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360A -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 Google Patents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360A
KR20100050360A KR1020080111208A KR20080111208A KR20100050360A KR 20100050360 A KR20100050360 A KR 20100050360A KR 1020080111208 A KR1020080111208 A KR 1020080111208A KR 20080111208 A KR20080111208 A KR 20080111208A KR 20100050360 A KR20100050360 A KR 20100050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c beam
upper flange
psc
bracket memb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이엔이건설주식회사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이건설주식회사, 김선기 filed Critical 이엔이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0360A/ko
Publication of KR2010005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2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parts being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형 단면의 PSC 빔의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임과 더불어, 폭을 확대시킴으로서 PSC 거더의 단면효율성을 증가시키되,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좌굴 및 처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플랜지 저면으로부터 복부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부재와 상기 브라켓 부재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길이방향연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제적으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PSC 빔, 브라켓

Description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및 그 제작방법{PSC BEAM CONSTRUCTION USING BRACKET MEMBER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I형 단면의 PSC 빔의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임과 더불어, 폭을 확대시킴으로서 PSC 거더의 단면효율성을 증가시키되, 단면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PSC 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PSC 빔(PRESTRESSED CONCRETE BEAM)은 도 1a와 같이 I형 단면으로서 소정의 연장길이를 가진 철근콘크리트 빔으로서, 상기 연장길이에 걸쳐 그 내부에 PC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를 설치하여 소요의 프리스트레스가 빔에 도입되도록 한 구조용 부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PSC 빔은 비교적 제작비용이 낮고, 충분한 제작경험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지간(SPAN)이 비교적 크지 않은 교량 등에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개략 30M 이내의 지간을 가진 교량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지간에 제한이 있는 이유는 PSC 빔(거더)는 기본적으로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자중이 비교적 커서 장지간의 교량용 거더로 사용될 경우 그 자중에 의한 단면력(휨 모멘트등)를 확보하기 위하여 형고 및 단면적이 증가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럴 경우 그 제작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운반 및 설치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이며, 특히 형고가 제한되는 교량의 경우에는 PSC 빔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장지간의 PSC 빔을 제작, 이용할 수 있되, 형고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그 중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 먼저 PSC 빔을 교각, 교대에 거치하고, 슬래브를 시공하여 PSC 빔과 슬래브를 합성시킨 후, PSC 빔의 긴장재를 추가(2차)로 긴장 및 정착시키는 방법(IPC 거더가 대표적이다.)이 소개된 바 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긴장재의 긴장 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PSC 빔의 제작후 거치 이전의 PSC 빔 자중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추후 슬래브를 교체할 경우 PSC 빔 하연에 과도한 압축응력이 작용하여 시방서 기준을 초과하는 압축응력이 작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또한, PSC 빔은 그 제작단계, 거치후 2차 긴장 및 정착단계, 슬래브 시공단계 및 공용하중 재하단계(활하중)에서 지속적으로 상부플랜지에 압축응력이 누적되게 될 수 밖에 없어, 이러한 압축응력이 상부플랜지 콘크리트의 예컨대 허용압축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시 PSC 빔의 형고를 증가시키거나 도 1b와 같이, PSC 빔의 상부플랜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추가강재를 매입시키는 방법도 소개된 바 있으며,
상기 상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을 도입시켜 누적되는 압축응력을 상쇄시키고자 하는 방법(바이-프레싱 공법)도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추가강재를 매입시키는 방법은 최근 강재값이 고가이기 때문에 다소 비경제적이고,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추가강재의 고정철물 등이 필요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다소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바이-프레싱 공법도 매번 상부플랜지에 필요한 인장응력을 도입하기 위한 강봉등의 인장작업등이 수반되어야 하고, 그 인장량의 제어등에 있어서도 숙련된 작업이 필요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이를 위하여 PSC 거더에 홈을 형성시키는 경우 상부플랜지에 손상을 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도 1c와 같이 PSC 빔의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의 두께를 다소 줄임과 더불어 상부플랜지의 폭이 하부플랜지 폭보다 다소 크도록 하는 벌브-티에 의한 PSC 빔 제작방법도 소개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하부플랜지와 대비하여 상부플랜지의 두께 및 폭을 증가시키는 효율적인 설계 단면구성을 제시한 것일 뿐, 특히 구조적인 장점을 가지는 것은 아니었다.
이에 본 발명은 PSC 빔에 있어, 일정한 형고, 단면적을 기준으로 단면력을 최적화 시킬 수 있어 적인 장점을 최대할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PSC 빔 제작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형 PSC 빔의 경우 가장 이상적인 단면은 H-형강처럼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가 최대한 상부 및 하부쪽으로 배치되어야 단면2차모멘트, 단면계수 등이 효율적이어서 유리한 단면이 된다.
즉,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의 단면적이 동일할 경우 상,하부 플랜지의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넓히는게 효율적이다.
그러나 하부플랜지의 경우에는 쉬스관(긴장재 설치용)이 매입되어야 하고 하부플랜지에 위치한 긴장재에 의하여 상향력이 발생하므로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여 보통 하부플랜지의 경우 20cm의 두께에서 복부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약간 더 두껍게 형성시키고 있다.
하지만 상부 플랜지의 경우에는 상부플랜지 두께를 얇게하고 폭을 넓게하면 가장 이상적이게 되지만, 그 폭이 넓을 경우 상부플랜지가 압축응력을 받기 때문에 좌굴이 발생하며, 또한 슬래브 자중을 받게되면 처짐이 발생하게 되어 확폭에 한계 가 있다.
이에 동일한 단면적 즉 동일 콘크리트 양으로 PSC 빔의 형고를 낮추면서 효율적인 단면이 되기 위하여는 하부플랜지는 어느 정도 두께가 필연적이므로, 상부플랜지를 얇게하면서 확폭시켜 상부플랜지의 중립축을 최대한 위로 올려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플랜지를 얇게 하면서 양 측으로 확폭시킨 상부플랜지가 충분한 구조적 특징을 유지하도록 상부플랜지 하면에 특히 브라켓 부재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즉 브라켓부재를 PSC 빔의 종방향으로 다수 이격시켜 설치하여 상부플랜지가 얇을 경우에도 처짐이나 좌굴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플랜지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하중도 브라켓 부재로 전달되어 상부플랜지가 얇더라도 견딜수 있도록 하였으며, 좌굴에 대해서도 비지지장 길이가 현격히 줄어들어 구조적인 장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브라켓 부재의 자중은 사하중으로 작용하지만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할 경우 그 자중에 대한 영향을 줄이면서, 상부플랜지 폭을 충분히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부재에 종방향으로 길이방향연결부재를 더 설치하여 상부플랜지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말하자면, 길이방향연결부재가 상부플랜지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브라켓 부재를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좌굴, 처짐 등을 보 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상부플랜지의 폭이 넓으면 상부 플랜지 양 끝단을 붙이거나 판넬등을 마감하여 슬래브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PSC빔의 경우 빔 사이에 동바리 및 거푸집을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이러한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 작업이 고소작업이라 매우 위험한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PSC 빔의 단면력을 최적화 할 수 있으면서도 값비싼 자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PSC 빔 제작이 가능하며, 확폭된 상부플랜지에 의하여 슬래브 시공도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PSC 빔을 제작, 시공함에 있어 매우 유리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PSC 빔 제작단계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재, 길이방향연결재의 제작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실제 제작에 있어서는 PSC 빔 거푸집 제작시 상기 브라켓 부재 및/또는 길이방향연결재를 고려한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 내부에 긴장재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해체한 이후 또는 거푸집 해체 이전에 긴장재를 긴장, 정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본 발명은 교량의 거더로서 이용될 경우 거더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브와는 구별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PSC 빔 제작단계>
본 발명의 PSC 빔 제작방법은 기본적으로 PSC 빔 제작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PSC 빔을 제작하게 되며, 후술되는 브라켓부재(600)와 길이방향연결부재(700)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을 별도로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거푸집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PSC 빔을 제작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예컨대, I형 PSC 빔을 제작하기 위하여 거푸집도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의 형태로 제작된 강재거푸집을 준비하고, 그 내부에는 철근이 조립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포물선 형태등으로 쉬스관 및 쉬스관에 삽입되는 PC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가 배치된다.
이에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PSC 빔을 제작하게 된다.
<브라켓 부재 및 길이방향연결부재 제작>
상기 거푸집을 제작할 때, 본 발명에 의한 PSC 빔 제작시 추가되는 브라켓 부재 및 길이방향연결부재가 PSC 빔 제작용 거푸집 제작시 이를 고려하여 거푸집을 제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별도로 상기 브라켓 부재 및 길이방향연결부재를 제작하여 제작된 PSC 빔에 도 5와 같이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특히 상기 브라켓 부재 및 길이방향연결부재에 작용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도 2는 브라켓 부재 및 길이방향연결부재가 형성되지 않는 종래 PSC 빔("PSC 빔 1" 이라 한다. 좌측)과 상기 브라켓 부재 및 길이방향연결부재가 형성된 본 발명의 PSC 빔("PSC 빔 2" 이라 한다. 우측)을 비교한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PSC 빔 1,2는 크게 상부플랜지(100), 복부(200) 및 하부플랜지(300)로 구성된다.
물론 양 단부는 도 1a와 같이 복부를 더 두껍게 형성시킬 수 있으나 통상 I형 PSC 빔의 단면 형태는 PSC 빔의 양 단부가 아닌 지배적인 양 단부 사이의 단면형태를 기준으로 한다.
이때,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복부와의 연결부위는 헌치부(400)라 하여 약간 경사진 단면형태로 구성되도록 하게되며,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는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상부플랜지 하부면, 하부플랜지 상부면이 하방 및 상방 경사진 형태로 제작되게 된다.
이러한 PSC 빔 1은 일정한 단면적 A를 가지게 되며, 상부프랜지(100)의 경우 소정의 두께(d1)를 가지게 되며, 복부(200)도 소정의 두께(d2)를 가지게 되며, 하부플랜지(300)도 일정한 두께(d3)를 가지게 되며, 전체 높이(H)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두께 및 높이는 계획된 단면적(A)으로 PSC 빔1을 설계할 때 이미 정해지게 되며, 이는 교량의 지간, 재질 등에 의하여 다양한 값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물론 하부플랜지(300) 내부에는 긴장재(500)가 매설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일정한 단면적(A) 및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의 두께, 전체 높이가 미리 정해진다는 의미를 본 발명에서는 계획되었다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PSC 빔1은 종래의 PSC 빔의 단면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PSC 빔1을 어떻게 변경시켜 본 발명의 PSC 빔2가 제작되는 가를 살펴본다.
먼저, PSC 빔1과 PSC 빔2는 서로 그 단면적(A)에 있어 변화가 없도록 하며, 그 전체 높이(H)도 변화가 없음을 전제로 한다.
이에 PSC 빔1의 상부플랜지의 두께(d1)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두께를 줄이는 정도는 적어도 당초 PSC 빔1의 상부플랜지의 두께보다 작은 정도가 될 것이며, 개략 1/2 ~ 1/3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플랜지(100)의 두께를 줄이게 되면, PSC 빔1의 중립축보다 PSC 빔2의 중립축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긴장재(500)에 의하여 도입되는 휨 모멘트에 의한 프리스트레스가 편심효과에 의하여 동일한 긴장재 배치할 지라도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발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였을 경우 최종 PSC 빔2의 상부플랜지 두께는 (d1-△d)가 될 것이며, △d는 감소된 상부플랜지의 두께이다.
이때, PSC 빔2의 단면적(A)는 변화가 없어야 하므로 상부플랜지의 두께 감소에 의한 단면적의 감소부분을 상쇄시켜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플랜지(100)의 폭을 양측으로 확폭시키게 된다.
이에 종래 PSC 빔1의 상부플랜지 폭을 (L)이라고 한다면,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폭은 (L+△L)이 됨을 알 수 있다.△L은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폭이다.
이러한 △L의 크기는 단면적(A)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의 두께 감소에 의한 단면적 감소분만큼 그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부 및 하부플랜지의 폭(d2,d3)를 줄여 이로 인한 단면적 감소분을 더 반영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부플랜지만, 나아가서는 상부플랜지와 복부의 폭 등을 줄여 결정한다.
이는 하부플랜지의 경우 긴장재(5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최소한의 단면적이 확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L의 크기는 도 4a와 같이 약간의 이격거리(S)를 가질 수 있도록 확보하거나, 도 4b와 같이 서로 병렬로 설치되는 인접한 PSC 빔2의 상부플랜지 양 단부면이 서로 접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L의 확보는 PSC 빔2를 병렬로 설치할 경우 슬래브 형성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인 교량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구조적으로 PSC 빔2는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여 중립축 이동에 의한 긴장재의 배치효과(편심효과, 하부플랜지의 경우)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립축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플랜지에 압축응력이 종래 PSC 빔1에 비해 작게 걸리므로 위에서 살펴본 바이-프레싱 효과 및 추가강재를 상부플랜지에 매입하여 중립축을 위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동바리, 거푸집 설치생략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부플랜재의 두께의 감소 및 양측으로의 확폭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은 확폭된 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이러한 확폭된 상부플랜지는 복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얇은 플레이트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플랜지와 슬래브가 합성되기 이전에 상부플랜지 자중과 슬래브 자중에 의하여 좌굴, 뒤틀림에 취약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폭의 정도에 따라서는 슬래브하중을 저항하지 못하고 휨 파괴 또는 과도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좌굴, 뒤틀림,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플랜지 저면으로부터 복부 측면으로 연장되어 일체화된 판재 또는 관 형태의 부재인 브라켓부재(600)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 부재(600)는 결국 상부플랜지(100)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브라켓 기능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브라켓 부재(600)는 종래 상부플랜지(100) 및 하부플랜지(300)와 복부(200)의 경계에 형성되는 헌치부(400)와는 함께 적어도 별도로 형성된다.
브라켓 부재(600)는 도 3a와 같이 PSC 빔2의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 그 자중에 의하여 PSC 빔2의 자중에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브라켓 부재(600)를 PSC 빔2에 있어 도 3b와 같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다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 부재(600)는 판재 또는 관형태의 밀실된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PSC 빔2용 거푸집을 제작할 때, 상기 브라켓 부재를 고려한 거푸집을 제작하여 PSC 빔2에 브라켓 부재를 자연스럽게 형성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도 5와 같이 별도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서 제작하여 두께가 줄여지고 확폭된 PSC 빔2에 미도시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제작비용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PSC 빔2에 있어 두께가 줄여지고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좌굴 등은 구조적으로 충분히 극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브라켓 부재(600)의 단면적은 그 크기를 최소화되도록 결정하여 그 자중이 PSC 빔2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러한 브라켓 부재(600)는 도 3f와 같이 복부(200)의 측면으로부터 그 연장길이가 상부플랜지 저면 전체(상부플랜지 최 외측단부면까지 연장)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b와 같이 상부플랜지 저면 개략 절반에 걸쳐 일부에만 형성되도록 한 것과 대비될 수 있다.
나아가, 브라켓 부재(600)와 별도로 예컨대 도 2에 있어서는 그 외곽 단부면 에 길이방향연결부재(700)를 더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길이방향연결부재(700)는 기본적으로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사각관형태의 부재로서 상부플랜지(100) 저면과 브라켓 부재(600)의 외곽 단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연결부재(700)는 특히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부재(600)를 서로 연결시켜 줌으로서 상부플랜지를 지지하는 효과를 증진시켜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긴장재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두께가 줄여진 상부플랜지의 길이방향 단면강성을 증가시키는 부재 역할도 하게 된다.
나아가 도 3e와 같이 길이방향연결부재(700)가 상부플랜지(100) 저면과 브라켓 부재(600)의 외곽 단부면에 더하여 특히 브라켓 부재(600)와 브라켓 부재(600) 사이에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지간의 PSC 빔2에 있어 특히 상부플랜지 지지에 유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연결부재(700)도 기본적으로 PSC 빔2용 거푸집을 제작할 때 함께 브라켓 부재와 함께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PSC 빔2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브라켓 부재(600)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브라켓 부재(600)는 프리캐스트 부재로써 ㄱ자형 부재로 제작하여 상부플랜지(100)과 복부(200)에 걸쳐 별도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길이방향연결부재(700)의 경우에도 별도의 프리캐스트 부재로써 제작하여 브라켓 부재(600) 최외곽 단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브라켓 부재(600) 사이에 다수의 분할된 길이방향연결재(710,72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들은 특히 브라켓 부재, 길이방향연결재를 PSC 빔용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하지 않고, 필요 시 고정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성을 높이고자 할때 유용하다 할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PSC 빔 사시도, 추가강재가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PSC 빔 단면도 및 벌브-티 PSC 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단면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에 의한 PSC 빔의 부분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PSC 빔의 설치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PSC 빔의 조립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상부플랜지(PSC 빔) 200:복부
300:하부플랜지 400:헌치부
500:긴장재 600:브라켓 부재
700:길이방향연결부재

Claims (6)

  1. 교대, 교각에 거치된 후, 별도로 슬래브가 상부에 형성되는 I형 단면의 PSC 빔으로써,
    두께(d)를 줄이고 양측방향으로 확폭되는 상부플랜지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플랜지 저면과 복부 사이에 걸쳐 일체화된 브라켓 부재를 PSC 빔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도록 한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재들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연결부재를 브라켓 부재들 사이에 더 형성시키는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확폭길이(L+△L)는 PSC 빔을 서로 병렬로 설치하였을 때, 서로 접하거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정되는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재는 그 연장길이가 PSC 빔의 상부플랜지 확폭 길이 전체 또는 일부에만 걸쳐 연장되도록 조정되는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5. 두께(d)와 폭을 가진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면적(A)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I형 단면의 PSC 빔(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헌치부 및 슬래브와 상관없이,
    두께(d)를 줄이고 양측방향으로 확폭되는 상부플랜지가 구비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상부플랜지 저면과 복부 사이에 걸쳐 일체화된 브라켓 부재가 PSC 빔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미리 제작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PSC 빔용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제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폭된 상부플랜지의 확폭길이(L+△L)는 PSC 빔을 서로 병렬로 설치하였을 때, 서로 접하거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정되며, 상기 브라켓 부재는 그 연장길이가 PSC 빔의 상부플랜지 확폭 길이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연장되도록 조정되는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PSC 빔 제작방법.
KR1020080111208A 2008-11-10 2008-11-10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KR20100050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208A KR20100050360A (ko) 2008-11-10 2008-11-10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208A KR20100050360A (ko) 2008-11-10 2008-11-10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360A true KR20100050360A (ko) 2010-05-13

Family

ID=4227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208A KR20100050360A (ko) 2008-11-10 2008-11-10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03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43B1 (ko) * 2019-11-28 2020-10-20 (주)엠에스 횡만곡의 개선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2636865B1 (ko) * 2023-08-10 2024-02-15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상부플랜지를 확폭하여 보강한 플레이트거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43B1 (ko) * 2019-11-28 2020-10-20 (주)엠에스 횡만곡의 개선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WO2021107249A1 (ko) * 2019-11-28 2021-06-03 주식회사 엠에스 횡만곡의 개선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2636865B1 (ko) * 2023-08-10 2024-02-15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상부플랜지를 확폭하여 보강한 플레이트거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16B1 (ko) 프리플렉스 합성빔과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구조용 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45491B1 (ko) 확폭플랜지부가 형성된 교량용 유형 거더 설치방법
KR100555249B1 (ko)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1321267B1 (ko) 단면 강성증대와 복공판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강재 거더를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0946739B1 (ko)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974305B1 (ko) 정모멘트 구간용 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KR100720996B1 (ko) 프리캐스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20090072224A (ko)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KR101347555B1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KR20100050360A (ko) 브라켓 부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KR100522298B1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650158B1 (ko)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10019623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84817Y1 (ko) 만곡 파형 강판 복부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KR101123935B1 (ko) 정착장치가 형성된 파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761732B1 (ko)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1121725B1 (ko)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와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83600B1 (ko) 피에스씨 긴장재를 직선 배치시킨 피에스씨 거더 제작방법
KR100465350B1 (ko) 편심거리가 연장된 피에스씨 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10043904A (ko) 전단력과 휨 모멘트의 특성을 이용한 단위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보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0962671B1 (ko) 지점부 이동에 의한 강합성 빔 제작방법
KR200365962Y1 (ko) 편심거리가 연장된 피에스씨 합성빔
KR20110017067A (ko) 직선배치 형태의 피에스씨 하부 긴장재와 피에스씨 상부 긴장재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13

Effective date: 201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