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778A -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Google Patents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9778A KR20100049778A KR1020080108755A KR20080108755A KR20100049778A KR 20100049778 A KR20100049778 A KR 20100049778A KR 1020080108755 A KR1020080108755 A KR 1020080108755A KR 20080108755 A KR20080108755 A KR 20080108755A KR 20100049778 A KR20100049778 A KR 201000497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ing material
- sound absorbing
- sound
- density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71 horizont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32B2307/722—Non-uniform densit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로서, 층간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형성된 제1흡음재; 및 상기 제1흡음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본체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형성된 제2흡음재;를 포함한다.
바닥 충격음, 흡음, 차음, 슬래브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바닥에 차음 구조체를 설치하여 공동주택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 소멸시켜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물건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 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컨대,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전달음은 층간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와 건물 벽체를 통해 인접한 다른 방들로 전달되고, 특히 충격력이 바닥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 소음이라 한다.
최근 이러한 층간 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 데시벨(dB) 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 데시벨(dB) 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 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 구조체는 층간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그 상단에 형성된 난방용 파이프와 마감용 몰탈층 및 마감용 몰탈층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층간 바닥 구조체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큰크리트층이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사이에 층간 충격음 완충층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완충층을 마련하더라도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거나 완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산과 골을 형성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의 차음 구조체를 적용하여 바닥 충격음의 충격력을 완충시킴은 물론 충격에 의한 층간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음 구조체를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층간 소음 및 충격력이 전달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 소멸시켜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로서, 층간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형성된 제1흡음재; 및 상기 제1흡음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본체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형성된 제2흡음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흡음재에 형성된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1본체와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제2 흡음재에 형성된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2본체와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2흡음재의 제2본체의 밀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2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1흡음재의 제1본체의 밀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흡음재는 제1본체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이며, 상기 제2흡음재는 제2본체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2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흡음재의 제1본체는 제2흡음재의 제2본체의 밀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흡음재는 제1본체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이며, 상기 제2흡음재는 제2본체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로서, 슬라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상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제1흡음재; 및 상기 제2흡음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상의 일면에 전후 또 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제2흡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흡음재의 밀도는 0.05g/cm3 내지 0.2g/cm3이고, 상기 제2흡음재의 밀도는 0.02g/cm3 내지 0.04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의 밀도가 서로 바뀌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가 동일한 밀도를 갖는 경우, 상기 제1흡음재의 밀도는 0.02g/cm3 내지 0.2g/cm3이고, 상기 제2흡음재의 밀도는 0.02g/cm3 내지 0.2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지하게, 상기 제1흡음재의 산과 골이 제2흡음재의 산과 골과 서로 대향되어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흡음재의 산과 골이 제2흡음재의 산과 골과 서로 대향되어 동일 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에 형성된 산은 각각 이웃하는 산과 그 높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는 폴리에틸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적층된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는 적어도 3층 이상으로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흡음재의 상면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세워져 벽체에 접하도록 설치된 측면 벽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는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에 형성된 산과 골은 계란판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공동주택의 바닥에 산과 골이 형성된 차음 구조체를 설치하여 공동주택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을 차단시킨다.
둘째, 차음 구조체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 소멸시켜 층간 소음 및 진동을 현저히 저감시킨다.
셋째, 밀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짐으로써 임피던스(impedance)가 증가함에 따라 용이하게 바닥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넷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에 형성된 산이 라운드지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1흡음재와 재2흡음재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이 적은 면적을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가 건물 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100)는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제1본체(111)의 일면에 산(113)과 골(115)이 형성된 제1흡음재(110) 및, 상기 제1흡음재(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제2본(121)체의 일면에 산(123)과 골(125)이 형성된 제2흡음재(1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100)는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인 콘크리트 슬래브(도 5의 '10' 참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쿠션과 단열은 물론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와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본체(111)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면에는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113)과 골(115)이 반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흡음재(110) 즉, 제1본체(111)는 폴리에틸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체들은 닫힌 셀 구조로서 내부의 가스층이 쿠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슬래브(10)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들의 무수한 셀 막이 충격력의 전달 경로를 증가시켜 충격력을 마찰열로 손실되도록 한다.
상기 산(113)과 골(115)은 제1본체(111)의 일면, 예컨대 상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본체(111)의 상면은 후술할 제2흡음재(120)와 접촉되는 면이며, 하면은 슬래브(10)와 접촉되는 면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113)은 제1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골(115)은 제1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산(113)의 높이와 골(115)의 깊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산(113)과 골(115)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이루어져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제1흡음재(110)의 측면 형상의 상면이 물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흡음재(120)는 전술한 제1흡음재(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흡음재(120)는 평판 형상의 폴리에틸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제2본체(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본체(121)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 등간격으로 산(123)과 골(125)이 형성된다. 이때, 제2본체(121)의 하면, 즉 제1흡음재(110)와 접촉되는 면에 산(123)과 골(12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100)는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에 형성된 산(113)(123)과 골(115)(125)이 대향되어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음재(110)의 골(115)과 제2흡음재(120)의 골(125)이 서로 교차됨에 따라 상부로부터의 수직 충격음을 전후 및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흡음재(110)에 형성된 복수의 산(113)중 어느 하나의 산(113)과 제2흡음재(120)의 복수의 산(123)이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수직 충격의 완충 및 충격음의 차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의 결합을 통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 충격음은 제2흡음재(120)의 상부로 전달되어 1차적으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잔여의 충격이 제1흡음재(110)에 의해 완충되고, 제1흡음재(110)의 골(115)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을 통해 충격음을 분산시켜 소음을 저감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흡음재(110) 및 제2흡음재(120)에 형성된 산(113)(123)의 형상이 돌출된 부분의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흡음재(110)의 산(113)과 제2흡음재(120)의 산(123)의 접촉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상부로부터의 수직 충격력을 하측으로 전달시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200)로서, 앞선 제1 실시예의 차음 구조체(1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1흡음재(210)의 산(213)과 골(215)이 제2흡음재(220)의 산(223)과 골(225)과 서로 동일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우러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200)의 경우 상부로부터의 수직 충격음을 전후 또는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흡음재(110)의 산(113)의 상측 일부분은 제1본체(111)의 밀도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2흡음재(120)의 산(123)의 상측 일부분은 제2본체(121)의 밀도와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도는 겉보기 밀도이다. 이때, 상기 제2흡음재(120)의 산(123)과 골(125)은 제2본체(121)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산(123)의 상측이라 함은 산(123)이 돌출된 부분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흡음재(110)의 밀도 차이를 명확히 구획하기 위하여 산(113)의 상측 일부분을 A 구간이라 하고, A 구간을 제외한 제1본체(111)의 나머지 부분을 B 구간이라 한다. 또한, 상기 제2흡음재(120)의 밀도 차이를 명확히 구획하기 위하여 산(123)의 상측 일부분을 C 구간이라 하고, C 구간을 제외한 제2본체(121)의 나머지 부분을 D 구간이라 한다.
한편, 상기 제1흡음재(110)의 산(113)의 A 구간은 제2본체(121)의 D 구간과 동일한 밀도로 이루어지고, 제2흡음재(120)의 산(123)의 C 구간은 제1본체(111)의 B 구간과 동일한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흡음재(110)의 산(113)의 A 구간은 제2흡음재(120)의 산(123)의 C 구간과 동일한 밀도로 이루어지고, 제1 흡음재(110)의 제1본체(111)의 B 구간은 제2흡음재(120)의 제2본체(121)의 D 구간과 동일한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A 구간과 D 구간의 밀도가 동일하고, C 구간과 B 구간의 밀도가 동일한 경으, 상기 제1흡음재(110)의 A 구간 및 제2흠음재(120)의 D 구간은 0.05g/cm3 내지 0.2g/cm3의 밀도로 이루어지고, 제2흡음재(120)의 C 구간 및 제1흡음재(110)의 B 구간은 0.02g/cm3 내지 0.04g/cm3의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A 구간과 C 구간의 밀도가 동일하고, B 구간과 D 구간의 밀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흡음재(110)의 A 구간 및 제2흠음재(120)의 C 구간은 0.05g/cm3 내지 0.2g/cm3의 밀도로 이루어지고, 제1흡음재(110)의 B 구간 및 제2흡음재(120)의 D 구간은 0.02g/cm3 내지 0.04g/cm3의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밀도의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밀도의 하한치(0.02)에 미달하면 밀도가 너무 낮아 구조가 불안정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상한치(0.2)를 초과하면 밀도가 너무 높아 탄성이 줄어 쿠션성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상기 제1흡음재(110)의 산(113)과 제2흡음재(120)의 산(123)이 접촉된 구조에서 상부로부터의 수직 충격력이 발생한 경우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차음 구조체(100)에 의하여 용이하게 충격력을 분산시키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흡음재(120)의 하면으로부터 슬래브(10)에 접촉된 제1흡음재(110)의 하면으로 충격력이 전달시 충격력 및 소음의 저감에 유리하도록 서 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적층된 3개 또는 4개의 밀도 구간(D 구간 → C 구간 → A 구간 → B 구간)을 지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밀도가 서로 다른 부재가 적층됨에 따라 발생하는 임피던스(impedance)가 증가하여 용이하게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100)는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가 적층된 2층 구조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음 구조체(100)의 층수는 요구되는 소음저감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가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흡음재(110)의 밀도는 0.05g/cm3 내지 0.2g/cm3이고, 제2흡음재(120)의 밀도는 0.02g/cm3 내지 0.04g/cm3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술된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의 밀도가 서로 바뀌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흡음재(110) 및 제2흡음재(120)는 서로 동일한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건물 구조체(1)의 벽체(11)에 접하도록 슬래브(10)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된 측면 벽체부(15)는, 본 발명의 차음 구조체(100)의 제1흡음재(110)와 제2흡음재(12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측면 벽체부(15)는 전술된 제1흡음재(110) 및 제2흡음재(12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 충격음뿐만 아니라, 수평 충격음(수평 전달음)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2'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며, 참조부호 '14'는 난방용 파이프이고, 참조부호 '13'은 마감 몰탈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300)는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제1본체(311)의 일면에 산(313)(313')과 골(315)이 형성된 제1흡음재(310) 및, 상기 제1흡음재(3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제2본체(321)의 일면에 산(323)(323')과 골(325)이 형성된 제2흡음재(32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차음 구조체(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음 구조체(10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제1흡음재(310) 및 제2흡음재(320)의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산(313)(313')(323)(323')과 골(315)(325)의 구조에 있어 앞선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흡음재(310)에 형성된 산(313)(313')은 이웃하는 산(313)(313')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313)(313')은 높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의 골(315)은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흡음재(320)는 상기 제1흡음재(3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흡음재(310) 및 제2흡음재(320)에 형성된 산(313)(313')(323)(323')과 골(315)(325)은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거나 서로 동일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흡음재(320)의 상부로부터 바닥 충격음이 전달되면 제2흡음재(320)의 제2본체(321) 및 산(323)(323')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어 1차적인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 충격음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어 제2흡음재(320)의 높이가 큰 산(323)과 제1흡음재(310)의 높이가 큰 산(313)과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며, 다음으로, 제2흡음재(320)의 높이가 작은 산(323')과 제1흡음재(310)의 높이가 작은 산(313')이 접촉되어 잔여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된다. 즉, 더블 쿠션(Double Cushion)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흡음재(310)의 산(313)(313')과 제2흡음재(320)의 산(323)(323')이 접촉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1흡음재(310)의 골(315)과 제2흡음재(320)의 골(325)에 의하여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층을 통해 소음이 차음 구조체(300)의 수평방향으로 분산되어 저감된다.
상기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산(313)(313')(323)(323')이 각각 형성된 제1흡음재(310) 및 제2흡음재(320)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경우 임피던스(impedance)가 증가하여 서로 동일한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경우보다 더 효과적으로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400)는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제1본체(411)의 일면에 산(413)과 골(415)이 형성된 제1흡음재(410) 및, 상기 제1흡음재(4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제2본체(421)의 일면에 산(423)과 골(425)이 형성된 제2흡음재(420)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차음 구조체(4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음 구조체(10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제1흡음재(410) 및 제2흡음재(420)의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산(413)(423)과 골(415)(425)의 구조에 있어 앞선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제1흡음재(410)의 상면에 산(413)과 골(415)이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형상으로 계란판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흡음재(420)는 상기 제1흡음재(4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흡음재(410)의 산(413)과 제2흡음재(420)의 산(423)이 서로 접촉되도록 마주보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흡음재(420)의 상부로부터 바닥 충격음이 전달되면 제2흡음재(420)의 제2본체(421) 및 산(423)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어 1차적인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흡음재(410)의 산(413)과 제2흡음재(420)의 산(423)이 접촉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1흡음재(410)의 골(415)과 제2흡음재(420)의 골(425)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층을 통해 소음이 차음 구조체(400)의 수평방향으로 분산되어 저감된다.
상기 엠보싱 형상의 계란판 구조로 이루어진 제1흡음재(410) 및 제2흡음 재(420)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임피던스(impedance)가 증가하여 용이하게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흡음재(410)의 산(413)과 골(415)이 제2흡음재(420)의 산(423)과 골(425)과 대향되도록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흡음재(410)의 산(413)과 골(415)이 하부를 향하도록, 즉 슬래브를 향하도록 적층하여 제1흡음재(410)와 제2흡음재(420)의 산(413)(423)과 골(415)(425)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400)는 제1흡음재(410)와 제2흡음재(420)가 적층된 2층 구조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음 구조체(400)의 층수는 요구되는 소음저감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100)(200)(300)(400)는 상부의 수직방향으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수직 충격음은 골에 의해 형성된 공간층에 의하여 차음 구조체(100)(200)(300)(400)의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빌라나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 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가 건물 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차음 구조체
110, 210, 310, 410 : 제1흡음재
111, 211, 311, 411 : 제1본체
113, 123, 213, 223, 313, 323, 313', 323', 413, 423 : 산
115, 125, 215, 225, 315, 325, 415, 425 : 골
120, 220, 320, 420 : 제2흡음재
121, 221, 321, 421 : 제2본체
Claims (16)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에 있어서,층간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형성된 제1흡음재; 및상기 제1흡음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본체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형성된 제2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에 형성된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1본체와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제2 흡음재에 형성된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2본체와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2흡음재의 제2본체의 밀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2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1흡음재의 제1본체의 밀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는 제1본체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이며, 상기 제2흡음재는 제2본체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은 제2흡음재의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흡음재의 제1본체는 제2흡음재의 제2본체의 밀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는 제1본체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이며, 상기 제2흡음재는 제2본체의 밀도가 0.02g/cm3 내지 0.04g/cm3이고, 산의 상측 일부분의 밀도가 0.05g/cm3 내지 0.2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에 있어서,슬라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상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제1흡음재; 및상기 제2흡음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상의 일면에 전후 또는 좌우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제2흡음재;를 포함하고,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의 밀도는 0.05g/cm3 내지 0.2g/cm3이고, 상기 제2흡음재의 밀도는 0.02g/cm3 내지 0.04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의 산과 골이 제2흡음재의 산과 골과 서로 대향되어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의 산과 골이 제2흡음재의 산과 골과 서로 대향되어 동일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에 형성된 산은 각각 이웃하는 산과 그 높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는 폴리에틸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적층된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는 적어도 3층 이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2흡음재의 상면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세워져 벽체에 접하도록 설치된 측면 벽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는 제1흡음재와 제2흡음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흡음재 및 제2흡음재에 형성된 산과 골은 계란판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755A KR101092992B1 (ko) | 2008-11-04 | 2008-11-04 |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8755A KR101092992B1 (ko) | 2008-11-04 | 2008-11-04 |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778A true KR20100049778A (ko) | 2010-05-13 |
KR101092992B1 KR101092992B1 (ko) | 2011-12-12 |
Family
ID=4227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8755A KR101092992B1 (ko) | 2008-11-04 | 2008-11-04 |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299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13835A1 (ko) * | 2014-07-22 | 2016-01-28 | 한국과학기술원 | 층간소음 저감용 벽체 및 바닥 구조 |
US20170138042A1 (en) * | 2014-07-22 | 2017-05-18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Wall And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
CN111997099A (zh) * | 2020-08-07 | 2020-11-27 |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 防电梯冲击荷载沉降的减震防护结构 |
KR20240066733A (ko) * | 2022-11-08 | 2024-05-16 | (주)미로드 | 층간 소음 방지용 완충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4414B1 (ko) | 2012-08-01 | 2013-06-17 | 김완수 | 층간차음재의 제조방법 |
KR101929628B1 (ko) * | 2016-11-09 | 2018-12-14 | 김재화 | 층간소음 차음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6534Y1 (ko) * | 2000-04-19 | 2000-09-15 | 주식회사덕우엔프라스 | 차음판넬 |
KR100723970B1 (ko) | 2006-04-04 | 2007-06-04 | 김용일 | 충격흡수용 차음재 |
KR100838711B1 (ko) * | 2007-04-04 | 2008-06-16 | 영보화학 주식회사 | 바닥 충격음 차음구조 |
KR100848576B1 (ko) * | 2007-06-27 | 2008-07-25 | 김용일 | 충격흡수용 차음재 |
-
2008
- 2008-11-04 KR KR1020080108755A patent/KR101092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13835A1 (ko) * | 2014-07-22 | 2016-01-28 | 한국과학기술원 | 층간소음 저감용 벽체 및 바닥 구조 |
US20170138042A1 (en) * | 2014-07-22 | 2017-05-18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Wall And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
US10269338B2 (en) | 2014-07-22 | 2019-04-23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Wall and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
CN111997099A (zh) * | 2020-08-07 | 2020-11-27 |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 防电梯冲击荷载沉降的减震防护结构 |
KR20240066733A (ko) * | 2022-11-08 | 2024-05-16 | (주)미로드 | 층간 소음 방지용 완충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2992B1 (ko) | 2011-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70085B1 (ko)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 |
KR101092992B1 (ko) |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
KR101890416B1 (ko) | 층간 소음 방지 패드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KR100718701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 |
KR100762925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 |
KR20060021933A (ko) |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 |
KR100683839B1 (ko) |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 |
KR20090087772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0718698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433766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100763410B1 (ko) |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 |
KR102331143B1 (ko)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200421085Y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 |
KR20100046842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40009634A (ko) | 복합 차음패널 | |
KR200423540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0718700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100049779A (ko) |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 |
KR101070306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2124157B1 (ko) | 기능성 층간소음 방지구조 | |
KR100825889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425187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