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229A -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 Google Patents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229A
KR20100051229A KR1020080110281A KR20080110281A KR20100051229A KR 20100051229 A KR20100051229 A KR 20100051229A KR 1020080110281 A KR1020080110281 A KR 1020080110281A KR 20080110281 A KR20080110281 A KR 20080110281A KR 20100051229 A KR20100051229 A KR 20100051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loader
discharge
ports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272B1 (ko
Inventor
김동억
이공인
김현환
김종구
김성기
황수경
이장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8011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2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포트보충장치를 구비하여 포트장전대의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자동적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a pot supplier and potting machin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포트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나 화훼의 재배시에는 적정량의 상토가 충전된 포트에다가 이식 또는 파종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포트에 상토를 충전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량의 포트를 이용하여 이식 및 파종작업을 수행하게 될 경우, 포트에 상토를 충전하는 작업속도가 느리고 포트에 적정량의 상토가 충전되지 못하게 되는 등 상토 충전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2007년 5월 25일자로 출원하여 등록 결정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8552호에 개시된 포트 상토 충전기를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점 이 해결되도록 한 바 있다.
즉, 상기 출원에 개시된 상토충전기는 본체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포트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마련된 포트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1위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로 포트를 하나 씩 자동 공급하도록 마련된 포트공급장치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2위치 상부에 위치되는 상토토출구를 구비하고 일정량의 상토를 상기 상토토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송된 포트 내부로 적정량의 상토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상토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토충전기를 이용하게 되면, 다량의 포트에 정량의 상토를 충전시키는 작업을 정확하고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상토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포트공급장치는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를 수용하는 포트장전대와, 포트장전대에 적층되도록 장전된 포트 중 최하단 포트를 하나 씩 하부 쪽 제1위치로 낙하시켜 포트공급대에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를 구비한다.
정량배출장치는 좌우 양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상하부로 배치된 한 쌍의 배출부재를 구비하며, 하부 쪽 배출부재는 최하단 포트 입구의 테두리를 지지하고, 상부 쪽 배출부재는 최하단 직상부의 포트 테두리를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 쪽 배출부재와 상부 쪽 배출부재는 번갈아가면서 측방향으로 진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최하단 포트는 하부 쪽 배출부재의 진퇴동작시 제1위치로 낙하되고, 최하단 직상부 쪽 포트는 상부 쪽 배출부재의 진퇴동작에 의해 낙하된 최하단 쪽 포트의 자리로 위치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잰행되면서 포트장전대의 포트들은 최하단 포트부터 하나씩 차례로 제1위치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상토충전기는 상기 포트공급장치가 하나의 포트장전대만을 구비하고,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장전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토 충전 작업시 작업자가 수시로 상기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보충시켜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트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으로 진퇴동작하는 배출부재에 의해 포트를 하나씩 배출하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는 포트장전대의 최하단 직상부의 포트가 최하단 위치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유동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는 최하단으로 위치된 포트의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면서 포트공급장치의 포트 배출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할 우려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트의 보충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포트공급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된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트의 공급동작시 포트의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 로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트공급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포트장전대와, 상기 포트장전대에 적층되도록 장전된 포트들 중 최하단 포트를 하나 씩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와, 상기 포트장전대의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보충하도록 마련된 포트보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는 장전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 쪽 상기 회전축 반경방향에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보충포트장전대와, 상기 보충포트장전대의 회전경로 일측의 상기 지지대에 상기 포트장전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장전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포트장전대의 포 트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어느 하나의 상기 보충포트장전대가 상기 연통홀 쪽으로 위치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된 보충포트장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포트장전대는 내경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충포트장전대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외통과,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외통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내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배출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출구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회전캠을 포함하고, 상기 각 회전캠에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장전된 최하단 포트의 입구 테두리를 상기 회전캠의 동작에 따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나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토충전기는 본체와, 포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포트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1위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로 포트를 하나 씩 자동 공급하는 포트공급장치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2위치 상부로 형성된 상토토출구를 구비하고 일정량의 상토를 상기 상토토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된 포트 내부로 적정량의 상토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상토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포토공급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포트장전대와, 상기 포트장전대에 적층되도록 장전된 포트들 중 최하단 포트를 하나 씩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와, 상기 포트장전대의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보충하도록 마련된 포트보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트공급장치 및 상토충전기는 상기 포트보충장치를 통해 포트장전대의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보충포트장전대의 포트를 포트장전대로 자동보충할 수 있도록 마련됨에 따라 포트의 공급동작을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포트공급장치 및 상토충전기는 포트공급장치의 정량배출장치가 외주에 나선이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캠을 구비하고, 이러한 회전캠의 회전동작을 통해 포트의 입구 쪽 테두리가 나선에 연속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배출되므로, 자동 공급되는 포트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포트(p)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10)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1)을 포함하는 포트이송장치(20)와,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제1위치(21a)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21a)로 포트(p)를 하나 씩 자동 공급하는 포트공급장치(30)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2위치(21b) 상부로 형성된 상토토출구(41)를 구비하고 일정량의 상토를 상기 상토토출구(41)를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21a)에서 제2위치(21b)로 이송된 포트(p) 내부로 적정량의 상토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상토공급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0)의 하단에는 본체의 이동시 사용되도록 케스터(11)가 설치된다.
포트이송장치(20)는 본체(10)의 상단면 외곽 쪽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21)과, 포트(p)의 측면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외측둘레에 설치되어 포트(p)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22)와, 가이드레일(21)의 내측 설치되어 구동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24) 및 연동스프로켓(25)과, 구동 및 연동스프로켓(24,25)에 설치되어 순환 구동되며 다수의 이송바(26)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되어 포트(p)를 이송하도록 마련된 순환이송체인(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바(26)는 순환이송체인(27)의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순환이송체인(27)과 함께 순환작동되면서 가이드레일(21) 상에 놓은 포 트(p)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또 포트이송장치(20)의 일측부에는 내부에 상토가 충전된 상태로 이송되어진 포트(p)를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봉(28)이 본체(1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저면부에는 배출가이드판(29)이 마련된다.
배출가이드판(29)의 하측에 별도의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하게 되면, 상토 충전이 완료된 포트(p)를 자동으로 분배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토공급장치(40)는 포트공급장치(30)에 의해 가이드레일(21)의 제1위치(21a)로 공급되었다가 상기 포트이송장치(20)에 의해 제2위치(21b)로 이송된 포트(p)의 상측으로 상토를 공급하도록 마련 것으로, 상토가 담기는 혼합조(42)와, 혼합조(42)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혼합이송날개(43)와, 혼합이송날개(43)에 의해 혼합 공급되는 상토를 상측으로 적정량씩 퍼 올리는 엘리베이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혼합조(42)는 상토가 담겨지도록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며, 혼합이송날개(43)는 혼합조(42)의 내부에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상토를 교반시키고 엘리베이터 하부 쪽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엘리베이터(44)는 포트이송장치(20)에 의해 포트(p)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측으로부터 상토를 낙하시켜 포트(p) 내부에 담겨지도록 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44)는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상부스프로켓(44a)/하부스프로켓(44b)/전방스프로켓(44c)/전도스프로켓(44d)과, 이들 스프로켓(44a,44b,44c,44d)들을 연결하며 회동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체인(44e)과, 체인(44e)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 결되어 있는 다수의 버킷(44f)을 포함한다.
체인(44e)의 회전시 버킷(44f)은 저부의 상토를 퍼 올리게 되며, 버킷(44f)은 전도스프로켓(44d)을 통과하면서 전도되어 내부의 상토를 제2위치(21b)로 이송된 하측의 포트(p) 내부로 쏟아 부어 포트(p)에 상토를 충전시키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12는 콘트롤박스로써, 이러한 콘트롤박스(12)에는 상토충전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12a)와 전원공급스위치(12b)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또 다른 미설명부호 13은 혼합이송날개(43)의 구동을 위한 모터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엘리베이터(44)의 일측 하부에는 엘리베이터(44) 구동을 위한 모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는 상기 포트공급장치(30)를 통해 가이드레일(21)의 제1위치(21a)로 하나의 포트(p)가 공급되면, 제1위치(21a)로 공급된 포트(p)는 상기 포트이송장치(20)의 구동을 통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제2위치(21b)로 이송되고, 포트(p)가 제2위치(21b)로 이송되면 상기 상토공급장치(40)가 구동되어 제2위치(21b)의 포트(p) 내부로 정량의 상토를 공급하여 충진시키게 된다. 상토 충진이 완료된 포트(p)는 가이드레일(21)의 제1위치(21a)와 제2위치(21b) 사이에 마련된 배출가이드바(28)와 배출가이드판(29)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상토 충전작업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포트공급장치(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p)가 장전되 도록 마련된 포트장전대(50)와, 포트장전대(50)에 적층되도록 장전된 포트(p)들 중 최하단 포트(p)를 하나 씩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60)와, 포트장전대(50)의 장전된 포트(p)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p)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포트장전대(50)에 포트(p)를 보충하도록 마련된 포트보충장치(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포트보충장치(70)는 포트장전대(50)에 장전된 포트(p)의 장전량을 감지하도록 포토센서로 마련되는 장전량감지센서(71)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보조프레임(15)을 통해 포트장전대(50)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72)와, 상기 지지대(72)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73)과, 상기 회전축(7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4)와, 상기 회전축(73)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대(72) 상부 쪽 상기 회전축(73) 반경방향에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p)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보충포트장전대(75)와,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의 회전경로 일측의 상기 지지대(72)에 상기 포트장전대(5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홀(72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포트보충장치(70)에 있어서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연통홀(72a)은 상기 포트(p)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74)는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텝모터로 마련되어 지지대(72) 하부로 연장된 회전축(73)과 체인(74a)으로 연결되어 회전축(73)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74)는 상기 장전량감지센서(71)에 의해 감지된 포트장전대(50)의 포트(p)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보충포 트장전대(7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연통홀(72a) 쪽으로 위치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73)을 회전구동시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보충장치(70)를 구비하는 포트공급장치(30)는 포트장전대(50)의 포트(p)가 소정량 이상 소모되었을 경우 상기 장전량감지센서(71)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74)가 이와 연동하여 일측 보충포트장전대(75)가 상기 연통홀(72a) 쪽에 위치되도록 회전축(73)을 회전시키고, 연통홀(72a) 쪽으로 위치된 보충포트장전대(75)의 포트(p)들은 상기 연통홀(72a)을 통해 포트장전대(50)로 보충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구동모터(74)가 각도 조절이 어려운 일반모터로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가 상기 연통홀(72a) 쪽으로 위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감지센서를 상기 연통홀(72a) 쪽에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는 상기 보조감지센서를 통해 보충포트장전대(75)가 연통홀(72a) 쪽으로 위치된 것이 감지된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하면, 상기 구동모터로서 일반모터를 채용하더라도 포트(p)의 보충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보충장치(70)에 있어서,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p)가 장전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는 내경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직경 사이즈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포트(p)를 장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는 상기 회전축(73)에 연결된 외통(75a)과,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의 내경을 가변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외통(75a)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내통(75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충포트장전대(75)의 내경크기는 내통(75b)를 외통(75a)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외통(75a)으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가변되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포트(p)를 장전할 수 있게 되며, 보충포트장전대(75)는 상기 외통(75a)을 통해 회전축(73)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정량배출장치(60)는 상기 포트장전대(50)에 출구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회전캠(6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회전캠(61)에는 상기 포트장전대(50)에 장전된 최하단 포트(p)의 입구 테두리를 상기 회전캠(61)의 동작에 따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나선이 마련된다.
각각의 회전캠(61)은 일측에 마련된 하나의 캠구동모터(62)와 체인(63)으로 연결되어 캠구동모터(62)의 동작시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회전캠(61)에 형성된 나선의 나선운동을 통해 포트(p)를 하부 쪽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키게 되면 포트장전대(50)에서 포트(p)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포트(p)의 유동이 감소되어 포트(p)의 공급동작시 포트(p)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일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에 있어서 포트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에 있어서 포트공급장치의 포트보충장치 쪽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충전기에 있어서 포트공급장치의 정량배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30: 포트공급장치
50: 포트장전대 60: 정량배출장치
61: 회전캠 70: 포트보충장치
71: 장전량감지센서
72: 지지대 73: 회전축
74: 구동모터 75: 보충포트장전대

Claims (10)

  1.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포트장전대와, 상기 포트장전대에 적층되게 장전된 포트들 중 최하단 포트를 하나 씩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와, 상기 포트장전대에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보충하도록 마련된 포트보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는 장전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 쪽 상기 회전축 반경방향에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보충포트장전대와, 상기 보충포트장전대의 회전경로 일측의 상기 지지대에 상기 포트장전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장전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포트장전대의 포트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어느 하나의 상기 보충포트장전대가 상기 연통홀 쪽으로 위치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된 보충포트장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보충포트장전대는 내경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포트장전대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외통과,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외통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내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출구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회전캠을 포함하고, 상기 각 회전캠에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장전된 최하단 포트의 입구 테두리를 상기 회전캠의 동작에 따라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나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8. 본체와, 포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포트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1위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로 포트를 하나 씩 자동 공급하는 포트공급장치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2위치 상부로 형성된 상토토출구를 구비하고 일정량의 상토를 상기 상토토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송된 포트 내부로 적정량의 상토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상토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상토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포토공급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포트장전대와, 상기 포트장전대에 적층되도록 장전된 포트들 중 최하단 포트를 하나 씩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정량배출장치와, 상기 포트장전대의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트의 장전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포트장전대에 포트를 보충하도록 마련된 포트보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충전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에 장전된 포트의 장전량을 감지하는 장전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보충장치는 상기 포트장전대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 쪽 상기 회전축 반경방향에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포트가 장전되도록 마련된 보충포트장전대와, 상기 보충포트장전대의 회전경로 일측의 상기 지지대에 상기 포트장전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공급장치.
KR1020080110281A 2008-11-07 2008-11-07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KR10108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281A KR101080272B1 (ko) 2008-11-07 2008-11-07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281A KR101080272B1 (ko) 2008-11-07 2008-11-07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229A true KR20100051229A (ko) 2010-05-17
KR101080272B1 KR101080272B1 (ko) 2011-11-09

Family

ID=4227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281A KR101080272B1 (ko) 2008-11-07 2008-11-07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2399A (zh) * 2013-05-04 2013-07-31 曹伟鹏 一种盆花移栽用覆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01U (ko) 2019-01-22 2020-07-30 이계희 상토 충전기
KR102581913B1 (ko) 2021-10-25 2023-09-22 (주)헬퍼로보텍 도로변 조경을 위한 연질포트용 마사토 충전 시스템
KR20230121337A (ko) 2022-02-11 2023-08-18 김명주 포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743Y1 (ko) 2000-11-13 2001-04-16 주식회사대동기전 자동 토입기
KR200428905Y1 (ko) 2006-05-29 2006-10-17 이기영 토양분배기의 포트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2399A (zh) * 2013-05-04 2013-07-31 曹伟鹏 一种盆花移栽用覆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272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272B1 (ko)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CN100400380C (zh) 干燥食物材料的袋包装装置
JP4010685B2 (ja) 袋詰め包装機のコンベアマガジンに空袋群を供給するための空袋ストッカ装置
KR101599770B1 (ko) 버킷엘리베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제조장치
CN203417809U (zh) 一种自动涂覆机的行星齿轮机构
CN210618615U (zh) 称重式螺杆充填包装机
KR101198326B1 (ko) 이송기
CN213862877U (zh) 一种块状食品理料装盒装置
JP2024026581A (ja) 用土補給装置および用土補給方法
KR101135072B1 (ko) 용토 분배기
KR200442461Y1 (ko) 포트 상토 충전기
CN110482459A (zh) 一种旋转灌装机
JP2008265963A (ja) 種芋等供給機
KR101260865B1 (ko) 상토 이송기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JP2005035736A (ja)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JP2012039921A (ja) 球根類の植付機
CN210735414U (zh) 高精度自动理瓶机
JP2018102257A (ja) 播種機
JP2018117534A (ja) 播種機
JP2018117533A (ja) 播種機及び播種機を備えた播種装置
KR20190072835A (ko) 만두 포장 장치
JP3675568B2 (ja) 養土供給装置
JP2018102255A (ja) 播種機
CN220032261U (zh) 一种圆盘量杯式小包装灌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