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659A - Easily ejectable, and easily distinguishable plug - Google Patents
Easily ejectable, and easily distinguishable plu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1659A KR20100041659A KR1020090030395A KR20090030395A KR20100041659A KR 20100041659 A KR20100041659 A KR 20100041659A KR 1020090030395 A KR1020090030395 A KR 1020090030395A KR 20090030395 A KR20090030395 A KR 20090030395A KR 20100041659 A KR20100041659 A KR 201000416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plug body
- lever
- outlet
- electr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콘센트(Outlet)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한편, 플러그가 사용되는 해당 전기/전자기구에 대한 식별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plug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n electrical outlet, while provid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for a corresponding electrical /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plug is used. will be.
통상적으로 각종 전기/전자기구의 전원 공급이나 차단은 콘센트(Outlet)에 플러그를 접속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처럼 전기/전자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플러그는 수시로 콘센트에 접속되거나 콘센트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므로 사용상 편의를 위해 플러그는 쉽고 간편하게 콘센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ypically, power supply or disconnection of various electric / electronic appliances is achieved b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plug to an outlet. As such, in using the electric / electronic apparatus, the plug must be connected to the outlet or separated from the outlet from time to time, and for convenience of use,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lug can be easily and simply separated from the outlet.
그러나, 플러그 제조업체들은 플러그와 콘센트간 일정기준(KS 규격은 2㎏임)의 체결력을 충족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체결력을 갖도록 플러그를 제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때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로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방치는 대기/소비 전력의 손실을 유발한다.However, plug manufacturers typically manufacture plugs with a clamping force far above the criterion in order to meet the clamping force of a certain standard (KS specification is 2 kg) between the plug and the outlet. Accordingly, users are inconvenient to apply more force than necessary when disconnecting the plug from the outlet. In addition, due to such inconvenience, most users are left with their plugs connected to the outlets. Such neglect causes loss of standby / consumption power.
한국등록특허 제0707690호, 한국공개특허 제2006-110470호, 한국공개특허 제2005-69851호 등에는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0707690, Korean Laid-Open Patent No. 2006-110470, Korean Laid-Open Patent No. 2005-69851 and the like disclose a plug for solving such problems.
한국등록특허 제0707690호에 의하면, 플러그는 별도 설치되는 버튼의 가압 시 제공되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콘센트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취출 방식의 플러그는 취출 스프링의 탄성 작용력 결정이 어렵고, 플러그 삽입시 많은 힘이 필요하며,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0707690, the plug may be automatically taken out from the outle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when the button is separately installed. However, the plug of the automatic extraction method may have the elastic action force of the extraction spring. Determination is difficult, a lot of force is required when inserting the plu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not easy to manufacture.
한국공개특허 제2006-110470호에 의하면, 플러그는 지렛대 운동을 수행하는 결속 밀대에 의해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플러그는 결속 밀대의 일부가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면에 위치하여 단자부와 접지부 등의 간섭으로 인해 국내외 표준이나 규격을 만족시키기가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며, 누전 등의 위험이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6-110470, the plug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let by a binding push rod that performs the lever movement. However, this plug is difficult to mee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or standards due to interference of the terminal and the grounding part, because a part of the binding rod is located on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outlet and the plug,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risk of leakage.
한국공개특허 제2005-69851호에 의하면 콘센트쪽으로 푸쉬부를 전진시키기 위해 가압부에 강한 힘을 가해주어야 하므로 작용력의 이익이 적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69851, since a strong force must be applied to the pusher to advance the pusher toward the outle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force is small and the use is inconvenient.
그밖에, 손가락을 끼워 당길 수 있는 당김고리 일체형의 플러그도 있으나 외형이 지나치게 크고 작용력의 이익이 적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ull-integral plug that can be pulled fingers,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appearance is too large and the benefit of the force is less.
한편, 플러그와 결합을 이루는 콘센트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플러그 연결구를 구비한 멀티탭 형태로 제공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전기/전자기구들에 사용되는 플 러그들은 정해진 규격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전자기기가 어떤 제품인지를 직관적으로 구분하기가 어려워 오작동을 하거나,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the outlet is coupled to the plug is typic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multi-tap having a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However, since the plugs used in most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r very similar shap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distinguish which products are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outlet, It is often left untouched.
대안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58997호에서는 플러그의 식별을 위해 전선코드에 부착되는 플러그 식별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플러그 식별표는 사용자가 이를 일일이 전선코드에 부착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전선코드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전선코드로부터 플러그 식별표가 쉽게 손망실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Alternativel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558997 discloses a plug identification table attached to the wire cord for identification of the plug. However, the plug identification table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user has to attach it to the wire cord individually, and there is a vulnerability that the plug identification tag can be easily lost from the wire cord due to friction with an adjacent wire cor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플러그를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lug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detaching the plug on the principle of a lever by applying a force in a direction of separating the plug from the outle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전기/전자기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표시부가 플러그 자체에 형성될 수 있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plug that can be formed on the plug itself identification indicator for distinguishing the electrical / electronic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는, 적어도 한 쌍의 콘센트 삽입용 단자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중심축을 기준으로 일편에 위치하는 제1 레버몸체부와 타편에 위치하는 제2 레버몸체부를 갖는 탈거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몸체부를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방으로 젖히는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2 레버몸체부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전방으로 회동되어 콘센트의 외부면에 작용 가능한 지렛대의 힘(Leverage)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ical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body having at least one pair of outlet pins inserted into the outlet protruding forward; And a stripping operation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plug body and having a first lever body portion positioned at one side and a second lever body portion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pivot center axis. The second lever body portion is pivoted forward of the plug body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flipping the rear of the plug body to provide leverage of the lever that can ac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상기 탈거조작레버는, 상기 플러그 본체에 있어서 콘센트와 결합되는 몸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편에 상기 제1 레버몸체부의 단부가 위치하고, 타편에 상기 탈거조작레버의 회동중심축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the end of the first lever body portion is locat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outlet in the plug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전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미에 구비되어 전선을 감싸서 보호하는 연결코드꺾임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몸체부의 단부는 상기 회동중심축과 상기 연결코드꺾임완충부 사이의 구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 plug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cord bending buffer uni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ug body to wrap and protect the wire, and the end of the second lever body portion rotates in a section between the pivot center shaft and the connection cord bending buffer unit.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as possible.
상기 탈거조작레버의 제1 레버몸체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면부를 덮는 캡(Cap)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lever body portion of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may be provided in a cap structure covering the rear portion of the plug body.
상기 캡 구조의 평탄면에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기/전자기구의 식별을 위한 식별표시영역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identification display area for identifying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is provid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cap structure.
대안으로, 상기 제1 레버몸체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면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리나 바(Bar)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회동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lever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or bar installed to surround the rear portion of the plug body, and may be installed to be guided by a corresponding rotation guide.
상기 플러그 본체에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기/전자기구의 식별을 위한 식별표시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The plug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display area for identifying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상기 회동중심축이 위치하는 지점의 플러그 본체 양측면에는 상호 대칭을 이 루는 한 쌍의 체결홈(또는 체결돌기)이 형성되고, 상기 탈거조작레버에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체결홈(또는 체결돌기)에 끼워지는 체결돌기(또는 체결홈)가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fastening grooves (or fasten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g body at the point where the pivot center axis is located, and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groove (or fastening protrusion) of the plug body. A fastening protrusion (or fastening groove) to be fitted may be formed.
상기 탈거조작레버는 상기 회동중심축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를 가로지르는 체결핀에 의해 상기 플러그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may be coupled to the plug body by a fastening pin that crosses the plug body at the point where the pivot center axis is located.
상기 탈거조작레버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방으로 젖혀졌을 때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is restored when it is folded backward of the plug body.
상기 전기 플러그는 상기 단자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접촉시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plug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display lamp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ug main bod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in to display an energized state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outlet.
상기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와의 접속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접속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표시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와, 상기 플러그 본체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이 위치한 면으로 상기 가동부재의 일단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와 콘센트간의 체결시 상기 가동부재가 푸싱되어 타단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 plug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nection state with the outlet. The connection display part includes a movable member slidably installed in the plug main body,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movable member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plug main body to the surface where the terminal pin is loc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member is pushe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outlet is performed so that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lug bod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콘센트 삽입용 단자핀;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면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면부와 대향하는 평탄면을 갖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평탄면에 형성되어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기/전자기구에 대한 식 별기능을 제공하는 식별표시부;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lug body; At least one pair of outlet pins for protruding forward of the plug body; A cap member coupled to cover a rear portion of the plug body and having a flat surface facing the rear portion of the plug body; And an identification display unit formed on a flat surface of the cap member and provid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for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콘센트 삽입용 단자핀; 및 상기 플러그 본체에 형성되어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기/전자기구에 대한 식별기능을 제공하는 식별표시부;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lug body; At least one pair of outlet pins for protruding forward of the plug body; And an identification display unit formed on the plug body and provid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for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탈거조작레버를 젖힘으로써 탈거조작이 이루어지므로 적은 힘으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로 방치하는 일이 줄어들게 되므로 대기/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ipp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wetting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the plug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let with little force. Therefore, the work of leaving the plug coupled to the outlet is reduced, thereby reducing standby /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플러그의 제조, 납품 단계에서 플러그 자체에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식별 문구나 광고 이미지 등이 표기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기기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전기/전자기구 제조업체에서는 특정 브랜드나 제품의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phrase or advertisement image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 electronic products may be displayed on the plug itself in the manufacture and delivery of the plu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In addition, manufacturers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can benefit from the promotion of specific brands or produc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본체에 마련된 동작표시램프나 접속표시부를 통해 플러그의 통전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plug is energized through the operation display lamp or the connection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lug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플러그는 플러그 본체(100)와, 플러그 본체(100)의 뒷부분에 결합된 탈거조작레버(2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electric plug includes a
플러그 본체(100)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몸체부(102)와, 몸체부(10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콘센트 삽입용 단자핀(101)을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1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국내외의 각종 표준과 규격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형상(예컨대, 일자형, 원통형, 사각형 등)으로 변형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플러그 본체(100)는 통상의 AC-DC 아답터의 본체 케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AC-DC 아답터는 본체 케이스의 일면에 적어도 한 쌍의 콘센트 삽입용 단자핀이 돌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본체 케이스가 곧 플러그 본체라고 할 수 있다.The
탈거조작레버(200)는 플러그 본체(1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중심축(CR)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레버몸체부(200a) 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레버몸체부(200b)로 구분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탈거조작레버(200)의 제1 레버몸체부(200a)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면부(103)를 덮는 외부 평탄면(202)을 갖는 캡(Cap) 구조로 이루어진다. 캡 구조의 평탄면(202)에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해당 전기/전자기구의 식별을 위한 문구를 비롯하여 광고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식별표시부가 형성된다.The firs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조작레버(200')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면부(10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면부(103)를 둘러싸는 실질적인 고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표시부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면부(103)에 형성된다. 플러그 본체(100)가 통상의 일자형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표시부는 플러그 본체(100)의 한쪽 평면부에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조작레버(200)에 있어서 제2 레버몸체부(200b)의 단부는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300) 간의 결합 시 콘센트(300)의 외부면 상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레버몸체부(200a)를 플러그 본체(100)의 후방, 즉 단자핀(101)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젖히는 조작에 연동하여 제2 레버몸체부(200b)의 단부가 플러그 본체(100)의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콘센트(300)의 외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지렛대의 힘(Leverage)을 제공하게 된다. 탈거조작레버(200)를 하나의 지렛대로 간주할 때, 제1 레버몸체부(200a)의 단부(이하, '조작부'라 함)(201)는 힘점, 회동중심축(CR)은 받침점, 제2 레버몸체부(200b)의 단부는 작용점을 제공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탈거조작레버(200)를 플러그 본체(100)의 후방으로 젖히는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레버몸체부(200a)의 조작부(201)에는 손가락 끝을 끼울 수 있는 요입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onveniently perform the operation of flipping the
플러그 본체(100)에 있어서 콘센트(300)와 착탈결합을 이루는 몸체부(102)의 중심선(CB)을 기준으로 할 때, 지렛대의 힘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제1 레버몸체부(200a)의 조작부(201)는 중심선(CB)의 일편에 위치하고, 탈거조작레버(200)의 회동중심축(CR)은 중심선(CB)의 타편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적은 힘을 들여 탈거조작레버(200)를 젖힐 수 있도록 회동중심축(CR)으로부터 제2 레버몸체부(200b)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회동중심축(CR)으로부터 제1 레버몸체부(200a)의 조작부(201)까지의 길이에 비해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Based on the center line C B of the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제2 레버몸체부(200b)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미 쪽에 구비되어 전기코드(1)를 감싸서 보호하는 연결코드꺾임완충부(106)와 회동중심축(CR) 사이의 구간(S)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레버몸체부(200b)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미 양측면에서 대칭 구조를 이루고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균형있는 지렛대의 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레버몸체부(200b)의 단부 연결 부분은 인접 플러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연결코드꺾임완충부(106)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view of the above, the second
플러그 본체(100)와 탈거조작레버(200) 간의 회동 결합이 가능하도록, 플러 그 본체(100)에 있어서 회동중심축(CR)이 위치하는 지점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체결홈(105)이 형성되고, 탈거조작레버(200)에는 체결홈(105)과 억지끼움 가능한 체결돌기(203)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플러그 본체(100)에 체결돌기(203)가 형성되고 탈거조작레버(200)에 체결홈(105)이 형성되도록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으로는, 플러그 본체(100)에 후미 부분을 가로지르는 체결핀(미도시)이 마련되고, 이 체결핀에 탈거조작레버(200)가 연결됨으로써 플러그 본체(100)와 탈거조작레버(200) 간에 회동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 pair of fastening grooves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point where the pivot center axis C R is located in the plug
사용상 편의를 위해 탈거조작레버(200)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방으로 젖혀졌을 때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Bias)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플러그 본체(100)의 몸체부(102)와 후면부(103)가 이웃하는 부분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도 5의 104 참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탈거조작레버(200)의 내부면에도 경사면(도 5의 200a 참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탈거조작레버(200)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호 면접촉 상태에 놓여 있던 플러그 본체(100)의 경사면(104)과 탈거조작 레버의 내부 경사면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외력의 해제시 탈거조작레버(200)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플러그 본체(100)의 몸체부(102)와 탈거조작레버(200)는 소정의 적정 탄력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ase of use, the
대안으로, 탈거조작레버(200)에는 탄성편이나 코일 스프링이 구비된 체결핀(미도시)이 커플링되어 탄성적인 회동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다른 대안으로는, 정위치로부터 편심된 회동중심축(CR')이 부여되도록 체결돌기(203)의 위치를 변경하여 탈거조작레버(200)에 탄성적인 회동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부가적으로, 플러그 본체(100)에는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접속표시부(150)가 구비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표시부(150)는 플러그 본체(10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Rod) 형상의 가동부재(151)와, 단자핀(101)이 위치한 면으로 가동부재(151)의 하단을 돌출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15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본체(100)와 콘센트(300) 간의 체결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151)가 축방향으로 푸싱(Pushing)되어 그 상단이 플러그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를 통해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접속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도 7에는 도 4의 결합 상태에서 전기 플러그를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탈거조작레버(200)를 플러그 본체(100)의 후방으로 젖히는 조작에 의해 제2 레버몸체부(200b)의 단부가 콘센트(300)의 외부면을 가압하여 지렛대의 힘을 제공하게 되고, 이때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300) 간에 발생하는 반작용력에 의해 플러그 본체(100)의 몸체부(102)가 콘센트(300)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탈거조작레버(200)를 젖히는 방향은 콘센트(300)로부터 전기 플러그가 분리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조작이 편리하고 지렛대의 힘을 사용하므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플러그를 탈거시킬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 process of removing the electric plug in the engaged state of FIG. 4. Referring to FIG. 7, the end of the second
한편, 플러그 본체(100)의 일측에는 플러그의 통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동 작표시램프(107)가 바람직하게 장착된다. 동작표시램프(107)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코드(1)에 연결된 단자핀(101)에 대하여 소정의 부하(108)를 매개로 병렬 접속되어 통전상태 시 점등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표시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단자핀(101)과 동작표시램프(107) 사이에는 소정의 스위치(109)가 직렬 접속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plu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전기 플러그는 탈거조작레버(200)를 이루는 평탄면(202) 또는 플러그 본체(100)의 후면부(103)에 의해 식별표시부가 제공된다. 이 식별표시부에는 도 9의 (a)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에 연결되는 해당 전기/전자기구의 식별을 위한 문구가 인쇄되고, 이와 더불어 특정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한 광고 이미지나 로고가 인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plug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ark by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plu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plug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outlet.
도 5는 플러그 본체와 탈거조작레버가 탄성적으로 회동 복원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g body and the stripping operation lever are elastically rotatable and coupled.
도 6은 플러그 본체에 구비되는 접속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display portion provided in the plug body.
도 7은 도 4에서 콘센트로부터 전기 플러그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n electric plug from an outlet in FIG. 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 구비되는 동작표시램프의 구성예를 나타낸 결선도이다.8 is a connec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operation display lamp provided in the electric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 구비되는 식별 문구 및 광고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dentification phrase and an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in the electric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100: 플러그 본체 101: 단자핀100: plug body 101: terminal pin
105: 체결홈 106: 연결코드꺾임완충부105: fastening groove 106: connection cord bent buffer
107: 동작표시램프 150: 접속표시부107: operation display lamp 150: connection display
200,200': 탈거조작레버 203: 체결돌기200,200 ': Removing operation lever 203: fastening protrusion
300: 콘센트 CR,CR': 회동중심축300: outlet C R , C R ' : center of rotation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770A KR101162435B1 (en) | 2008-10-14 | 2010-04-05 | Easily distinguishable, ejectable and easily operating plu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100547 | 2008-10-14 | ||
KR1020080100547 | 2008-10-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1659A true KR20100041659A (en) | 2010-04-22 |
Family
ID=422173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0395A KR20100041659A (en) | 2008-10-14 | 2009-04-08 | Easily ejectable, and easily distinguishable plug |
KR1020100030770A KR101162435B1 (en) | 2008-10-14 | 2010-04-05 | Easily distinguishable, ejectable and easily operating plug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0770A KR101162435B1 (en) | 2008-10-14 | 2010-04-05 | Easily distinguishable, ejectable and easily operating plu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0004165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9383B1 (en) * | 2012-11-23 | 2014-07-02 | 곽수지 | Power plug for electric machine |
KR20190000971U (en) | 2017-10-17 | 2019-04-25 | (주)월드코리아 | electrical outlet for plugging out with a lam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13815A1 (en) * | 2012-12-27 | 2014-07-15 | Johannes Höfler | power plug |
KR102695046B1 (en) * | 2022-01-25 | 2024-08-14 | 대한민국 | Plug aid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98402B2 (en) * | 2002-07-02 | 2008-12-17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Electric equipment recognition system |
-
2009
- 2009-04-08 KR KR1020090030395A patent/KR20100041659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0
- 2010-04-05 KR KR1020100030770A patent/KR10116243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9383B1 (en) * | 2012-11-23 | 2014-07-02 | 곽수지 | Power plug for electric machine |
KR20190000971U (en) | 2017-10-17 | 2019-04-25 | (주)월드코리아 | electrical outlet for plugging out with a la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2435B1 (en) | 2012-07-04 |
KR20100112081A (en) | 2010-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0510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arc discharge in separated plug type of home electric appliances cord type of hair drier | |
US7008246B2 (en) | Electric plug with replaceable head unit | |
US7547219B2 (en) | Electrical safety adaptor with replaceable head unit | |
US8840419B2 (en) |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tab operating mechanism | |
CN101394044B (en) | Anti-loos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plug | |
US10944195B1 (en) |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 |
JP6306746B2 (en) | Easy to separate power plug and power plug adapter | |
US20160248175A1 (en) | Push button power poke home connector | |
KR20100041659A (en) | Easily ejectable, and easily distinguishable plug | |
US20060030188A1 (en) | Safety plug allowing unplugging with one hand | |
CN201051571Y (en) | An ejection belt cover protection plug | |
CN112234397B (en) | Terminal wire | |
KR101796200B1 (en) | Plug which is Easily Separable from the Socket | |
KR100986197B1 (en) | Plug | |
KR101567654B1 (en) | Power plug | |
CN213399237U (en) | Power supply tail wire connecting and fixing structure and hairstyle processor | |
CN211182748U (en) | Replaceable plug structure | |
CN209298397U (en) | The electric wire plug assembly of socket | |
TWM339820U (en) | Power adapter | |
KR20190000971U (en) | electrical outlet for plugging out with a lamp | |
KR200239704Y1 (en) | plug | |
CN109449720B (en) | Veneer pulling-out device | |
CN219535006U (en) | Power plug capable of being plugged and pulled by one hand | |
JP2012099377A (en) | Power-supply device, ac plug, power-supply device main body, and power-supply device unit | |
CN216251275U (en) | Plug convenient to plug and unplu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