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402A -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 Google Patents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402A
KR20100042402A KR1020080101541A KR20080101541A KR20100042402A KR 20100042402 A KR20100042402 A KR 20100042402A KR 1020080101541 A KR1020080101541 A KR 1020080101541A KR 20080101541 A KR20080101541 A KR 20080101541A KR 20100042402 A KR20100042402 A KR 20100042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curved
main body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047B1 (ko
Inventor
최정회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전장치의 도어의 일부를 곡면처리하여 도어 개폐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아울러 가전장치 자체에 대한 심미감을 제고할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그 전면일측에 형성되는 곡면부와;상기 곡면부 후방에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를 제공한다.
곡면부, 도어몸체부, 파지부, 핸들부

Description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An appliance comprising a door including a curved surface part}
본 발명은 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전장치의 도어 부분에 소정의 곡면부를 형성함으로써 도어 개방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아울러 가전장치 자체에 대한 심미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장치는 냉장고, 조리기기와 같은 생활에 필수적인 제품을 통칭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들 가전장치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보관공간이나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에는 소정의 핸들이 마련되어 핸들을 잡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도어의 핸들은 도어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점차 가전제품의 외관을 단순화 하여, 외부로 직접적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자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외관을 단순화 함으로써 제품자체에 대한 심미감을 고취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그 전면일측에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 후방에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를 커버하며 상기 곡면부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도어몸체부 및 상기 곡면부의 후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며 소정의 파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일측이 곡면처리된 곡면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면부에 대향되는 도어몸체부의 측단부에는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전면에서 상기 핸들부의 일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의 폭은 상기 커버부재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곡면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의 후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안착부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내측은 소정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조리기기의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본체의 폭과 높이보다 넓고 높게 형성된 도어접촉부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접촉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접촉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부재 설치부와;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핸들부 일측에 설치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의 측단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2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부의 측단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의 상하면을 각각 커버하는 캡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목재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냉장고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와인냉장고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실내벽에 매립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고 그 전면의 단부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곡면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가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곡면부가 그 일측에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 후면과 상기 도어몸체부의 안착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곡면부 후방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상기 도어몸체부의 안착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파지부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은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형상은 상기 곡면부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몸체부와 상기 핸들부의 상하면을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의 파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전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가전제품을 개폐하는 도어에 마련된 핸들부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그 돌출정도를 최소화하되, 파지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200,300,400)과 소정의 수납장(100)이 혼재되어 배치되는 것을 보인것으로서, 상기 수납장(100)과 가전제품(200,300,400)들은 그 일부가 소정의 실내공간의 벽에 매립되는 붙박이 형태로 배치되거나, 혹은 외부로 돌출되어 실내공간의 일부를 점유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여기서, 도1에서 나타난 구성을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가면서 설명하기 로 하겠다.
우선, 가장 왼쪽에는 소정의 수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100)이 설치되고, 그 우측에는 와인과 같은 병음료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와인냉장고(300)가 배치된다. 상기 와인냉장고(300)의 우측에는 냉장고(200)가 배치되고, 수납장(100), 조리기기(400), 수납장(100)이 배치된다.
다만, 위와 같은 순서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이들이 설치되는 공간의 광협에 따라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각각의 수납장(100) 및 상기 와인냉장고(300), 냉장고(200), 조리기기(400)는 각각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1, 201,301)와, 그 수용공간을 개폐하여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0,210,310,4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소정의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의 후방에는 핸들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잡아당겨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냉장고(200)의 구성을 보면,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벽에 매립될 수 있는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210)가 마련된다.
도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양문형 냉장고의 경우 상기 제1도어(210a)와 제2도어(210b)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곡면부(221; 221a, 221b)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221)의 후방에는 상술한바와 같이 핸들부(230;230a, 230b)가 마련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제1도어(210a)의 곡면부(221a)와 제2도어(210b)의 곡면부(221b)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250)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250)는 도어(2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곡면부(230; 230a,230b)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에 대하여 약간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그 돌출되는 정도가 도어(210)의 측면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221)의 후방에 형성되는 핸들부(230)는 홈형태의 파지부(231)를 구비는데, 상기 파지부(231)의 전후폭은 상기 도어의 전체 두께 대비 절반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210a)에 형성된 파지부(231a)의 상기 제2도어(210b)에 형성된 파지부(231b)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혹은 어느 한쪽의 파지부가 다른 한쪽의 파지부보다 보다 깊게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4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221)와 상기 파지부(231)는 상기 도어(210)의 측부의 최상면과 최하면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231)의 깊이 및 전후 폭과 상기 곡면부(221)의 곡률은 상기 도어의 상부와 하부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210) 및 상기 도어(210)에 배치되는 핸들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10)는 도어몸체부(211)와,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220)의 측단부에는 상기 곡면부(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220)는 곡면 부(2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측이 곡면처리된 곡면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측단부에는 상기 핸들부(230)가 안착되도록 단차형태로 마련되는 안착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230)는 상기 곡면부(221)가 형성된 커버부재(220)의 후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232)와, 상기 안착부(2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23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파지부(231)는 상기 제1지지부(232)와 상기 제2지지부(233)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30)의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지지부(232)와 상기 제2지지부(233)의 일부가 상호 이격됨으로써 상기 파지부(231)가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부(230)는 그 가공의 용이성 및 심미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목재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31)은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20)와 상기 도어몸체부(211), 그리고 상기 핸들부(2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면과 하면에는 이들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링하는 캡부재(2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250)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부(230)의 파지부(231)의 평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즉, 소정의 홈(25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230)의 제1지지부(232)는 상기 곡면 부(221)의 후방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지지부(233)는 상기 안착부(212)에 부착되어 지지되는데, 상기 핸들부(230)의 지지상태를 더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230)에는 각각 제1,2지지리브(235,2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리브(235)는 상기 제1지지부(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220)의 곡면부(221)의 최외각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지지리브(236)는 상기 제2지지부(233)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측단부와 접촉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도어몸체부의 길이(L1)은 상기 커버부재(L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면에서 볼때, 상기 핸들부(230)의 일부가 전면에서 약간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관상 변화 및 미려함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250)와 , 곡면부(221)와 상기 핸들부(230)와 상기 도어몸체부(도6참조, 211)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해서 보면 , 상기 캡부재(250)가 상기 도어몸체부(211)와 상기 곡면부(221)와 상기 핸들부(230)의 상면과 하면을 덮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리브(235)는 상기 곡면부(221)의 측면을 덮고, 상기 제2지지리브(236)는 상기 도어몸체부(211)의 측면을 덮게 됨으로써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후 지지상태가 개선되고, 그 마감처리가 보다 깔끔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핸들부(230)를 구비하는 도어(210)가 상기 냉장고의 본체(2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면, 상기 본체(200)와 상기 도어(210)를 연결하는 힌지장치(260)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장치(260)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힌지삽입홈(261)에 그 일단부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힌지장치(260)의 타단부는 상기 도어(210)의 후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힌지삽입홈(262)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230)를 잡고 도어(2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때, 상기 힌지장치(260)가 상기 도어(210)와 상기 본체(2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장치(260)의 회동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인냉장고(300)의 본체(301) 및 이에 결합되는 도어(310)에 부착된 핸들부(330)의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냉장고는 소정의 저장실 및 선반이 구비되는 본체(301)와, 상기 본체(301)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3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도어(310)는 투명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31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곡면부(321) 및 상기 곡면부(321)의 후방에 배치되는 핸들부(330)가 배치된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330)에는 홈형태의 파지부(331)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31)에 손을 넣고 잡아당겨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1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321)의 구성은 상기 도어(310)의 전면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곡면부(321) 후방에 배치되는 핸들부(330)도 도어(310)의 상면에서 부터 하면까지 배치되고, 상기 도어(3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핸들부(310)의 파지부(331)가 상부와 하부로 개방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10)는 그 중앙부에 소정의 개방부(313)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 상기 핸들부(330)가 안착되는 안착부(312)를 구비한 도어 몸체부(311)와, 상기 도어몸체부(311)의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320)와, 상기 안착부(312)에 안착되며 상기 도어(310)의 상하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핸들부(330) 및, 상기 핸들부(330), 커버부재(320), 그리고 상기 도어 몸체부(310)의 상하면을 커버링하는 캡부재(3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313)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투시부재(325)가 마련되어 외부에서 상기 와인냉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투시부재(325)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도어몸체부(311) 부분 중 상기 핸들부(330)가 장착되는 상기 안착부(312)의 정반대측면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힌지축(미도시)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고정부(314)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고정부(314)의 배치를 위하여 상기 힌지고정부(314)의 주위에는 일정깊이만큼 단차진 형태가 마련된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330)는 상기 커버부재(320)의 곡면부(321)의 후방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332)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안착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333)와, 상기 제1지지부(332)와 상기 제2지지부 (333)사이에 마련되는 파지부(331)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332) 중 상기 곡면부(221)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상기 곡면부(221)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부(333) 중 상기 안착부(312)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단차져진 상기 안착부(3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지지부(332)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지지리브(335)가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부(333)의 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몸체부(311)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제2지지리브(336)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330)가 각각 상기 도어몸체부(311)와 상기 커버부재(320)에 설치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20)의 후방에는 상기 개방부(313)가 마련됨으로써 커버부재(320) 외측에 있는 사용자가 개방부(313)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모습을 볼수 있게 된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350)가 상기 도어의 상면에 놓이게 되면, 상기 도어몸체부(미도시)와, 상기 커버부재(320) 및 상기 핸들부(330)의 상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350)에는 상기 파지부(331)의 평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홈(351)이 형성되므로 상기 파지부(331)은 상기 홈(351)을 통하여 상기 도어의 상면 및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도15는 곡면부를 가진 도어가 구비되는 조리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기(400)는 소정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조리기기 본체(40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4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410)에는 상술한 와인냉장고나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곡면부(421)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도어 부분 중 상기 곡면부(421)가 형성되는 곳 후방에는 상기 도어(410)가 상기 본체(401)를 폐쇄하는 경우 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고정부재(480)와, 상기 고정부재(480)가 삽입되는 고정홈(481)이 마련된다.
도16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1)의 전방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도어(410)의 넓이와 높이에 상당하는 도어접촉부(40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도어접촉부(402)의 너비와 높이가 상기 본체(401)의 높이와 너비에 비하여 높고 넓게 형성된 이유는 상기 본체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선반(S) 등의 벽두께 등을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선반(S)에 본체(401)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접촉부(402)가 상기 선반(S)의 수납공간의 입구부 테두리에 걸리게 됨으로써 조리기기 본체(401)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반(S)의 입구부와 본체 사이의 갭이 외부에서 안보여지게 하므로 갭발생 부분이 발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접촉부(40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410)가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는 상기 곡면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곡면부(421)의 후방에는 핸들부(430)가 마련된다.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소정의 캡부재(450)가 마련되어, 후술할 도어몸체부(411), 커버부재(420) 및 핸들부(430)의 상면과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10)는 도어몸체부(411)와, 상기 도어몸체부(411)의 전방에 마련되는 커버부재(420)) 및 상기 도어몸체부(411)의 측면 및 상기 곡면부재(420)의 곡면부(421)의 후방에 부착되는 상기 핸들부(4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몸체부(401)의 일측면에는 상기 핸들부(430)가 안착되는 안착부(412)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412)에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480)가 마련되는 고정부재 설치부(483))가 마련된다.
핸들부(430)의 부분 중 상기 안착부(412)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곳은 상기 안착부(4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하의 수직면이 형성되며, 그 곳에는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4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소정의 설치홈(439)이 마련된다.
상기 핸들부(430)의 부분 중 상기 곡면부(421)와 접촉하여 설치되는 곳에는 상기 곡면부(4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곡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421)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곳을 제1지지부(432)라고 하고, 상기 안착부(412)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곳을 제2지지부(433)라고 하겠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432)와 상기 제2지지부(432)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단면을 보면, 단차진 형태가 마련되는데, 이것이 사용자가 핸들부(430)를 파지하여 도어(410)를 열게 할 수 있는 파지부(433)이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433)에 손을 댄 상태에서 앞으로 잡아당기면 도어를 보다 편리하게 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캡부재(450)가 상기 도어(41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캡부재(450)의 단부에도 상기 파지부(431)의 단면과 동일한 홈(451)이 형성된다.
도19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몸체부(도18참조, 411)와 상기 커버부재(420) 및 상기 핸들부(4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캡부재(451)가 상기 이들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링함으로써 상부와 하부의 마감을 깔끔하게 처리하는 한편, 이 구성요소들 사이에 소정의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20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480)는 후크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483)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81)가 삽입되는 고정홈(482)은 상기 도어접촉부(402)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48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도어(410)가 닫히게 되는 경우, 상기 본체(401)와 상기 도어(410) 간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전장치가 배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전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도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도어의 상부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와인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와인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와인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와인냉장고의 도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와인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와인냉장고의 도어의 상부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조리기기의 평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조리기기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조리기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조리기기의 도어의 일부는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가전장치를 구성하는 조리기기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냉장고 210: 냉장고 도어
211: 도어몸체부 220: 커버부재
230: 핸들부 300: 와인냉장고
310: 와인냉장고 도어 320: 커버부재
330: 핸들부 400: 조리기기
410: 조리기기 도어 420: 커버부재
430: 핸들부

Claims (25)

  1.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그 전면일측에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를 커버하며 상기 곡면부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도어몸체부 및 상기 곡면부의 후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며 소정의 파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측이 곡면처리된 곡면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대향되는 도어몸체부의 측단부에는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전면에서 상기 핸들부의 일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의 폭은 상기 커버부재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곡면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의 후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안착부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내측은 소정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조리기기의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본체의 폭과 높이보다 넓고 높게 형성된 도어접촉부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접촉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접촉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부재 설치부와;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핸들부 일측에 설치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의 측단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2지지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부의 측단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의 상하면을 각각 커버하는 캡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목재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냉장고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와인냉장고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18.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실내벽에 매립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고 그 전면의 단부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곡면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핸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곡면부가 그 일측에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곡면부 후면과 상기 도어몸체부의 안착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곡면부 후방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안착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파지부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형상은 상기 곡면부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부와 상기 핸들부의 상하면을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의 파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전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장치.
KR1020080101541A 2008-10-16 2008-10-16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0099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41A KR100995047B1 (ko) 2008-10-16 2008-10-16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41A KR100995047B1 (ko) 2008-10-16 2008-10-16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02A true KR20100042402A (ko) 2010-04-26
KR100995047B1 KR100995047B1 (ko) 2010-11-19

Family

ID=4221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541A KR100995047B1 (ko) 2008-10-16 2008-10-16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0197A1 (de) 2010-05-06 2011-11-10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r-Ventilhub-Vorrichtung
KR20180000682U (ko) * 2016-08-30 2018-03-08 (주)아라모드 안전 손잡이 가구
JP2020148458A (ja) * 2016-07-19 2020-09-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8281U (ja) 1982-12-22 1984-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等の扉体の把手構造
JP4179244B2 (ja) * 2004-08-06 2008-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0396576Y1 (ko) * 2005-06-20 2005-09-27 동양매직 주식회사 조리 기기의 도어 개폐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0197A1 (de) 2010-05-06 2011-11-10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r-Ventilhub-Vorrichtung
JP2020148458A (ja) * 2016-07-19 2020-09-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扉
KR20180000682U (ko) * 2016-08-30 2018-03-08 (주)아라모드 안전 손잡이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047B1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018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10278017B2 (en) Refrigerator
CN101398248B (zh) 家用电器
EP2182311A2 (en)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724539A2 (en) Refrigerator with storage bin
KR20100130508A (ko) 냉장고
EP2345859A2 (en) A door for an electric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KR102285845B1 (ko) 냉장고
KR100995047B1 (ko)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KR101012381B1 (ko) 가전장치용 도어
KR100804608B1 (ko)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와인저장고가 구비된김치저장고
KR20220022225A (ko) 냉장고
KR20180105929A (ko) 냉장고
KR101012380B1 (ko)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047976A (ko) 냉장고
CN217817674U (zh) 一种冷柜门体用的储物盒以及冷柜
AU2021204711B2 (en) Refrigerator
KR20170021009A (ko) 냉장고의 데코부재 조립구조
KR20170036220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50088432A (ko) 냉장고
KR100737425B1 (ko) 전자기기용 지지대 및 식품저장고 및 전자기기에 설치되는프레임 조립체
KR20150047974A (ko) 냉장고
KR20090074442A (ko)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KR20110045468A (ko) 냉장고의 여닫이식 도어구조
KR2009011370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