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209A -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209A
KR20100042209A KR1020080138079A KR20080138079A KR20100042209A KR 20100042209 A KR20100042209 A KR 20100042209A KR 1020080138079 A KR1020080138079 A KR 1020080138079A KR 20080138079 A KR20080138079 A KR 20080138079A KR 20100042209 A KR20100042209 A KR 20100042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carrier
message
mobile station
paging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604B1 (ko
Inventor
박기원
김용호
류기선
육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09820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47628B1/en
Priority to CN200980145286.XA priority patent/CN102217396B/zh
Priority to PCT/KR2009/005937 priority patent/WO2010044620A2/en
Priority to US13/124,385 priority patent/US8855034B2/en
Priority to JP2011532018A priority patent/JP5178916B2/ja
Publication of KR2010004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04W68/025Indirect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캐리어 환경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은,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제 1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 유휴모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제 2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이다.
멀티 캐리어, 페이징 채널, 페이징 캐리어, 유휴모드

Description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Method of Allocating Paging Carrier}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단일 반송파(Single-Carrier) 및 다중 반송파(Multi-Carrier)에 대한 변조 방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단일 반송파 변조방식(SCM: Single-Carrier Modulation Scheme)은 다중 반송파 변조방식(MCM: Multi-Carrier Modulation Scheme)과는 달리 하나의 반송파에 모든 정보를 실어 변조하는 변조방식을 말한다.
다만, 단일 반송파 방식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약하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잡한 등화기가 필요하다. 또한, 단일 반송파 방식은 보호 대역 등이 필요하여 대역효율성이 좋지 않다.
다중 반송파 변조방식은 전체 대역폭 채널(Channel)을 여러 개의 작은 대역폭을 갖는 부채널(Sub-channel)로 분할하여 다수의 협대역 부반송파(Sub-Carrier)를 각 부채널로 다중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방식에서, 각 부채널은 작은 대역폭으로 인해 평탄한 특성(Flat Channel)로 근사화된다. 다중 반송파 방식은 간단한 등화기를 사용하여 채널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고속 구현이 가능하며, SCM 방식에 비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단말의 유휴모드 및 페이징 그룹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유휴모드(Idle Mode)는 일반적으로 단말이 다중 기지국으로 구성된 무선링크 환경을 이동시, 특정 기지국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하향링크(DL: Down Link)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전송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동작을 말한다.
단말은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traffic)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전력을 절약(Power saving)하기 위해 유휴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유휴모드로 천이한 단말은 평균적 기간(Available interval) 동안 기지국이 전송하는 방송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일반모드(normal mode)로 천이할지 또는 유휴모드로 남아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은 위치갱신을 수행함으로써, 페이징 제어기(Paging controller)에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유휴모드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활성 요구 및 일반적인 운영 요구들을 제거함으로써 단말에 혜택을 줄 수 있다. 유휴모드는 단말 활동을 이산 주기에서 스캐닝하도록 제한함으로써, 단말이 사용하는 전력 및 운용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는 단말에 팬딩(pending) 중인 하향링크 트래픽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간단하고 적절한 방식을 제공하고, 비활동적인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핸드오버(HO: Hand Over) 트래픽을 제거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기지국에 혜택을 줄 수 있다.
페이징이란 이동통신에서 착신호 발생시 해당하는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의 위치(예를 들어, 어느 기지국 또는 어느 교환국 등)를 파악하는 기능을 말한다.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은 특정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에 소속되어 페이징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그룹은 논리적인 그룹을 나타낸다. 페이징 그룹의 목적은 이동단말(MS)을 타겟(target)으로 하는 트래픽이 있다면, 하향링크(DL: Down Link)로 페이지(page)될 수 있는 인접범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징 그룹은 특정 단말이 동일 페이징 그룹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페이징 부하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징 그룹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징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 그룹은 관리 시스템에서 정의한다. 페이징 그룹에서는 페이징 그룹-실행(action) 백본망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백본망 메시지 중 하나인 페이징 공지(paging-announ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유휴모드인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모든 기지국의 초기 페이징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망에서 효율적으로 페이징 캐리어(Paging Carrier)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멀티 캐리어(Multi-carrier)를 지원하는 경우, 각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또는 기지국)이 명시적으로 페이징 캐리어를 알려주는 방법과 이동국이 페이징 캐리어를 함축적으로 스스로 알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은, 기지국에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에 페이징 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페이징 캐리어를 생성하는 단계와 기지국에서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메시지는 방송채널(BCH)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이고, 제 1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방송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할당정보는 특정 캐리어에 페이징 채널이 할당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레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할당정보는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 또는 페이징 캐리어의 인덱스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본능력협상 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메시지는 기본능력협상 응답 메시지 또는 등록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할당정보는 멀티 캐리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개수 파라미터,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식별자 및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각각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동국으로부터 유휴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동국으로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는 이동국이 요구하는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은,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제 1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 유휴모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제 2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 1 할당정보는,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 또는 페이징 캐리어의 인덱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할당정보는 멀티 캐 리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개수 파라미터,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식별자 및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각각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 1 메시지는 기본능력협상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요청 메시지이고, 제 2 메시지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이며, 제 3 메시지는 등록해제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페이징 식별자 및 이동국의 매체접근제어 주소를 이용하여 페이징 캐리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획득하는 단계는, 페이징 식별자를 매체접근제어 주소의 소정의 최하위 비트로 모듈로 연산을 하여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에서 멀티 캐리어(Multi-carrier)를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은 각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함으로써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무선 자원(예를 들어, 캐리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국으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캐리어(Multi-Carrier)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가 정한다. 따라서, 이동국(MS: Mobile Station) 및 기지국(BS: Base Station)은 복수의 캐리어(carrier)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e/m 망(및/또는 3GPP LTE) 외의 다른 무선접속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주캐리어(primary carrier) 및 부캐리어(secondary carrier)들을 정의하고 있다. 이동국(MS)은 하나의 주캐리어 및 복수 개의 부캐리어를 이용하여 기지국(BS)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 및 데이터(Data)를 송수신할 수 있는 캐리어를 완전히 구성된 캐리어(FCC: Fully Configured Carrier)로 정의하고, 제어정보 중 일부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캐리어를 부분적으로 구성된 캐리어(PCC: Partially Configured Carrier)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주캐리어(Primary Carrier)는 완전히 구성된 캐리어(FCC)이며, 부캐리어(Secondary Carrier)는 FCC 또는 PCC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국은 주캐리어를 이용하여 모든 제어 정보 및 부캐리어에 대한 정보까지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 및 기지국은 부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특정 이동국에 설정된 완전히 구성된 부 캐리어(FCSC: Fully Configured Secondary Carrier)는 다른 이동국의 주캐리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휴모드(Idle Mode)에서 페이징은 페이징 그룹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MS: Mobile Station)은 하나 혹은 다수개의 페이징 그룹에 속할 수 있다. 각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는 호(Call)나 외부 망으로부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사용자 패킷(User Packet)이 들어올 경우, 이동단말을 찾는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각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페이징 광고(MOB_PAG-ADV)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하는 방식으로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정상모드(Normal mode)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SBS: Serving BS)으로 등록해제요청(MOB_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SBS)은 페이징 제어기와 단말 정보 및 서빙 기지국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이동국 식별자(MS ID) 및 서빙 기지국 식별자(BS ID)를 페이징 제어기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또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페이징 그룹 식별자 또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S102).
서빙 기지국은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명령(MOB_DREG-CMD)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파라 미터,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파라미터 및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 Interval)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PC ID: Paging Controller ID) 및 페이징 그룹 식별자(PG ID: Paging Group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03).
MOB_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동국은 MOB_DREG-CMD 메시지에 포함된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국은 페이징 청취구간 동안 자신에 전달되는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지 무선 채널(Channel)을 모니터할 수 있다. 그 이외의 나머지 시간 동안 이동국은 수면모드(Sleep mode or Radio Turn off)로 동작하여 배터리(Power) 소모를 줄일 수 있다(S104).
페이징 제어기에 호 또는 외부 패킷이 들어올 수 있다(S105).
페이징 제어기는 호 또는 외부 패킷을 수신한 경우,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S106).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징 그룹 내의 기지국들은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국들로 MOB_PAG-ADV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S107).
이동국은 MOB_PAG-ADV 메시지를 확인하고, 페이징 제어기가 자신을 페이징 하였을 경우 정상 모드로 진입해 서빙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08, S109).
도 1에서 설명한 메시지들 및 절차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적용할 수 있다.
1. 멀티 캐리어 ( Multi - Carrier ) 환경에서 페이징 채널 할당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멀티 캐리어 환경에 기반하여 페이징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소정 개수(예를 들어, N개)의 멀티 무선 주파수 캐리어들(Muliple Radio Frequency Carriers)을 가지고 있고, 각 캐리어들은 페이징을 위해 소정 개수(예를 들어, L개)의 이동국들(MSs)을 수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Network operator)는 페이징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개수에 따라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N개의 캐리어 중 M(<=N) 개의 캐리어에 페이징 채널이 할당된다면, 기지국은 최대 M*L 개의 이동국에 대해 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지국이 4개의 멀티 캐리어를 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제 1 캐리어 (Carrier 1) 및 제 3 캐리어(Carrier 3)에 페이징 채널이 할당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멀티 캐리어 중에서 페이징 채널이 할당된 캐리어를 페이징 캐리어(Paging Carrier)라 부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페이징 그룹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페이 징 그룹은 채널 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그 커버리지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페이징 그룹 영역은 빠른 이동성을 갖는 이동국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제 2 페이징 그룹 영역은 적은 이동성을 갖거나 정지해 있는 이동국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제 3 페이징 그룹은 이동성이 크고 활동 반경이 큰 이동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제 2 페이징 그룹 및 제 3 페이징 그룹은 각각 스몰 페이징 그룹(SPG: Small Paging Group) 및 라지 페이징 그룹(LPG: Large Paging Group)으로 운용될 수 있다. 즉, 제 3 페이징 그룹 내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페이징 그룹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페이징 그룹에 포함된 이동국의 이동성이 커지는 경우, 이동국은 제 3 페이징 그룹으로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기지국은 넓은 범위를 갖는 제 1 페이징 그룹에 도 2의 제 1 캐리어(Carrier 1)를 할당하고, 좁은 범위를 갖는 제 2 페이징 그룹에 도 2의 제 2 캐리어(Carrier 2) 또는 제 4 캐리어(Carrier 4)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넓은 범위를 갖는 제 3 페이징 그룹에 도 2의 제 3 캐리어(Carrier 3)를 할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국이 유휴모드(Idle Mode)로 천이할 때, 기지국은 이동국에 적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저속의 이동국에는 제 2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으며, 고속의 이동국에는 제 1 캐리어 또는 제 3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제 1 캐리어 및 제 3 캐리어는 페이징 캐리어를 나타낸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은 이동국이 유휴모드에 진입한 후 이동국의 이동성(Mobility)에 따라 이동국의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휴모드 이동국이 초기에는 이동성이 없어 제 2 캐리어를 할당받았지만, 이후 이동국이 고속으로 이동하여 위치갱신을 빈번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넓은 페이징 영역을 커버하는 페이징 캐리어(예를 들어, carrier 1, 3)를 이동국에 재할당할 수 있다. 물론,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페이징 그룹 또는 페이징 캐리어의 변경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2.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중 어떤 캐리어가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이동국에 지시(Indication)할 수 있다.
도 4(a)는 플래그(flag)를 이용하여 페이징 채널을 지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방송채널(BCH: Broadcast Channel)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Addition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이동국에 멀티 캐리어 별로 각각 페이징 채널의 유무를 지시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방송채널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에 포함된 플레그의 값이 '0'인 경우 해당 캐리어는 페이징 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플레그의 값이 '1'인 경우 해당 캐리어는 페이징 채널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4(a)에서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30).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이동국에 방송채널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채널을 할당하거나 페이징 채널이 할당된 캐리어 중 변경된 캐리어를 이동국에 알려줄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페이징 캐리어가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플레그를 포함하는 방송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S450).
도 4(b)는 기지국이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Paging Carrier Index)를 이용하여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송채널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S420).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는 멀티 캐리어에서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낸다. 다음 표 1은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ex Size Note
Paging Carrier Index{
Carrier 1
Carrier 3
~
Carrier n
표 1은 기지국이 운용하고 있는 n 개의 멀티 캐리어 중에서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캐리어에 대한 인덱스(예를 들어, carrier 1, carrier 3, ..., carrier n)를 나타낸다. 즉, 기지국은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이용하여 어떤 캐리어가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지를 이동국에 알려줄 수 있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440).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이동국에 페이징 채널을 할당하거나, 페이징 채널이 할당된 캐리어 중 변경된 캐리어에 대한 지시를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유휴모드 진입시 새로이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 또는 유휴모드 진입시 변경한 페이징 캐리어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송채널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를 이동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46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기지국이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특정 이동국에게 할당된 멀티 캐리어에 페이징 채널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기지국에 처음 접속시 기본능력요청(SBC-REQ: Subscriber Station Basic Capabilit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과 기본 능력을 협상할 수 있다(S510).
기지국은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중 어떤 캐리어가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이동국에 지시(Indication)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기본능력응답(SBC-RSP: SS Basic Capability Response)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S530).
다음 표 2는 S530 단계에서 사용되는 기본능력응답(SBC-RSP)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SBC-RSP_Message_format() { - -
~
N_Carriers Total number of Carriers
For(i=0; i<N__Carriers;i++)
{
Carrier ID Carrier ID
Paging Carrier Support 0: Does not have Paging Channel 1: Have Paging Channel
}
~
} //End of MOB_SBC-RSP
표 2를 참조하면, 기본능력응답 메시지는 멀티 캐리어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캐리어 개수(N_Carriers) 파라미터, 멀티 캐리어의 각 캐리어의 식별자(Carrier ID) 및 각 캐리어가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지원(Paging Carrier Support)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 2에서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는 1 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가 '0'일 때는 해당 캐리어에 페이징 채널이 할당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1'이면 해당 캐리어가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b)는 이동국이 기지국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인덱스를 할당받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등록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등록요청(REG-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20)
기지국은 이동국에 멀티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이동국에 할당된 캐리어 및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이동국에 알려줘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 인덱스를 포함하는 등록응답(REG-RS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40).
다음 표 3은 S540 단계에서 사용되는 등록응답(REG-RSP)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REG-RSP_Message_format() { - -
~
N_Carriers Total number of Carriers
For(i=0; i<N__Carriers;i++)
{
Carrier ID Carrier ID
Paging Carrier Support 0: Does not have Paging Channel 1: Have Paging Channel
}
~
} //End of MOB_REG-RSP
표 3에서 등록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표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다른 측면으로서, 기지국은 S530 및 S540 단계에서 사용되는 SBC-RSP 메시지 또는 REG-RSP 메시지 대신에 표 1에서 설명한 페이징 채널 인덱스를 이용하여 이동국에 페이징 채널의 할당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이 할당된 캐리어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SBC-RSP 또는 REG-RSP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
3. 페이징 캐리어 변경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이 이동국에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BS)은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천이할 때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이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Paging carrier)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동국(MS)은 기지국(BS)으로 기본능력협상을 위해 SBC-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0).
기지국은 이동국에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S620).
기지국은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알려주기 위해 SBC-RS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SBC-RSP 메시지는 S530 단계에서 사용한 SBC-RSP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S630).
이동국이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후에,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등록해제요청(DREQ-RE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640).
기지국은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천이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거나, 기존에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유지하거나, 또는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S6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S620 단계에서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를 이동국에 알려주기 위해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S660).
다음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DREG-CMD_Message_format() { - -
~
Paging Carrier ID or Paging Carrier Index(Optional) 이동국에 할당하는 Paging Carrier ID or Index
~
} //End of MOB_DREG-CMD
표 4를 참조하면,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이동국에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식별자(Paging Carrier ID) 또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Paging Carrier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페이징 캐리어의 변경을 요청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S710 단계 내지 S730 단계는 S610 단계 내지 S630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단계들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도 7은 이동국(MS)이 할당받기를 원하는 페이징 캐리어를 결정하여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이동국이 선호하는 페이징 캐리어를 결정하여 기지국 등록해제요청(DREG-REQ) 메시지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S740).
다음 표 5는 S740 단계에서 사용하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DREG-REQ_Message_format() { - -
~
Paging Carrier ID or Paging Carrier Index(Optional) 이동국이 할당 받기를 원하는 Paging Carrier ID or Index
~
} //End of MOB_DREG-REQ
표 5를 참조하면, DREG-REQ 메시지는 이동국이 할당받기를 원하는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 또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optional)를 포함할 수 있다.
DREG-REQ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동국이 요청한 대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750).
기지국은 이동국에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 식별자 또는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S76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유휴모드에 진입한 후에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국(MS)은 유휴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기지국(BS)에 등록해제요청(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810).
기지국은 이동국에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고(S820), 이동국에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식별자 또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S830).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하고, 이동국에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이용하여 페이징 청취기간 동안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840).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한 후 주기적으로 또는 위치갱신(Location update) 조건을 만족할 경우 네트워크(Network, 예를 들어, BS 및/또는 페이징 제어기(Paging Controller))로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휴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국은 다양한 시발 조건에 의하여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이동국,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가 가지고 있는 위치갱신 타이머가 만료되면 시간에 기반한 위치갱신(Timer based location update)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자신의 페이징 그룹이 변경되는 경우 페이징 그룹 위치갱신(Paging group location update)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전원을 오프(Off)하기 전에 전력다운 위치갱신(Power down location update)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MAC 해쉬 스킵 임계치 갱신(MAC hash skip threshold update) 등의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동국은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페이징 캐리어가 아닌 다른 페이징 캐리어를 사용하는 페이징 그룹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이동국이 S820 단계에서 할당받은 페이징 캐리어를 사용하는 페이징 그룹에서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국은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레인징 요청(MOB_RNG-RE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850).
S850 단계에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동국에 새로운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새로이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 식별자 또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이동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860).
다음 표 6은 S860 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RNG-RSP_Message_format() { - -
~
Paging Carrier ID or Paging Carrier Index 단말에 할당하는 Paging Carrier ID or Index
~
} //End of MOB_RNG-RSP
표 6을 참조하면,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기지국이 단말에 새로이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Paging Carrier ID) 또는 새로이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인덱스(Paging Carrier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다른 측면으로서, 이동국이 S820 단계에서 할당받은 페이징 캐리어와 다른 페이징 캐리어를 사용하는 페이징 그룹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국이 페이징 캐리어의 변경을 기지국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국은 S850 단계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 또는 페이징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MOB_RNG-RE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표 7은 이동국이 페이징 캐리어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RNG-REQ_Message_format() { - -
~
Paging Carrier ID or Paging Carrier Index(Optional) 단말이 할당 받기를 원하는 Paging Carrier ID or Index
~
} //End of MOB_RNG-REQ
표 7을 참조하면,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기지국이 단말에 새로이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Paging Carrier ID) 또는 새로이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인덱스(Paging Carrier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이동국 및 기지국은 위치갱신절차를 통해 이동국에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의 이동이 거의 없어 작은 페이징 그룹을 커버하는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받았다. 그러나,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이동국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위치갱신을 빈번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은 큰 페이징 그룹을 커버하는 페이징 캐리어를 다시 할당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동국이 유휴모드에 진입할 당시에는 큰 페이징 그룹(Large paging group) 영역을 커버하는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받았지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동국의 움직임이 없거나 특정 지역에 계속 머무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국에 할당된 큰 페이징 그룹을 작은 페이징 그룹(Small paging group)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지국이 작은 페이징 영역을 커버하는 페이징 캐리어로 변경하거나, 이동국이 페이징 캐리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 및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표 6 및 표 7에서 설명한 레인징 응답 메시지 및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암묵적으로 자신에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국(MS)은 기지국(BS)으로부터 할당받은 페이징 식별자(Paging ID)를 자신의 매체접근제어 주소(Medium Aceess Control address)로 모듈로(modulo) 연산을 취해 획득한 값으로 페이징 캐리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동국은 MAC 주소의 일부인 LSB (Least Significant Bit)를 모듈로 연산을 취해 나온 값을 이용하여 이동국에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이동국의 MAC 주소 중 LSB 4 비트를 가지고 모듈로 연산을 취할 수 있다. 모듈로 연산을 취하는 이동단말 MAC 주소의 LSB 비트는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멀티 캐리어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멀티 캐리어가 16 개인 경우에는, 이동단말은 LSB 4 비트로 모듈로 연산을 취해 페이징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캐리어가 8 개인 경우는, 이동국은 LSB 3 비트로 모듈로 연산을 취해 이동국의 페이징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멀티 캐리어 환경에 기반하여 페이징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멀티 캐리어 환경에서 페이징 그룹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이 이동국에 할당한 페이징 캐리어를 변경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페이징 캐리어의 변경을 요청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유휴모드에 진입한 후에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암묵적으로 자신에 할당된 페이징 캐리어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4)

  1.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에 페이징 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페이징 캐리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방송채널(BCH) 또는 추가적 방송정보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정보는,
    특정 캐리어에 상기 페이징 채널이 할당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레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 또는 상기 페이징 캐리어의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기본능력협상 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기본능력협상 응답 메시지 또는 등록응답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개수 파라미터,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식별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각각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유휴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으로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국이 요구하는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9.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제 1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 유휴모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페이징 캐리어에 대한 제 2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징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할당정보는,
    상기 페이징 캐리어의 식별자 또는 상기 페이징 캐리어의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할당정보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개수 파라미터,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식별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각각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페이징 캐리어 지원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기본능력협상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 3 메시지는 등록해제응답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13.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식별자 및 이동국의 매체접근제어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캐리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징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 중 페이징 채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캐리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식별자를 상기 매체접근제어 주소의 소정의 최하위 비트로 모듈로 연산을 하여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KR1020080138079A 2008-10-15 2008-12-31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KR10153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820770.7A EP2347628B1 (en) 2008-10-15 2009-10-15 Method of allocating paging carrier,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CN200980145286.XA CN102217396B (zh) 2008-10-15 2009-10-15 分配寻呼载波的方法以及移动站
PCT/KR2009/005937 WO2010044620A2 (en) 2008-10-15 2009-10-15 Method of allocating paging carrier and mobile station
US13/124,385 US8855034B2 (en) 2008-10-15 2009-10-15 Method of allocating paging carrier and mobile station
JP2011532018A JP5178916B2 (ja) 2008-10-15 2009-10-15 ページングキャリア割当方法及び移動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579308P 2008-10-15 2008-10-15
US61/105,793 2008-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209A true KR20100042209A (ko) 2010-04-23
KR101537604B1 KR101537604B1 (ko) 2015-07-17

Family

ID=4221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079A KR101537604B1 (ko) 2008-10-15 2008-12-31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55034B2 (ko)
EP (1) EP2347628B1 (ko)
JP (1) JP5178916B2 (ko)
KR (1) KR101537604B1 (ko)
CN (1) CN102217396B (ko)
WO (1) WO2010044620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599A2 (ko) * 2010-04-30 2011-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이동국,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US8976731B2 (en) 2010-04-30 2015-03-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aging message transmitting method, and paging message receiving method
US9137777B2 (en) 2010-03-05 2015-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aging message transmitting method, and paging message receiving method
KR20190038644A (ko) * 2016-08-12 2019-04-08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페이징 메시지 송신,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625B2 (en) * 2008-09-09 2013-02-12 Nokia Siemens Networks Oy Neighborhood paging group design for wireless networks
US8532671B2 (en) * 2008-12-15 2013-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s
KR101918026B1 (ko) 2009-04-22 201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271175A1 (en) * 2009-04-24 2010-10-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paging process for multicarrier
EP2341719B1 (en) * 2009-12-29 2015-10-28 Acer Incorporated Paging carrier assignment method, multi-carrier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1763899B1 (ko) * 2010-04-20 2017-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이동국,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 그리고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 방법
KR101656530B1 (ko) * 2010-06-04 2016-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밴드 정보를 이용한 페이징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691016B2 (ja) * 2010-11-10 2015-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619575B2 (ja) * 2010-11-12 2014-11-05 日本無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CN103503336B (zh) * 2011-05-02 2016-10-12 Lg电子株式会社 用于m2m通信的方法和装置
KR101857019B1 (ko) * 2011-08-29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장치
US8811290B2 (en) * 2011-09-29 2014-08-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15363B2 (ja) * 2012-11-02 2016-10-26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着信制御システム、及び着信制御方法
CN104025680A (zh) * 2012-12-06 2014-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寻呼方法和设备
US9918315B2 (en) * 2013-08-16 2018-03-13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06877944B (zh) 2015-12-10 2019-07-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有源天线设备及其测试方法
US9979655B2 (en) * 2015-12-23 2018-05-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nnected-mode traffic based idle-mode load balancing
CN107566099B (zh) 2016-06-29 2019-08-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承载寻呼消息载波的确定、寻呼消息的发送方法及装置
US20190239051A1 (en) * 2016-08-10 2019-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paging signal in nb-iot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nb-iot
WO2018082869A1 (en) 2016-11-03 2018-05-11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US10863543B2 (en) * 2017-12-01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Subband based uplink access for NR-SS
CN110351815B (zh) * 2018-04-04 2022-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14071709B (zh) * 2020-07-31 2023-07-25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寻呼载波的确定及寻呼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CN115250462A (zh) * 2021-04-27 2022-10-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载波配置方法及装置
CN115278833A (zh) * 2021-04-30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通信装置及系统
CN114339619B (zh) * 2021-12-23 2023-12-12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基于3gpp规范实现长广播短信的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5513A1 (en) * 1999-12-15 2003-05-22 Nortel Networks Corporation Traff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CDMA wireless networks
KR100464351B1 (ko) * 2001-10-20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멀티미디어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방식에 있어서 추가적인반송파의 사용시에 적용 가능한 페이징 방법 및 장치
KR100511554B1 (ko) 2003-09-02 2005-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fdd 기반 시스템에서의 순방향 채널 구성방법 및 순방향 채널 할당 방법
US20060116123A1 (en) * 2004-11-29 2006-06-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paging in a flexible multi-carrier system
KR101080970B1 (ko) * 2004-12-27 2011-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코드 정보 전송 방법
KR100957355B1 (ko) * 2005-08-25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Ⅰp 기반의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페이징시스템 및 방법
EP1981305B1 (en) * 2005-10-04 2013-06-26 Sharp Kabushiki Kaisha A paging method, a mobile station device and a base station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US20070086395A1 (en) 2005-10-14 2007-04-19 Sanjay Bakshi Wireless pag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1203841B1 (ko) 2006-01-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JP4373422B2 (ja) 2006-01-18 2009-11-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N101043733B (zh) 2006-03-23 201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中实现寻呼业务的方法
CN101076179B (zh) * 2006-05-20 2010-04-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宽带无线接入系统中提高系统性能的方法
EP1874070B1 (en) * 2006-06-29 2014-05-21 Panasonic Corporation Efficient paging mechanism with scalable bandwidth allocation
KR101404674B1 (ko) * 2007-06-15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운영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777B2 (en) 2010-03-05 2015-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aging message transmitting method, and paging message receiving method
WO2011136599A2 (ko) * 2010-04-30 2011-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이동국,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WO2011136599A3 (ko) * 2010-04-30 2012-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이동국,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US8976731B2 (en) 2010-04-30 2015-03-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aging message transmitting method, and paging message receiving method
KR20190038644A (ko) * 2016-08-12 2019-04-08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페이징 메시지 송신,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US10869294B2 (en) 2016-08-12 2020-12-15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associate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604B1 (ko) 2015-07-17
JP2012506196A (ja) 2012-03-08
JP5178916B2 (ja) 2013-04-10
CN102217396A (zh) 2011-10-12
EP2347628A4 (en) 2014-08-13
CN102217396B (zh) 2017-03-15
US8855034B2 (en) 2014-10-07
US20110292856A1 (en) 2011-12-01
EP2347628B1 (en) 2017-07-12
WO2010044620A3 (en) 2010-07-29
WO2010044620A2 (en) 2010-04-22
EP2347628A2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604B1 (ko)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US11743863B2 (en) Method for paging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KR101199389B1 (ko)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수행 방법
KR20100057473A (ko) 캐리어구성정보 송수신방법
US8559348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information
KR101599855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KR20080079961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레인징 수행 방법
US8929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paging areas
US200903039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dle mode of mobil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28323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페이징 정보 송수신 방법
KR20100019306A (ko) 유휴모드 단말의 위치갱신 수행방법
US8488543B2 (en) Method of paging using header
KR101208554B1 (ko)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e-mbs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1155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주기 할당방법
KR101666899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KR101567830B1 (ko)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장치
KR20100091091A (ko) 페이징 메시지 수신방법
KR20110046267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페이징 캐리어 할당 방법
KR2011009220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수행 방법
KR20080089762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00041643A (ko) 위치갱신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