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225A -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225A
KR20100043225A KR1020107003071A KR20107003071A KR20100043225A KR 20100043225 A KR20100043225 A KR 20100043225A KR 1020107003071 A KR1020107003071 A KR 1020107003071A KR 20107003071 A KR20107003071 A KR 20107003071A KR 20100043225 A KR20100043225 A KR 20100043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dentifier
connection
transmission resource
resource unit
p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543B1 (ko
Inventor
라지브 라로이아
준이 리
신조우 우
사우라브 타빌다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4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CID)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CID는 다수의 CID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전에, 제1 디바이스는 CID가 다른 인접한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CID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CID가 부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고 결정되면, 상이한 (사용되지 않는) CID가 선택된다. 전송 요청이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선택된 CID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제1 디바이스는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의 제2 디바이스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NETWORKS}
본 출원은 2007년 7월 10일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Transmission Identifications (IDs) for Wireless Networks"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948,882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이 출원은 본 건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애드 혹(ad hoc) 및 로컬 액세스 포인트(AP) 통신 모두가 공존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직교 전송 CID들의 생성 및 유지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으며, 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데이터가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공유 리소스들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사용한다. 통상의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들을 위해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할 수 있는데, 여기서 데이터 스트림은 무선 단말에 대한 독립적 수신 관심사일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무선 단말은 혼합(composite)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는 하나, 둘 이상, 또는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은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스펙트럼의 다양한 부분들을 레버리지(leverage)한다. 그러나 무선 스펙트럼은 고가이고 값비싼 리소스이다. 예를 들어, 무선 스펙트럼의 일부를 통해(예를 들어, 허가된 스펙트럼 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기를 원하는 회사에 의해 현저한 비용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인 기술들은 전형적으로 무선 스펙트럼의 비효율적 사용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설명에 따르면, 광역 네트워크 셀룰러 통신을 위해 할당된 스펙트럼은 종종 시간 및 공간에 걸쳐 균일하게 사용되지 않으며; 결국 스펙트럼의 현저한 일부가 주어진 시간 간격의 주어진 지리적 위치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종종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 혹 구조들을 사용하며, 그로 인해, 무선 단말은 신호들을 다른 무선 단말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신호들은 기지국을 통해 이동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서로의 영역 내에서 무선 단말들이 발견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은 통상적으로 비동기 방식으로 동작하며, 그로 인해 피어들은 특정 시간에 상이한 태스크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예를 들어, 피어들은 영역 내의 다른 피어들의 식별 및/또는 그 와의 통신과 관련하여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고, 전력은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유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들 내에서 피어 식별자들을 할당 및/또는 유지하기 위한 방식이 요구된다.
이하의 설명은 일부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된 실시예들의 광대한 개관은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핵심 또는 주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러한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공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애드 혹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에서, 직교 접속 식별자 선택 방식은 동시에 공유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인접한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직교 접속 식별자 방식에서, 피어-투-피어 접속은 접속 식별자들이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해 접속 식별자(CID)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접속 식별자는 다수의 접속 식별자(CID)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전송 요청 신호는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여기서,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이어,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되면, 제1 디바이스는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는 또한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시간 카운터의 값을 결정한다.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도 또한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례에서, 시간 카운터의 주어진 값에 대해,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1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한다.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OFDM 심벌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한다.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상이한 톤 및 OFDM 심벌 결합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 각각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톤 및 OFDM 심벌의 고유한 결합에 대응한다.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전에,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한다.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지를 결정 시,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를 탐색하는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접속 식별자에 대응한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가 탐색되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는 (a)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b)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거나, (c)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와, 다른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의 비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 제1 디바이스는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모드에서, 제어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구축할 예정인 것과, 제1 디바이스가 접속과 관련된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모드에서, 제어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일 수 있으며,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 구축에 동의한다는 것과, 제1 디바이스가 접속과 관련된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송 요청 신호는 다수의 다른 피어-투-피어 접속들과 공유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설명된 다양한 특성들은 무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회로 또는 프로세서 및/또는 소프트웨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특성들, 특징 및 장점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를 통해 상응하게 식별된다.
도1은 애드 혹 피어-투-피어 네트워크가 광역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이 무선 단말들 간에 구축된 후,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 대한 타이밍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이 다른 인접한 무선 단말들에 대해 간섭을 유발할 수도 있는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들을 구축할 수도 있는 환경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4는 트래픽 슬롯들 사이에 제어 슬롯이 때때로 삽입되어 있는 채널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제어 또는 트래픽 채널 간격 동안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격자) 리소스를 나타낸다.
도6은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 및 페이징 기간 동안 CID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타이밍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각각의 부분이 전체 전송 CID 공간을 커버링하는 두 부분의 CID 브로드캐스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각각의 부분이 전체 전송 CID 공간을 커버링하는 네 부분의 CID 브로트캐스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 (도9A 및 9B를 포함)는 단말들 간에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 내에서 직교 전송 CID들의 사용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10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에서 채널 충돌들 및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11은 접속 식별자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12는 단말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 내에서 직교 전송 CID들의 다른 사용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유지하기 위한 제1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4는 단말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 내에서 직교 전송 CID들의 다른 사용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1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16은 직교 CID들을 사용하는 트래픽 관리 채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7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직교 전송 CID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무선 단말의 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18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직교 전송 CID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무선 단말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의 기술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특정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일례에서, 송신기/수신기 쌍에 대한 직교 전송 CID를 생성하고, 송신기의 전송 의도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송신기/수신기 쌍에 대해 전송 접속 식별자(CID)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2 홉 이웃들(two-hop neighborhood)에서 서로 충돌하지 않을 것 같은 전송 접속 CID들을 생성한다. 송신기가 어떤 이웃 노드와 통신을 시작하길 원할 때, 송신기는 자신의 이웃에서 사용되지 않는 확정적(deterministic) 전송 CID를 우선 획득한다. 이는 예를 들어, 모바일들이 대화를 시작하기 위해 서로 핑(ping)할 수도 있는 페이징 기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페이징 기간 직후, 현재 사용자들은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에서 사용중인 전송 CID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새로운 송신기/수신기 쌍은 이 기간에 청취한다. 이어, 송신기/수신기는 이들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에 관찰하고 전송 CID 결정 기간에 관찰한 CID들을 교환하고, 공동으로 사용되지 않는 CID를 선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은, 송신기/수신기 쌍에 대해 직교 전송 CID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기의 전송 의도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송신기/수신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단말은 또한 전송 CID 결정 기간 동안 전송 CID들을 청취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기/수신기 쌍에 대해 사용되지 않는 전송 CID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충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 기술된 특성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소정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성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설명된 실시예들은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애드 혹( Ad Hoc ) 통신 시스템
애드 혹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는 중앙 집중형(centralized) 네트워크 제어기의 중재 없이 둘 이상의 단말들 사이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다수의 무선 단말들 간에 공유된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도1은 애드 혹 피어-투-피어 네트워크가 광역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어떻게 구현되는 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부 예들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및 광역 네트워크는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상이한 주파수 스펙트럼,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의 사용에 전용되는 스펙트럼에서 동작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들(WT-A(102), WT-B(106) 및 WT-C(11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단지 3개의 무선 단말들(WT-A(102), WT-B(106) 및 WT-C(112))이 도시되었지만, 통신 시스템(100)은 임의의 수의 무선 단말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무선 단말들(WT-A(102), WT-B(106) 및 WT-C(112))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들, 스마트폰들, 랩톱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휴대용 컴퓨팅 장치들, 위성 라디오들,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를 서로에게,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들(WT-A(102), WT-B(106) 및 WT-C(112))로 전송하고, 반복(repeat)하는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섹터들/셀들/영역들 내의 임의의 수의 상이한 액세스 노드들(미도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AN-A(104) 및 AN-B(11O))(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지원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액세스 노드(AN-A(104) 및 AN-B(1lO))는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되듯이, 신호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특징에 따라, WAN을 통해 통신할 경우, 무선 단말(들)은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지원되는 광역 기반 구조(infra-structure)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할 때 액세스 노드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액세스 노드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은 액세스 노드(AN-A (104))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WT-C(112))은 상이한 액세스 노드(AN-B(11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은 로컬 영역 피어-투-피어(P2P) 네트워크(예를 들어, 애드 혹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피어-투-피어 통신들은 무선 단말들 사이에서 신호들을 직접 전달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신호들은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중앙 집중형 관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지 않는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등의 타입 설정 내에서) 단거리(short range)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은 제1 피어-투-피어 네트워크(108)를 구축할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들(WT-B(106) 및 WT-C(112))은 제2 피어-투-피어 네트워크(114)를 구축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접속(108 및 114)은 유사한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서로의 영역) 내에서 무선 단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무선 단말들이 공통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 포함될 동일한 섹터 및/또는 셀과 관련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은 하나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가 다른 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와 중첩하거나 이에 포함되는 영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중첩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무선 단말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은 광역 네트워크 및/또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중첩한다. 더욱이, 무선 단말들은 결절없이 스위칭하거나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동시에 레버리지한다. 따라서, 전송을 하든지 그리고/또는 수신을 하든지, 무선 단말들은 통신들을 최적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들은 동기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은 개별 기능들의 성능을 동기화하기 위해 공통 클록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은 액세스 노드(AN-A(104))로부터 타이밍 신호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은 또한 다른 소스들, 예를 들어, GPS 위성들 또는 텔레비젼 방송국들로부터 타이밍 신호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일례에 따르면, 시간은 피어 발견, 페이징 및 트래픽과 같은 기능들에 대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의미 있게 분할될 수도 있다. 더욱이, 각각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가 자신의 고유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고려된다.
피어-투-피어 접속에서 트래픽의 통신이 발생할 수 있기 전에, 두 개의 피어 무선 단말들은 서로를 탐색하고 식별할 수도 있다. 피어들 사이에서 이러한 상호 탐색 및 식별이 발생하게 하는 프로세스는 피어 발견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피어-투-피어 통신을 구축하기를 희망하는 피어들을 제공함으로써 피어 발견을 지원하고, 단문 메시지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다른 피어들의 전송들을 청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들(WT-A(102))(예를 들어, 송신 무선 단말)은 신호들을 다른 무선 단말(들)(WT-B(106))(예를 들어, 수신 무선 단말(들))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수신 무선 단말(WT-B(106))이 송신 무선 단말(WT-A(102)) 부근에 있을 경우, 수신 무선 단말(WT-B(106))이 송신 무선 단말(WT-A(102))을 식별하게 한다. 식별 후, 활성 피어-투-피어 접속(108)이 구축될 수도 있다.
피어 발견을 위한 전송들은 피어 발견 간격들로 지칭된 특정 시간들 동안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전송들의 타이밍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도 있고,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에 알려질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WT-A(102) 및 WT-B(106))은 자신들을 식별하기 위한 각각의 신호들을 각각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단말(WT-A(102) 및 WT-B(106))은 피어 발견 간격의 일부 동안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각각의 무선 단말(WT-A(102) 및 WT-B(106))은 피어 발견 간격의 나머지에서 다른 무선 단말들에 의해 잠재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일례에 의하면, 신호는 비컨 신호일 수도 있다. 다른 설명에 의해, 피어 발견 간격은 다수의 심벌들(예를 들어, OFDM 심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 단말(WT-A(102)은 무선 단말(WT-A(102))에 의한 전송을 위해 피어 발견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심벌을 선택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각각의 무선 단말(WT-A(102))은 무선 단말(WT-A(102))에 의해 선택된 심벌에서 대응하는 신호를 하나의 톤에서 전송할 수도 있다.
로컬 영역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및 광역 네트워크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공통 무선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대역폭은 네트워크들의 개별 타입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공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및 광역 네트워크는 허가된 스펙트럼을 통해 모두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피어-투-피어 통신은 광역 네트워크 기반 구조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무선 단말들이 서로를 발견한 후, 무선 단말들은 접속들을 구축하기 위해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접속은 두 개의 무선 단말을 링크하는데, 예를 들어, 도1에서, 접속(108)은 무선 단말들(WT-A 및 WT-B)을 링크한다. 이어 단말(WT-A(102))은 접속(108)을 이용하여 단말(WT-B(106))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WT-B(106))은 또한 접속(108)을 이용하여 단말(WT-A(102))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도2는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이 무선 단말들 사이에 구축된 후,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 대한 타이밍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각각의 트래픽 채널 슬롯(210)은 트래픽 관리 채널(201) 및 트래픽 채널(203)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래픽 관리 채널(201)은 트래픽 채널(206)에서 트래픽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접속 스케줄링 세그먼트(202), 레이트 스케줄링 세그먼트(204), 및 확인 응답(acknowledgment) 세그먼트(208)는 트래픽 관리 채널(201)로 통칭된다. 데이터 전송 세그먼트(206)는 트래픽 채널(203)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접속 스케줄링 세그먼트(202), 레이트 스케줄링 세그먼트(204), 데이터 세그먼트(206) 및 확인 응답 세그먼트(208)는 트래픽 슬롯을 포함한다.
송신기 단말은 (피어-투-피어 접속에서) 자신의 수신기 단말에게 자신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접속 스케줄링 세그먼트(202)를 사용할 수도 있다. 레이트 스케줄링 세그먼트(204)는 (피어-투-피어 접속에서) 송신기/수신기 단말들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시 사용하기 위한 전송 레이트 및/또는 전력을 획득하게 한다. 이어 데이터 전송 세그먼트(206)는 획득된 전송 레이트 및/또는 전력으로 원하는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확인 응답 세그먼트(208)는 데이터 전송 세그먼트(206)에서 트래픽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수신기 단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에서, 트래픽 슬롯의 시간 기간은 대략 2 밀리초이다. 트래픽 슬롯(210)이 시간에 대해 반복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시간 시퀀스 구조는 트래픽 슬롯들의 하나의 기간을 도시한다. 트래픽 슬롯(210)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앞서, 송신기 및 수신기 단말들은 제어 슬롯(404)(도4)을 통해 피어-투-피어 접속을 구축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전송 CID 들을 사용하는 충돌 완화
애드 혹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통신들이 공간 및 시간 모두에서 공유되는 주파수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애드 혹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의 분산 특성으로 인해, 무선 단말들 사이에서 전송들을 위해 사용되는 채널 할당들(예를 들어, 슬롯들)을 제어하는 것이 언제나 가능한 것은 아니다. 중앙 인가(central authority)가 존재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 회피 및/또는 관리는 네트워크 성능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특성이다.
도3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이 다른 인접한 무선 단말들에 대해 간섭을 유발할 수도 있는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들을 구축할 수도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300)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 및/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는 다수의 무선 단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유된 주파수 스펙트럼은 하나 이상의 전송 및/또는 제어 채널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전송 (트래픽) 채널은 대응하는 트래픽 관리 채널을 갖는다. 일례에서, 트래픽 관리 채널은 대응하는 전송 (트래픽) 채널을 통한 통신들을 위해 트래픽 요청을 전송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에서, 제1 무선 단말(WT A(302))이 제2 무선 단말(WT B(304))에게 전송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동안, 동시에 제3 무선 단말(WT C(306))은 동일한 트래픽 채널 대역폭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4 무선 단말(WT D(308))에게 전송하려고 시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1 무선 단말(WT A(302))은 의도된 송신기로 지칭될 수도 있고, 제2 무선 단말(WT B(304))은 의도된 수신기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제3 무선 단말(WT C(306))은 간섭자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300)에서, 전송 및 제어 채널 쌍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WT A, WT B, WT C, 및 WT D)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송 (트래픽) 및/또는 제어 채널이 무선 단말들에 의해 공유(예를 들어, 주파수 스펙트럼 공유)되기 때문에, 이는 무선 단말들 사이에 원치 않는 간섭(314' 및 310')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전송들(310 및 314)이 실제로 발생하면, 제3 무선 단말(WT C(306))로부터의 신호(314')는 제2 무선 단말(WT B(304))에 대한 간섭으로 관찰될 수도 있고, 제1 무선 단말(WT A(302))로부터 원하는 신호(310)를 성공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제2 무선 단말의 능력을 열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간섭 관리 프로토콜은 제3 무선 단말(WT C(306))로부터 제2 무선 단말(WT B(304))로의 간섭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간섭 관리 프로토콜의 일 목적은 제3 무선 단말(WT C(306))이 초과 간섭을 생성하지 않고 제2 무선 단말(WT B(304))로 전송하게 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전체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제1 무선 단말(WT A(302))은 또한 제4 무선 단말(WT D(308))에 대한 간섭(310')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유사한 간섭 관리 프로토콜이 이러한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중앙 집중형 트래픽 관리 인가가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WT A(302) 및 WT C(306)가 동일하거나 중첩하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그로 인해 서로 간섭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동시에, WT A(302) 및 WT C(306) 모두가 동일한 전송 CID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송 CID는 수신 단말(WT B(304) 및 (308))에 대한 특정 전송 채널(예를 들어, 주파수 또는 시간 슬롯)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전송 CID가 두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면, 두 단말은 또한 동일한 채널 또는 중첩 채널들을 통해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두 송신 단말들(WT A(302) 및 WT C(306))이 수신기 단말들(WT B(304) 및/또는 WT D(308))의 범위 내에 있다면, 수신기 단말들(WT B(304) 및/또는 WT D(308))은 간섭을 감지할 수도 있다.
특히, 다수의 무선 단말들이 의도된 피어로부터의 전송들과 의도되지 않은 피어들로부터의 전송들 사이의 구별 없이 공유된 주파수 내에서 채널들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채널 구조
도4는 트래픽 슬롯들 사이에 제어 슬롯이 때때로 삽입되어 있는 채널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트래픽 슬롯들(402)은 송신기 단말이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기 단말로 피어-투-피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는 시간 기간이다. 일례에서, 각각의 트래픽 슬롯(402)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각각의 트래픽 슬롯은 2밀리초 지속될 수도 있다. 트패픽 슬롯(402)은 데이터 트래픽이 전송되는 트래픽 채널 부분, 및 스케줄링 및 간섭 관리가 발생하는 트래픽 관리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제어 슬롯(404)은 CID 브로드캐스트 채널(406) 및 페이징 채널(4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슬롯(404)은 트래픽 슬롯들보다 훨씬 긴 간격들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슬롯(404)은 매초 정도마다 발생할 수도 있다. 제어 슬롯(404)은 송신기 단말 및 수신기 단말 간의 피어-투-피어 접속을 구축 및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CID 브로드캐스트 채널(406)은 인접한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피어-투-피어 접속 식별자(CID)들을 나타내기 위해, 그리고 피어-투-피어 접속이 여전히 활성상태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및 수신기 단말들은 어떤 CID들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CID 브로드캐스트 채널(406)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페이징 채널(408)은 새로운 피어-투-피어 접속에 대해 새로운 CID들을 구축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며, 페이징 요청 채널 및 페이징 응답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슬롯들(404)은 트래픽 슬롯들(402)보다 훨씬 긴 간격들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슬롯들(404)은 매초 정도마다 발생할 수도 있다.
도5는 신호 전송과 관련된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격자(500)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신호는 OFDM 신호일 수도 있다. 시간-주파수 격자(500)는 예를 들어, 제어 슬롯(예를 들어, 도4의 제어 슬롯(404)) 및/또는 트래픽 채널 슬롯(도2의 트래픽 관리 채널(201) 내의 트래픽 슬롯(210)) 동안,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리소스이다. x 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N개(예를 들어, N은 임의의 정소일 수도 있음)의 심벌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y 축은 주파수를 나타내며, M개(예를 들어, M은 임의의 정수일 수도 있음)의 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단말은 트래픽 관리 채널에서 시간-주파수 격자(5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격자는 CID 리소스 공간으로 간주될 수도 있는데, 단말은 CID 리소스 공간으로부터 CID에 대응하는 CID 리소스 유닛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슬롯에서, 송신기 단말은 CID와 관련된 접속에 대응하는 수신기 단말로 전송 요청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CID 리소스 유닛을 선택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기 단말은 송신기 단말로 요청 응답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CID 리소스 유닛을 선택할 수도 있다. 송신기 단말 및 수신기 단말에 유용한 CID 리소스 유닛들은, 송신기 단말이 트래픽 관리 채널의 전체 시간-주파수 격자의 고정된 서브세트에서 CID 리소스 유닛을 선택하도록, 선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분할될 수도 있는 반면, 수신기 단말은 트래픽 관리 채널의 전체 시간-주파수 격자의 상이한 고정된 서브세트에서 CID 리소스 유닛을 선택한다. 이러한 CID 리소스 공간은 예를 들어, 제어 슬롯(404)(도4) 및/또는 (도2에서 트래픽 관리 채널(201) 내의) 트래픽 슬롯(210)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CID 리소스 유닛은 시간-주파수 결합 또는 심벌-톤 결합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예에 의하면, 제어 슬롯 또는 트래픽 슬롯의 트래픽 관리 부분에서, 단말은 무선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무선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송을 위한 특정 심벌(예를 들어, 전송 시간) 및/또는 현재 슬롯 간격을 식별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내에서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도 있는 시간 변수(예를 들어, 시간 카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된 심벌에 대응하는 특정 톤이 (예를 들어, 식별자 및/또는 시간 변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추가의 예에 따르면, 시간 변수 및 식별자의 해쉬 함수는 선택된 심벌 위치 및/또는 톤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접속에 대해, 시간 변수가 제1 값을 취할 경우, 무선 단말이 CID 리소스 유닛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톤 신호 P1을 전송하도록, 해쉬 함수는 심벌 x1 및 톤 y1을 산출할 수도 있다. 시간 변수가 제2 값을 취할 경우, 무선 단말이 CID 리소스 유닛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톤 신호 P2를 전송하도록, 해쉬 함수는 심벌 x2 및 톤 y2를 산출할 수도 있다.
직교 전송 CID 들을 사용하는 충돌 회피
일 특징은 2 홉 이웃에서 서로 충돌할 것 같지 않은 전송 CID들의 생성을 제공한다. 간섭 완화는 전송 CID들의 직교 세트를 생성 및 유지함으로써 촉진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Tx/Rx 단말 쌍은 충동들의 가능성을 낮추도록 자신의 이웃의 다른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전송 또는 접속 CID를 선택한다. 즉, 전송 CID들의 직교 세트를 생성 및 유지하는 이러한 특징은 두 개 이상의 Tx/Rx 단말 쌍들이 우연히 동일한 전송 CID를 선택하게 하는 가능성을 낮춘다. 이는 두 개의 Tx/Rx 단말 쌍들이 우연히 동일한 CID를 선택하고 두 개의 Tx/Rx 단말 쌍들이 서로의 범위 내에 있다면, 예를 들어, 단말들이 트래픽 관리 채널을 이용하여 간섭 관리의 동작을 실행할 때, 두 Tx/Rx 단말 쌍들 및 다른 이웃 단말들에 대한 충돌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AR/AT 통신이 애드 혹 통신 쌍들과 함께 시스템에 존재할 때 더욱 심각하게 될 수도 있다.
송신기 단말이 어떤 이웃 수신기 단말과 통신을 개시하기를 원할 때, 송신기 단말은 우선 자신의 이웃에서 사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전송 CID들을 선택한다. 동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는 예를 들어, 매초 마다 슬롯 시간 스케일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을 도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단말들이 대화를 시작하기 위해 서로 핑(ping)하는 페이징 기간(603)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듯이, "직교"라는 용어는 다른 대상이 동일한 CID를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선택되는 CID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교 CID는 우선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중인 CID들을 체크(예를 들어, CID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사용되지 않거나 이용가능한 CID를 선택하고, 충돌이 감지된 경우 CID들을 교환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도6은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 및 페이징 기간(606)을 포함하는 CID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타이밍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에서, CID를 이미 가진 단말은 부근의 다른 단말들이 특정 CID가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자신의 CID를 브로드캐스트한다.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 이후, 페이징 기간(606)이 발생한다. 페이징 기간(606)은 페이징 요청 기간(608) 및 페이징 응답 기간(6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페이징 개시자(612)(예를 들어, 송신기 단말(WT A))는 페이징 요청 기간(608)에 페이징 요청을 페이징 타겟(614)(예를 들어, 수신기 단말(WT B))으로 전송한다. 이어 페이징 타겟(614)은 페이징 응답 기간(610)에 페이징 응답을 페이징 개시자(612)에게 전송한다. 페이징 요청 및 응답 교환의 일 목적은 페이징 개시자(612)와 페이징 타겟(614) 간에 접속을 구축하는 것이다. 페이징 개시자 및 타겟은 다른 제어 및/또는 데이터 트래픽을 교환하기 위해 연속한 트래픽 슬롯들에서 두 개의 단말들에 의해 사용될 접속 ID(CID)를 선택한다. 다른 이웃 접속들과의 간섭 및/또는 CID 충돌들을 회피하기 위해, 페이징 개시자(612) 및 타겟(614)에 의해 선택된 CID는 다른 단말들에 의해 현재 사용되지 않거나 이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페이징 개시자 및 페이징 타겟은 어떤 CID들이 이웃에서 사용되지 않는 지를 탐색하기 위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을 모니터링한다. CID는 서로로부터 원격인 지리적 위치들에서 상이한 접속들에 의해 재사용, 즉 공간 재사용될 수도 있다. CID가 사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페이징 개시자(612) 및/또는 타겟(614)은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에서 CID에 대응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페이징 개시자(612) 및/또는 타겟(614)은 이러한 신호 강도를 임계치와 비교할 수도 있다. 임계치의 값은 고정되거나, 배경 잡음의 측정치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페이징 개시자 및/또는 타겟은 CID에 대응하는 신호의 강도를 다른 CID들에 대응하는 신호들의 강도와 비교할 수도 있다.
페이징 개시자(612) 및 타겟(614)은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을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어떤 CID들이 이웃에서 사용되지 않는 지를 결정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무선 주파수(RF) 조건이 페이징 개시자 및 타겟에서 상이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개시자 또는 타겟에 의해 결정된 이용가능한 CID들의 리스트는 상이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 페이징 개시자(612)는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 동안 자신의 측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CID들을 결정하여 이용가능한 CID들의 리스트를 페이징 요청 기간(608)에 타겟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페이징 타겟(614)은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 동안 자신의 측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CID들을 결정하고, 이들을 페이징 요청 기간(608)에 수신된 리스트와 비교하고, 페이징 개시자((612)로부터의 리스트에서 사용을 위한 하나의 CID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된 CID는 바람직하게는 페이징 개시자(612) 및 타겟(614) 모두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하나의 CID이다. 이어 페이징 타겟(614)은 페이지 응답 기간(610)에 선택된 CID를 개시자(612)에게 통보한다.
CID가 이용가능한 것(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음)으로 간주되는 지의 여부는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의 신호 강도 측정에 기초한다. 개시자(612) 및/또는 타겟(614)은 각각의 이용가능한 CID를 일부 품질 표시자와 관련시킬 수도 있는데, 품질 표시자는 개시자(612) 또는 타겟(614)이 CID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CID에 대응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가 제2 CID의 신호 강도보다 작으면, 개시자(612) 또는 타겟(614)은 제1 CID가 제2 CID보다 "더욱"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제1 및 제2 CID들과 관련된 품질 표시자들에 반영된다. 더욱이, 개시자(612)는 관련된 품질 표시자에 대응하는 이용가능한 CID들을 랭크하고, 그에 따라 타겟(614)으로 전송할 리스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개시자(612)는 또한 (페이징 요청 기간(608) 동안 전송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품질 표시자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개시자(612)에 의해 제안된 이용가능한 CID들이 타겟(614)에 의해 "사용(occupied)"되는 것으로 모두 간주된 경우, 개시자(송신기 단말)로부터의 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기보다는, 타겟(614)은 사용될 다른 CID들을 추가로 제안할 수도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 단말이 사용될 특정 CID에 수렴하기 전에, 소수의 반복들이 개시자와 타겟(송신기 및 수신기 단말들) 간에 발생할 수도 있다.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604)이 늦은 시간 스케일로 발생하고 오버헤드가 덜 제한적이기 때문에,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설계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7은 두 부분의 CID 브로드캐스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며, 여기서 각 부분은 전체 전송 CID 공간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전송 CID 공간이 1부터 N까지 미친다고 하면, 도7의 각각의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 A1(702) 및 A2(704)는 N 등급의 자유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1 및 A2 각각이 Y개의 OFDM 심벌들에 X개의 톤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N=X*Y이다. 제1 및 제2 단말(712 및 714)이 이미 CID를 가진 접속(716)과 관련된다고 가정하자. 접속(716)이 제1 단말(712)이 제2 단말(714)을 페이징할 때 구축되었다고 가정하자. 즉, 제1 단말(712)과 제2 단말(714) 사이에서, 제1 단말(712)이 개시자이고 제2 단말(714)이 타겟임이 이해된다. 그러므로 제1 단말(712)은 리소스 A1(702)에서 접속(716)의 CID에 대응하는 심벌의 톤에서 제1 신호(706)를 전송하며, 제2 단말(714)은 리소스 A2(704)에서 접속(716)의 CID에 대응하는 심벌의 톤에서 제2 신호(708)를 전송한다. 대안적인 구현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은 단일 리소스(즉, 오직 리소스 A1(702))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단말(712 및 714)은 예를 들어, 고정된 패턴(예를 들어, 대안적인 짝수/홀수 기간들 또는 의사 랜덤)에 따라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들에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교번할 수도 있다. 즉, 제1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에서, 제1 단말(712)은 단일 리소스(예를 들어, 리소스 A1(702))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제2 단말(714)은 청취하며, 제2 브로드캐스트 기간에, 제2 단말(714)이 동일한 단일 리소스(예를 들어, 리소스 A1(702))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제1 단말(712)은 청취한다.
단말들(712 및 714)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에 신호들을 전송할 필요가 있는 한 가지 이유는 부근의 다른 단말들이 CID(706 및/또는 708)가 사용되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다른 이유는 두 단말들 중 하나가 다른 단말의 존재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배터리 부족으로 인해, 또는 두 단말들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를 넘어 증가하기 때문에 하나의 단말이 사라진다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은 두 단말들(712 및 714)로 하여금 접속(716)이 해제될 필요가 있고 CID 리소스 유닛(예를 들어, 리소스들 A1(702) 및 A2(704)의 (706) 및 (708))이 포기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712)이 일부 기간의 시간 동안, 제2 리소스 A2(704)에서 제2 단말(714)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708)를 탐색하지 않으면, 제1 단말(712)은 접속(716)이 다운(down)되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연속하여, 제1 단말(712)은 CID(706)를 포기하고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에서 더 이상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706)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는 CID ((706) 및 (708)에서 CID 리소스 유닛들)가 다시 이용가능하게 되도록 하며 부근의 다른 단말들에 의해 선택되게 한다.
두 단말들이 도6에 도시된 프로토콜에 이어 접속을 시작하면, CID가 부근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RF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CID 충돌은 여전히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쌍의 단말들이 동일한 CID와 관련된 접속을 이용할 수도 있는 새로운 위치로 두 단말들이 또한 이동할 수도 있다. 도7의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의 설계를 이용하는 것은 이러한 CID 충돌을 용이하게 탐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8은 CID 충돌의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네 부분의 CID 브로드캐스트 구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7의 리소스들 A1(702) 및 A2(704)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리소스는 전체 전송 CID 공간을 커버한다. 전송 CID 공간 내의 각각의 전송 CID는 전송 트래픽 채널에 대응하는 특정 톤/심벌 또는 주파수-시간으로 정의(또는 관련)된다. 예를 들어, 전송 CID 공간이 1부터 N까지 미친다면, 각각의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 Al(802), A2(804), Bl(806), 및 B2(808)는 N 등급의 자유도를 가질 수도 있다. 도7과 유사하게, 제1 단말(818)과 제2 단말(820) 사이의 접속에서, 제1 단말(818)이 접속(822)을 개시한 단말(즉, 페이징 개시자)이고, 제2 단말(820)이 페이징 타겟이라고 가정하자. 일례에서, 제1 단말(818)은 리소스들 A1(802) 및 B1(804)에 할당되고, 제2 단말(820)은 리소스들 A2(806) 및 B2(808)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개시자 단말들이 자신이 리소스들 A1(802) 및 B1(804)를 사용해야 함을 알고, 타겟 단말들이 자신이 리소스들 A2(806) 및 B2(808)를 사용해야함을 알고 있는 경우 이러한 리소스들의 할당이 수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단말들(818 및 820)에 대한 리소스들의 상이한 할당들이 또한 가능하다.
제1 단말(818)은 제1 단말(818)과 제2 단말(820) 사이의 접속(822)의 CID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두 리소스들 A1(802) 및 B1(804)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어 제1 단말(818)은 다른 단말이 동일한 전송 CID를 사용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은 리소스에 대해 청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818)은, 충돌에 대해 리소스 B1(804)의 위치(814)(즉, 리소스 유닛)에서 청취하면서, 리소스 A(802)에서 CID 공간 내의 위치(톤/심벌)에 의해 정의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810)를 전송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제1 단말(818)이 CID 신호가 위치(814)에서 전송되는 것을 탐색하면, 제1 단말(818)은 다른 단말이 또한 동일한 CID를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즉 CID 충돌이 탐색된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말(820)은 제1 단말(818)과 제2 단말(820) 간의 접속의 CID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두 리소스들 A2(806) 및 B2(808)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820)은 리소스 A2(806)에서 CID 공간 내의 위치에 의해 정의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812)를 전송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임의의 특정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에서, 다른 리소스를 통한(예를 들어, 리소스들 A1 과 B1 사이에서) 하나의 리소스의 선택은 제1 및/또는 제2 단말들의 디바이스 ID들 또는 단말의 함수로서 의사 랜덤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818)은 리소스들 A1(802) 및 B1(804) 사이에서 어떤 리소스를 선택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자신의 디바이스 ID 및 의사 랜덤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2 단말(820)은 리소스들 A2(806) 및 B2(808) 사이에서 어떤 리소스를 선택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자신의 디바이스 ID 및 동일한 의사 랜덤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선택은 또한 시간 카운터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말들(818 및 820)은 공통 타이밍 소스로부터 시간 카운터의 값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선택은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단말(818)은 A2(806)와 B2(808) 사이에서 제2 단말(820)이 어떤 리소스(A2 또는 B2 중 하나)를 선택할지를 알고 있다. 이는 제1 단말(818)이 제2 단말(820)과 접속(822)하고 있고, 제2 단말(820)이 어떻게 선택할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단말(820)은 리소스 A2(806)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도7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단말(820)의 존재를 체크하기 위해, 제1 단말(818)은 CID에 대응하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812)가 리소스 A2(806)에서 수신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모니터링한다. 만일 수신되었다면, 제1 단말(818)은 접속(822)이 여전히 활성이라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 어떠한 추가의 동작도 필요하지 않다. 그렇지 않다면, 제1 단말(818)은 접속(822)이 소실되었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으며, 그 다음, 제1 단말(818)은 접속(822)을 해제하고 위치들(810 및 814)에서 CID에 대응하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의 전송을 금지함으로써 CID를 포기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제1 단말(818)은 CID에 대응하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816)가 리소스 B2(808)에서 수신되었는 지를 모니터링한다. 만약 수신되었다면, 제1 단말(818)은 다른 단말이 동일한 CID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고, 즉 CID 충돌이 탐색된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접속(822)이 상이한 CID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 있도록, 제1 단말(818)은 이러한 ID 충돌을 제2 단말(820)에게 통보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 제1 및 제2 단말들(818 및 820)은 주기적으로, 의사 랜덤하게, 또는 랜덤하게 이들의 리소스들 Al(802), A2(804), Bl(806), 및 B2(808)을 선택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주기적으로, 의사 랜덤하게 또는 랜덤하게 특정 시간 간격에서 사용된 리소스를 변경함으로써, 충돌 탐색의 가능성이 향상된다. 즉, 제1 단말 및 또 다른 단말이 특정 시간 간격 동안 동일한 리소스에서 동일한 전송 CID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각각이 때때로 두 개의 리소스들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선택할 경우 이들이 동일한 리소스를 연속적으로 선택할 가능성은 더 낮다.
도9(도9A 및 9B를 포함)는 단말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 내에서 직교 전송 CID들의 사용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구축시, 제1 단말(WT A(902)) 및 제2 단말(WT B(904))은 도6, 7 및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사용할 수도 있다.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908) 동안, 현재 활성 접속들을 갖는 이웃 단말들은 이들이 선택한 전송 CID에 대응하는 (선택된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에서의) 심벌의 톤을 전송(910)함으로써 이들이 사용하고 있는 CID들을 나타낸다. 제1 단말(WT A(902)) 및 제2 단말(WT B(904))은 어떤 CID들이 다른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CID 브로드캐스트(들) (예를 들어,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들)를 모니터링(912 및 914)할 수도 있다. 이어 각각의 단말(WT A(902) 및 WT B(904))은 탐색된 사용되는 전송 CID들의 리스트들을 독립적으로 생성(916 및 918)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의 RF 조건들의 차이로 인해, 하나의 단말은 다른 단말이 탐색할 수 없는 일부 사용되는 전송 CID들을 탐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두 리스트들은 상이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어 단말들(WT A(902) 및 WT B(904))은 예를 들어, (또한 도6에 도시된) 페이징 기간(917) 동안 탐색된 전송 CID들(919)의 자신들의 리스트들을 교환할 수도 있다.
(도6에 도시된) 페이징 기간(917) 동안, 단말들(WT A(902) 및 WT B(904))은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 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전송 CID를 선택(920 및 922)할 수도 있다. 제1 단말들(902)은 또한 제1 및 제2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들을 선택(921)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두 개의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들 중 하나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다른 하나는 CID 충돌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말(904)은 제3 및 제4 브로드캐스트 리소스를 선택(923)할 수도 있는데, 두 개의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들 중 하나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하나는 CID 충돌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트래픽 관리 기간(926) 동안 이들의 피어-투-피어 접속을 위한 전송 CID를 선택하면, 이어 제1 무선 단말(WT A(902))은 전용 채널 리소스, 예를 들어, (도16의 161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CID에 대응하는 트래픽 관리 채널 기간에 OFDM 심벌의 특정 톤을 사용하여 제2 단말(WT B(904))로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요청은 제1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의 선택된 CID 슬롯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928)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이러한 전송 요청을 수신 시, 제2 단말(WT B(904))은 다시 전용 채널 리소스, 예를 들어, (도16의 161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CID에 대응하는 트래픽 관리 채널 기간에 OFDM 심벌의 특정 톤을 사용하여 요청 응답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요청 응답은 제3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의 선택된 CID 슬롯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930)할 수도 있다.
다음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931)에서, 제1 및 제2 단말들(902 및 904)은 선택된 CID가 사용되고 있음을 다른 단말들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WT A(902))은 제2 단말(WT B(904))에게 접속이 여전히 활성인 것을 통보하기 위해 제1 또는 제2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 중 하나의 CID 슬롯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단말(WT B(904))은 제1 단말(WT A(902))에게 접속이 여전히 활성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 제3 또는 제4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 중 하나의 CID 슬롯에서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또한 전송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단말들(WT A(902) 및 WT B(904))은 선택된 CID와의 충돌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즉 다른 단말이 동일한 전송 CID를 선택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CID 브로드캐스트 리스스들을 모니터링(932 및 934)할 수도 있다.
CID 충돌이 탐색되면, 제1 및 제2 단말들(WT A(902) 및 WT B(904))은 다음 페이징 기간(939) 동안 이들의 CID를 변경(940)시키기 위해 협상할 수도 있다.
충돌 회피 방법
도10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에서 채널 충돌들 및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접속 식별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해 선택(1000)된다.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제1 디바이스는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할 시간 기간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를 선택(1002)할 수도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제1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1004)한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시간 간격 내의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선택된 심벌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는 제1 접속 식별자가 인접한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1006)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접속이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탐색될 수도 있다면, 이러한 접속을 사용하는 피어 단말들이 제1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다면, 또는 접속이 제1 디바이스의 접속에 대한 수용가능한 임계치를 초과한 간섭을 유발할 수도 있다면, 접속은 "인근"에 있다. 접속 식별자가 (다른 접속을 위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와의 자신의 피어-투-피어 접속을 위해 제1 접속 식별자를 계속 이용(1018)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제1 접속 식별자가 부근의 다른 접속(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1008)되고 있다고 결정되면, 제1 디바이스는 제2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2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1010)한다. 제2 접속 식별자가 다른 접속(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1012)되지 않으면, 제1 디바이스는 제2 접속 식별자로 스위칭(1014)한다. 그렇지 않고, 제2 접속 식별자가 다른 접속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면, 사용되지 않은 다른 접속 식별자가 사용되지 않은 식별자들에 대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선택(1016)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접속 식별자들은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에 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속 식별자들은 예를 들어, 도6 및 도8에 설명된 바와 같이, CID 브로드캐스트 리소스 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또는 이용가능한 전송 CID들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일례에서, 제1 장치는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소스는 WAN 시그널링 또는 비컨들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이어 시간 카운터의 값은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시간 간격에서 다른 시간 간격으로 변화한다. (단계 1002에서) 선택된 심벌은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 1002에서) 다수의 심벌들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는 OFDM 심벌일 수도 있고,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선택된 심벌의 다수의 톤들 중 하나에서 전송된다.
일례에서, 선택된 OFDM 심벌 및 톤의 결합은 제1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선택된 OFDM 심벌 및 톤의 상이한 결합에 대응한다. 다수의 OFDM 심벌들은 제1 접속 식별자들과 관련될 수도 있다. 선택된 심벌은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 모두에 의해 결정된 함수로서 제1 접속 식별자와 관련되는 다수의 OFDM 심벌들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제1 접속 식별자와 관련된 다수의 OFDM 심벌들의 나머지 OFDM 심벌들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도11은 접속 식별자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일례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시간 간격에서 다수의 심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10의 예에서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해 제1 접속 식별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시간 간격 내의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는 제1 접속 식별자에 대해 선택되거나, 제1 접속 식별자와 관련(1102)될 수도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제1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1104)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제1 디바이스는 시간 간격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나머지 심벌들에서 신호를 수신(1106)하거나 탐색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청취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수신 신호에서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또는 부존재)를 모니터링(1108)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한다.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가 탐색되면, 제1 디바이스는 탐색된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111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는 다수의 방식으로 제1 접속 식별자가 부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면, 제1 디바이스는 다른 접속이 또한 제1 접속 식별자를 이용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수신된 신호의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디바이스는 다른 접속이 또한 제1 접속 식별자를 이용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와 수신된 신호에서 다른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의 비가 제2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디바이스는 다른 접속이 또한 제1 접속 식별자를 이용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도 있다.
도12는 단말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 내의 직교 전송 CID들의 다른 사용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구축 시, 제1 단말(WT A(1202)) 및 제2 단말(WT B(1204))은 도6, 7 및 8에 설명된 바와 같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 CID 브로드캐스트는 시간 간격에서 다수의 심벌들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심벌은 CID 또는 접속 식별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인접한 단말들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대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자신들이 사용한 CID들을 브로드캐스트(1210)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단말(WT A(1202)) 및 제2 무선 단말(WT B(1204))은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1212 및 1214)할 수도 있다. 수신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단말(WT A(1202) 및 제2 무선 단말(WT B(1204))은 탐색된 사용되는 전송 CID들의 자신 고유의 리스트를 각각 생성(1216 및 1218)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해 자신들의 리스트를 교환(1220)할 수도 있다.
이어 제1 단말(1202)이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간격에서 제1 심벌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다수의 심벌들로부터 선택(1222)된다. 마찬가지로, 제1 단말(1202)이 제2 단말(1204)에 의해 전송될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1224)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심벌들로부터 제2 심벌이 선택(1224)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단말들(1202 및 1204)은 CID와 관련된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은 동일한 CID에 대응한다. 제1 단말(1202)은 제1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되고, 제2 단말(1204)은 제2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1 단말(1202)은 접속이 여전히 활성인지를 알기 위해 제2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를 모니터링한다. 제2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예를 들어, 충분한 신호 강도로 수신되면, 제1 단말은 접속이 활성이라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1 단말(1202)은 접속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 일례에서, 제1 단말(1202)은 이러한 결론을 내리기 전에 제2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의 부존재의 몇몇 발생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어 제1 무선 단말(WT A(1202))은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1226)할 수도 있다. 이어 제1 단말(WT A(1202))은 CID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1228)할 수도 있다.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탐색되지 않으면, 제1 단말(WT A(1202))은 제2 단말(WT B(1230))과의 접속을 중단할 수도 있으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계속 전송하는 것을 금지한다.
도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접속 식별자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해 선택된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시간 간격에서 다수의 심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는 단독으로 또는 제2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간격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다수의 심벌들로부터 제1 심벌을 선택(1301)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는 단독으로 또는 제2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심벌들로부터 제2 심벌을 선택(1302)할 수도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1304)한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1306)될 수도 있다.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수신(1308)되지 않으면, 제2 디바이스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1310)된다. 결론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중단(1312)하고,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금지(1314)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수신(1308)되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와 관련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트래픽 신호를 전송/수신(1316)할 수도 있다.
선택된 제1 및 제2 심벌들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심벌들의 선택은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연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수의 심벌들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는 OFDM 심벌일 수도 있으며,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선택된 제1 심벌의 다수의 톤들 중 하나에서 전송되며,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선택된 제2 심벌의 다수의 톤들 중 하나에서 수신된다. 선택된 OFDM 심벌과 제1 및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의 톤의 결합들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은 선택된 OFDM 심벌 및 톤의 상이한 결합에 대응한다. 선택된 제1 및 제2 OFDM 심벌들은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벌일 수도 있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OFDM 심벌들의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서브세트를 포함하며, 제1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전송되는 선택된 제1 OFDM 심벌은 제1 서브세트에 속하며, 제2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수신되는 선택된 제2 OFDM 심벌은 제2 서브세트에 속한다. 제1 및 제2 서브세트들의 일부는 임의의 접속 식별자에 독립적일 수도 있다.
도14는 단말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 내에서 직교 전송 CID들의 다른 사용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구축 시, 제1 단말(WT A(1402)) 및 제2 단말(WT B(1404))은 도6, 7 및 8에 설명된 바와 같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사용할 수도 있다. CID 브로드캐스트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서 다수의 심벌들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심벌은 전송 CID 또는 접속 식별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CID는 제1 단말(1402)과 제2 단말(1404) 사이의 접속과 관련된다.
접속 식별자는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1408)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제1 디바이스(WT A(1402))에 의해 선택된다. 제1 디바이스(WT A(1402))는 선택된 접속 식별자(1410)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WT B(1404))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단말(1402)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단말(1402)은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이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제1 단말(1402)은 예를 들어, CID에 대응하는 CID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특정 CID가 이용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도7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단말(1404)은 또한 CID 브로드캐스트 기간의 자신 고유의 측정에 기초하여 사용되지 않는 CID들의 리스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단말로부터 선택된 접속 식별자들의 프로세싱된 리스트를 수신 시, 제1 및 제2 단말들 모두의 관점에서 이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CID가 선택될 수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2 디바이스(WT B(1404))는 제1 단말로부터의 리스트를 자신 고유의 리스트와 비교할 수도 있다. 만일 그렇다면, 제2 단말(WT B(1404))은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선택된 CID를 포함하도록 제1 단말(WT A(1402))에 응답한다.
두 디바이스들이 접속 및 관련 CID를 설정한 후, 이들은 추가로 제어 및 데이터 트래픽을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WT A(1402))는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WT B(1404))에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1414)한다.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 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WT A(1402))는 도16의 리소스 A(1610)에서 (접속 식별자와 관련된) 선택된 심벌/톤 결합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WT A(1402))는 또한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1416)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을 모니터링한다.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WT A(1402))는 도16의 리소스 B(1612)의 (접속 식별자와 관련된) 선택된 심벌/톤 결합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전송 요청을 수신 시, 제2 디바이스(WT B(1404))는 제2 전송 리소스(1418)를 이용하여 요청 응답 신호를 제1 디바이스(WT A(1402))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WT B(1404))는 도16의 리소스 B(1612)의 (접속 식별자와 관련된) 선택된 심벌/톤 결합을 통해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WT A(1402))가 요청 응답(1418)을 수신하면, 제1 디바이스는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1420)에 대응하는(즉, 접속 식별자와 관련된)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WT B(1404))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1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고 사용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소스로부터 수신(1500)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이 동작하는 WAN은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이 확인될 수 있는 비컨들을 제공한다. 시간 카운터의 값은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트래픽 관리 채널에서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시간 카운터는 물론 제1 및 제2 단말들 간의 접속의 CID의 함수로서 결정(1502)될 수도 있다.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리소스 내의 특정 심벌/톤 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6의 리소스 A(1610) 및 리소스 B(1612) 모두에서의 톤/심벌(1614 및 1616)은 시간 카운터 및 CID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 또는 선택될 수도 있다.
접속 식별자는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선택(1504)된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전에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접속 식별자는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에만 선택된다.
접속 식별자가 부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또는 부존재)를 탐색할 수도 있으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접속 식별자에 대응한다.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가 탐색되면,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a)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b)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일 경우, 또는 (c)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와 다른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의 비가 제2 임계치 미만일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 각각은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의 OFDM 심벌 및 톤의 고유한 결합에 대응할 수도 있다. 시간 카운터의 주어진 값의 경우,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1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즉, 두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이 두 개별 전송 리소스 유닛들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다.
제어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 디바이스로 전송(1506)될 수도 있다. 일례에서, 제어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 접속을 구축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1 디바이스는 접속을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이용하도록 제안한다. 다른 예에서, 제어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 접속을 구축하는 것을 동의하고, 제1 디바이스가 접속을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접속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구축되고 CID가 선택된 후, CID는 두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 및 제어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한 트래픽 슬롯에서, 전송 요청 신호는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로 전송(1508)되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1510)되며, 제2 전송 리소스는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다.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는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1512)한다. 만일 그렇다면, 트래픽 데이터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의 제2 디바이스로 전송(1514)된다. 그렇지 않고, 어떠한 요청 응답 신호도 수신되지 않으면, 제1 디바이스는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이용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지 않는다(1516).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각각의 OFDM 심벌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의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이한 톤 및 OFDM 심벌 결합에 대응할 수도 있다.
직교 CID 들을 사용하는 트래픽 제어 채널의 설명
도16은 직교 CID들을 이용하는 트래픽 관리 채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디바이스(WT A(1602)) 및 제2 디바이스(WT B(1604))는 제1 CID와 관련된 피어-투-피어 접속을 구축하며, 제3 디바이스(WT C(1606)) 및 제4 디바이스(WT D(1608))는 제1 CID와 상이한 제2 CID와 관련된 다른 피어-투-피어 접속을 구축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래픽 슬롯은 트래픽 관리 채널 기간 및 트래픽 채널 기간을 포함한다. 특히, 트래픽 관리 채널 기간의 접속 스케줄링 부분은 두 접속들 간의 트래픽 간섭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 스케줄링 부분은 리소스 A(1610) 및 리소스 B(1612)를 포함한다. 리소스 A 및 B 각각에서, 다수의 심벌들이 존재하며, 각각의 심벌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한다. 리소스 A 및 B의 작은 박스 각각은 기본 전송 리소스 유닛을 나타내며, 이는 하나의 심벌, 예를 들어, OFDM 심벌에 대한 톤이다.
제1 CID의 접속은 두 리소스 A 및 B에서 예약된 전송 리소스 유닛을 갖는다. 두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WT A 와 WT B 사이의 접속의 제1 CID에 의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CID 접속은 두 리소스 A 및 B에서 예약된 전송 리소스를 갖는다. 두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WT C 와 WT D 간의 접속의 CID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CID들의 접속들은 상이한 예약된 전송 리소스 유닛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점에서, CID들은 서로 직교한다.
제1 디바이스(WT A(1602))는 제2 디바이스(WT B(1604)로 트래픽을 전송할 자신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예약된 전송 리소스 유닛(1614)을 이용하여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제2 디바이스(WT B(1604))는 트래픽을 수신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1 디바이스(WT A(1602))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한 자신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예약된 전송 리소스 유닛(1616)을 이용하여 요청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요청을 전송한 후, 제1 디바이스(WT A(1602))는 제2 디바이스(WT B(1604))가 요청 응답을 전송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한다. 만일 그렇다면, 제1 디바이스(WT A(1602))는 현재 트래픽 슬롯의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기간에서 트래픽을 계속 전송한다. 명백하게, 만일 두 접속들이 공교롭게도 동일한 CID를 사용하게 되면, 두 접속들의 단말들은 전송 리소스 유닛들이 자신들에 의해 배타적으로 예약된 것으로 믿는 경향이 있다. 이는 오동작을 초래할 것이다. 예를 들어, WT A(1602)가 예약된 전송 리소스 유닛을 이용하여 전송 요청을 전송한 후, WT B(1604) 및 WT D(1608) 모두는 요청 신호가 각각 WT A(1602) 및 WT D(1608)에 의해 전송된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이러한 혼동은 부정적인 시스템 동작들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CID 충돌을 회피 및 탐색하는 것은 중요하다.
간섭이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면, 디바이스는 자신의 피어-투-피어 접속에 사용하기 위해 상이한 전송 CID(리소스 A 및 리소스 B의 심벌/톤 결합)를 협상할 수도 있다.
P2P 접속에서 직교 전송 CID 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도17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직교 전송 CID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무선 단말의 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단말(1702)은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다른 무선 단말들(1720)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1702)은 피어 발견 간격(또는 다수의 피어 발견 간격들) 동안 피어 발견과 관련된 신호들의 인코딩, 전송, 수신, 평가를 실시할 수도 있는 피어 발견 발신기(17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피어 발견 발신기(1704)는 신호 생성기(1706) 및 피어 분석기(1708)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생성기(1708)는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또는 피어-투-피어 접속들(1710)을 통해 다른 무선 단말들(1720)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무선 단말들은 무선 단말(1702)을 탐색 및 식별하기 위해 신호를 평가할 수도 있다. 피어 분석기(1708)는 다른 무선 단말(들)(1702)로부터 전송된 신호(들)를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을 탐색 및 식별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들)를 평가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1702)은 무선 단말(1702)과 다른 무선 단말들(1720) 사이의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동기 장치(1712)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동기 장치(1712)는 무선 단말(1702) 부근의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예를 들어, 공통 클록 기준(1714))로부터 자신의 타이밍을 획득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의 동기 장치들은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정보(기준 클록(1714))로부터 자신들 각각의 타이밍을 획득할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단일 톤 비컨 신호, CDMA PN(의사 랜덤) 시퀀스 신호, 파일럿 신호 또는 다른 브로드캐스트 신호일 수도 있다. 동기 장치(1712)는 타이밍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획득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평가할 수도 있다. 설명의 예로써, 무선 단말(1702) 및 다른 무선 장치들(1720)은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동기화될 수도 있으며, 결국 시간의 공통적 이해를 갖는다. 시간의 공통 관념은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예를 들어, 피어 발견, 페이징 및 트래픽과 같은 기능들의 상이한 타입들을 위해 시간 라인을 개별 간격들로 분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타이밍 정보는 피어 발견 동안 전송을 위해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기(1706) 및/또는 피어 발견을 위해 수신된 신호들을 평가하기 위한 피어 분석기(1708)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동기 장치(1712)는 다양한 기능들(예를 들어, 피어 발견, 페이징, 트래픽)의 성능을 조정하고,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다른 무선 단말들(1720)과 일치하는 시간의 의미있는 관념(예를 들어, 시간 카운터)을 결정하기 위해 공통 클록 기준(1714)을 획득 및 분석한다. 따라서, 피어들은 서로 직접 통신하지 않고 동일한 타이밍(동기화된 타이밍)을 획득한다.
무선 단말(1702)은 고유한 식별자(WT ID)와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702)은 무선 단말(1702)에 대응하는 고유한 식별자(WT ID)를 보유하는 메모리(17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무선 단말(1702)이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원격 단말(1702)에 대해 로컬 및/또는 원격)로부터 자신의 고유한 식별자(WT ID)를 유도, 획득 등을 할 수도 있음이 관찰된다. 부가적으로, 메모리(1716)는 무선 단말(1702)과 관련된 임의의 추가 타입의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보유할 수도 있다. 더욱이, 무선 단말(1702)은 설명된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생성기(1706)는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무선 단말들(1720)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신호 생성기(1706)는 무선 단말(1702)의 고유한 식별자(WT ID)의 함수로서 피어 발견 간격에서 신호를 인코딩 및/또는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에 따르면, 신호 생성기(1706)에 의해 생성된 신호는 전력 효율성을 제공할 수도 있는 단일 톤 비컨 신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신호 생성기(1706)는 피어 발견 간격 내에서 선택된 OFDM 심벌에 대해 특정 톤의 전송을 실시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비컨 신호가 (예를 들어, 다수의 OFDM 심벌들에서) 전송될 수도 있음이 관찰된다. 예를 들어, 전송된 신호가 비컨 신호인 경우, (예를 들어, 피어 발견 간격 내에서) 선택된 심벌 시간 위치 및/또는 톤 위치는 무선 단말(1702)의 고유한 식별자(WT ID) 및 현재 피어 발견 간격을 식별하는 시간 변수(예를 들어, 동기 장치(1712), 시간 카운터에 의해 획득된 타이밍 정보)의 해쉬 함수에 의해 유도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단말(1702) 및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은 (예를 들어, 지리적 영역에서 이용가능한 기반 구조 통신 채널에 대한 청취에 의해 획득된 동기화로 인해) 시간 변수의 공통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1702)과 관련된 식별자(WT ID)는 신호 생성기(1706) (및/또는 피어 발견 발신기(1704))에 의해 피어(들)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신호를 획득한 피어(들)는 무선 단말(1702)을 탐색 및/또는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기(1706)에 의해 생성된 신호는 기지국 브로드캐스트 신호(예를 들어, 공통 클록 기준)에 의해 공급된 현재 카운터 값 및 입력이 무선 단말(1702)의 플레인-텍스트 명칭(예를 들어, WT ID)인 M-비트 해쉬 함수의 출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 값은 현재 피어 발견 간격 동안 일정할 수도 있으며, 모든 피어들에 의해 디코딩 가능할 수도 있다. 카운터 값은 하나의 피어 발견 간격에서 다른 피어 발견 간격으로 변화(예를 들어, 모듈로 면에서 증가)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해쉬 함수는 선험적으로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고 피어들에 공지될 수도 있다.
예로써, 무선 단말(1702)은 다른 무선 단말(WT A, WT B 및 WT n (1720))을 포함하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동기 장치(1712)는 (예를 들어, 수신된 공통 클록 기준에 기초하여) 피어-투-피어 통신들과 관련된 타이밍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피어 발견을 위해 분할된 시간에서, 신호 생성기(1706)는 (예를 들어, 발신 무선 단말(1702)의 식별자(CID) 및/또는 현재 시간을 기초로 생성된) 신호를 범위 내의 다른 무선 단말들(예를 들어, 다른 무선 단말들(1720))로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신호는 무선 단말(1702)을 탐색하고, 그리고/또는 무선 단말(1702)의 식별을 결정하기 위해 다른 무선 단말(1720)에 의해 수신 및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피어 분석기(1708)는 다른 무선 단말들(17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피어 분석기(1708)는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을 탐색 및/또는 식별하기 위해 획득된 신호를 평가할 수도 있다.
피어 발견 발신기(1704)에 의해 수행된 피어 발견은 수동적(passive)일 수도 있다. 또한, 피어 발견은 대칭적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무선 단말(202)은 다른 무선 단말들(WT A, WT B, 및 WT n)을 탐색 및 식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은 무선 단말(1702)을 탐색 및 식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무선 단말이 제2 무선 단말을 탐색 및 식별할 수도 있지만, 제2 무선 단말은 제1 무선 단말을 탐색 및 식별하지 못하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탐색 및 인증 시, 무선 단말(1702)과 다른 무선 단말(들)(1720) 사이의 추가의 통신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수행될 수도 있다.
피어 분석기(1702)는 현재 시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탐색되는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리스트는 모든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무선 단말(1702) 또는 무선 단말(1702)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미리 정의된 버디(buddy) 리스트에 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부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이 사라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들이 멀리 이동하기 때문에), 또는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이 출현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들이 근접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리스트는 변화한다. 피어 분석기(1708)는 새로운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을 리스트에 부가하고 사라진 다른 무선 단말들(1720)을 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 피어 분석기(1708)는 리스트를 수동적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제1 피어는 제2 피어의 존재를 탐색할 수도 있고, 제2 피어에게 통보하지 않고 자신의 리스트에 제2 피어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2 피어는 제1 피어가 이미 리스트에 제2 피어를 유지했는지를 모를 수도 있다. 대칭적으로, 무선 채널 및 간섭 조건에 의존하여, 제2 피어는 또한 제1 피어의 존재를 탐색하고 제1 피어에게 통보하지 않고 자신의 리스트에 제1 피어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피어가 제2 피어의 존재를 탐색한 후, 제1 피어가 제2 피어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을 아직 갖지 않더라도, 제1 피어가 제2 피어를 자신의 리스트에 이미 유지시켰음을 제2 피어가 알 수 있도록 제1 피어는 제2 피어에게 통보하기 위해 신호를 사전에 전송한다. 제1 피어는 신호를 전송할 지의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어는 미리 정의된 버디 리스트에 있는 다른 피어에게만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무선 단말(1702) 및 그 컴포넌트들은 도1-16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8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직교 전송 CID 선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무선 단말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무선 단말(1802)은 프로세싱 회로(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프로세서들), 피어-투-피어 통신 제어기(1812), 광역 네트워크(WAN) 제어기(1810) 및 안테나(1806)에 결합된 송수신기(18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1814)는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1802)은 WAN 통신 제어기(1810)를 이용하여 관리된 네트워크 기반 구조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또는 피어-투-피어 통신 제어기(1812)를 이용하여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실행할 때, 무선 단말(1802)은 도1-16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에 따르면, 피어-투-피어 환경에서 피어들의 발견 및 식별과 관련하여 간섭들이 생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듯이, “추론하다”또는 "추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캡처되는 것으로서 관측들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을 추리 또는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추론은 특정 정황(context) 또는 동작을 식별하는데 채택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태들에 걸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probabilistic)일 수 있다 -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초한 관심 있는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도 있다. 또한 추론은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의 상위-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는데 채택되는 기술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그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시간적으로 근접한 밀접성으로 상관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불문하고,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유래하든지 간에,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의 구성을 초래한다.
일례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피어 발견 신호들의 소스들을 식별하는데 관여하는 추론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탐색된 신호들과 관련된 에너지 레벨들 및/또는 예상된 신호 포맷에 부합하는 다수의 탐색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부근에 위치된 피어의 가능성 평가와 관련된 추론이 행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예들은 사실상 설명을 위한 것이며, 행해질 수 있는 추론의 수를 제한하거나 이러한 추론들이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방법들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방식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및/또는 18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은 단일 컴포넌트, 단계, 또는 기능으로 재배열 및/또는 결합되거나, 몇몇 컴포넌트들, 단계들 또는 기능들에서 실시된 기능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의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이 또한 부가될 수도 있다. 도1, 3, 17 및/또는 18에 설명된 장치, 디바이스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도2 및/또는 4-16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 특성들 또는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 또는 적용될 수도 있다. 설명된 알고리즘들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내장된 하드웨어에서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무선 단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 디바이스,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세부 사항들이 구성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회로들은 필수적이지 않은 세부 사항에서 구성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 블록도로 도시된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회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구성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하게 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들이 순서도, 흐름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 나타낸 프로세스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한다. 순서도는 순차적 프로세스로서 동작을 설명할 수 있지만, 많은 동작은 병렬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동작 순서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그 동작이 완료될 때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함수, 프로시저,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할 때, 그 종료는 호출 함수 또는 메인 함수로의 해당 함수 리턴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예들 및/또는 구성들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별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별한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구성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성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될 때, 필요한 태스크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저장소(들)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필수적인 태스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기능,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의 임의의 결합,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선언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들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들에 의해 전달, 통보,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설명된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이 상이한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마이크로폰 커버 탐색기는 개별 회로들 또는 모듈들 상에서 단일 회로 또는 모듈에서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거나, 기계 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에 의해 실행되거나, 및/또는 휴대용 장치, 모바일 컴퓨터, 및/또는 모바일 폰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은 단지 예일 뿐이며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성들의 기재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교지는 다른 타입의 장치들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많은 대안, 변경 및 변화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0)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및
    상기 요청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되면,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시간 카운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은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또한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카운터의 주어진 값에 대해,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1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하며,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하며, 상기 OFDM 심벌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상이한 톤 및 OFDM 심벌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톤 및 OFDM 심벌의 고유한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를 탐색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상기 접속 식별자에 대응함― ; 및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가 탐색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거나,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와, 다른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의 비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이며,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구축할 예정인 것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과 관련된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며,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 구축에 동의한다는 것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과 관련된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 신호는 다수의 다른 피어-투-피어 접속들과 공유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통해 전송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1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피어-투-피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통한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그리고
    상기 요청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되면,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은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또한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카운터의 주어진 값에 대해,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1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하며, 상이한 접속 식별자들에 의해 결정된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서로 직교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하며, 상기 OFDM 심벌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상이한 톤 및 OFDM 심벌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톤 및 OFDM 심벌의 고유한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를 탐색하고 ―여기서,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상기 접속 식별자에 대응함― ; 그리고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가 탐색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거나,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와, 다른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의 비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이며,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구축할 예정인 것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과 관련된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이며,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며,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 구축에 동의한다는 것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과 관련된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로서,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및
    상기 요청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되면,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시간 카운터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은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또한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하며, 상기 OFDM 심벌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상이한 톤 및 OFDM 심벌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톤 및 OFDM 심벌의 고유한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의 결정은,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에서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를 탐색하기 위한 수단 ―여기서,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상기 접속 식별자에 대응함― ; 및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존재가 탐색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거나, 상기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와, 다른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신호 강도의 비가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접속 식별자는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인,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34.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제1 디바이스에서 동작하고, 상기 회로는,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그리고
    상기 요청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되면,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적응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회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며,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은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또한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회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하며, 상기 OFDM 심벌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회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이한 접속 식별자는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 중 하나로서 사용될 상이한 톤 및 OFDM 심벌 결합에 대응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회로.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접속 식별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접속 식별자가 인근의 다른 접속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한 회로.
  39. 제1 디바이스가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선택 및 사용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다수의 접속 식별자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로부터 상기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게 하고;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은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요청 응답 신호가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을 모니터링하게 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 내의 심벌들의 서브세트에서의 톤들의 서브세트이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유닛은 상기 접속 식별자의 함수로서 결정됨― ; 그리고
    상기 요청 응답 신호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되면,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 슬롯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0. 제39항에 있어서,
    공통 네트워크 타이밍 리소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을 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은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은 또한 상기 시간 카운터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되며,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하며, 상기 OFDM 심벌 각각은 다수의 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리소스 유닛들 각각은 상기 트래픽 관리 채널 슬롯에서 다수의 심벌들 중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07003071A 2007-07-10 2008-07-02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cid)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00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888207P 2007-07-10 2007-07-10
US60/948,882 2007-07-10
US12/146,972 2008-06-26
US12/146,972 US8340044B2 (en) 2007-07-10 2008-06-26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networks
PCT/US2008/069060 WO2009009384A1 (en) 2007-07-10 2008-07-02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225A true KR20100043225A (ko) 2010-04-28
KR101100543B1 KR101100543B1 (ko) 2011-12-29

Family

ID=3994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071A KR101100543B1 (ko) 2007-07-10 2008-07-02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cid)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40044B2 (ko)
EP (1) EP2165478B1 (ko)
JP (1) JP5139525B2 (ko)
KR (1) KR101100543B1 (ko)
CN (1) CN101690042B (ko)
AT (1) ATE537679T1 (ko)
ES (1) ES2378913T3 (ko)
TW (1) TW200915759A (ko)
WO (1) WO2009009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0972B2 (en) * 2007-07-10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networks
US8526442B2 (en) * 2008-03-13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multiple connection identifiers based on traffic requirements
US9084231B2 (en) * 2008-03-13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using multiple connection identifiers
US7986698B2 (en) * 2008-03-13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connection identifiers having different priorities at different times
US20110211455A1 (en) * 2008-08-29 2011-09-01 Ken Nakaoka Report method and access control device and radio device using the method
US8995356B2 (en) 2009-10-14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 channels
US8305271B2 (en) * 2010-03-17 2012-11-06 Microsoft Corporation Cuckoo hashing to store beacon reference data
US8620986B2 (en) * 2010-03-24 2013-12-31 Blackberry Limited Peer-to-peer network connectivity status
US8493922B2 (en) * 2010-07-08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in wireless peer-to-peer networks
US10098154B2 (en) * 2010-07-08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solution of resource collision in a peer-to-peer network
US9084232B2 (en) 2010-12-10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resource collision in wireless peer-to-peer communication networks
US8812008B2 (en) 2011-03-28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esources to schedule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WWAN
US9842498B2 (en) * 2011-07-05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Road-traffic-based group, identifier, and resource selection in vehicular peer-to-peer networks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JP5945910B2 (ja) 2012-01-31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5899971B2 (ja) * 2012-01-31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WO2013141483A1 (en) * 2012-03-22 2013-09-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6122B2 (en) * 2012-07-13 2016-1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for uniquely identifying communication links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N103002594B (zh) * 2012-12-05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直接通信信道建立方法、装置及系统
US8959152B2 (en) * 2012-12-13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Peer-to-peer communication to increase download throughput
US9832655B2 (en) * 2013-05-10 2017-11-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 mechanism using co-primary spectrum sharing
CN104796881B (zh) * 2014-01-16 2019-01-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09618415B (zh) * 2014-01-16 2021-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d2d通信方法及设备
WO2015161475A1 (en) * 2014-04-24 2015-10-29 Intel IP Corporation Connection identifier for high-efficiency wireless networks
JP6544468B2 (ja) * 2018-07-25 2019-07-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393B1 (en) * 2002-03-11 2007-0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access in a multicarrier modulation network
US7013158B1 (en) * 2002-11-25 2006-03-1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brokering frequencies to facilitate peer-to-peer communication
US7577150B2 (en) 2003-11-12 2009-08-18 Avaya, Inc. Peer discovery
US7342895B2 (en) * 2004-01-30 2008-03-11 Mark Serpa Method and system for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communication spectrum
US20060013160A1 (en) 2004-07-19 2006-01-19 Haartsen Jacobus C Peer connectivity in ad-hoc communications systems
US8983468B2 (en) 2005-12-22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ing physical attachment point identifiers
US7869378B2 (en) 2005-09-26 2011-0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slot allocation schedule information amongst nodes of a wireless mesh network
US7653087B2 (en) * 2006-01-06 2010-01-26 Fujitsu Limited Methods of synchronizing subscriber stations to communications networks
US8498237B2 (en) 2006-01-1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evice capability and/or setup information
US7817609B2 (en) 2006-03-27 2010-10-19 Ka Lun Eddie Law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US8238836B2 (en) 2007-07-09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sending small packets in a peer-to-peer (P2P) network
US8134931B2 (en) 2007-07-10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networks
US8570972B2 (en) 2007-07-10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90042B (zh) 2012-08-22
EP2165478A1 (en) 2010-03-24
ES2378913T3 (es) 2012-04-19
ATE537679T1 (de) 2011-12-15
JP2010533435A (ja) 2010-10-21
KR101100543B1 (ko) 2011-12-29
JP5139525B2 (ja) 2013-02-06
TW200915759A (en) 2009-04-01
CN101690042A (zh) 2010-03-31
US8340044B2 (en) 2012-12-25
US20090016219A1 (en) 2009-01-15
WO2009009384A1 (en) 2009-01-15
EP2165478B1 (en)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500B1 (ko)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00543B1 (ko)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cid)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72958B1 (ko) 무선 네트워크들을 위한 직교 접속 식별자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5096575B2 (ja) ピアツーピア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ハイブリッド接続識別(id)を発生させて維持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818949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non-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peer-to-peer networks
KR101120281B1 (ko) 일대일, 다대일, 및 일대다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채널 설계
KR101059605B1 (ko) 일대일, 다대일, 및 일대다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채널 설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