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425A -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425A
KR20100051425A KR1020080110591A KR20080110591A KR20100051425A KR 20100051425 A KR20100051425 A KR 20100051425A KR 1020080110591 A KR1020080110591 A KR 1020080110591A KR 20080110591 A KR20080110591 A KR 20080110591A KR 20100051425 A KR20100051425 A KR 20100051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headset
channel change
mobile terminal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1425A/ko
Publication of KR2010005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이 연결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되는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헤드셋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채널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과정을 갖는다.
휴대 단말기, 블루투스, 헤드셋, 채널 변경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FOR CHANGE CHANNEL USING BLUETOOTH FUNCTION AND SYSTEM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셋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기 또는 핸즈 프리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타인이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받아 소유하거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타인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기능이 발전해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능으로 케이블 통신 기능, 적외선 통신 기능, 블루투스 통신 기능과 같은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이중 블루투스 통신 기능은 10m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해 양방향으로 실시간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다.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휴대 단말기는 다른 통신 기기들과 케이블 연결없이 2.4GHz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이용하여 1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기기들로 헤드셋, 핸즈 프리와 같은 기 기들이 있을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을 요청하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통신 기기를 마스터, 마스터와 연결되는 헤드셋, 핸즈 프리와 같은 통신 기기는 슬레이브라 칭한다.
휴대 단말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된 헤드셋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마스터; Master(100))는 110단계에서 헤드셋(슬레이브; Slave(200))과 패어링을 수행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블루투스 기능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주변의 블루투스 기능이 가능한 통신 기기들을 검색한다. 사용자가 검색된 통신 기기 중에서 헤드셋(200)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선택된 헤드셋(200)으로 자신의 주소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헤드셋(200)은 자신의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100)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헤드셋(200)의 주소를 확인하고, 확인한 주소를 통해 헤드셋(200)을 호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120단계에서 호출한 헤드셋(200)으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헤드셋(200)과 헤드셋 프로파일에 따른 RF COMM 연결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은 130단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ACD Link를 형성한다. 그리고 140단계에서 음성 통화 또는 디지털 방송 기능 수행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100)에서 음성 데이터가 발생하면, 휴대 단말 기(100)는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은 150단계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SCO Link를 형성한다. 그러면 헤드셋(200)은 156단계에서 형성된 SCO Link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헤드셋(200)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헤드셋(200)은 음성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만 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그 외에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휴대 단말기(100)에서 디지털 방송 기능 또는 라디오 기능이 수행될 때, 헤드셋(200)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방송 기능 또는 라디오 기능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다른 방송 또는 다른 라디오 채널에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으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성된 입력부를 통해 현재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에서 원하는 채널로 변경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 방법은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이 연결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되는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헤드셋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채널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헤드셋; 상기 헤드셋과 연결되고,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시, 선택되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며, 상기 헤드셋으로부터 상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 는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헤드셋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채널 또는 라디오 채널이 헤드셋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능으로 연결된 헤드셋으로 듣고 있을 때, 디지털 방송 채널 또는 라디오 제널을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헤드셋을 통해서도 변경할 수 있다.
'방송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부 또는 라디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송 데이터는 각 방송국별로 지정된 주파수를 통해 송출되며, 음향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방송 데이터는 음향 데이터를 의미한다.
'채널'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각 방송국별로 할당된 주파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각 방송국별로 할당된 주파수에 채널 번호가 부여되는데, 서울 방송국인 SBS는 채널 6로, 문화 방송국인 MBC는 채널 11로, 한국 방송국인 KBS 1 또는 2는 채널 7 또는 채널 9로 부여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방송 기능 수행시 사용자가 채널 6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채널 6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튜닝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튜닝된 주파수를 통해 채널 6에 해당하는 SBS 방송국에서 송출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라디오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각 방송사별로 할당된 주파수도 채널이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는 각 방송사별로 할당된 주파수는 MBC 방송국의 경우 95.9 MHz, SBS 방송국의 경우 103.5 MHz, KBS 방송국의 경우 97.3MHz이라면, 각각의 방송사별로 할당된 주파수인 95.9 MHz, 103.5 MHz, 및 97.3MHz을 채널이라 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표시부(120), 근거리 통신부(130), 저장부(140), 입력부(150), 무선 통신부(160), 라디오 수신부(170),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 오디오 처리부(19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들 중에서 헤드셋(200)의 구성들과 구분하기 위해 제1 제어부(110), 제1 근거리 통신부(130), 제1 저장부(140), 제1 입력부(150), 제1 오디오 처리부(190)라고 칭한다.
제1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근거리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제1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헤드셋(200)과 연결될 수 있다. 라디오 기능 또는 디지털 방송 기능과 같은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시, 제1 제어부(110)는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10)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된 헤드셋(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11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헤드셋(200)으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 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한다. 여기서 추가되는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제1 제어부(110)는 추가로 설정된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통해 헤드셋(200)으로부터 전송된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10)는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채널을 변경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10)는 변경된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10)가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와 동조시킴으로써 채널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LCD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120)는 제1 입력부(150)로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중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된 헤드셋(200)으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어 채널이 변경되었을 때, 표시부(120)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변경된 채널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에서 라디오 기능이 수행되면, 표시부(120)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라디오 기능이 수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채널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라디오 주파수를 숫자 또는 바 타입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부(130)는 소정 범위 내의 다른 통신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근거리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RFID 및 WI-Fi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근거리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며, 헤드셋(200), 핸즈프리 등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제1 근거리 통신부(130)는 라디오 수신부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근거리 통신부(13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를 제1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가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각 프로토콜 유닛을 저장하며, 이러한 프로토콜 유닛들은 제1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블루통신 기능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프로토콜을 형성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제1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제1 입력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거나, 일반적인 키패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숫자 및 문자가 배열된 문자 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기능키, 소프트 키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입력부(150)는 블루투스 기능이 수행될 때 선택되는 블루투스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 또는 라디오 수신부(170)를 통해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선택키도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60)는 음성 통화 서비스, 화상 통화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통신부(160)는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제1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라디오 수신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디오 수신부(170) 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는 음향 데이터가 포함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는 음향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1 오디오 처리부(190)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무선 통신부(16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방송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1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헤드셋(200)은 제어부(210), 근거리 통신부(220), 저장부(230), 입력부(240), 오디오 처리부(25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헤드셋(200)의 구성을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들과 구분하기 위해 제2 제어부(210), 제2 근거리 통신부(220), 제2 저장부(230), 제2 입력부(240), 제2 오디오 처리부(250)라고 칭한다.
제2 제어부(210)는 헤드셋(200)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구성들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근거리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210)는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여 무선 연결을 요청한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210)는 제2 오디오 처리부(25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240)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100)로 시리얼 포트 프 로파일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와 함께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한다. 여기서 추가로 구성되는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제2 근거리 통신부(220)는 소정 범위 내의 다른 통신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제2 근거리 통신부(220)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30)는 헤드셋(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헤드셋(200)이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각 프로토콜 유닛을 저장한다. 이러한 흐포토콜 유닛들은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프로토콜을 형성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헤드셋(200) 기능 제어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제2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2 입력부(240)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키, 헤드셋(2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키,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통화 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240)는 mp3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인 재생/멈춤 키, 빨리감기 키(forward key), 되감기 키(rewind k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셋(200)에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도중에 선택되는 통화 키 또는 mp3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는 채널 변경을 위해 선택되는 기능 키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오디오 처리부(250)는 제2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처리부(25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근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블루투스 기능으로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의 프로토콜 스택은 베이스밴드(Base Band)로 구성되는 제1 계층(a),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LMP; Link Manager Protocol) 및 논리적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L2CAP;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로 구성되는 제2 계층(b), 가상 시리얼 포트(RFCOMM;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DP; Service Discovery Protocol)로 구성되는 제3 계층(c),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PP; Serial Port Profile)로 구성되는 제4 계층(d), 휴대 단말기(100) 또는 헤드셋(200)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제5 계층(e)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밴드로 구성된 제1 계층(a)은 피코넷을 형성하는 블루투스 유닛(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사이에서 물리적인 RF 링크가 가능하게 한다. 제2 계층(b)을 구성하는 LMP는 링크 설립을 다루는 프로토콜로, 휴대 단말 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ACL Link(Asynchronous Connectionless Link) 및 음성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SCO Link(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L2CAP는 상위층 프로토콜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최대 64Kbyte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제3 계층(c)을 구성하는 프로토콜 중에서 SDP는 블루투스 스택 상위에서 서비스들의 설정 및 발견을 다루는 프로토콜이다. RFCOMM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규격인 RS-232C 등과 같은 시리얼 송신을 대체하는 프로토콜이다.
제4 계층(d)을 구성하는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은 RFCOMM을 이용하여 시리얼 포트에 어플리케이션을 접속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프로파일이다.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은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을 연결하기 위한 헤드셋 프로파일, 노트북, 컴퓨터 등이 전화회선을 통해 다이얼업 접속을 하기 위한 다이얼 업 네트워킹 프로파일, 컴퓨터와 랜 액세스 포인트 사이를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무선 접속하기 위한 랜 액세스 프로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은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이 연결되기 위한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해 연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5 계층(e)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이루어진다.
헤드셋(200)에서 제2 입력부(240)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에서 프로토콜 스택이 도 3의 B와 같이 형성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이 연결되었을 때 형성되었던 제1 계층(a) 내지 제3 계층(c)의 프로토콜은 유지되고, 제4 계층(d) 및 제5 계층(e)에서 프로토콜 및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4 계층(c)에서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을 연결하기 위한 헤드셋 프로파일인 제1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과 헤드셋(200) 및 휴대 단말기(100)에서 입력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렇게 추가로 형성된 제2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체널 변경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연결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계층(e)에서는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에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1 및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2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렇게 추가된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이하 SPP라 칭한다)을 이용하여, 헤드셋(200)은 제2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된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채널 변경을 위한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 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은 4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연결될 상대방의 주소를 주고 받는 페어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은 420단계에서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한 RFCOMM 연결을 수행한 후, 43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ACL Link를 형성한다.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440단계에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와 헤드셋(200)은 450단계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SCO Link를 형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하고, 헤드셋(200)은 제2 오디오 처리부(250)의 이어폰을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
헤드셋(200)은 460단계에서 구비된 제2 입력부(240)를 통해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채널 변경 신호는 휴대 단말기(100)가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이전 채널로 변경할 것인지, 다음 채널로 변경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헤드셋(200)은 47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로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SPP를 추가로 설정한다.
SPP가 추가로 설정되면, 헤드셋(200)은 480단계에서 확인된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100)는 490단계에서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채널로 변경하고, 변경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기(100) 및 헤드셋(200) 간의 채널 변경을 위한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헤드셋(200)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셋(200)은 5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그리고 헤드셋(200)은 52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제2 오디오 처리부(250)를 통해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헤드셋(200)은 530단계에서 채널 변경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즉 방송 데이터 출력 중에 헤드셋(200)의 제2 입력부(240)를 통해 기능키가 입력되면, 헤드셋(200)은 입력된 기능키를 채널 변경을 위한 기능키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셋(200)에 mp3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헤드셋(200)에 구비된 mp3 재생을 위한 기능키인 빨리감기 키를 입력한다. 그러면 헤드셋(200)은 입력된 빨리감기 키를 현재 휴대 단말기(100)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에서 다음 채널로 변경하라는 채널 변경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채널 변경을 위해 입력된 키가 되감기 키라면, 헤드셋(200)은 입력된 되감기 키를 현재 휴대 단말기(100)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에서 이전 채널로 변경하라는 채널 변경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에 헤드셋(200)에 통화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헤드셋(200)은 입력된 통화키를 다음 채널로 변경시키기 위한 채널 변경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로 판단할 수 있다.
530단계에서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헤드셋(200)은 54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로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헤드셋(200) 및 휴대 단말기(100) 간의 SPP를 추가로 설정한다. 그리고 헤드셋(200)은 550단계에서 확인된 채널 변경 신호를 추가로 설정된 SPP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에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른 채널로 변경하고, 변경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헤드셋(200)은 560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제2 오디오 처리부(250)를 통해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헤드셋(200)은 560단계에서 제2 입력부(240)를 통해 채널 변경이 다시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채널 변경이 다시 선택되면, 헤드셋(200)은 55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반면에 채널 변경이 선택되지 않으면, 헤드셋(200)은 58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이 해제되지는 판단하여, 근거리 통신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헤드셋(200)은 방송 데이터를 출력 중에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음성 통화 기능에 따라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면, 헤드셋(200)은 출력 중이던 방송 데이터 대신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헤드셋(200)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610단계에서 제1 근거리 통신부(130)을 통해 헤드셋(200)과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620단계에서 제1 입력부(150)를 통해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인 라디오 수신부(170)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드이다. 다시 말해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는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라디오 기능 또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만약에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630단계에서 선택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되는 기능은 음성 통화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mp3 재생 기능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640단계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디지털 방송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라면,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 가능한 채널을 표시부(120)에 모두 표시한다. 그리고 제1 입력부(150)를 통해 채널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와 동조시킨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선택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하는 중에 휴대 단말기(100)는 650단계에서 헤드셋(200)으로부터 채널 제어를 위한 SPP 추가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SPP 추가 설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은 630단계로 돌아가 제1 입력부(150)을 통해 선택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100)는 헤드셋(200)으로 채널 변경 신호를 다시 요청하는 신호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재전송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반면에 SPP 추가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660단계에서 채널 제어를 위한 헤드셋(200) 및 휴대 단말기(100) 간의 SPP를 추가로 설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670단계에서 헤드셋(200)으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680단계에서 현재 방 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에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른 채널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헤드셋(200)을 통해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를 제어하여 현재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채널에서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한다.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한 휴대 단말기(100)는 690단계에서 변경된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695단계에서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67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된 헤드셋(200) 및 휴대 단말기(100) 간의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헤드셋(200) 및 핸즈 프리와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연결된 다음 헤드셋(200)을 통해 핸즈 프리의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 단말기, 헤드셋 및 핸즈 프리 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헤드셋은 사용자의 몸에 직접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신 기기이다.
핸즈 프리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자동차에 장착되는 통신 기기이다. 핸즈 프리는 자동차에 따로 통신 기기로 장착될 수 있 고,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핸즈 프리는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은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200)은 제1 슬레이브로, 핸즈 프리는 제2 슬레이브 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710단계에서 헤드셋(200)인 제1 슬레이브(200a)와 페어링을 수행한 다음, 720단계에서 핸즈 프리인 제2 슬레이브(200b)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730단계에서 제1 슬레이브(200a), 휴대 단말기(100) 및 제2 슬레이브(200b) 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SPP에 따른 RF COMM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슬레이브(200b)는 740단계에서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는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 또는 디지털 방송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200a)는 750단계에서 제2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채널 변경을 확인하고, 75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로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슬레이브(200a)는 760단계에서 입력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1 슬레이브(200a)로부터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100)는 제1 슬레이브(200a)와 제2 슬레이브(200b)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SPP를 추가로 설정하고, 770단계에서 제2 슬레이브(200b)로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775단계에서 제1 슬레이브(200a)로부터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를 제2 슬레이브(200b)로 전송한다.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제2 슬레이브(200b)는 SPP를 추가로 설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슬레이브(200b)는 780단계에서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던 채널을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2 슬레이브(200b)는 790단계에서 변경된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1 슬레이브(200a)인 헤드셋(200)에서 제2 슬레이브(200b)인 핸즈 프리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슬레이브(200a)는 81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82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슬레이브(200a)는 830단계에서 제2 입력부(240)를 통해 채널 변경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채널 변경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1 슬레이브(200a)는 제2 입력부(240)을 통해 선택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은 휴대 단말기(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제1 슬레이브(200a)는 840단계에서 SPP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채널 변경을 위한 SPP를 추가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1 슬레이브(200a)는 850단계에서 채널 변경 선택에 따른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채널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 제1 슬레이브(200a)는 860단계에서 제2 입력부(240)를 통해 다시 채널 변경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제1 슬레이브(200a)는 850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한편 860단계에서 채널 변경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슬레이브(200a)는 87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슬레이브(200a)가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입력부를 통해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를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만약에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1 슬레이브(200a)는 860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슬레이브(200a)인 헤드셋(200)에서 채널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에서 제1 슬레이브(200a)인 헤드셋(200)에서 수신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제2 슬레이브(200b)인 핸즈 프리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910단계에서 제1 입력부(150)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920단계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헤드셋(200)인 제1 슬레이브(200a)와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핸즈 프리인 제2 슬레이브(200b)와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930단계에서 제1 슬레이브(200a)로부터 채널 변경을 위한 SPP 추가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SPP 추가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940단계에서 제1 슬레이브(200a)와 제2 슬레이브(200b)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SPP를 추가로 설정하고, 950단계에서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960단계에서 선택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선택되는 기능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포함하며, 문자 송수신 기능, 음성 통화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선택되면, 연결된 제1 슬레이브(200a)인 헤드셋(200)과 제2 슬레이브(200b)인 핸즈 프리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겠다고 응답한 슬레이브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슬레이브(200a)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970단계에서 제2 슬레이브(200b)로 SPP를 추가로 설정하기 위한 SPP 추가 설정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980단계에서 제1 슬레이브(200a)로부터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를 제2 슬레이브(200b)로 전송한다.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한 휴대 단말기(100)는 99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95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제1 입력부(150)를 통해 근거리 통신 모드 종료를 선택하는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슬레이브(200a)가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제2 슬레이브(200b)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자동차의 뒷좌석 또는 자동차 외부에서도 제1 슬레이브(200a)인 헤드셋(200)을 통해 제2 슬레이브(200b)인 핸즈프리를 제어하여,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채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 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 단말기, 헤드셋 및 핸즈 프리 간의 채널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4)

  1. 휴대 단말기 및 헤드셋으로 구성된 시스템 간의 채널 변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헤드셋이 연결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되는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헤드셋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채널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채널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헤드셋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는
    라디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 디지털 방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 방법.
  4. 휴대 단말기 및 적어도 두개의 제1 및 제2 슬레이브로 구성된 시스템 간의 채널 변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 슬레이브와 연결하는 과정;
    상기 제2 슬레이브가 선택된 채널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1 슬레이브는 채널 변경이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슬레이브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제2 슬레이브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2 슬레이브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따른 채널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채널 변경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슬레이브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레이브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2 슬레이브와 상기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 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 방법.
  7.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헤드셋;
    상기 헤드셋과 연결되고,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시, 선택되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며, 상기 헤드셋으로부터 상기 채널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은
    상기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방송 데이터 출력시, 상기 채널 변경이 선택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하고,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시 선택된 채널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상기 헤드셋으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 추가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시 상기 헤드셋간에 상기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을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11.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하고, 채널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채널 변경에 해당하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슬레이브;
    상기 제1 슬레이브 및 제2 슬레이브와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1 슬레이브로부터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제2 슬레이브로 전송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연결하고, 방송 데이터 출력 모드시 선택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된 채널을 상기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상기 제2 슬레이브로 구성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2 슬레이브와 상기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을 추가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는 헤드셋이고, 상기 제2 슬레이브는 핸즈 프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080110591A 2008-11-07 2008-11-07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00051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91A KR20100051425A (ko) 2008-11-07 2008-11-07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91A KR20100051425A (ko) 2008-11-07 2008-11-07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25A true KR20100051425A (ko) 2010-05-17

Family

ID=4227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591A KR20100051425A (ko) 2008-11-07 2008-11-07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14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1691C2 (ru) Аудиогарнитура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US7844224B2 (en)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ly multiple-path Bluetooth audio applications
EP1912388B1 (en) Audio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hone
US8892038B2 (en) Method for searching and connecting Bluetooth devic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40204168A1 (en) Headset with integrated radio and piconet circuitry
US8620217B2 (e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55359A (ko) 4극 이어폰과 5극 이어폰 호환회로와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TW200524322A (en) Bluetooth terminal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US20080161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07013617A (ja) 車載無線装置
KR101653656B1 (ko) 와이파이-블루투스 브릿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방법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20100051425A (ko)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US882503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by using headset
KR200800226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US20080009247A1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KR20050040544A (ko) 그룹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KR20150142410A (ko) 블루투스 기반의 그룹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011071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1348715B1 (ko) 이동통신단말의 착신음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