accumulate time) 값을 초기화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13단계에서 현재 폐기 타이머가 동작 중인지 검사한다.
만일, 이전에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PDCP계층은 615단계로 진행하여 변수 RT(remain time) 값을 '0'으로 설정하고, 617단계에서 해당 SDU의 NODT 값을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19단계에서 해당 SDU에 대한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DT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DT 값이 설정된 폐기 타이머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21단계에서 상기 SDU 정보를 PDCP 송신 큐(TX Queue)에 추가하고, 623단계에서 상기 송신 큐에 추가된 상기 SDU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641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SDU 처리를 위해 상위계층 큐의 인덱스 값을 증가시킨 후 상기 607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이전에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가 존재할 경우, 상기 PDCP계층은 62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폐기 타이머 구동중인 SDU의 다음에 위치된 SDU를 상기 PDCP 송신 큐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27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SDU가 유효한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획득된 SDU가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PDCP계층은 62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SDU의 NODT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값을 상기 변수 AT 값에 누적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DCP 송신 큐의 다음 번 SDU를 획득한 후 상기 627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현재 폐기 타이머가 동작중인 SDU의 다음 번 SDU로부터 현재 수신된 SDU의 이전 SDU까지의 NODT 값을 누적 합산함으로써, 상기 AT 값을 갱신한다.
한편, 상기 627단계에서 해당 SDU가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PDCP계층은 63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진행중인 타이머의 잔여시간(RT)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35단계에서 상기 AT 값에 상기 RT 값을 가산하고, 상기 DT 값에서 상기 가산 값을 감산하여 NODT 값을 계산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637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NODT 값을 상기 상위계층 큐로부터 인출된 SDU에 연관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63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출된 SDU를 상기 PDCP 송신 큐에 추가하고, 상기 641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SDU 처리를 위해 상위계 층 큐의 인덱스 값을 증가시킨 후 상기 607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위계층 큐에 적재되어 있는 SDU들을 모두 PDCP 송신 큐로 옮긴 후, 상기 PDCP계층은 상기 643단계에서 다음 PDCP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위계층으로부터 SDU가 수신될 경우, 폐기 타이머가 동작중인 SDU의 다음 SDU로부터 상기 수신된 SDU의 이전 SDU까지의 NODT 값들을 누적하고,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T)과 상기 누적 값을 가산하며, 폐기 타이머 값(DT)에서 상기 가산 값을 감산하여 상기 수신된 SDU에 대한 NODT 값을 계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7은 폐기 타이머가 정상적으로 만료된 경우에 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PDCP계층은 701단계에서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PDCP 송신 큐의 N(SN=N)번째 패킷(SDU 혹은 PDU)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PDCP계층은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폐기 타이머가 만료된 상기 N번째 패킷을 상기 PDCP 송신 큐에서 삭제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705단계에서 다음 SN(sequence number)에 해당되는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송신 큐의 인덱스 값을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707단계에서 상기 송신 큐의 인덱스 값을 이용해서 다음 SN에 해당되는 패킷을 선택하고, 709단계에서 상기 다음 SN에 해당되는 패킷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다음 SN에 해당되는 패킷이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PDCP계층은 721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PDCP 처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다음 SN에 해당되는 패킷이 유효하면, 상기 PDCP계층은 7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패킷에 대한 NODT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709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NODT 값이 '0'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NODT 값이 '0'이면, 상기 다음 SN에 해당되는 패킷의 폐기 타이머가 이전 패킷의 폐기 타이머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기 PDCP계층은 7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ODT 값이 '0'인 패킷을 상기 PDCP 송신 큐로부터 삭제한 후, 상기 705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NODT 값이 '0'이 아니면, 상기 PDCP계층은 7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음 SN에 해당되는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상기 NODT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NODT 값이 설정된 폐기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7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DCP 송신 큐에서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패킷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7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8은 패킷이 정상적으로 하위계층으로 전달된 경우에 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PDCP계층은 801단계에서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 인 패킷이 하위계층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PDCP 송신 큐의 N(sequence number)번째 패킷(SDU 혹은 PDU)이 하위계층으로 정상 전달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N번째 패킷이 하위계층으로 정상 전달된 경우, 상기 PDCP계층은 8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번째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중단하고, 상기 N번째 패킷을 상기 PDCP 송신 큐에서 삭제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805단계에서 다음 (N+1)번째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송신 큐의 인덱스 값을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807단계에서 상기 송신 큐의 인덱스 값을 이용해서 상기 (N+1)번째 패킷을 선택하고, 809단계에서 상기 (N+1)번째 패킷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N+1)번째 패킷이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PDCP계층은 825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PDCP 처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N+1)번째 패킷이 유효하면, 상기 PDCP계층은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1)번째 패킷에 대한 NODT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809단계에서 상기 N번째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RT)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815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NODT 값이 '0'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NODT 값이 '0'이면, 상기 PDCP계층은 8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1)번째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DT) 값을 상기 잔여시간(RT) 값으로 갱신한 후, 819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NODT 값이 '0'이 아니면, 상기 PDCP계층은 8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획득된 NODT값과 상기 잔여시간(RT) 값을 가산하고, 상기 (N+1)번째 패킷에 대한 폐기 타이머(DT)값을 상기 가산 값으로 갱신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상기 819단계에서 상기 (N+1)번째 폐기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7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DCP 송신 큐에서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패킷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8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9는 핸드오버가 발생된 경우 폐기 타이머의 운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DCP SDU(N), PDCP SDU(N+1), PDCP SDU(N+2)가 송신 큐로 순서대로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은 도 4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즉, 기본적으로 송신 큐로 새로운 패킷이 입력되면,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 및 이전 패킷에 대한 NODT을 이용해서 상기 입력된 패킷에 대한 NODT를 계산하여 저장한다.
PDCP SDU(N)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핸드오버가 발생되면, PDCP계층 프로세서는 현재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를 중단하고, 타겟 기지국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폐기 타이머를 기준으로 상기 PDCP SDU(N)의 폐기 타이머를 다시 구동한다(901). 이와 같이, 새롭게 설정된 폐기 타이머는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가장 오래된 패킷(PDCP SDU(N))에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존 서빙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Old DT) 값과 상 기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new DT)값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고(Old DT - new DT), 상기 SDU(N+2)의 NODT값에서 상기 차이 값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SDU(N+2)의 NODT 값을 갱신한다(903).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DU(N+3)의 NODT 값에서 상기 차이 값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SDU(N+3)의 NODT값을 갱신한다(905).
이후, 상기 SDU(N)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SDU(N)을 송신 큐에서 삭제한 후 상기 SDU(N+1)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상기 갱신된 NODT(N+1) 값을 적용하여 구동한다(907). 이후, 상기 SDU(N+1)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SDU(N+1)을 상기 송신 큐에서 삭제한 후, 상기 SDU(N+2)에 대한 폐기 타이머를 상기 갱신된 NODT(N+1) 값을 적용하여 구동한다(9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오버 발생 시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를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으로 갱신한 후 다시 구동한다. 그리고 나머지 패킷들에 대한 NODT 값들을 두 폐기 타이머의 차이 값을 이용해서 갱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0은 핸드오버 시 폐기 타이머 갱신 및 송신 패킷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PDCP계층은 1001단계에서 핸드오버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핸드오버가 발생된 경우, 상기 PDCP계층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동작중인 폐기 타이머를 일시 중단한다. 이후, PDCP 상태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PDCP계층은 1005단계에서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PDCP 상태보 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1007단계에서 PDCP 송신 큐의 가장 처음 엘리먼트(패킷)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1009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패킷(SDU 혹은 PDU)이 핸드오버 발생 이전에 하위계층(lower layer)으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핸드오버 발생 이전에 하위 계층으로 전달된 패킷인 경우, 상기 PDCP계층은 10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패킷이 상기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 확인된 패킷인지 판단한다. 즉, 상기 PDCP계층은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PDCP 상태보고 메시지의 FMS(First Missing Sequence) 및 비트맵 정보(bitmap information)를 검사함으로써, 해당 패킷이 타겟 기지국에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타겟 기지국에 해당 패킷이 수신되었으면, 상기 PDCP계층은 상기 송신큐의 다음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해 1029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타겟 기지국에 해당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즉 손실 패킷(missing packet)이면, 상기 PDCP계층은 1013단계로 진행하여 타겟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해서 송신 패킷(PDCP PDU)을 다시 생성한다.
즉, 핸드오버로 인해,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들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해서 다시 송신 패킷을 생성한다. 우선, 상기 PDCP계층은 이전 서빙 기지국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해서 상기 송신 큐의 해당 패킷을 헤더 압축해제(header de-compression) 및 역-암호화(de-ciphering)한다. 그리고, PDCP계층은 상기 헤더 압축해제 및 역-암호화된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해서 다시 헤더 압축 및 암호화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될 송신 패킷(PDCP PDU)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호화 시 필요로 하는 파라미터로, "COUNT"와 "ciphering key" 등이 있다. 상기 COUNT 값은 TX_HFN(TX Hyper Frame Number) 값과 PDCP SN 값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위 부분에 TX_HFN 값이 그리고 하위 부분에 PDCP SN값이 위치된다. 상기 PDCP SN 값에 랩 어라운드(wrap around)가 발생되면, 상기 TX_HFN 값이 하나 증가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1015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송신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재전송한 후, 다음 패킷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102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1009단계에서 송신 큐의 해당 패킷이 하위 계층으로 전달된 패킷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PDCP계층은 10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 중인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1003단계를 통해 현재 폐기 타이머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이면, 상기 PDCP계층은 1019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상기 1019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폐기 타이머 값을 상기 송신 큐의 해당 패킷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10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된 폐기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1023단계에서 상기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패킷의 위치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1025단계에서 타겟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해서 송신 패킷(PDCP PDU)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PDCP계층은 1027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송신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상기 1029단계 에서 상기 송신 큐의 다음 패킷(SDU 혹은 PDU)을 선택한 후, 상기 1009단계로 되돌아간다.
이후, 상기 PDCP계층은 상기 1009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패킷이 하위계층으로 전달된 패킷인지 판단하고, 하위계층으로 전달된 패킷이 아니면 상기 1019단계에서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 중인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폐기 타이머가 구동 중이면, 즉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이 설정된 타이머가 구동 중이면, 상기 PDCP계층은 103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패킷의 NODT 값을 다음 수식과 같이 갱신한다.
New NODT = Old NODT - (Old DT - New DT)
여기서, Old DT는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이고, New DT는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이다. 즉,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Old NODT) 값을 두 폐기 타이머(Old DT - New DT)의 차이를 이용해서 보상한다.
이와 같이, 해당 패킷의 NODT 값을 갱신한 후, 상기 PDCP계층은 상기 10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해서 송신 패킷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패킷이 PDU인지 혹은 SDU인지를 확인한다. 해당 패킷이 PDU이면, 이전 서빙 기지국의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헤더 압축해제(header de-compression) 및 역-암호화(de-ciphering)를 수행한다. 그리고 PDCP계층은 Next_PDCP_TX_SN 값으로 PDCP SDU를 재결합(re-associate)시키고, 상기 타겟 기지국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해서 헤더 압축 및 암호화하여 송신 패킷(PDCP PDU)을 생성한다. 만일, 해당 패킷이 SDU이면, PDCP계층은 Next_PDCP_TX_SN 값으로 해당 PDCP SDU를 결합(associate)시키고, 상기 타겟 기지국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해서 헤더 압축 및 암호화하여 송신 패킷(PDCP PDU)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Next_PDCP_TX_SN 값은 PDCP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고, 상기 재결합(re-associate)은 기존 PDCP SN이 적용된 PDCP헤더를 제거하고, 새로운 Next_PDCP_TX_SN 값이 적용된 PDCP헤더를 붙이는 동작을 의미한다. 헤더 압축 및 암호화가 완료되면, 상기 PDCP계층은 상기 Next_PDCP_TX_SN 값을 1만큼 증가한다. 만일 랩 어라운드(wrap around)가 발생되면 상기 PDCP계층은 상기 Next_PDCP_TX_SN 값을 0으로 설정하고, TX_HFN 값을 1만큼 증가한 후 해당 PDCP PDU를 송신한다. 만일, 랩 어라운드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PDCP계층은 바로 PDCP PDU를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송신 패킷(PDCP PDU)을 송신한 후, 상기 PDCP계층은 상기 10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송신 큐의 다음 패킷을 선택하고, 상기 1009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PDCP계층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DCP계층은 프로세서(1100), 상위계층 큐(1102), 송신 큐(1104), NODT 저장부(1106) 및 폐기타이머(1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0)은 PDCP계층의 전반적인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PDCP계층 프로토콜 처리(예 : 헤더 압축 및 암호화 등)하여 하위계층(RLC계층)으로 전달하고, 반대로 상기 하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예 : 헤더 압축해 제 및 역 암호화 등)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100)는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위계층 큐(1102)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되는 SDU들을 순차로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1100)의 제어 하에 저장된 SDU들을 순차로 출력한다.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상위계층 큐(1102)로부터 SDU를 순차로 인출하여 송신 큐(1104)에 저장한다. 이때, 폐기타이머(1108)의 상태를 검사하여 구동 중이면, 상기 프로세서(1100)는 해당 SDU의 NODT값을 계산하여 NODT 저장부(1106)에 저장한 후, 상기 SDU를 상기 송신 큐(1104)에 저장한다. 만일, 상기 폐기타이머(1108)이 구동 중이 아니면, 상기 프로세서(1100)는 기본 타이머 값을 폐기 타이머(1108)에 설정하고, 해당 SDU에 대응하여 상기 폐기 타이머(1108)을 구동시킨 후, 상기 SDU를 상기 송신 큐(1104)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송신 큐(1104)에 저장된 SDU들을 순차로 프로토콜 처리하여 PDCP PDU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상기 송신 큐(1104)는 상기 프로세서(1100)로부터의 SDU들을 순차로 저장하고, 프로토콜 처리된 PDCP PDU를 순차로 하위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폐기타이머(1108)는 상기 프로세서(1100)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값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 만료 시 이를 상기 프로세서(1100)로 알린다. 상기 송신 큐(1104)에 저장된 임의 패킷(SDU 혹은 PDU)에 대한 폐기타이머(1108)의 구동이 만료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송신 큐(1104)의 다음 패킷을 확인하고, 상기 다음 패킷에 대응하여 저장된 NODT값을 상기 NODT 저장부(1106)로부터 리드(read)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다음 패킷의 NODT값을 상기 폐 기타이머(1108)에 설정하고, 상기 다음 패킷에 대응하여 상기 폐기타이머(1108)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 큐(1104)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타이머(1108)를 운용할 수 있다.
한편,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새로운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00)는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에 대한 패킷을 확인하고, 상기 패킷에 대해 새로운 상기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를 설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이머 값을 상기 폐기타이머(1108)에 설정하고, 상기 패킷에 대응하여 상기 폐기타이머(1108)을 구동시킨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108)는 현재 NODT값을 가지고 있는 패킷들 각각에 대해, 해당 NODT값을 갱신한다. 즉,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Old NODT) 값을 두 폐기 타이머의 차이(Old DT-New DT)를 이용해서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갱신된 NODT값들을 상기 NODT 저장부(1106)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DCP 송신 버퍼 및 폐기 타이머 운용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오버 상황에 대한 폐기 타이머 운용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UE)과 기지국(eNB)간 라디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폐기 타이머 운용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동작 절차 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PDCP계층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0)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타이머를 운용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발생 시, 타겟 기지국의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현재 폐기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이 설정된 상기 폐기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나머지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Next Operating Discard Timer)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 값은 다음 수식과 같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New NODT = Old NODT - (Old DT - New DT)
    여기서, Old NODT 값은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이고, Old DT는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이며, New DT는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과정은,
    상기 송신버퍼로 새로운 패킷이 저장되는 경우,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이전 패킷들의 NODT 값들을 가산하고, 기본 폐기 타이머 값에서 상기 가산 값을 감산하여 상기 저장된 패킷에 대한 NODT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 만료 시, 해당 패킷을 상기 송신버퍼에서 폐기하고, 다음 패킷에 대한 NODT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다음 패킷에 대한 NODT 값을 상기 폐기타이머에 설정하여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과정은,
    상기 폐기 타이머의 구동 중, 해당 패킷이 하위계층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된 경우, 상기 폐기 타이머의 구동을 중단하는 과정과,
    다음 패킷에 대한 NODT값에서 상기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다음 패킷의 NODT값을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된 NODT값을 상기 폐기타이머에 설정하여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임의 송신 패킷에 대해 NODT값을 갱신한 후, 상기 송신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 정보를 이용해서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가공된 송신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과정은,
    상기 송신 패킷이 PDU(protocol data unit)인지 혹은 SDU(service data unit)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PDU일 경우, 이전 서빙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해서 분해하고, 상기 분해된 데이터를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해서 다시 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SDU일 경우, 상기 SDU를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해서 PDU로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태보고(state report) 메시지를 검사하여 손실패킷(missing packet)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 중 상기 손실패킷에 해당하는 송신 패킷들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타이머는 PCD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계층에서 운용되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되는 송신 패킷은 PDCP PDU 혹은 PDCP SD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는 과정과,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의 다음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NODT(Next Operating Discard Time)값을 관리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발생 시,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 각각에 대해,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발생 시, 타겟 기지국의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이 설정된 폐기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패킷들을 저장하는 송신버퍼와,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한 NODT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에 대해 하나의 폐기 타이머를 운용하 며, 핸드오버 발생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을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과 상기 타켓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의 차이를 이용해 갱신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된 값에 의해 구동되며, 타이머 만료 시 이를 상기 프로세서로 발생하는 상기 폐기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핸드오버 발생 시 타겟 기지국의 새로운 폐기타이머 값을 획득하고 현재 폐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송신 패킷에 대하여 상기 타겟 기지국의 폐기타이머 값을 상기 폐기타이머에 설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 값은 다음 수식과 같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New NODT = Old NODT - (Old DT - New DT)
    여기서, Old NODT 값은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의 NODT값이고, Old DT는 이전 서빙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이며, New DT는 타겟 기지국의 폐기 타이머 값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버퍼로 새로운 패킷이 저장되는 경우, 현재 구동중인 폐기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이전 패킷들의 NODT 값들을 가산하고, 기본 폐기 타이머 값에서 상기 가산 값을 감산하여 상기 저장된 패킷에 대한 NODT를 계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기타이머로부터 타이머 만료가 발생될 시, 해당 패킷을 상기 송신버퍼에서 폐기하고, 다음 패킷에 대한 NODT값을 확인하며, 상기 다음 패킷에 대한 NODT 값을 상기 폐기타이머에 설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기타이머의 구동 중, 해당 패킷이 하위계층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된 경우, 상기 폐기 타이머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다음 패킷에 대한 NODT값에서 상기 폐기타이머의 잔여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다음 패킷의 NODT값을 갱신하며, 상기 갱신된 NODT값을 상기 폐기타이머에 설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임의 송신 패킷에 대해 NODT값을 갱신한 후, 상기 송신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 정보를 이용해서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송신 패킷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보고 메시지를 검사하여 손실패킷을 확인하고, 상기 송신버퍼에 저장된 송신 패킷들 중 상기 손실패킷에 해당하는 송신 패킷들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타이머는 PCDP계층에서 운용되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114122A 2008-11-17 2008-11-1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156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22A KR101561494B1 (ko) 2008-11-17 2008-11-1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22A KR101561494B1 (ko) 2008-11-17 2008-11-1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71A true KR20100055171A (ko) 2010-05-26
KR101561494B1 KR101561494B1 (ko) 2015-10-19

Family

ID=4227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122A KR101561494B1 (ko) 2008-11-17 2008-11-1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6040A (zh) * 2011-01-19 2011-05-25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切换过程中的数据转发方法和系统
WO2011149309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WO2014025141A1 (en) * 2012-08-06 2014-02-13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transferring a status report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1254A (ja) 2006-11-29 2008-06-19 Kyocera Corp 通信方法及び送信装置並びに受信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309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WO2011149309A3 (ko) * 2010-05-27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US9125125B2 (en) 2010-05-27 2015-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102076040A (zh) * 2011-01-19 2011-05-25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切换过程中的数据转发方法和系统
WO2014025141A1 (en) * 2012-08-06 2014-02-13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transferring a status report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38411B2 (en) 2012-08-06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ferring a status report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494B1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04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reord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326215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and creating data
DK2208301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CDP REJECTION
KR101387537B1 (ko) 성공적으로 수신했으나 헤더 압축 복원에 실패한 패킷의 처리 방법
EP2136501B1 (en) Method of delivering a PDCP data unit to an upper layer
KR101113125B1 (ko) 윈도우 제어 및 재송제어방법, 및, 송신측장치
EP1868311B1 (en) Avoidance of retransmission requests in a packet retransmission scheme
US8386671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080600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iphered packe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95617A1 (en) method for handling correctly received but header compression failed packets
KR102202894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 손실 관리 방법
KR100954925B1 (ko) 상위로 PDCP 데이터 유닛(data unit)을 전달하는 방법
KR10156149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의 폐기 타이머 운용 장치 및 방법
US20050245276A1 (en) Synchroniz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rror detection of sequence numbers to avoid synchronizing failure
GB2462699A (en) Delivering PDCP SDUs to an upper layer within a receiving side entity of an E-UMTS
KR10159557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U2011203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reord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