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891A -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891A
KR20100043891A KR1020080103136A KR20080103136A KR20100043891A KR 20100043891 A KR20100043891 A KR 20100043891A KR 1020080103136 A KR1020080103136 A KR 1020080103136A KR 20080103136 A KR20080103136 A KR 20080103136A KR 20100043891 A KR20100043891 A KR 2010004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broadcast
service server
program
broadcas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10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3891A/ko
Publication of KR2010004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기존의 광고 방송 전송 방식은, 방송사에서 전송해 주는 광고 방송만을 시청자가 시청할 수밖에 없는 수동적인 방식이며, 시청자 입장에서 해당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싶지 않을 때 다른 채널로 변경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방송 재생장치에서 시청자가 선호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시청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 중심의 적극적인 방송 시청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방송 재생장치에서의 광고 설정 기술을 마련코자 한다.
VOD(Video On Demand), 광고 프로그램

Description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ADVERTIZEMENT IN BROADCASTING DEVICE}
본 발명은 방송 재생장치에서의 광고 설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선호도가 반영된 광고 방송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영상 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표준화 및 상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에서도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기반으로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을 기반으로 인코딩(encoding)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중화(multiplexing)되어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이하 TS라 함) 형태로 전송되며, 이 TS는 수신측에 설치된 셋톱박스(Set-top box : 이하 STB라 함)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어 TS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역다중화(demultiplexing)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이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STB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기 내에 구비된 MPEG 디코더를 이용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복원한 후 일반 텔레비전과 같은 A/V 출력장치로 전송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채널에 비해 훨씬 다양한 채널을 방송할 수 있다는 상업적인 장점과, 높은 화질과 음향, 양방향 서비스,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디지털 STB 산업은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서도 상기 디지털 방송의 도입으로 인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주로 유료방송 사업자가 주도하고 있으며, STB 시장은 유료방송 사업의 직접 구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술측면에서 디지털 STB는 방송국 측에서 아날로그 컨텐츠를 코딩하여 디지털화해 방송한 신호를 위성이나 케이블 지상 등을 통해 고객이 일반 TV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 현재의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거나 여러 종류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흔히 방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광고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광고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서버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시청자의 수신거부, 선호도와는 상관없이 수동적으로 시청될 수밖에 없다.
즉, 기존의 광고 방송 전송 방식은, 방송사에서 전송해 주는 광고 방송만을 시청자가 시청할 수밖에 없는 수동적인 방식이며, 시청자 입장에서 해당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싶지 않을 때 다른 채널로 변경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방송 재생장치에서 시청자가 선호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시청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 중심의 적극적인 방송 시청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방송 재생장치에서의 광고 설정 기술을 마련코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르면, IP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 재생장치로 사용자 맞춤형 선호 광고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광고가 요청되면 상기 IP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호 광고 정보로 세팅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IP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주파수 동조하는 튜너와, 선호 광고 요청 키 신호 및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튜너를 통해 동조되는 전송 스트림에서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영상/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키 입력부의 선호 광고 요청 키 신호가 인가될 때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키 입력부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키 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키 신호에 대응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호 광고 정보로 세팅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가 선호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시청이 가능하게 하여, 수동적인 의미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 시청이 아니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송 재생장치의 사용 만족도 및 방송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 요지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함에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시간대별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시간대별 선호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맞춤형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망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서버(100), IP망(200), 방송 재생장치(300)를 포함한다.
VOD 서비스 서버(100)는, 방송 프로그램을 IP망(200)을 통해 방송 재생장치(3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공중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에서 제작되는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한다. 이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에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IP망(200)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예컨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재생장치(300)로 서비스될 수 있다.
방송 재생장치(300)는, 예를 들면 셋톱박스 내장형 영상기기로서, IP망(200)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복조 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송 재생장치(300)는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영상 및 음성 처리하여 출력하는데, 특히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선호 광고 정보로 설정하여 VOD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고, 이후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영상 및 음성 처리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이러한 방송 재생장치(3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튜너(302), 제어부(304), 영상/음성 처리부(306), 키 입력부(308), 표시부(310), 광고 정보 송신부(31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302)는 IP망(200)을 통해 전송되는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이하 TS라 함)을 주파수 동조하여 방송 프로그램 신호로서 제어부(304)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동조되는 방송 프로그램에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0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의 구동 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튜너(302)를 통해 동조되는 방송 프로그램(또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영상/음성 출력할 수 있도록 영상/음성 처리부(306)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04)는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함에 있어, 본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키 입력부(308)를 통해 사용자 선호 광고가 요청될 경우에 시간대별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3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키 입력부(308)를 통해 임의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될 경우에 해당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호 광고 정보로 세팅하여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영상/음성 처리부(306)는 제어부(304)의 제어하에 MPEG을 기반으로 인코딩(encoding)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영상 및 음성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키 입력부(308)는 방송 재생장치(300)의 전면패널 또는 리모컨 상에 형성되는 키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304)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키 신호에는, 예컨대 선호 광고 요청 신호,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신호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신호는 키 입력부(308) 상의 별도의 키 버튼 또는 메뉴 상의 확인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310)는, 예컨대 OSD(On Screen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시간대별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처리하도록 한다.
광고 정보 송신부(312)는 제어부(304)에 의해 최종 세팅되는 선호 광고 정보를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설정 방법을 첨부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4)는 키 입력부(308)로부터 임의의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이 요청될 경우에, 튜너(302)를 통해 해당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동조하여 영상/음성 처리부(306)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영상 및 음성 정보로 출력한다(S300).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 출력 과정에서 제어부(304)는 키 입력부(308)를 통해 선호 광고 요청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S302). 이러한 선호 광고 요청 신호는 키 입력부(308) 상에 마련된 별도의 키 입력 수단 또는 메뉴 상의 확인 버튼 등을 통해 인가될 수 있을 것이다.
키 입력부(308)를 통해 선호 광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304)는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한다(S304). 이러한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는 VOD 서비스 서버(100)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의 각 광고 방송 정보는 시간대별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광고1과 광고2는 방송 프로그램A와 방송 프로그램B 사이에 2분간 방송되는 것으로 예시하였고, 광고3, 광고4, 광고5, 광고6은 방송 프로그램B와 방송 프로그램C 사이에 4분간 방송되는 것으로 각각 예시하였다.
단계(S306)에서 제어부(304)는 표시부(310)를 통해 이러한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계(S306)에서 제어부(304)는, 키 입력부(308)를 통해 임의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 예를 들면 도 4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서 광고1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상술한 광고1이 선택되면 제어부(304)는 광고1을 선호 광고 정보로 세팅한다(S308). 이러한 선호 광고 정보 세팅 과정은, 키 입력부(308)를 통해 다른 광고를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과정을 포함하며, 선호 광고 정보 선택이 모두 완료될 경우에 최종적인 선호 광고 정보로서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선호 광고 정보 세팅이 최종 완료되면, 제어부(304)는 해당 선호 광고 정보를 광고 정보 송신부(312)를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다.
이후,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은, IP망(200)을 통해 VOD 서비스 서버(100)로부터의 선택적인 광고 방송 프로그램, 즉 상술한 선호 광고 정보가 반영된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함에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시간대별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시간대별 선호 광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맞춤형 시청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시간대별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 튜너 304 : 제어부
306 : 영상/음성 처리부 308 : 키 입력부
310 : 표시부 312 : 광고 정보 송신부

Claims (8)

  1. IP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 재생장치로 사용자 맞춤형 선호 광고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광고가 요청되면 상기 IP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호 광고 정보로 세팅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설정 방법은,
    상기 선호 광고 정보를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 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선호 광고 정보를 반영한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는, VOD(Video On Demand) 방송 서비스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는, 시간대별로 구분된 다수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5. IP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주파수 동조하는 튜너와,
    선호 광고 요청 키 신호 및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튜너를 통해 동조되는 전송 스트림에서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영상/음성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키 입력부의 선호 광고 요청 키 신호가 인가될 때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 며, 상기 키 입력부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키 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광고 방송 프로그램 선택 키 신호에 대응하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선호 광고 정보로 세팅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호 광고 정보를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 제공한 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선호 광고 정보를 반영한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는, VOD 방송 서비스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는, 시간대별로 구분된 다수의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시스템.
KR1020080103136A 2008-10-21 2008-10-21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3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36A KR20100043891A (ko) 2008-10-21 2008-10-21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36A KR20100043891A (ko) 2008-10-21 2008-10-21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891A true KR20100043891A (ko) 2010-04-29

Family

ID=4221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36A KR20100043891A (ko) 2008-10-21 2008-10-21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38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8584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content onto a common video stream
US72493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presentation of embedded rich media across station boundaries
KR101094553B1 (ko)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28200A1 (en) Media content navigation associated advertising
US20080225167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EP157812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rogram guide
US20060041904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175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36072B2 (en) Television receiver device
KR100531277B1 (ko) 프로그램 정보 관리를 위한 디지털 티브이 및 방법
US20100169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KR101116966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KR20100043891A (ko) 방송 재생장치의 광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5189A (ko) 디지털방송 수신시스템
KR101462279B1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2301342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mage content associated with music channels
KR10091990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다운로드 방법
KR20110114162A (ko) VoD 가상채널을 이용한 VoD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56899A (ko) 방송 수신기의 메뉴화면 설정 방법
KR20090105719A (ko) Pip 기능의 방송 컨텐츠 화면과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iptv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4018503A (ja) テレビ受信機、システム、放送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中間サーバ
KR100705332B1 (ko)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텔레비젼수상기
KR20130024131A (ko) 영상 표시 기기,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정보 전송 방법 및 프로그램 정보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