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489A -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3489A KR20100043489A KR1020080102541A KR20080102541A KR20100043489A KR 20100043489 A KR20100043489 A KR 20100043489A KR 1020080102541 A KR1020080102541 A KR 1020080102541A KR 20080102541 A KR20080102541 A KR 20080102541A KR 20100043489 A KR20100043489 A KR 201000434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condition
- value
- flow direction
- gri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30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4287 null lymph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수치지도의 고도자료(Digital Elevation Model)를 그리드화 하여 이용하고, 3×3 그리드로 흐름 방향을 표시하는 D8-method를 이용해서 지표수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음 조건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 그리드의 중심 셀에서의 흐름방향(Flow Direction Grid) 결정 방법.조건 1. 3×3 그리드의 중앙 셀의 값이 NULL인 경우, 흐름 방향값은 NULL로 설정한다. 흐름방향값(Flow Direction value)은 중앙 셀에서 지표수의 흐름방향을 수치로 표현한 값으로, 기본적으로 3×3 그리드의 윗열 우측으로부터 중앙 셀을 중심으로 외곽 셀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2의 멱급수로 흐름방향값을 나타낸다.조건 2. 3×3 그리드의 중앙 셀이 최외곽 셀이고, 외곽 셀 8개 중에 NULL 셀이 있는 경우, 외곽 셀의 고도 중 중앙 셀의 고도보다 낮은 것이 있는 경우는 원거리 가중 하강값이 가장 큰 방향으로 흐름 방향값을 설정하고(조건 2-1), 외곽 셀의 고도 중 중앙 셀의 고도보다 낮은 것이 없는 경우는 외곽으로 흐름 방향값을 설정한다(조건 2-2). 외곽으로 흐름 방향값 설정시는 상단우측 셀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우선순위를 둔다. 여기서, 3×3 그리드의 중앙 셀의 고도에 이웃한 셀의 고도를 빼주고, 이웃한 셀이 코너에 있으면 로, 코너에 있지 않으면 1로 나누어준 값을 원거리 가중 하강값(distance-weighted drop)이라 한다.조건 3. 3×3 그리드의 중앙 셀이 최외곽 셀이 아니고, 외관 셀 8개 중에 NULL 셀이 있는 경우, 외곽 셀의 고도 중 중앙 셀의 고도보다 낮은 셀이 있는 경우는 원거리 가중 하강값이 가장 큰 방향으로 흐름 방향값을 설정하고(조건 3-1), 외곽 셀의 고도 중 중앙 셀의 고도보다 낮은 것이 없는 경우는 흐름 방향값은 NULL로 설정한다(조건 3-2).조건 4. 3×3 그리드의 중앙 셀의 고도보다 주위의 8개 셀의 고도가 모두 높을 경우라도 원거리 가중 하강값이 가장 큰 방향으로 흐름 방향값을 설정한다.조건 5. 3×3 그리드의 중앙 셀을 중심으로 원거리 가중 하강값이 가장 큰 방향을 흐름 방향값으로 설정한다.조건 6. 3×3 그리드의 중앙 셀을 중심으로 원거리 가중 하강값이 가장 큰 방향이 2개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상단우측 셀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우선순위를 둬서 흐름 방향값을 설정한다.조건 7. 3×3 그리드의 중앙 셀의 고도보다 주위의 8개 셀의 고도가 높거나 같은 경우에는, 주위의 8 방향에 대해 각각 10단계까지 흐름 방향을 따라가서 10단계 후의 종착점이 다시 자신에게 돌아오지 않는 주위 셀을 찾아 그 방향으로 흐름 방향값을 설정한다. 만약 이러한 셀이 2개 이상이면 임의로 하나를 선택한다.조건 8. 그리드화된 셀 각각을 중앙 셀로 하여 모든 셀의 흐름 방향값을 설정해준다.
- 제1항에서, 사용되는 수치지도의 고도자료는,중앙 셀 고도를 주변 셀 고도를 사용하여 보간 후 원본적용율에 따라 스무딩(smoothing)하는 과정을 거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 그리드의 중심 셀에서의 흐름방향(Flow Direction Grid) 결정 방법.
- 제1항에서, 사용되는 수치지도의 고도자료는,중앙 셀이 함몰부인 경우에 함몰부 메움(Fill sink) 또는 메움 및 제거(Fill sink and Breaching)과정을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 그리드의 중심 셀에서의 흐름방향(Flow Direction Grid) 결정 방법.
- 제1항에서, 사용되는 수치지도의 고도자료는,중앙 셀이 주위 셀과 고도가 같은 평탄지인 경우에 평탄지 제거(Remove Flat Area)과정을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 그리드의 중심 셀에서의 흐름방향(Flow Direction Grid) 결정 방법.
- 흐름 방향 그리드(Flow Direction Grid)를 이용하여 흐름누적수(Flow Accumulation)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다음 조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누적수 산정 방법.조건 1. 왼쪽 하단 셀부터 시작하여 셀의 값이 '0'이상이 아닌 값인지 검사한다. '0' 이상일 경우는 배수처리를 해주었다는 의미이므로 과정을 생략하고 흐름 방향을 따라 다음 셀을 시작한다. 기본적으로 그리드의 모든 셀은 흐름 방향을 기억하고 각 셀의 값을 '-1'로 셋팅된 상태에서 조건 1.을 시작한다.조건 2. 셀의 값이 '0'이상이 아닌 경우 해당 셀의 값을 '0'으로 바꾸어 주는 배수처리를 해준다.조건 3. 흐름 방향을 따라 다음 셀로 이동한 후, 이동한 셀이 영역 밖 또는 자기 자신인 대상 셀이 아닌지 검사하여, 그렇다면 과정을 중단하고 다음 셀을 조사하고, 그렇지 않다면 조건 4.를 수행한다.조건 4. 이동한 셀의 값이 '0' 이상이 아닐 경우 누적가중치값(초기값이 '1')에 '1'을 더한 값을 셀의 값에 더한 값을 셀의 값으로 한다(즉, 셀의 값 = (누적가중치값) + 1 + (기존 셀의 값)).조건 5. 이동한 셀의 값이 '0' 이상일 경우 고정된 누적가중치값을 기존 셀의 값에 더한 값을 셀의 값으로 한다(즉, 셀의 값 = (고정 누적가중치값) + (기존 셀의 값)). 그 다음 흐름 방향을 따라 이동한 셀도 동일하게 고정 누적가중치값을 더하면서 흐름방향 끝까지 동일 과정을 거친다.조건 6. 셀 전체에 대해서 조건 1. 내지 조건 5.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 흐름 방향 그리드와 흐름누적수를 이용하여 하천망(Stream)을 추출하는 방법 으로, 다음 조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망 추출방법.조건 1. 모든 셀에 대해 흐름누적수값과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값(threshold)을 비교하여 대상 셀의 흐름누적수값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는 하천망 셀(stream cell)로 인정하여 하천차수를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하천차수를 '0'으로 설정한다.조건 2. 전체 하천망 그리드(stream grid)에 대하여 하천망 구획(stream segment) 시작 셀을 검색한다. 하천망 구획 시작 셀은 대상 셀의 주위 8방향을 검사하여 하천망 셀이면서 흐름 방향이 대상 셀로 향하는 주위 셀이 하나도 없는 셀을 의미한다.조건 3. 전체 하천망 구획 시작 셀에 대해 한 셀씩 흐름 방향에 따라 그 다음 셀로 이동하면서 이동한 셀이 영역 밖의 셀인가 검사한다. 만약 영역 밖이라면 그 다음 하천망 구획 시작 셀에 대해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영역 밖이 아니라면 조건 4.를 수행한다.조건 4. 이동한 셀이 교차 셀인가 검사한다. 교차 셀이란 대상 셀의 주위 8방향을 검사하여 하천망에 해당하는 셀이면서 흐름 방향이 대상 셀로 향하는 주위 셀이 2개 이상인 셀을 의미한다.조건 5. 교차 셀이 아닌 경우에는 이동하기 이전 셀과 동일한 차수로 하천차수를 결정한다.조건 6. 교차 셀인 경우에는 교차 셀 주위 8방향을 검사하여 하천망에 해당하는 셀의 그리드 값인 하천차수를 검사하여, 주위 셀들 중에 하천차수가 더 높은 것(고차 하천)이 있다면 교차 셀의 하천차수를 고차 하천 차수로 결정하고(조건 6-1), 주위 셀들의 하천차수가 동일하다면 교차 셀의 차수는 주위 하천차수에 '1'을 더한 값을 하천 차수로 결정한다(조건 6-2).조건 7. 모든 하천망 구획 시작 셀에 대하여 조건 3. 내지 조건 6.의 과정을 반복한다.
- 하천망 그리드(Stream Grid)를 라인 벡터(Line Vector)로 전환하여 최종 하천망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다음 조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 하천망 생성 방법.조건 1. 전체 하천망 그리드에 대하여 하천망 구획 시작 셀과 교차 셀을 검색한다. 여기서, 하천망 구획 시작 셀은 대상 셀의 주위 8방향을 검사하여 하천망 셀이면서 흐름 방향이 대상 셀로 향하는 주위 셀이 하나도 없는 셀을 의미하고, 교차 셀이란 대상 셀의 주위 8방향을 검사하여 하천망에 해당하는 셀이면서 흐름 방향이 대상 셀로 향하는 주위 셀이 2개 이상인 셀을 의미한다.조건 2. 전체 하천망 구획 시작 셀 또는 교차 셀에 대하여 한 셀씩 흐름 방향을 따라 그 다음 셀로 이동하면서 이동한 셀이 영역 밖의 셀인가 검사한다. 만약 영역 밖이라면 그 다음 하천망 구획 시작 셀 또는 교차 셀에 대해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영역 밖이 아니라면 조건 3.을 수행한다.조건 3. 이동한 셀이 교차 셀인지 검사하여, 교차 셀인 경우에는 처음 시작 셀과 교차 셀 및 그들 사이 셀들의 집합을 하나의 하천망 구획으로 간주하고(조건 3-1), 교차 셀이 아닌 경우에는 하나의 하천망 구획의 구성 셀로 간주하고 다음 흐름 방향으로 이동한다(조건 3-2).조건 4. 하나의 하천망 구획으로 간주된 셀들의 집합에서 셀 좌표를 맵 좌표로 변환한다.조건 5. 맵 좌표로 변환된 하나의 하천망 구획에 라인 벡터를 생성한다.조건 6. 모든 하천망 구획 시작 셀 또는 교차 셀에 대하여 조건 2. 내지 조건 5.의 과정을 반복한다.조건 7. 생성된 모든 하천망 구획의 라인 벡터의 길이가 입력된 최소 길이 값보다 작을 경우 하천망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541A KR20100043489A (ko) | 2008-10-20 | 2008-10-20 |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541A KR20100043489A (ko) | 2008-10-20 | 2008-10-20 |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3489A true KR20100043489A (ko) | 2010-04-29 |
Family
ID=4221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2541A KR20100043489A (ko) | 2008-10-20 | 2008-10-20 |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43489A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95425A (zh) * | 2011-02-17 | 2011-06-15 | 长江南京航道局 | 一种基于长江标准的电子航道图生产方法 |
CN103914619A (zh) * | 2014-03-31 | 2014-07-09 | 河海大学 | 一种河流网络的建模方法 |
CN104462773A (zh) * | 2014-11-10 | 2015-03-25 |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 一种用于生物多样性保护的河流网络构建方法及其应用 |
CN107290129A (zh) * | 2017-05-04 | 2017-10-24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坡面水文试验流量场观测系统及方法 |
CN110782526A (zh) * | 2018-07-25 | 2020-02-11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不同子流域河道网格演算次序编码方法 |
CN110967461A (zh) * | 2019-12-19 | 2020-04-07 | 浙江清华长三角研究院 | 一种基于gis技术实现河流水质动态分布的方法 |
CN112801126A (zh) * | 2020-12-01 | 2021-05-14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基于河流特征点的河流形态相似性识别方法 |
CN112950096A (zh) * | 2021-04-27 | 2021-06-11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厂网河一体化分类智能调度方法 |
CN113779486A (zh) * | 2021-09-13 | 2021-12-10 | 中国水产科学研究院长江水产研究所 | 一种具有方向性的分层次的网状要素插值方法 |
CN114372354A (zh) * | 2021-12-27 | 2022-04-19 | 华中科技大学 | 一种河网水系提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8350227A (zh) * | 2024-06-17 | 2024-07-16 | 山东锋士信息技术有限公司 | 基于dem数据和模型构建器的自动化划分小流域的方法 |
-
2008
- 2008-10-20 KR KR1020080102541A patent/KR201000434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95425A (zh) * | 2011-02-17 | 2011-06-15 | 长江南京航道局 | 一种基于长江标准的电子航道图生产方法 |
CN103914619A (zh) * | 2014-03-31 | 2014-07-09 | 河海大学 | 一种河流网络的建模方法 |
CN104462773A (zh) * | 2014-11-10 | 2015-03-25 |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 一种用于生物多样性保护的河流网络构建方法及其应用 |
CN107290129A (zh) * | 2017-05-04 | 2017-10-24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坡面水文试验流量场观测系统及方法 |
CN107290129B (zh) * | 2017-05-04 | 2019-09-27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坡面水文试验流量场观测系统及方法 |
CN110782526B (zh) * | 2018-07-25 | 2021-04-13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不同子流域河道网格演算次序编码方法 |
CN110782526A (zh) * | 2018-07-25 | 2020-02-11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不同子流域河道网格演算次序编码方法 |
CN110967461A (zh) * | 2019-12-19 | 2020-04-07 | 浙江清华长三角研究院 | 一种基于gis技术实现河流水质动态分布的方法 |
CN110967461B (zh) * | 2019-12-19 | 2020-08-25 | 浙江清华长三角研究院 | 一种基于gis技术实现河流水质动态分布的方法 |
CN112801126A (zh) * | 2020-12-01 | 2021-05-14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基于河流特征点的河流形态相似性识别方法 |
CN112950096A (zh) * | 2021-04-27 | 2021-06-11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厂网河一体化分类智能调度方法 |
CN112950096B (zh) * | 2021-04-27 | 2022-06-07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厂网河一体化分类智能调度方法 |
CN113779486A (zh) * | 2021-09-13 | 2021-12-10 | 中国水产科学研究院长江水产研究所 | 一种具有方向性的分层次的网状要素插值方法 |
CN114372354A (zh) * | 2021-12-27 | 2022-04-19 | 华中科技大学 | 一种河网水系提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8350227A (zh) * | 2024-06-17 | 2024-07-16 | 山东锋士信息技术有限公司 | 基于dem数据和模型构建器的自动化划分小流域的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43489A (ko) |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 |
Sun et al. | Modeling urban land use change and urban sprawl: Calgary, Alberta, Canada | |
CN105118090B (zh) | 一种自适应复杂地形结构的点云滤波方法 | |
JP2011501301A (ja) | 地理的情報の複数のソースを用いた地理空間モデリング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 | |
CN111626200A (zh) | 一种基于Libra R-CNN的多尺度目标检测网络和交通标识检测方法 | |
US20170116780A1 (en) | Method for rendering terrain | |
Wang et al. | The isotropic organization of DEM structure and extraction of valley lines using hexagonal grid | |
KR20210024126A (ko) | 특징 맵 확대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
JP2010525491A (ja) | 地理空間データのデータ間引きを提供する地理空間モデリング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 | |
CN106874602B (zh) | 气象数据处理方法和装置 | |
CN106910218B (zh) | 基于大区域栅格数字高程模型的地表表面面积计算方法 | |
KR20170097826A (ko) | 수치표고모델 기반 댐 건설 계획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 |
CN1166754A (zh) | 利用不规则网孔的面向对象的图像的表示方法和装置 | |
CN109697521A (zh) | 基于任意断面构建洪水预报方案的方法 | |
CN112184900B (zh) | 高程数据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N117593657A (zh) | 一种精细化气象预报数据处理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 |
Xu et al. | A three-dimensional future land use simulation (FLUS-3D) model for simulating the 3D urban dynamics under th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 |
KR101335497B1 (ko) | 멀티그리드를 이용한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
CN116758263A (zh) | 基于多层级特征融合和联合定位的遥感图像目标检测方法 | |
CN115984559A (zh) | 智能样本精选方法及相关装置 | |
CN105308997B (zh) | 一种确定待优化小区集合的装置及方法 | |
US2015030880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ground surface roughness | |
KR101139796B1 (ko) | 라이다 측량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에서의 도로 주변의 가로수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
Ge et al. | An automatic method for extracting sand dunes based on slope cost distance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 |
CN112819698A (zh) | 资料同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