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934A -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934A
KR20100054934A KR1020080113778A KR20080113778A KR20100054934A KR 20100054934 A KR20100054934 A KR 20100054934A KR 1020080113778 A KR1020080113778 A KR 1020080113778A KR 20080113778 A KR20080113778 A KR 20080113778A KR 20100054934 A KR20100054934 A KR 20100054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display
sensitive member
cov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102008011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4934A/ko
Publication of KR2010005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러그 및/또는 콘센트가 과열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여 이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는,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열감응부재가 배치되어 콘센트 또는 플러그의 과열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센트, 과열, 표시, 열감응부재

Description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 Condenser }
본 발명은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러그 및/또는 콘센트가 과열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여 이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플러그는 코드와 배선의 접속기구로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이나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기기(이하 '전자설비' 라칭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기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플러그는 전자설비와 연결된 코드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콘센트의 삽입구와 대응되는 구조를 갖추어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면 전원이 전기기구에 인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설비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전원플러그와 콘센트에 접속되는 부분에 과열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가 접속되는 부위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과열됨을 쉽게 식별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는,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열감응부재가 배치되어 콘센트 또는 플러그의 과열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안착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핀단자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응부재에는 상기 제1삽입공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핀단자와 접촉한다.
상기 안착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공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응부재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착부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의 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열감응부재는, 실리콘과 열에 의해 변색되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응부재에는 상기 표시창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돌기의 지름은 상기 표시창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표시돌기가 상기 표시창에 강제 압입 장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온도에 따른 상기 열감응부재의 색깔변화로 인해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부위의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부위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과열에 따른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삽입공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핀단자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몸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 상기 플러그의 과열여부를 보다 잘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돌기의 지름을 표시창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상기 열감응부재를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플러그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는, 베이스(10)와, 커버(20)와, 열감응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플러그(40)의 핀단자(42)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부(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20)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베이스(10)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20)에는 플러그(40)가 삽입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에는 상기 플러그(40)의 핀단자(42)가 삽입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1삽입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공(22) 사이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기 커버(20)에는 표시창(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감응부재(30)는, 상기 콘센트 및 플러그(40)의 접속부위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는 것으로써, 상기 베이스(10)와 커버(20) 사이에 배치되고,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감응부재(30)는 실리콘과, 열에 의해 변색되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열감응부재(30)는 상기 안료에 의해 열감응부재(30)가 일정한 색깔을 띠고 있다가, 상기 열감응부재(30)의 온도가 올라가면 상기 안료의 색깔이 변하면서 상기 열감응부재(30) 전체의 색깔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열감응부재(30)의 온도가 내려가면 상기 안료는 원래의 색깔로 변하면서 상기 열감응부재(30)의 전체 색깔도 원래의 색깔로 변하게 된다.
상기 열감응부재(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공(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삽입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공(32)에는 상기 플러그(40)의 핀단자(42)가 삽입 관통된다.
이때, 상기 제2삽입공(32)의 지름은 상기 핀단자(42)의 지름과 거의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열감응부재(30)와 상기 핀단자(42)가 상호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감응부재(30)에는 상기 관통공(23)에 삽입되는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3)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33)가 상기 관통공(23)에 삽입되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1)의 표면보다 약간 더 돌출될 만큼의 길이를 갖는다.
위와 같이 상기 돌출부(33)가 상기 안착부(21)의 표면보다 더 돌출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안착부(2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33)는 상기 플러그(40)의 몸체(41)와 직접적으로 면접촉하여 상기 플러그(40)의 몸체(4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삽입공(32)에 의해 상기 플러그(40)의 핀단자(42)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돌출부(33)에 의해 상기 플러그(40)의 몸체(4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 상기 플러그(40)의 과열여부를 보다 잘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감응부재(30)에는 상기 표시창(24)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 는 표시돌기(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표시돌기(34)의 지름은 상기 표시창(2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돌기(34)가 상기 표시창(24)에 강제 압입 장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표시돌기(34)를 상기 표시창(24)에 강제 압입 장착함으로써, 상기 열감응부재(30)를 상기 커버(20)에 결합시켜 상기 열감응부재(30)가 상기 커버(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창(24)의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위치도 상기 커버(20)의 여러부위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돌기(34)는 상기 표시창(24)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열감응부재(30)에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표시창(24)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열감응부재(30)의 테두리가 상기 커버(20)와 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온도에 따른 상기 열감응부재(30)의 색깔변화로 인해 상기 플러그(40)와 콘센트의 접속부위의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상기 플러그(40)와 콘센트의 접속부위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과열에 따른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플러그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커버, 21 : 안착부, 22 : 제1삽입공, 23 : 관통공, 24 : 표시창, 30 : 열감응부재, 32 : 제2삽입공, 33 : 돌출부, 34 : 표시돌기, 40 : 플러그, 41 : 몸체, 42 : 핀단자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열감응부재가 배치되어 콘센트 또는 플러그의 과열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안착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핀단자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응부재에는 상기 제1삽입공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핀단자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공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응부재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착부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의 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응부재는, 실리콘과 열에 의해 변색되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감응부재에는 상기 표시창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돌기의 지름은 상기 표시창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표시돌기가 상기 표시창에 강제 압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KR1020080113778A 2008-11-17 2008-11-17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KR20100054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78A KR20100054934A (ko) 2008-11-17 2008-11-17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78A KR20100054934A (ko) 2008-11-17 2008-11-17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934A true KR20100054934A (ko) 2010-05-26

Family

ID=4227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778A KR20100054934A (ko) 2008-11-17 2008-11-17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49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891A (ko) 2014-05-26 2015-12-04 김남수 전원 플러그와의 결합이 용이한 콘센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891A (ko) 2014-05-26 2015-12-04 김남수 전원 플러그와의 결합이 용이한 콘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3978A1 (en) Outlet heat indicator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JP6491197B2 (ja) 支持要素に収容された温度センサを備える電気付属品
US5742464A (en) Heat responsive power interrupting device
JP2018192259A (ja) 取り付け部材付きの取り外し可能な電気グリル
EP3780290A1 (en) Overheating countermeasure method for electrical outlet, and electrical outlet
US7397564B2 (en) Turbidity sensor
JP6404377B2 (ja) 電力量計の取り付け構造
KR101173477B1 (ko) 모바일단말기 온도감지 케이스
EP2442082A1 (en) An electronic part with a warning or a hiding effect
US7125273B2 (en) Detachable power cord apparatus
KR20100054934A (ko) 과열감지표시형 콘센트
WO2004003950A3 (en) Multiple conductor indicator
WO2022057570A1 (zh) 分体式烹饪器具
KR102206118B1 (ko)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CN210430145U (zh) 接线装置及家用电器
CN209313068U (zh) 一种高灵敏性的热敏电阻安全插头
JP2001008334A (ja) 電気機器
CN217215375U (zh) 一种具有过热保护功能的插头
CN111799596A (zh) 连接器装置
CN217158043U (zh) 一种具有独立测温腔的温控器
KR200210386Y1 (ko) 전선연결용 절연캡
CN210040761U (zh) 一种排插
CN215808680U (zh) 一种温度探头结构和电磁烹饪器具
CN216121092U (zh) 电源延长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