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321A -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321A
KR20100053321A KR1020080112381A KR20080112381A KR20100053321A KR 20100053321 A KR20100053321 A KR 20100053321A KR 1020080112381 A KR1020080112381 A KR 1020080112381A KR 20080112381 A KR20080112381 A KR 20080112381A KR 20100053321 A KR20100053321 A KR 20100053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sensor
injection time
vehicle
air
fuel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974B1 (ko
Inventor
최병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9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 상태의 초기 시동 온 조건에서 분사된 시동 연료량이 포트에서 최대한 분사된 후 연소실로 유입시켜 에미션의 안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간 상태의 시동 직후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었으면 공연비를 검출하는 과정, 냉각수온과 공연비를 설정된 맵에 적용하여 분사시간의 보정값을 결정하고, 기본 분사시간에 적용하여 최종 분사시간 제어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냉간 시동, 공연비, 산소센서, 에미션

Description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EMISS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간 상태의 초기 시동 온 조건에서 분사된 시동 연료량이 포트에서 최대한 분사된 후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ULEV(Super Ultra Emission Vehicle) 차량의 EM(Emission)은 미국의 배기가스 규제인 LEV-Ⅱ 규제(0.55g/mile-120K mile 보증)에 대비하여 NMOG(Non Methane Organic Gas)의 기준(0.01g/mile-150K mile 보증)으로 강화되었으며, 냉간시 발생되는 불완전 연소에 대하여 안정적인 에미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 따라 연료계통이나 인젝터 및 엔진 등의 하드웨어적인 편차 및 차량의 내구 진행에 따라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에미션 증가폭은 기존 LEV-Ⅱ 규제에 대비하여 큰 영향으로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지 위해 냉간 상태에서 초기 시동에 따른 초기 아이들 구간에서의 공연비를 최대한 희박(Lean)하게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에미션을 줄이고, 촉매의 활성화시간을 단축시켜 에미션 저감을 극대화하여야 하나, 차량의 열화에 따른 인젝터의 분사각도 변화 및 분사된 연료의 침전물에 의해 포트내의 증발특성을 변화시켜 웰 웨이팅(Wall Wetting)량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불완전 연소에 따른 에미션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간 상태에서의 초기 시동 직후 리니어 산소센서의 공연비 값에 따라 분사시간(EOIT : End Of Injection Time)을 제어하여 분사된 연료가 포트내에서 증발 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켜 에미션의 안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냉간 시동 직후 일정기간 동안의 아이들 구간에서 측정된 공연비가 일정기준치를 초과하면 초과된 양만큼 난기 후 상태의 분사시간에 대비하여 일정비율로 최대값까지 감소시켜 분사된 연료량이 포트에서 최대한 증발된 후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는,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RPM센서;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 배기 매니폴더에 장착되어 공연비를 검출하는 산소센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결정된 연료량을 연소실에 분사하는 분사장치; 냉간 시동 직후 산소센서가 활성화되면 아이들 구간에서 측정되는 공연비에 따라 분사시간의 보정값을 결정하여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의 에미션 제어방법은, 냉간 상태의 시동 직후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었으면 공연비를 검출하는 과정; 냉각수온과 공연비를 설정된 맵에 적용하여 분사시간의 보정값을 결정하고, 기본 분사시간에 적용하여 최종 분사시간의 제어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차량별 분사각도의 편차, 연료성상 변화 및 엔진의 내구 등에 대하여 안정된 에미션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RPM센서(10)와 수온센서(20), 산소센서(30), 제어부(40) 및 분사장치(50)를 포함한다.
RPM센서(10)는 크랭크 샤프트의 위상 변화 혹은 캠 샤프트의 위상 변화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에 인가한다.
수온센서(20)는 엔진의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산소센서(30)는 리니어 산소센서로, 배기 매니폴더에 장착되어 희박 혹은 농후에 대한 공연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제어부(40)는 냉간 시동 직후 일정기간 동안의 아이들 구간에서 산소센서(20)로부터 측정된 공연비가 일정기준치를 초과하면 초과된 양만큼 난기후 상태의 분사시간(EOIT : End Of Injection Time)에 대비하여 일정비율로 최대값까지 감소시켜 분사된 연료량이 포트에서 최대한 증발된 후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한다.
분사장치(5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의 개폐시간이 조정되어 운전조건에 따라 결정된 연료량을 대응되는 연소실에 분사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냉간 시동 직후 에미션을 저감 제어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 않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이 검출되면 제어부(40)는 RPM센서(10)로부터 엔진 회전수의 정보를 검출하고, 수온센서(20)로부터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며, 산소센서(30)로부터 공연비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반적인 운전정보를 검출한다(S101).
상기 검출되는 운전정보에서 RPM센서(10)의 정보 및 수온센서(20)의 정보가 냉간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 온 되었는지 판단한다(S102).
상기 S102의 판단에서 냉간 상태의 엔진 시동 온이면 엔진 시동 온 이후 설정된 일정시간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S103의 판단에서 엔진 시동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부(40)는 엔진의 운전이 정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적인 분사시간을 적용하여 분사장치(50)를 제어한다(S109).
그러나, 상기 S103의 판단에서 엔진 시동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제어부(400는 산소센서(30)로부터 시동 직후의 공연비를 검출하고(S104), 산소센서(30)의 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에서 산소센서(30)의 활성화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시동시의 분사시간을 적용하여 분사장치(50)를 제어하고(S108), 산소센서(30)의 활성화가 완료되었으면 시동시점에서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와 공연비를 설정된 맵에 적용하여 분사시간의 보정값을 결정한다(S106).
이후, 기본 분사시간의 제어값에서 냉각수의 온도와 공연비의 조건으로 결정된 분사시간의 제어값을 차 연산하여 최종적인 분사시간의 제어값을 계산한 다음 분사장치(50)를 제어하여 냉간 시동 직후에 발생되는 에미션을 안정되게 한다(S107).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 온(A지점) 이후 산소센서(30)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면(B지점) 공연비에 따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분사시간의 보정값을 적용함으로써, 냉간 상태의 초기 시동 직후 웰 웨이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에미션의 안정화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에미션 저감제어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에미션 저감 제어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PM센서 20 : 수온센서
30 : 산소센서 40 : 제어부
50 : 분사장치

Claims (5)

  1.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RPM센서;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
    배기 매니폴더에 장착되어 공연비를 검출하는 산소센서를 포함하며,
    냉간 시동 직후 산소센서가 활성화되면 아이들 구간에서 측정되는 공연비에 따라 분사시간 보정값을 결정하여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사시간 제어값의 보정을 통해 분사된 연료를 포트에서 최대값으로 증발시킨 후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간 시동 직후 아이들 구간에서 산소센서의 공연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그에 따라 설정된 맵을 적용하여 분사시간을 일정비율로 감소시키는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4. 냉간 상태의 시동 직후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었으면 공연비를 검출하는 과정;
    냉각수온과 공연비를 설정된 맵에 적용하여 분사시간 보정값을 결정하고, 기본 분사시간에 적용하여 최종 분사시간 제어값을 결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미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냉간 시동 직후 산소센서의 활성화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시동시의 분사시간을 적용하는 차량의 에미션 제어방법.
KR1020080112381A 2008-11-12 2008-11-12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KR101013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81A KR101013974B1 (ko) 2008-11-12 2008-11-12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81A KR101013974B1 (ko) 2008-11-12 2008-11-12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21A true KR20100053321A (ko) 2010-05-20
KR101013974B1 KR101013974B1 (ko) 2011-02-14

Family

ID=4227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381A KR101013974B1 (ko) 2008-11-12 2008-11-12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44A (ko) * 2016-11-30 2018-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인젝터 엔진의 연료량 분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619B1 (ko) 1997-12-31 200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분사 제어방법
JP4168864B2 (ja) * 2003-07-24 2008-10-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2007009903A (ja) * 2005-06-01 2007-01-1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KR101220351B1 (ko) * 2006-11-14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에서 월 웨팅 보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44A (ko) * 2016-11-30 2018-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인젝터 엔진의 연료량 분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974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6706B2 (ja) 内燃機関の燃料性状判定装置
JP200714683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037968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588496B1 (ko) 차량의 초기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2049751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8232007A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493577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197700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8161954B2 (en) Fuel supply control apparatus
KR101013974B1 (ko) 차량의 에미션 제어장치
US6729305B2 (en) Fuel injection amou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123166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890449B2 (ja) 直噴火花点火式内燃機関
JP200800830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05252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211455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7145018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13072313A (ja) 内燃機関の触媒早期暖機制御装置
JP201115782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5151879B2 (ja) エンジンのアルコール濃度推定装置および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746817B1 (ko) 자동차의 프리 인젝션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0746914B1 (ko) 차량의 연료량 보정방법
KR101145626B1 (ko) Gdi 엔진의 연료량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151029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8202466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