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106A - 광케이블용 슬립링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슬립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106A
KR20100042106A KR1020080101244A KR20080101244A KR20100042106A KR 20100042106 A KR20100042106 A KR 20100042106A KR 1020080101244 A KR1020080101244 A KR 1020080101244A KR 20080101244 A KR20080101244 A KR 20080101244A KR 20100042106 A KR20100042106 A KR 2010004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ed
rotary
rot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강제원
Original Assignee
(주)무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궁산업 filed Critical (주)무궁산업
Priority to KR102008010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106A/ko
Publication of KR2010004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1Ferrule rotatable with respect to plug body, e.g. for setting rotational position ; Fixation of ferrules after rot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index-matching medium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합공을 가지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삽입공을 가지는 회전브라켓,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회전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회전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삽입공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고정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공은 한쪽에 상기 회전케이블이 삽입되고, 다른 쪽에 상기 고정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광케이블, 슬립링, 광접합액층, 접합공, 어댑터

Description

광케이블용 슬립링 {slip-ring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 슬립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optical cable)은 유리섬유를 통하여 광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말하는 것으로, 광섬유 케이블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광케이블로 전달되는 광선 신호는 전기적인 신호를 빛의 신호로 변환된 상태로 전달 되는 것을 의미한다.
광케이블은 광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여타의 전송매체와 비교하여 대역폭이 넓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광케이블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여타의 전송매체와 비교하여 크기와 무게가 작아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케이블은 광선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여타의 전송매체와 비교하여 충격성 잡음, 누화(漏話) 등의 외부적 간섭을 받지 않음으로써, 근거리 통신망, 광역 통신망, 장거리 통신, 군사용 회선 및 가입자 회선 등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은 광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광역 다자간의 통신 이 가능하고, 대용량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함에 따라 통신장비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종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CCTV, 각종 검사장비, 인덱스 장비 및 로보트 등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비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구조가 복잡화되고, 송수신되는 정보량이 증대됨으로써, 빛의 형태로 정보를 전송하는 광케이블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슬립링은 상기 장치들의 회전되는 구성요소에 전력 및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광케이블을 슬립링에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광케이블을 적용한 슬립링은 그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송효율이 뛰어나고 크기와 무게가 작은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합공을 가지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삽입공을 가지는 회전브라켓,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회전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회전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삽입공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고정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공은 한쪽에 상기 회전케이블이 삽입되고, 다른 쪽에 상기 고정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이 틈새 없이 연결되는 광접합액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중앙이 개방되어 있는 접합공간을 가지고, 상기 접합공간이 구획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가 설치되는 삽입공을 가지는 격벽, 및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이 위치하는 안치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격벽공에 삽입되어 있는 어댑터 몸체, 상기 어댑터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몸체가 삽입되는 회전삽입홈을 가지는 회전삽입부 및 상기 어댑터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가 삽입되는 고정삽입공을 가지는 고정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은 한쪽 끝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의 일측이 지지되는 돌기, 상기 회전삽입공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몸체가 위치하는 거치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턱에 위치하는 거치돌기를 가지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커넥터의 내부에는 회전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삽입되는 커버 삽입공을 가지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상기 커버가 고정되는 커버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에 위치하여 상기 베어링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결합홈을 가지는 고정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커넥터의 내부에는 고정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바깥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 및 상기 하우징과 고정되는 고정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끝에 광커플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끝에 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끝에 디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에 삽입되는 회전케이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멍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상기 구멍을 통해서 상기 어댑터에 삽입되는 고정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은 대용량의 신호를 전달하면서도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광케이블을 회전하는 물체와 꼬임 없이 신호가 전달되도록 연결 설치하여 신호 전달 효율을 증대하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광케이블이 회전하는 장치에 연결됨에 따라 연결되는 장치를 소형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은 회전하는 물체와 광선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에 광케이블을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광케이블은 광선 신호가 전달되는 접합부분에 광선 신호의 굴절율과 동일한 액상의 광접합액층을 구비하며, 광접합액층은 광케이블의 접합부분에서 발생하는 광선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 함에 따라 신호 전달효율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은 CCTV, 각종 검사장비, 인덱스 장비 및 로보트 등의 회전되는 장치에 광케이블을 슬립링으로 꼬임 없이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회전되는 장치의 신호 전달효율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은 광케이블이 연결되도 록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의 끝에 광커플러를 연결 설치하여 광케이블에서 전달되는 광선 신호는 동일한 신호를 묶음 단위로 연결된 광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음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슬립링은 광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의 끝에 멀티플렉서를 연결 설치하여 광케이블에서 전달되는 광선 신호는 하나의 선에서 다양한 종류의 신호 전송이 가능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슬립링은 광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의 끝에 디멀티플렉서를 연결 설치하여 광케이블에서 전달되는 광선 신호는 하나의 선에서 다양한 종류의 신호 전송이 가능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슬립링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 고,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케이블 슬립링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100)은 하우징(110), 어댑터(120), 회전지지부(130), 회전부(140), 고정브라켓(150), 고정부(160) 그리고 광접합액층(17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접합 공간(111)을 가지고, 접합 공간(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삽입공(113)을 가지는 격벽(112), 및 접합 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치턱(114)을 포함한다.
이런, 격벽(112)은 접합 공간(111)의 중앙으로 설치되어 개방된 접합 공간(111)의 상부와 하부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한다.
어댑터(120)는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에 접합공(122)을 가지는 어댑터 몸체(121), 어댑터 몸체(121)의 상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삽입홈(124)을 가지는 회전삽입부(123), 어댑터 몸체(121)의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삽입홈(126)을 가지는 고정삽입부(125)를 포함한다.
접합공(122)은 어댑터 몸체(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삽입홈(124)과 고정삽입홈(126)을 연결한다.
회전지지부(130)는 접합 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회전삽입공(132)을 가지는 회전 브라켓(131), 접합 공간(111)과 회전 브라켓(13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135), 하우징(110)의 상부에 커버결합체(138)로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에 회전 브라켓(131)이 삽입되는 커버삽입공(137)을 가지는 커버(136)를 포함한다.
베어링(135)은 접합 공간(111)에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회전 브라켓(131)이 삽입되어 있어, 접합 공간(111)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135)이 삽입되어 있는 회전 브라켓(131)의 회전을 지지한다.
베어링(135)은 접합 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치턱(114)에 바깥 둘레의 하부가 삽입 설치된다.
회전 브라켓(131)은 하부에 바깥 둘레로 돌출되는 회전돌기(134)가 형성되어 있어, 베어링(135)에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접합 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치턱(114)에 베어링(135)을 설치하고, 베어링(135)의 안쪽의 하부면을 회전돌기(134)에 지지되면서 회전 브라켓(131)이 삽입 설치된다.
이렇게, 안치턱(114)에 설치된 베어링(135)에 회전 브라켓(131)을 삽입 설치하여 접합 공간(111)에 회전 브라켓(131)이 회전 지지하도록 베어링(135)이 설치된다.
회전 삽입공(132)은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부(140)가 거치되는 거치턱(133)이 형성된다.
커버(136)는 회전 브라켓(131)이 삽입되어 있는 커버삽입공(137)을 가지고, 커버결합체(138)로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상부에 커버(136)를 설치하여 접합 공간(111)에 위치 하고 있는 회전브라켓(131)과 베어링(135)의 상부가 지지된다.
회전부(140)는 회전삽입공(132)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회전몸체(141), 회전몸체(141)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삽입홈(124)에 삽입되는 회전커넥터(142), 회전몸체(141)와 회전커넥터(14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합공(122)에 삽입되는 회전케이블(144)을 포함한다.
회전몸체(141)는 하부에 바깥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거치돌기(143)가 형성되어 있어, 거치돌기(143)는 회전삽입공(13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거치턱(133)에 거치되어 회전몸체(141)가 회전 삽입공(143)의 하부에 지지된다.
회전케이블(144)은 일측이 회전하는 물체(미도시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접합공(122)에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되는 물체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고, 전달된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물체로 정의한다.
따라서, 회전되는 물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케이블(144)이 회전되면 회전커넥터(142)와 회전몸체(141)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회전몸체(141)는 회전삽입공(132)에 회전 브라켓(131)과 함께 회전된다.
회전 브라켓(131)은 베어링(135)에 지지된 상태로 접합 공간(111)의 내부에서 회전되고, 회전 브라켓(131)과 연동되는 회전몸체(141)도 함께 회전된다.
또한, 회전몸체(14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커넥터(142) 및 회전몸체(141)와 회전커넥터(142)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합공(122)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케이블(144)도 베어링(135)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브라켓(131)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케이블(144)이 내부에 위치한 회전몸체(141)가 베어링(135)에 지지되는 회전 브라켓(131)과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회전케이블(144)의 꼬임 없이 회전된다.
고정브라켓(150)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고정결합체(152)로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으로 고정삽입공(113)을 가진다.
또한, 고정브라켓(150)은 바깥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153)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홈(153)은 광케이블용 슬립링(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형성된다.
고정부(160)는 고정삽입홈(126)에 삽입되어 있으며, 고정삽입홈(126)에 삽입되는 고정커넥터(161), 고정커넥터(16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합공(122)에 삽입되는 고정케이블(162)을 포함한다.
이런, 고정케이블(162)은 접합공(122)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케이블(144)과 접속되어 고정케이블(162)과 회전케이블(144) 사이에 신호가 전달된다.
광접합액층(170)은 접합공(122)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케이블(144)과 고정케이블(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케이블(144)과 고정케이블(162)에 전달되는 광신호의 단락 및 산란을 방지하도록 광신호와 동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액체의 층으로 형성된다.
광접합액층(170)은 회전되는 회전케이블(144)과 고정되어 있는 고정케이블(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회전에 의해 광신호의 전달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 형태로 회전케이블(144)과 고정케이블(162)이 틈새 없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광접합액층(170)을 이루는 액체는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광분산을 막기 위해서 광신호의 굴절율과 같은 글리세린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슬립링에 다양한 연결구조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살펴본다.
도 5는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광커플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멀티플렉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디멀티플렉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10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광케이블용 슬립링(100)의 하우징(110), 어댑터(120), 회전지지부(130), 회전부(140), 고정브라켓(150), 고정부(160) 그리고 광접합액층(170)의 구성요소와 그 결합관계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양한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회전케이블(144)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커넥터(142)의 하부 끝에 회전광커플러(145)를 더 구비하고, 고정케이블(162)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커넥터(161)의 상부 끝에 고정광커플러(163)를 더 구비하여 어댑터 몸체(121)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케이블(144)과 고정케이블(162)이 상호 신호가 전달 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이런, 회전광커플러(145)와 고정광커플러(163)는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을 묶음 형태로 연결하여 동일한 신호가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을 통해서 전송됨으로써, 신호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회전커넥터(142)와 고정커넥터(161)에 각각 신호의 전달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회전광커플러(145)와 고정광커플러(163)을 설치하여 동일한 신호의 전달 효율을 증대하도록 한다.
도 5을 참고하면, 회전케이블(144)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커넥터(142)의 하부 끝에 회전멀티플렉서(146)를 더 구비하고, 고정케이블(162)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커넥터(161)의 상부 끝에 고정멀티플렉서(164)를 더 구비하여 어댑터 몸체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케이블(144)과 고정케이블(162)이 상호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멀티플렉서(Multiplexer)는 복수 입력신호 중의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선택,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회로 또는 소자로서 데이터 셀렉터(Data Selector)라고도 한다.
따라서, 회전커넥터(142)와 고정커넥터(161)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회전멀티플렉서(146)와 고정멀티플렉서(164)의 작용에 의해 복수의 입력신호와 선택되는 출력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회전케이블(144)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커넥터(142)의 하부 끝에 회전디멀티플렉서(147)를 더 구비하고, 고정케이블(162)이 내부에 설 치되어 있는 고정커넥터(161)의 상부 끝에 고정디멀티플렉서(165)를 더 구비하여 어댑터 몸체(121)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케이블(144)과 고정케이블(162)이 상호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는 1개의 입력신호를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복수의 출력신호 단자 중의 1개로 구분하는 기능을 가진 회로 또는 소자이다.
따라서, 회전커넥터(142)와 고정커넥터(161)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회전디멀티플렉서(147)와 고정디멀티플렉서(165)의 작용에 의해 하나의 입력신호와 선택되는 출력신호 단자를 부분하는 기능에 의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광케이블 슬립링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광커플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멀티플렉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의 광케이블용 슬립링에 디멀티플렉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립링 110 : 하우징
111 : 접합 공간 112 : 격벽
113 : 삽입공 114 : 안치턱
120 : 어댑터 121 : 어댑터 몸체
122 : 접합공 123 : 회전삽입부
124 : 회전 삽입홈 125 : 고정삽입부
126 : 고정 삽입홈 130 : 회전지지부
131 : 회전브라켓 132 : 회전삽입공
133 : 거치턱 134 : 회전돌기
135 : 베어링 136 : 커버
137 : 커버삽입공 138 : 커버결합체
140 : 회전부 141 : 회전몸체
142 : 회전커넥터 143 : 거치돌기
144 : 회전케이블 145 : 회전광커플러
146 : 회전멀티플렉서 147 : 회전디멀티플렉서
150 : 고정브라켓 151 : 고정삽입공
152 : 고정결합체 153 : 결합홈
160 : 고정부 161 : 고정커넥터
162 : 고정케이블 163 : 고정광커플러
164 : 고정멀티플렉서 165 : 고정디멀티플렉서
170 : 광접합액층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합공을 가지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삽입공을 가지는 회전브라켓,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회전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회전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삽입공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고정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공은
    한쪽에 상기 회전케이블이 삽입되고, 다른 쪽에 상기 고정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2. 제1항에 있어,
    상기 회전 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이 틈새 없이 연결되는 광접합액층을 더 구비하는 광케이 블용 슬립링.
  3. 제2항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중앙이 개방되어 있는 접합공간을 가지고, 상기 접합공간이 구획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가 설치되는 삽입공을 가지는 격벽, 및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이 위치하는 안치턱
    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4. 제3항에 있어,
    상기 어댑터는
    상기 격벽공에 삽입되어 있는 어댑터 몸체,
    상기 어댑터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몸체가 삽입되는 회전삽입홈을 가지는 회전삽입부 및
    상기 어댑터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가 삽입되는 고정삽입공을 가지는 고정삽입부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5. 제4항에 있어,
    상기 회전브라켓은
    한쪽 끝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의 일측이 지지되는 돌기,
    상기 회전삽입공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몸체가 위치하는 거치턱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6. 제5항에 있어,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턱에 위치하는 거치돌기를 가지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삽입홈에 삽입되는 회전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커넥터의 내부에는 회전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7. 제6항에 있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삽입되는 커버 삽입공을 가지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상기 커버가 고정되는 커버결합체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끝에 위치하여 상기 베어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8. 제7항에 있어,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결합홈을 가지는 고정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커넥터의 내부에는 고정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광케이블 슬립링.
  9. 제8항에 있어,
    상기 고정브라켓은
    바깥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 및
    상기 하우징과 고정되는 고정결합체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10. 제8항에 있어
    상기 회전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끝에 광커플러를 더 구비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11. 제8항에 있어
    상기 회전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끝에 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12. 제8항에 있어
    상기 회전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의 끝에 디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하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에 삽입되는 회전케이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멍을 가지는 고정브라켓,
    상기 구멍을 통해서 상기 어댑터에 삽입되는 고정케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회전케이블과 상기 고정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삽입되어 있는 광케이블용 슬립링.
KR1020080101244A 2008-10-15 2008-10-15 광케이블용 슬립링 KR20100042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244A KR20100042106A (ko) 2008-10-15 2008-10-15 광케이블용 슬립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244A KR20100042106A (ko) 2008-10-15 2008-10-15 광케이블용 슬립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106A true KR20100042106A (ko) 2010-04-23

Family

ID=4221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244A KR20100042106A (ko) 2008-10-15 2008-10-15 광케이블용 슬립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1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835A (ko) * 2012-11-27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KR101504092B1 (ko) * 2012-08-30 2015-03-19 주식회사 유나이브 플라스틱 광섬유 기반의 광 슬립링
KR20150086454A (ko) * 2015-07-08 2015-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KR20150120903A (ko) * 2015-10-01 2015-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KR20160040494A (ko) * 2016-03-28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
KR20200145310A (ko) * 2019-06-21 2020-12-30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광학 영상 센싱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324301B1 (ko) * 2021-04-29 2021-11-09 오현규 광 슬립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92B1 (ko) * 2012-08-30 2015-03-19 주식회사 유나이브 플라스틱 광섬유 기반의 광 슬립링
KR20140075835A (ko) * 2012-11-27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KR20150086454A (ko) * 2015-07-08 2015-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KR20150120903A (ko) * 2015-10-01 2015-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KR20160040494A (ko) * 2016-03-28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통신 모듈
KR20200145310A (ko) * 2019-06-21 2020-12-30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광학 영상 센싱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324301B1 (ko) * 2021-04-29 2021-11-09 오현규 광 슬립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0161B2 (en) Fiber optic/electrical connection system
KR20100042106A (ko) 광케이블용 슬립링
US8406587B2 (en) Quad small form factor pluggable (QSFP) adapter module
US8472767B2 (en) Fiber optic cable and fiber optic cable assembly for wireless access
US76413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directional fiber optic connection
JP4322276B2 (ja) 携帯電話機および電子機器
US20090003777A1 (en) Connection device with a cable gland having housing parts enabling relative movement therebetween
CN215986611U (zh) 多媒体连接器线缆以及线缆组件
WO2008124692A1 (en) Electrical device with electrical interface that is compatible with optical cables
JPH06242354A (ja) 光ファイバ相互接続装置
US20150260934A1 (en) Opto-electrical connection systems including opto-electrical cables providing configurable connectivity between electrical devices having electrical interfa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CN102385114A (zh) 用于容纳混合式连接器部分和光纤连接器部分的适配器
NL2007805C2 (en) Multipurpose fiber termination unit.
US20050161245A1 (en) Home and building information system
US20170068061A1 (en) Detachable high-speed transmission cable and module thereof
CN213633919U (zh) 用于混合光纤连接和电连接的易于拆卸的连接系统
KR20180129442A (ko) 소형 세대용 광분배함
AU2018101542A6 (en) Hybrid connector
KR20190000408U (ko) 연결 케이블
WO2015066185A1 (en) Fiber optic splice closure
KR102501616B1 (ko) 운송 수단용 광커넥터
JP3967702B2 (ja) 分離型メディアコンバータ
US7315668B1 (en) Optical coupling with a test port
JP2007225690A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システム、該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システムにおける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が敷設される住宅ユニット、及び、該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方法
JP2022034196A (ja) 多チャンネル(ch)双方向光ファイバ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FOR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