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324A -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324A
KR20100042324A KR1020080101414A KR20080101414A KR20100042324A KR 20100042324 A KR20100042324 A KR 20100042324A KR 1020080101414 A KR1020080101414 A KR 1020080101414A KR 20080101414 A KR20080101414 A KR 20080101414A KR 20100042324 A KR20100042324 A KR 2010004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ar
portable
uni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임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숙 filed Critical 임미숙
Priority to KR102008010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324A/ko
Publication of KR2010004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귀에 거는 형태로서, 음극만을 활용한 전자를 직접 사용자의 호흡기에 매우 인접하도록 방사하여 호흡기 부근에 있는 공기를 마이너스(-)로 대전시켜 음이온을 생성시키되 인체에 유해한 오존(O3)과 질소산화물(NOX) 이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하며, 그 작동을 원격으로도 조작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한 부분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에서 펄스성의 고전압으로 변화시키는 트랜스부와, 상기 트랜스부에서 인가된 펄스성의 고전압을 이용하여 음의 전자를 생성하는 음전자 발생부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에서 생성된 음전자가 손실되지 않고 호흡기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토출부와,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음전자 발생부를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되는 작동부와, 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귀걸이부가 구성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 및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원격조정장치가 상기 몸체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 휴대용, 음전자, 음극발생 침, 생성, 방사, 토출, 주름, 탈착, 음이온, 원격조정

Description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Portable Negative Ion Supplying Unit of Ear for Hang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귀에 거는 형태로서, 음극만을 활용한 전자를 음극 방사침으로 직접 사용자의 호흡기에 매우 인접하도록 방사하여 호흡기 부근에 있는 공기를 마이너스(-)로 대전시켜 음이온을 생성시키되 인체에 유해한 오존(O3)과 질소산화물(NOX) 이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하며, 그 작동을 원격으로도 조작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과 사람의 몸은 이온에 영향을 받고 있다. 공기 중에는 매우 약한 전기를 입은 여러 가지 양상의 미립자의 이온이 떠돌고 있어, 그 중에서도 마이너스(-)에 대전하고 있는 물질을 음이온, 플러스(+)에 대전하고 있는 물체를 양이온이라 한다. 물질의 어떤 원자와 원자단 분자에 대전하는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하를 띄는 극히 작은 입자 즉 "전기의 미립자"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음이온의 작용으로는 <표>와 같이 혈액의 정화작용, 세포의 부활작용, 병에 대한 저 항력 증가, 자율신경의 조정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때문에 사람에 있어서 이온만큼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없다. 신체의 조절 기구는 모두 이온에 지배당하고 있다고 말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표> 음이온과 양이온의 효과 비교
구분 음 이 온 양 이 온
전신 조직 진정, 최면 자극, 흥분, 불면
기분 상쾌감 불쾌감
신경 기능 부교감 신경 자극 교감 신경 자극
호흡 억제적 촉진적
산소 소비량, 맥박 감소 증가
혈압 내림 높임
혈침 감소 증가
혈액응고 능력 감소, 약 증가
혈청 칼슘 정상 감소
혈청 칼륨 감소 미량 증가
백혈구 감소 증가
모세 혈관 확장 수축
물질 대사 환원 합성형 산화 분해형
산성, 알칼리 평형 알칼리형 산성형
이뇨 작용 촉진 억제
변통 원활 변비
인공적으로 음이온을 만들어 내는 주요방식을 보면, 플러스(+), 마이너스(-)의 전극에 고전압을 가하면 플러스(+), 마이너스(-) 전극사이에서 플러스(+), 마이너스(-)전자가 만들어 지며 이들 전자는 주위의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코로나방전방식과, 플러스(+)전극의 설치 없이 마이너스(-) 전극으로부터 전자빔을 공중으로 방사하여 코로나방전방식 보다 음이온을 더 많이 만들어 내는 전자방사방식과, 물의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양극이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여기에 충격 또는 마찰, 열을 가하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기석 및 천연광석에 의한 방사방식, 그리고 폭포수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물이 수면 또는 바위에서 순간적으로 그 물은 분쇄현상을 일으켜 그 주위에 있는 공기는 마이너스(-) 전류를 띈 전기층을 형성하는 레너드에 의한 방사방식 등이 있다.
상기 방식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 코로나방전방식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일정 거리를 유지시킨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고전압을 걸어놓고 그 사이에 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방전시켜, 마이너스(-)로 대전된 공기입자를 얻는 2극방전 방식이다. 시중의 가정용 공기청정기 대부분이 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소형 음이온 발생기로도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실용신안 등록 제20-0242201호 "컴퓨터용 음이온 발생기"의 기술 공지와 같이 이 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나, 코로나방전방식에는 극복해야할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코로나 방전 시 발생되는 코로나에 의하여 공기 중의 산소결합과 질소결합 등이 파괴되면서 분리된 산소원자와 결합이 파괴되지 않은 산소분자가 결합하여서 인체에 해로운 오존(O3)과 질소산화물(NOX)이 부산물로 발생하고 있으며, 더욱이 이때 발생한 오존(O3)은 전극판을 산화시켜 전극의 수명을 단축하게 함과 동시에 음이온 생성효율을 저하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음의 전극을 띠는 집진전극에는 많은 먼지들이 쌓이게 되고 양극을 띠는 방전전극에도 집진전극보다는 적은 양이지만 상당한 먼지들이 달라붙게 되므로 성능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용신안 등록 제20-0436006호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기술 공지와 같이 수만 가닥의 브러시타입의 이온 발생부를 이용하여 대기 중으로 분사시키는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목에 걸어서 가슴부위에 방출되는 음이온을 호흡하도록 구현하고 있으나, 방사되는 음이온이 호흡기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음이온 자체의 이동력 저하로 인하여 대부분이 30cm이내에서 소멸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환기 또는 개방된 공간에서는 그 효과가 더욱더 미미하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가 고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몸체와 호흡기가 있는 얼굴이 서로 상반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을 위해 브러시를 사용하여 다량의 음이온을 얻을 수 있다고는 하나, 고전압에 의한 브러시의 산화, 용융, 부식 및 말단부의 곡률반경 변형과 함께 사용시간 경과로 인하여 급속히 효율이 저하되어 일정기간에 이르면 거의 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으며, 탈착식이 아니라 음이온 발생부를 교체할 수 없어 불용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종전의 방식들과는 달리, 양전극의 설치 없이 탄소 침 형태의 매체를 음전극으로 하여 상기 음전극에 고전압이지만 에너지량이 적은 펄스를 가하여 공기 중에 음의 전자만을 방사함으로써 오존(O3)과 질소산화물(NOX)의 발생 없이 호흡기에서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의 동선과 외부환경에 무관하게 항상 사용자의 호흡기가 위치한 방향으로 음의 전자가 방사되어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사용자의 귀에 거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공기 중으로 방사되는 음의 전자가 사용자의 호흡기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저하되거나 산재하지 않고 호흡기에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토출관의 길이와 토출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음전자 발생부의 기능저하 시에 청소와 수리, 교체 등을 위하여 몸체부로부터 음전자 발생부가 탈착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몸체에서의 음전자 발생을 유무선으로 작동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용 원격조정장치가 구비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100)는 숯 등 활성탄의 음이온 발생체의 재료를 커버로 한 장방형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한 부분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부(20)와, 상기 전원부(20)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승압시켜주는 컨버터부(30)와, 상기 컨버터부(30)에서 펄스성의 고전압으로 변화시키는 트랜스부(40)와, 상기 트랜스부(40)에서 인가된 펄스성의 고전압을 받아서 음전자를 생성하는 음전자 발생부(5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를 작동하거나 제어하는 스위칭과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작동부(6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에서 생성되는 전자가 손실되지 않고 전달되도록 토출부(7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몸체부(10)를 귀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사물의 바닥에서 상기 몸체부(10)를 세울 수 있도록 보조 지지대(82) 역할도 겸할 수 있는 귀걸이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60)를 더욱더 편리하게 작동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용 원격조정장치(90)가 상기 몸체부(10)의 작동부(6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는 얼굴의 동선과 언제나 일치하는 귀에 걸어 고정된 상태에서 항상 얼굴 동선 같은 방향으로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호흡기까지 안전하게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출관의 길이와 토출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개방된 실내외 공간에서도 풍향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호흡기에 안전하게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전자 발생부가 몸체부로부터 탈착이 되도록 함으로서 사용기간 및 오염입자 누적, 내구성 저하되는 경우에 청소 및 수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전자 발생의 작동과 제어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몸체부의 작동부와는 별도로 휴대용 원격조정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더 편리하게 작동 및 제어는 물론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부 커버의 재질을 음이온 발생이 높으면서 실생활에서 손쉽게 공급 받을 수 있는 숯의 분말을 재료로 하여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작동상태 또는 미작동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음이온이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귀에 거는 고정부의 끝단, 즉 귀속에 삽입되는 돌기부의 상부 면에는 휴대폰, MP, PMP 등과 연결되는 이어폰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착용 시에도 이어폰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몸체부와 음전자 발생부의 탈착을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성 중 음이온 발생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컴퓨터용 음이온 발생기의 구성도이며,
도 6은 종래의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100)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한 부분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부(20)와, 상기 전원부(20)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컨버터부(30)와, 상기 컨버터부(30)에서 펄스성의 고전압으로 변화시키는 트랜스부(40)와, 상기 트랜스부(40)에서 인가된 펄스성의 고전압을 받아서 음전자를 발생하는 음전자 발생부(5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를 작동하거나 제어하는 스위칭과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작동부(6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에서 발생하는 음전자가 호흡기까지 손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부(70)가 각 각 구성되어 지고,
상기 각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몸체부(10)를 귀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사물의 바닥에서 상기 몸체부(10)를 세울 수 있도록 보조 지지대(82)역할도 겸할 수 있는 귀걸이부(80)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작동부(60)를 더욱더 편리하게 작동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휴 대용 원격조정장치(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음이온 발생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면서 원재료를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숯의 분말을 재료로 한 연질 장방형의 커버로 사용의 얼굴 옆면과 밀착되는 내측면(11)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외측면(12)의 한 부분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USB핀 접속구(13)가 형성되고, 또 다른 한 부분에는 상기 작동부(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5)의 한 부분에는 상기 음전자 발생부(50)가 탈착하되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와 상기 토출부(60)가 일체화 되도록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는 후면부(16)의 한 부분에는 다수개의 미세한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내측면(11)과 외측면(12) 모두 유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면(12)에 형성된 USB핀 접속구(13) 및 상기 작동부(60)가 상기 몸체부(10)의 하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귀걸이부(80)가 일체화되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즉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와 맞닿는 한 부분에 상기 발생부(50)에서 생성된 음전자가 상기 토출부(60)를 통하여 사용자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소형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방사 전달팬(5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형태는 장방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반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는 IC(집적회로)의 동작전압이 5V ~ 12V를 표준으로 하는 점을 고려하여 휴대폰,MP3,PMP 등의 충전어댑터로부터 유입되는 전원 DC 5V를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면(12)에 형성된 USB핀 접속구(13)를 통하여 공급을 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식 배터리에 저장되도록 하되 충전상태와 충전량을 LED발광으로 상기 USB핀 접속구(13)에 인접하여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USB핀에 대응하는 USB케이블 커넥터가 보다 더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접속용 젠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식 배터리를 대신하여 소형의 비충전식 배터리 또는 태양광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부(30)는 상기 전원부(20)로부터 입력된 DC 5V를 DC 12V로 승압 되도록 입출력이 절연된 소형 DC-DC 컨버터와 함께 인덕터, 반도체 스위치, 다이오드, 커패시터로 구성된 전자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부(40)는 상기 컨버터부(30)로부터의 전압을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트랜스와 코일로 DC에서 AC로 전압을 바꾼 뒤에 전압이 변환된 AC를 다시 정류한 후 2차 DC로 하여 고전압으로 변화시켜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로 인가하는 장치로서 보다 더 정확한 전압을 얻기 위해 소형의 정전압 레귤레이터가 구비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는 단극방전을 위하여 날카로운 도체 형태의 침을 음전극으로 하여 이 음전극에 상기 트랜스부(40)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량의 적은 펄스성의 고전압을 가하여 공기 중에 직접 전기가 방사 되도록 하는 음극방사침(51)이 형성된다.
상기 음극방사침(51)은 음전자 발생효율과 방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음극판(52)의 상부에 한 개 이상으로 하여 높낮이를 달리하면서 각 각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음극판(52)의 경우도 방생효율과 방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음극방사침(51)의 높낮이와 부합되게 구배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그 형상은 원활한 도체전달과 효율 그리고 이온균형을 고려하여 숯 분말 등 카본을 재질로 한 탄소 침 형태로 구비되어 진다.
또한, 상기 음극방사침(51)의 기능 유지를 위한 청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음전자 발생부(50)가 탈착되도록 구비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탈착이 용이하도록 맞닿는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의 상호 맞닿은 면의 한 부분에는 결합구(53a,53b)가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전원도 전선연결 결합구(54a,54b)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토출부(70)는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음전자를 상기 몸체부(10)의 외부로 방사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토출관(71)이 안테나와 같이 돌출-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에서 방사되는 음전자가 호흡기에 보다 더 인접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토출관(71)의 한 부분에 한 개 이상의 주름(7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토출구(7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극방사침(51)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와 일체가 되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탈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60)는 상기 전원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는 전원스위칭(61)과 음전자의 방사량을 강중약으로 전환할 수 있는 조절스위칭(62)과, 상기 전원스위칭(61)과 상기 조절스위칭(62)의 작동여부와 상기 전원부(20)의 전원공급여부를 디지털 숫자 또는 LED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표시장치(63a,63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귀걸이부(80)는 상기 몸체부(10)가 사용자의 귀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비틀린 만곡형상(81)을 갖도록 구비되며, 필요시에 상기 몸체부(10)를 사물의 평면 위에 세울 수 있게 보조 지지대(82)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의 끝측과 상기 만곡형상(81)의 한 부분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귀걸이부(80)의 한 부분에, 즉 고정부 끝단이 귀속과 접하는 부문에, 귀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된 돌기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83) 상부면에는 휴대폰, MP, PMP의 이어폰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확장 형성되면서 그 내부는 이어폰의 크기만큼 대응되게 오목하게 함몰(미도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83)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에서 발생하는 음전자가 상기 귀걸부(80)의 내부에 중공된 관로(84)를 통하여 상기 천공된 돌기부(83)를 거쳐 귀속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원격작동장치(90)는 상기 작동부(60)의 구성을 그대로 구비하되 타이머(94)와, 상기 작동부(60)와의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 케이블 잭(91)과, 휴대용 고정구(93)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 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몸체부와 음전자 발생부의 탈착을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성 중 음이온 발생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컴퓨터용 음이온 발생기의 구성도이며,
도 6은 종래의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몸체부 20:전원부
30:컨버터부 40:트랜스부
50:음전자 발생부 51:음극 방사침
60:작동부 70:토출부
72:주름관 80:귀걸이부
82:보조지지대 83:천공된 돌기부
84:중공된 관로 90:원격조정장치
93:고정구 94:타이머
<등록실용 20- 204220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몸체 12: USB 접속구
14: USB 확장포트 16: 접압증폭기
18: 음극판 18a: 음극침
19: 집진판 19a: 음이온 방출구
<등록실용 20- 043600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컴퓨터나 주변기기 10: 공기 청정기
20: 보디 22,24: 음이온 및 양이온 분사구멍
30: 유에스비 플러그 46: 스위칭부
47: 동작 표시부 48: 배터리
49: 배터리 충전부 50: 충전상태 표시부

Claims (12)

  1.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음이온 발생장치를 내부에 수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한 부분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부(20)와,
    상기 전원부(20)를 통하여 입력된 DC 5V를 DC 12V로 승압시키는 컨버터부(30)와,
    상기 컨버터부(30)에서 인가된 전압을 펄스성의 고전압으로 변화시키는 트랜스부(40)와,
    상기 트랜스부(40)에서 인가된 펄스성의 고전압을 받아서 음전자가 생성되는 음전자 발생부(5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를 작동하거나 제어하는 스위칭과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작동부(60)와,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에서 생성되는 음전자가 손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부(70)가 구성되고,
    상기 각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몸체부(10)를 귀에 고정되도록 거는 귀걸이부(80)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60)를 원격에서 작동 및 확인하기 위한 휴대용 원격조정장치(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숯의 분말을 재료로 제작된 연질의 장방형의 케이스로 사용자의 얼굴옆면과 밀착되는 내측면부는 곡면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외측면부의한 부분에는 USB핀 접속구(13) 및 상기 작동부(6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와 상기 토출부(70)가 일체되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탈착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후면부의 한 부분에는 다수개의 미세한 관통고멍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귀걸이용 고정부(80)가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한 부분, 즉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의 내부와 맞닿는 한 부분에 소형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방사 전달팬(5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부(30)는 입출력이 절연된 소형 DC-DC 컨버터와 함께 인덕터, 반 도체 스위치, 다이오드, 커패시터로 구성된 전자회로가 구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방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부(40)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트랜스와 코일과 정전압 레귤레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는 음극 방사침(51)과 음극판(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극 방사침(51)은 카본 재질로서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면서 각 각의 경사각을 갖고 높낮이를 달리하게 구비되고, 상기 음극판(52)은 상기 음극 방사침(51)의 높낮이에 부합되도록 상기 음극판(52)의 두께높이가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자 발생부(50)는 상기 몸체부(10)와의 탈착을 위해 상부 몸체부(10)와 상기 음전자 방사부(50)의 각 각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맞닿은 한 부분에 결합구(53a,53b)와 전원연결 결합구(54a,54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60)는 전원 스위칭(61)과, 음이온 방출량 조절스위칭(62)과, 표시장치와, 휴대용 원격조정장치(90)의 케이블 잭 접속구(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70)는 한 개 이상의 원형의 토출관이 다단의 안테나 형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토출관의 한 부분에 다수개의 주름(72)이 형성되어 지면서,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탈착이 되도록 상기 음전자 발생부(50)와 일체화 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80)는 귀의 구조에 부합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만곡형상(81)으로 필요할 때 사물의 바닥에 상기 몸체부(10)를 세울 수 있게 보조 지지대 역할 도 겸할 수 있도록 상기 만공형상(81)의 한 부분이 상기 몸체부(10)의 후면의 끝부분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는 중공된 관로(84)가 형성되며, 귀속과 접하는 그 끝의 한 부분에는 천공된 돌기부(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된 돌기부(83)의 상부면에는 볼록하게 확장 형성되면서 이어폰이 삽입 결합되게 이어폰의 크기만큼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원격조정장치(90)는 상기 작동부(60)의 각 각의 구성을 그대로 구비하되 타이머(94)와, 전원 케이블 잭(92)과, 휴대용 고정구(9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KR1020080101414A 2008-10-16 2008-10-16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KR20100042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14A KR20100042324A (ko) 2008-10-16 2008-10-16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14A KR20100042324A (ko) 2008-10-16 2008-10-16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24A true KR20100042324A (ko) 2010-04-26

Family

ID=4221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14A KR20100042324A (ko) 2008-10-16 2008-10-16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3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20B1 (ko) * 2013-01-09 2014-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이온 발생기
KR200474765Y1 (ko) * 2014-05-20 2014-10-13 이희철 목걸이형 음이온 풍 발생장치
KR20230054177A (ko) 2021-10-15 2023-04-24 최정환 음이온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20B1 (ko) * 2013-01-09 2014-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이온 발생기
KR200474765Y1 (ko) * 2014-05-20 2014-10-13 이희철 목걸이형 음이온 풍 발생장치
KR20230054177A (ko) 2021-10-15 2023-04-24 최정환 음이온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765Y1 (ko) 목걸이형 음이온 풍 발생장치
CN102714400A (zh) 便携式离子发生器
CN104941069B (zh) 一种基于阿基米德螺旋线圈的高强度均匀感应电场发生器
CN203694183U (zh) 便携式空气净化器
KR20100042324A (ko) 귀에 거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US10985536B2 (en) Portable air ionizer
US20100039746A1 (en) Portable air ionizer, interface for a portable ionizer, and method of advertising therewith
CN203609767U (zh) 一种无线充电激光生发帽
EP3820016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EP3738650B1 (en) Treatment apparatus having replaceable head
KR200436006Y1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CN202961518U (zh) 低频电疗仪
JP4615992B2 (ja) 携帯型負イオン発生装置
JP6756063B1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KR200366588Y1 (ko) 음이온 발생기
JP2015509812A (ja) バッテリー内蔵型携帯用高周波治療器
CN208927437U (zh) 负离子健康睡眠仪
KR20100002009A (ko) 액세서리용 음이온 발생목걸이
JPH09245935A (ja) 負イオン発生ユニットを添装した送風機器
CN101637632A (zh) 负氧离子化光电补钙健康仪
CN215025456U (zh) 具有接近大自然负离子的美容面罩
CN217239993U (zh) 一种微型可充电小粒径负离子发生器
CN215084417U (zh) 佩戴稳妥型负离子美容面罩
CN108315756A (zh) 一种便携式氢氧发生器
CN218351898U (zh) 一种空气电离结构、离子发生组件及离子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