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712A -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712A
KR20100053712A KR1020080107892A KR20080107892A KR20100053712A KR 20100053712 A KR20100053712 A KR 20100053712A KR 1020080107892 A KR1020080107892 A KR 1020080107892A KR 20080107892 A KR20080107892 A KR 20080107892A KR 20100053712 A KR20100053712 A KR 2010005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alling
reques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619B1 (ko
Inventor
이창하
김진영
신철화
정성채
정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0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6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화연결음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에서 착신측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발신측 단말과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 에 따르면 음성통화 요청시에도 발신단말 사용자에게 영상 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화연결음, 영상 통화연결음, 링백톤, RBT, MRBT, CRBT

Description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대기 중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통화대기음(RBT: Ring Back Tone) 서비스, 소위 컬러링, 음성 통화연결음(CRB: Coloring RBT)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착신단말 사용자가 지정한 음원을 발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기존의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 예컨대 "따르릉 따르릉"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이고 새소리, 물소리 등을 통화 대기음으로 제공한다.
한편,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에 따라, 영상 통화연결음(multimedia coloring)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발신자가 통화대기하는 동안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발신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영상 통화에서만 제공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통화 요청시에도 착신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사용자인경우, 영상 통화연결음을 발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 단말과 착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영상 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통화연결음, 음성 통화연결음 및 링백톤을 착신단말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에서 착신측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로 판단한 경우, 발신측 단말과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이 링백톤 대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에서 착신측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추출한 상기 착신측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 연결된 홈 위치 등록기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수신되는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에 따른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상기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로 판단한 경우, 발신측 단말과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영상 통화연결음이 상기 영상호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대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은 음성통화 요청시에도 착신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사용자인경우, 영상 통화연결음을 발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신 단말과 착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영상 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 통화연결음, 음성 통화연결음 및 링백톤을 착신단말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착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링백톤 대체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02, 112),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104. 114), 이동통신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120), 패킷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망교환기(Serving GPRS Support Node, 미도시), 홈 위치 등록 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0),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140) 및 통화연결음 서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단말(102)이 발신측 단말(Originating UE, 이하 ‘O-UE’라 칭함)로 가정하고, 제2 단말(112)이 착신측 단말(Terminating UE, 이하 ‘T-UE’라 칭함)(112)라 가정하고 설명한다.
O-UE(102)와 T-UE(112)는 무선접속망(104, 114)를 통하여 서로 상대방과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UE(102)가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중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음성호가 기본적으로 O-UE(102)와 착신측 무선망 제어기(106)간에 설정될 수 있다.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140)와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142)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구분하여 표시한 것에 불과하며, 하나의 서버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부(예를 들어 DB)로서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별도의 컨텐츠 제공서버(Contents Provider)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MSC(120)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O-UE(102)와 T-UE(112)의 사용자들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컨텐츠에서 소정의 영상 통화연결음(또는 영상 링백톤(Multimedia Ring Back Tone))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Color Ring Back Tone)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영상 통화연결음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은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직접적으로 제공되거나, 도 1에 도시된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140)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142)에 사용자별로 저장되고 이후 발신측 단말에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LR(13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HLR(130)는 이동통신 단말(102, 112)의 위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LR(130)는 사용자 정보로서 이동통신 단말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가입된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UE(102)와 T-UE(112)의 각 사용자는 통화대기 중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영상 통화연결음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을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140)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142)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HLR(130)는 가입된 서비스 정보로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칭함)(104. 114)은 기지국(예를 들어, WCDMA망에서는 Node-B) 및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04. 114)를 포함할 수 있다.
WCDMA망에서 RAN(104, 114)는 회선 교환 서비스 도메인(Circuit Service Domain) 및/또는 패킷 교환 서비스 도메인(Packet Service Domain)에 연결될 수 있다.
회선 교환 서비스 도메인에서 RAN(104, 114)은 이동통신 교환기인 MSC(120)와 연동되며 외부 회선 망-예를 들면, 일반전화망-으로의 접속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GMSC(Gateway MSC,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MSC(120)가 MGW(Media GateWay)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패킷 교환 서비스 도메인에서 RAN(104, 114)은 패킷 교환기인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미도시)과 연동되어 외부 패킷 망-예를 들면, 인터넷망-으로의 접속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대체서비스는 WCDMA망에서 음성통화 요구시에 적용되는 경우이므로, 패킷 교환서비스 도메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O-UE(102)에 연결된 무선 접속망(104)의 RNC(106)을 'O-RNC'(106)라 칭하고, T-UE(112)에 연결된 무선 접속망(114)의 RNC(116)을 'T-RNC'(116)라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NC(106, 116)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의하는 SCUDIF(Service Change and UDI/RDI FallBack)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SCUDIF 모듈은 3GPP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에서는 SCUDIF 모듈을 포함하는 RNC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O-RNC(106)는 O-UE(102)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호를 요청하는 호 셋업 메시지를 기지국인 Node-B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호 셋업 메시지는 영상베어러 성능값 (BCmm :Bearer Capability multimedia), 음성베어러 성능값 (BCsp; Bearer Capability speech ) 및 호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식별자는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것인지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호 식별자는 호 셋업 메시지의 특정필드값에 지정될 수 있다. 또한, 3GPP에서 규정하고 있는 호 셋업 메시지는 진행 지시자(Progress indicator)필드를 포함하는데, 진행 지시자를 특정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호 셋업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O-RNC(106)에서 호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한 호 셋업 메시지가 음성 통화를 위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O-UE(102)와 O-RNC(106)간에 음성호를 설정하는 호 진행 메시지를 O-UE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호는 음성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트래픽 무선 베어러(Traffic Radio Bearer)이다.
예를 들어,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O-RNC(106)가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O-RNC(106)는 영상베어러 성능값(BCmm)를 포함하는 호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O-UE(102)는 수신되는 호 변경 메시지를 참조하여 O-RNC(106)간에 설정된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영상호를 음성호로 변경하는 다운그레이드 요청을 O-RNC(106)가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O-RNC(106)는 영상베어러 성능값(BCsp)를 포함하는 호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O-UE(102)는 수신되는 호 변경 메시지를 참조하여 O-RNC(106)간에 설정된 영상호를 음성호로 변경할 수 있다.
MSC(120)는 기본 및 부가서비스 처리, 사용자의 착신호 및 발신호 처리, 위치등록처리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SC(120)는 착신대기 중에 O-UE(102)로 영상 통화연결음, 음성 통화연결음 및 링백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SC(120)는 통화 대기 중 T-UE(112)의 사용자 정보를 HLR(13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MSC(12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T-UE(112)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 경우>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 것으로 MSC(120)가 판단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MSC(120)는 연결된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로 T-UE(112)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영상 통화연결음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MSC(120)는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통화연결음을 O-RNC(106)에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통화연결음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영상의 특성상 음성 통화연결음을 구성하는 데이터보다 데이터량이 많다. 그리고, O-UE(102)가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 O-UE(102)와 O-RNC(106)간에는 음성호가 기본적으로 설정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음성호를 통하여 영상 통화연결음이 전송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SC(120)는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생성하여 O-RNC(106)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O-RNC(10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O-UE(102)와 O-RNC(106)간 에 설정된 음성호가 영상호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변경된 영상호를 통하여 영상 통화연결음이 O-UE(102)에게 전송될 수 있다.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및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일 수 있다 . 이 경우, MSC(120)는 지정된 정책에 따라 T-UE(112) 사용자를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또는 음성 통화연결음 사용자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2 실시예 ; T-UE(112)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 경우>
T-UE(112)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 것으로 MSC(120)가 판단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음성 통화연결음은 앞서 설명한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음성호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SC(120)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로 T-UE(112)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통화연결음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MSC(120)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연결음을 O-RNC(106)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O-RNC는 기존에 설정된 음성호를 통하여 음성 통화연결음을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및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및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모두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공지된 기술인 링 백톤을 O-RNC(106)을 통하여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시스템의 구성 및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 요청에 따른 착신대기시 영상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연결음을 종료하고 음성 통화를 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2에서 O-UE(102)가 사용자의 음성통화 버튼 입력에 따라 호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여 O-RNC(106)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셋업 메시지는 영상 베어러 성능값(BCmm), 음성 베어러 성능값(BCsp) 및 호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식별자는 O-RNC(106)가 수신되는 호 셋업 메시지가 음성 통화를 위한 것인지 영상 통화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필드값일 수 있다.
또한, 3GPP에서 규정하고 있는 호 셋업 메시지는 진행 지시자(Progress indicator)필드를 포함하는데, 진행 지시자가 호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어서, 단계 s204에서 O-RNC(106)는 호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셋업 메시지에서 호 식별자를 추출하여 O-UE(102)로부터 음성 통화를 요청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O-RNC(106)는 트래픽 무선 베어러로서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는 음성호 설정을 지시하는 호 진행 메시지를 O-UE(102)로 전송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06에서 O-UE(102)는 수신된 호 진행 메시지에 따라 O-UE(102)와 O-RNC(106)간에 음성호를 설정하고, 단계 s210에서 음성호 설정 완료 메시지를 O-RNC(106)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12에서 O-RNC(106)는 호 셋업 메시지에 따른 연결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연결 요청을 MSC(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요청에는 O-UE(102) 정보 및 T-UE(112)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어서, 단계 s214에서 MSC(120)는 응답 대기(Alerting)메시지를 O-RNC(106)을 통하여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216에서 MSC(120)는 연결 요청에서 T-UE(112)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T-UE(112)정보를 이용하여 T-UE(112)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HLR(130)로 전송하고, HLR(130)로부터 T-UE(112)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T-UE(112)의 사용자 정보는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및/또는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18에서 MSC(120)는 수신된 T-UE(112)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20에서 MSC(120)가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영상 통화연결음이 전송될 수 있는 영상호가 O-RNC(106) 및 O-UE(102)간에 설정되도록 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생성하여 O-RNC(106)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22에서 O-RNC(106)는 영상베어러 성능값(BCmm)값을 포함하는 호 변경 메시지(MODIFY)를 생성하여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O-RNC(106)는 3GPP에서 정의하는 SCUDIF(Service Change and UDI/RDI FallBack)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호를 영상호를 변경하기 위한 호 변경 메시지(MODIFY)를 생성하여 O-UE(1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24에서 O-UE(102)와 O-RNC(106)간에 기존에 설정된 음성호가 영상호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호는 영상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는 트래픽 무선 베어러이다.
이어서, 단계 s226에서 O-UE(102)가 영상호 설정완료 메시지를 O-RNC(106)를 통하여 MSC(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28에서 MSC(106)는 연결된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또는 컨텐츠 제공서버(CP))(140)에 T-UE(112)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 통화연결음을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30에서 영상 통화연결음이 O-RNC(106)과 O-UE(102)간에 설정된 영상호를 통하여 O-UE(102)에 전송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영상통화연결음이 O-UE(102)에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에 예시된 순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 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단계 s228의 영상 통화연결음 요청하는 단계는 단계 s218에서 T-UE(112) 사용자가 영상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로 판단된 직 후 에 수행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연결음을 종료하고 음성 통화를 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232에서 MSC(120)에서 T-RNC(116)로 호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MSC(120)가 T-UE(112)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T-RNC(116)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34 내지 단계 s238은 앞서 설명한 단계 s202 내지 단계 s206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 s240에서 T-UE(112)는 응답대기 메시지(Alerting)를 MSC(120)로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242에서 T-UE(112)에 사용자의 통화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연결 응답이 MSC(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44에서 MSC(120)는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140)에 영상 통화연결음을 종료 요청하고, 단계 s246에서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48에서 MSC(120)는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영상호를 음성 통화를 위한 트래픽 무선 베어러인 음성호로 변경요청하는 다운그레이드 요청을 생성하여 O-RNC(106)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50에서 SCUDIF 모듈을 포함하는 O-RNC(106)는 음성베어러 성능값(BCsp)을 포함하는 호 변경 요청을 O-UE(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52에서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트래픽 무선 베어러가 영상호에서 음성호로 변경된 이후, 변경 완료 메시지를 O-UE(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56에서 MSC(120)는 연결 응답을 O-UE(102)로 전송할 수 있고, 이후 단계 s258에서 O-UE(102)와 T-UE(112)간에 음성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연결음을 종료하고 음성 통화를 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도 3에 예시된 순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경우, O-UE(102)가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에도,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함으로써, 영상 통화연결음이 영상호를 통하여 O-UE(102)로 전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연결음이 O-UE(102)에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함다.
다만,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 는바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연결음이 O-UE(102)로 전송되는 과정 및 음성 통화연결음이 종료되고 음성 통화가 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2이전의 과정은 앞서 도 2의 단계 s218과정과 중복된 설명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 s402에서 MSC(120)가 T-UE(112)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계 s404에서 T-UE(112)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MSC(120)가 T-UE(112)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계 s406에서 MSC(120)는 연결된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142) (또는 컨텐츠 제공서버(CP))(140)에 T-UE(112) 사용자가 지정한 음성 통화연결음을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078에서 음성 통화연결음이 O-UE(102)와 O-RNC(106)간에 설정된 음성호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 예시된 순서도에서 단계 s248 내지 단계 s254단계가 생략된 경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링백톤이 O-UE(102)로 전송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2단계 이전의 단계는 앞서 도 2의 단계 s218과정과 중복된 설명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 s604에서 MSC(120)가 T-UE(112)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04 이후 링백톤 신호가 O-UE(102)로 제공되는 과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링백톤 대체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 요청에 따른 착신대기시 영상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연결음을 종료하고 음성 통화를 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화연결음이 O-UE(102)로 전송되는 과정 및 음성 통화연결음이 종료되고 음성 통화가 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링백톤이 O-UE(102)로 전송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발신측 단말(Originating UE, O-UE)
112 : 착신측 단말(Terminating UE, T-UE)
104, 114 :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120 : 이동통신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
130 :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140 : 영상 통화연결음 서버
142 : 음성 통화연결음 서버

Claims (9)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에서 착신측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로 판단한 경우, 발신측 단말과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단말로부터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과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영상호를 음성호로 변경요청하는 다운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발신측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호 셋업 메시지의 특정필드값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요청임을 판단한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과의 음성호를 설정하기 위한 호 진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호 셋업 메시지에 따른 연결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업그레이드 요청을 전송한 경우, 영상 통화연결음이 상기 영상호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음성 통화연결음이 상기 음성호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이동통신 시스템이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에서 착신측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추출한 상기 착신측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 연결된 홈 위치 등록기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수신되는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 요청에 따른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상기 영상 통화연결음 서비스에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발신측 단말과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음성호를 영상호로 변경요청하는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영상 통화연결음이 상기 영상호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이후
    (f)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업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한 이후 상기 착신측 단말로부터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과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간의 영상호를 음성호로 변경요청하는 다운그레이드 요청을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발신측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발신측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호 셋업 메시지의 특정필드값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요청임을 판단한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과의 음성호를 설정하기 위한 호 진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셋업 메시지에 따른 연결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수신되는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음성 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자 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음성 통화연결음이 상기 음성호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KR1020080107892A 2008-10-31 2008-10-31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KR10104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892A KR101043619B1 (ko) 2008-10-31 2008-10-31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892A KR101043619B1 (ko) 2008-10-31 2008-10-31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712A true KR20100053712A (ko) 2010-05-24
KR101043619B1 KR101043619B1 (ko) 2011-06-24

Family

ID=4227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892A KR101043619B1 (ko) 2008-10-31 2008-10-31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6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007B1 (ko) * 2003-11-04 2006-10-04 와이더댄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KR100645923B1 (ko) * 2004-08-21 2006-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킷 통신망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722236B1 (ko) * 2005-10-17 200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영상 컬러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815560B1 (ko) 2006-11-01 2008-03-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영상 통화 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619B1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4802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技術分野で呼設定を行うための手法
US9712957B2 (en) Limiting services based on location
US97235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73178B2 (en) Method for providing guide broadcasting for video phone by means of fallback between speech mode and data mode
JP470847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JP4709904B2 (ja) 移動通信網を通じて伝送される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装飾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8476448A (zh) 一种业务处理方法及装置
US82596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 network-based multimedia ringback tone service
WO2006105732A1 (fr) Procede de transfert de connexion d’appel par commutation de circuit
US9800723B2 (en) Method, system and relevant apparatuses for select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KR100943586B1 (ko) 이종 통신 시스템과, 이종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
US7848336B2 (en) Dynamically anchoring a communication session in an IP network
KR1008061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된 호를 인터넷 전화로 연결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1043619B1 (ko)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CN101370185A (zh) 补充业务实现方法及通信系统、服务器
US8185151B2 (en) System and process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centralized service with enhance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KR100673243B1 (ko) 착신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 제공 상태에서 발신자가 설정한 통화 연결음으로의 변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29972B1 (ko) 호 재처리 방법 및 장치와 호 재처리 시 통화 연결 음원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3065660A1 (en) Method for achiev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rminals of telecommunication networks and related system
KR10071268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EP3035627A1 (en) Method of providing coverage extension to an existing mobile network, and corresponding system.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49723B1 (ko) 에스브이디를 이용한 착신측 벨소리 변경 서비스 방법
CN105744087A (zh) 一种彩铃业务实现方法、装置及系统
KR20080112026A (ko) 이동 단말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 통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