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785A -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785A
KR20100042785A KR1020080101931A KR20080101931A KR20100042785A KR 20100042785 A KR20100042785 A KR 20100042785A KR 1020080101931 A KR1020080101931 A KR 1020080101931A KR 20080101931 A KR20080101931 A KR 20080101931A KR 20100042785 A KR20100042785 A KR 20100042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ultraviolet
antibiotic
wastewater
antibiotics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349B1 (ko
Inventor
김태훈
윤성환
유승호
이면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3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생제가 함유된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환경 오염처리 부산물에 진공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은 항생제가 가지고 있는 독성뿐 아니라 생물체에 유발되는 내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난분해성 유기독성물질로 알려진 항생제를 진공자외선 조사 기술을 이용하여 분해시킴으로써 하폐수, 제약폐수, 산업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축산분뇨, 인분, 하폐수 슬러지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및 사료화 과정에서 생물학적 부숙을 가능하게 한다.
진공자외선, 항생제, 항균제, 항생제 분해

Description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Method of decomposing antibacterial agents by vacuum ultraviolet}
본 발명은 자연생태계 및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항생제를 진공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분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항생제는 인체에 투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축 사료 등에 포함되어 다량이 공급되고 있어서, 항생제가 함유된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인분, 가축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들이 자연 생태계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으며, 특히 노출된 항생제에 의해서 유발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각종 미생물에 전이가 되어 결과적으로 인간에게 치명적인 위협이 되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자연생태계에 최종 배출되는 항생제는 국내외에서 방류수 기준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바, 그 제거 기술의 개발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며, 또한 항생제 등은 그 화학적 구조가 안정하여 분해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해한다 하여도 각종 독성 물질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분해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특정 항생제 처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국외에서도 자연생태계에 잔류하는 항생제를 측정하고 기존 하수처리장의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적인 광화학반응을 연구하는 정도이며, 특히 인분, 가축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은 퇴비화 및 사료화 과정에서 항생제의 독성으로 인하여 생물학적 부숙이 어렵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종래 항생제 또는 항균제 분해방법에 있어서는 일본공개공보 제2004-74119호에서 의약품 및 의약외품에 오염된 물에 방사선을 오존의 존재하에 직접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을 분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방법은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한 라디칼이 항균제를 무해한 화합물로 분해하기 보다는 라디칼이 화학결합을 촉진하여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량의 폴리머를 형성하는 반응이 더 우세하게 진행되는 단점이 있어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01113호에서는 항균제가 함유된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에 N2O를 첨가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항균제를 분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방사선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차폐를 해야 하는데, 이때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들며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연생태계 및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 중에 존재하 는 항생제를 용이하게 분해시킬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연구하던 중, 진공자외선 조사를 이용할 때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자외선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에 잔류하거나 기존의 환경처리기술 적용 후 존재할 수 있는 항생제를 분해 및 무기화(無機化, mineralization) 시키거나 독성을 제거하여 기존 하폐수 처리 시설의 생물학적 분해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항생제를 분해함으로써 하폐수, 제약폐수 및 여타 산업폐수의 생물학적 분해공정과, 축산분뇨, 인분, 하폐수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및 사료화 과정에서 생물학적 부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의해 처리된 퇴비 및 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생제가 함유된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인분, 가축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에 진공자외선(VUV)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인분, 가축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생물학적 처리에 의하여 퇴비화 및 사료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의해 처리된 퇴비 및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은 항생제가 가지고 있는 독성뿐 아니라 생물체에 유발되는 내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난분해성 유기독성물질로 알려진 항생제를 진공자외선 조사 기술을 이용하여 분해시킴으로써 하폐수, 제약폐수, 산업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축산분뇨, 인분, 하폐수 슬러지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및 사료화 과정에서 생물학적 부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연생태계 및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항생제를 진공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로는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환경오염 물질 처리 부산물 내에 포함된 항생제는 진공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분해 및 무기화(mineralization) 되거나 독성이 제거되어 생물학적 분해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진공자외선은 200 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200 nm의 파장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서 UV-A, UV-B, UV-C 및 진공자외선(VUV)로 나눌 수 있다. UV-A는 일반적으로 320~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말하며, 실내에서 선태닝을 하거나 푸른 조명을 할 때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TiO2 등의 광촉매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광촉매를 이용한 수처리, 대기처리에 사용되고 있다. UV-B는 일반적으로 280~32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며, 비타민 D를 형성하거나 피부에 홍반작용을 일으키는 자외선이다. UV-C는 일반적으로 200~280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서 살균자외선이라고도 하며, DNA, 단백질 및 오존이 잘 흡수하는 파장이다. 따라서 오존을 잘 분해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오존파괴용 및 소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진공자외선은 100~200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서 공기에 의해 세게 흡수되기 때문에 진공 속에서만 취급할 수가 있어서 진공자외선이라 한다. 상기 진공자외선은 공기뿐만 아니라 거의 물질에 의해 강하게 흡수되어 물질 속의 전자를 들뜨게 하거나 물질에서 전자를 방출시키기도 한다. 진공자외선을 수용액에 조사하였을 때 직접적인 광산화 반응과 반응식 (1) 및 (2)와 같이 간접적인 수화학적 분해에 의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 수소 원자, 수화전자 등의 이온성 물질이 생성 되게 되며, 상기 이온성 물질 가운데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처리대상 물질을 무기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H2O(l) + hv(VUV) → [e-, H2O+] + (H2O)
(2) [e-, H2O+] + (H2O) → eeq - + HO· + H3O+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 시간은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의 환경오염처리 부산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항생제의 함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항생제 농도가 낮고 조사선량을 스케일-업(scale-up)시키면 진공자외선에서 생성되는 에너지가 커지므로 5분 이내에서도 항생제의 분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공자외선은 수은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에 있어서, 분해되는 항생제는 가축에 가장 많이 쓰이는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사람 및 가축에 많이 쓰이는 설파제 계열, 세팔로스포린 계열, 클로람페니콜 계열, 마크로라이드 계열 또는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계열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설파메톡사졸, 트리메소프림, 린코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항생제의 농도는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방법은 종래 방사선 이용에 필요한 차폐의 번거로움이 없고,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비용도 경제적이고 항생제 분해율도 우수하므로(표 1~3, 도 1~2 참조), 방사선을 대신하여 하폐수 슬러지, 인분,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의 환경오염 물질 처리 부산물 내에 포함된 항생제를 효과적으로 분해시켜 생물학적 부숙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을 상기 진공방사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생물학적 처리에 의하여 퇴비화 및 사료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오염물질 처리 부산물을 상기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생물학적 처리함으로써 제조된 퇴비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의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 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 분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과 가축에 많이 투여되는 항생제인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chlortetracycline), 설파메톡사졸(sulfamethoxazole) 또는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을 30 mg/L 농도의 수용액으로 제조한 후 상기 수용액에 진공자외선(파장: 185 nm + 254 nm)을 5분, 10분, 15분, 20분, 30분, 50분, 70분, 90분 및 120분 동안 조사하여 항생제 분해율 변화를 수용액 중 항생제 농도(mg/L)의 변화량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간 (분)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설파메톡사졸 트리메소프림
농도(mg/L) C/C0 농도(mg/L) C/C0 농도(mg/L) C/C0
0 34.43 1 32.39 1 33.33 1
5 16.69 0.48 2.58 0.07 32.92 0.98
10 12.51 0.36 0.09 0.003 31.30 0.93
15 9.65 0.28 0.00 0.00 31.79 0.95
20 7.44 0.21 0.00 0.00 30.53 0.91
30 3.25 0.09 0.00 0.00 27.90 0.83
50 0.82 0.02 0.00 0.00 21.38 0.64
70 0.00 0.00 0.00 0.00 14.94 0.44
90 0.00 0.00 0.00 0.00 9.37 0.28
120 0.00 0.00 0.00 0.00 4.17 0.12
C: 조사후 농도 C0: 조사전 농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의 경우 5분 동안 진공자외선을 조사하였을 경우 50% 이상이 제거되고, 설파메톡사졸은 90% 이상이 제거되며, 70분 후에는 두 물질 모두 완전하게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트리메소프림은 70분 후에 50% 이상 분해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진공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하폐수 내의 항생제를 유의하게 분해시킬 수 있다.
< 실시예 2> 자외선 종류에 따른 항생제 분해효율
자외선 종류에 따른 항생제 분해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생제인 린코마이신(lincomycin) 또는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약 30 mg/L 농도의 수용액으로 제조한 후 상기 수용액에 진공자외선(파장: 185 nm + 254 nm) 또는 살균자외선(UV-C)(파장: 254 nm)을 1~60분 동안 조사하여 항생제 분해율 변화를 수용액 중 항생제 농도(mg/L)의 변화량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3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 및 도 1은 진공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항생제의 분해율 변화를 나타내며, 표 3 및 도 2는 살균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항생제의 분해율 변화를 나타낸다.
진공자외선( VUV ) 조사시
시간 (분) 린코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농도(mg/L) C/C0 농도(mg/L) C/C0
0 30.61 1.00 24.89 1.00
1 29.07 0.95 23.50 0.94
2 27.74 0.91 22.33 0.90
3 25.52 0.83 21.34 0.86
4 24.49 0.80 20.21 0.81
5 23.01 0.75 19.43 0.78
10 17.5 0.57 15.16 0.61
20 9.00 0.29 8.70 0.35
30 3.86 0.13 4.66 0.19
40 1.20 0.04 2.27 0.09
50 0.00 0.00 0.97 0.04
60 0.00 0.00 0.35 0.01
C: 조사후 농도 C0: 조사전 농도
살균자외선( UV -C) 조사시
시간 (분) 린코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농도(mg/L) C/C0 농도(mg/L) C/C0
0 30.15 1.00 27.67 1.00
1 29.96 0.99 27.02 0.98
2 29.89 0.99 26.74 0.97
3 29.61 0.98 25.89 0.94
4 29.34 0.97 24.95 0.90
5 29.44 0.98 25.21 0.91
10 29.52 0.98 25.24 0.91
20 29.36 0.97 23.35 0.84
30 29.13 0.97 23.46 0.85
40 28.88 0.96 20.19 0.73
50 28.79 0.95 18.18 0.66
60 28.53 0.95 16.58 0.60
C: 조사후 농도 C0: 조사전 농도
표 2~3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에는 항생제가 분해되어 항생제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살균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에는 항생제의 분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분해방법은 진공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하폐수 내의 항생제를 유의하게 분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자외선(VUV)을 이용한 항생제 분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자외선(UV-C)을 이용한 항생제 분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8)

  1. 항생제가 함유된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환경 오염처리 부산물에 200 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진공자외선(VUV)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자외선의 파장은 100~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자외선은 수은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설파제 계열, 세팔로스포린 계열, 클로람페니콜 계열, 마크로라이드 계열 또는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설파메톡사졸, 트리메소프림,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린코마이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의 농도는 100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7. 항생제가 함유된 하폐수, 하폐수 슬러지, 제약 폐수, 산업 폐수, 인분, 가축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환경 오염처리 부산물을 제1항에 따른 항생제의 분해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생물학적 처리에 의하여 퇴비화 및 사료화하는 방법.
  8. 제7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퇴비 또는 사료.
KR1020080101931A 2008-10-17 2008-10-17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KR10110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31A KR101105349B1 (ko) 2008-10-17 2008-10-17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931A KR101105349B1 (ko) 2008-10-17 2008-10-17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785A true KR20100042785A (ko) 2010-04-27
KR101105349B1 KR101105349B1 (ko) 2012-01-16

Family

ID=4221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931A KR101105349B1 (ko) 2008-10-17 2008-10-17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34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6761A (zh) * 2013-03-22 2013-06-12 华北制药集团环境保护研究所 头孢菌素菌渣的处理方法
CN104628199A (zh) * 2015-01-15 2015-05-20 珠海保税区丽珠合成制药有限公司 一种头孢合成制药生产废水的处理方法
CN104628234A (zh) * 2015-02-03 2015-05-20 同济大学 用于削减污泥厌氧处理过程中抗性基因释放的方法
KR101630824B1 (ko) * 2015-10-01 2016-06-15 안봉희 농축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합 퇴비의 제조방법
CN106220257A (zh) * 2016-07-21 2016-12-1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基于降低有机肥中磺胺耐药菌及其耐药基因污染的畜禽粪便堆肥工艺
CN110790434A (zh) * 2019-12-02 2020-02-14 中国有色桂林矿产地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时降低选矿回用尾矿废水中铜离子、锌离子、铅离子浓度的方法
CN112694357A (zh) * 2021-01-26 2021-04-2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基于紫外光降解抗生素的高效堆肥发酵装置
KR20210090758A (ko) 2020-01-10 2021-07-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b-aop 연계공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116534951A (zh) * 2023-05-11 2023-08-04 清华大学 一种去除水中抗生素抗性菌和/或抗性基因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86B1 (ko) 2019-11-11 2021-12-30 (주) 산해 폐수 내의 항생제 처리가 강화된 정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389A (ko) * 2000-07-05 2000-11-06 김용성 고농도 유기 물질 폐수 처리를 주제로 한 비료 및 사료의제조 방법과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6761A (zh) * 2013-03-22 2013-06-12 华北制药集团环境保护研究所 头孢菌素菌渣的处理方法
CN104628199A (zh) * 2015-01-15 2015-05-20 珠海保税区丽珠合成制药有限公司 一种头孢合成制药生产废水的处理方法
CN104628234A (zh) * 2015-02-03 2015-05-20 同济大学 用于削减污泥厌氧处理过程中抗性基因释放的方法
KR101630824B1 (ko) * 2015-10-01 2016-06-15 안봉희 농축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합 퇴비의 제조방법
CN106220257A (zh) * 2016-07-21 2016-12-1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基于降低有机肥中磺胺耐药菌及其耐药基因污染的畜禽粪便堆肥工艺
CN110790434A (zh) * 2019-12-02 2020-02-14 中国有色桂林矿产地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时降低选矿回用尾矿废水中铜离子、锌离子、铅离子浓度的方法
CN110790434B (zh) * 2019-12-02 2021-12-31 中国有色桂林矿产地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时降低选矿回用尾矿废水中铜离子、锌离子、铅离子浓度的方法
KR20210090758A (ko) 2020-01-10 2021-07-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b-aop 연계공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112694357A (zh) * 2021-01-26 2021-04-2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基于紫外光降解抗生素的高效堆肥发酵装置
CN116534951A (zh) * 2023-05-11 2023-08-04 清华大学 一种去除水中抗生素抗性菌和/或抗性基因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349B1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349B1 (ko)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항생제의 분해방법
Li et al. Photolytic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etracycline: Effect of humic acid on degradation kinetics and mechanisms
Kurt et al. Treatment of antibiotics in wastewater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Serpone et al. Light-driven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in the disposal of emerging pharmaceutical contaminants in aqueous media: A brief review
López‐Peñalver et al. Photodegradation of tetracyclines in aqueous solution by using UV and UV/H2O2 oxidation processes
Elmolla et al. The feasibility of using combined TiO2 photocatalysis-SBR process for antibiotic wastewater treatment
Hapeshi et al. Drugs degrading photocatalytically: kinetics and mechanisms of ofloxacin and atenolol removal on titania suspensions
US7462288B2 (en) Ozone/UV combination for the decomposition of endocrine substances
Sánchez-Polo et al. Gamma irradiation of pharmaceutical compounds, nitroimidazoles, as a new alternative for water treatment
Ghazal et al. Insights into current physical, chemical and hybrid technologies use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minated with pharmaceuticals
Mahdi et 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for treatment of antibiotics in wastewater: a review
CN102357256A (zh) 一种双波段光催化剂氧化钛触媒净化模块
CN112142182A (zh) 紫外/过氧乙酸对村镇污水中难降解抗生素的去除及应用
WO2011053034A2 (ko) 생물 활성탄과 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및 정수 방법
CN104245598A (zh) 水处理
Taie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ultraviolet/zinc oxide (UV/ZnO) and ozone/zinc oxide (O3/ZnO) techniques as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in the removal of trimethoprim from aqueous solutions
JPH10156349A (ja) 空気及び水の殺菌・脱臭・浄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Madureira et al. Ionizing radiation for treatment of pharmaceutical compounds: a review
KR100601113B1 (ko) 방사선을 이용한 항균제의 분해방법
CN111056701A (zh) 用于病死畜禽无害处理的废水复合消毒工艺
CN105836841A (zh) 一种废水处理装置
CN202136609U (zh) 一种双波段光催化剂氧化钛触媒净化模块
CN105271604A (zh) 一种去除水体中PPCPs的方法
Khan et al. Photodegradation of real pharmaceutical wastewater with titanium dioxide, zinc oxide, and hydrogen peroxide during UV
CN113060879A (zh) 基于紫外/二氧化氯去除水中氟喹诺酮类抗生素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19

Effective date: 201112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