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382A -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382A
KR20100041382A KR1020080100540A KR20080100540A KR20100041382A KR 20100041382 A KR20100041382 A KR 20100041382A KR 1020080100540 A KR1020080100540 A KR 1020080100540A KR 20080100540 A KR20080100540 A KR 20080100540A KR 20100041382 A KR20100041382 A KR 2010004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guide film
resin composition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382A/ko
Publication of KR2010004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플렉서블한 광가이드 필름; 및 광가이드 필름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며, 광가이드 필름은 광원과 인접하는 입광부; 입광부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출광부; 및 입광부 및 출광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광가이드, 필름, LGF, wedge

Description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METHOD OF FABRICATING LIGHT GUIDE FILM AND BACKLIGHT UNIT USING THEREOF}
실시예는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LCD, PDP 및 AMO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표시장치들 중 플렉서블(flexible)한 LCD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LCD는 광을 효율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광가이드 필름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플렉서블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휘도를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및 향상된 입광 효율을 가지는 광가이드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플렉서블한 광가이드 필름; 및 상기 광가이드 필름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상기 광원과 인접하는 입광부; 상기 입광부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출광부; 및 상기 입광부 및 상기 출광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 1 깊이를 가지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깊이보다 더 작은 제 2 깊이를 가지는 제 2 영역을 금형틀 내측에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플렉서블한 광가이드 필름을 포함하며, 광가이드 필름은 입광부의 두께가 출광부의 두께보다 더 크다. 따라서, 광가이드 필름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입사받을 수 있다.
또한, 출광부의 두께가 입광부의 두께보다 더 작으므로, 광가이드 필름은 효과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한 액정패널을 사용하여,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플 렉서블하면서도, 향상된 휘도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 필름은 금형틀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광가이드 필름은 여러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레이어들의 굴절률이 다르게 조절되어,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레이어, 필름, 부재 또는 기판 등이 각 패널, 레이어, 필름, 부재 또는 기판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광가이드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몰드프레임(10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액정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상기 액정패 널(300)을 수용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플렉서블하며, 상기 몰드프레임(1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고무계 수지 또는 폴리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광을 발생시켜 상기 액정패널(30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반사시트(210), 광가이드 필름(220), 발광다이오드(230) 및 광학시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210)는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상기 반사시트(2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로부터 광을 입사받아, 반사, 굴절 및 산란 등을 통해서 출사한다.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플렉서블(flexible)하다.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입광부(220a), 출광부(220c) 및 경사부(220b)를 포함한다.
상기 입광부(220a)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30)에 인접한다. 상기 입광부(220a)는 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입광부(220a)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는 입사면(224)을 포함한다.
상기 입사면(224)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를 향하며, 상기 입사면(224)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입사받기 위한 프리즘 패턴(225) 등이 형성된다.
상기 출광부(220c)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220a)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출사한다.
상기 출광부(220c)는 상기 입광부(220a)보다 더 작은 두께(T2)를 가진다. 즉, 상기 입광부(220a)는 상기 출광부(220c)보다 더 큰 두께(T2)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입광부(220a)의 두께(T2)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30)의 두께(T3)에 대응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0b)는 상기 입광부(220a) 및 상기 출광부(220c)를 연결한다. 상기 경사부(220b)는 상기 입광부(220a)의 상면 및 상기 출광부(220c)의 상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부(220a), 상기 경사부(220b) 및 상기 출광부(220c)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제 1 레이어(221), 제 2 레이어(222) 및 제 3 레이어(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이어(221)는 상기 액정패널(3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레이어(222)는 상기 제 1 레이어(221)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 3 레이어(223)는 상기 제 2 레이어(222)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 1 레이어(221) 및 상기 제 3 레이어(223)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광 경화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이어(222)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PET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이어(221), 상기 제 2 레이어(222) 및 상기 제 3 레이어(223)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레이어(221)는 상기 제 3 레이어(223)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레이어(221), 상기 제 2 레이어(222) 및 상기 제 3 레이어(223)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산란패턴(226)을 포함한다. 상기 산란패턴(226)은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의 상면 및 바닥면에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산란패턴(226)은 상기 출광부(220c)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레이어(223)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패턴(226)은 입사된 광을 산란시킨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는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의 측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는 상기 입사면(224)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는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상기 광학시트(240)는 상기 출광부(220c)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시트(240)는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픽셀 단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플렉서블하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액정층 및 편광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FT기판은 플렉서블한 제 1 필름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들 및 박막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필터 기판은 플렉서블한 제 2 필름 기판 상 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 패턴 및 컬러필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부(220a)의 두께가 상기 출광부(220c)의 두께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에 효율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입광부(220a)의 두께가 상기 발광다이오드(230)의 두께와 비슷하거나 더 크기 때문에, 상기 발광다이오드(2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대부분이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에 입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향상된 입광 효율을 가지고,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향상된 효율을 가진다.
또한, 상기 출광부(220c)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30)의 두께(T3)에 상관없이 얇은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광부(220c)는 더 잘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향상된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지고,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더 잘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이어(221)의 굴절률이 상기 제 2 레이어(222)의 굴절률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제 2 레이어(222)로부터 상기 제 1 레이어(221)에 입사되는 광은 상방을 향하여 꺽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입사되는 광을 보다 많이 상방을 향하도록 출사한다. 따라서, 즉, 상기 광가이드 필름(220)은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보다 많은 광을 출사한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광가이드 필 름(220)으로부터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서, 향상된 휘도를 가진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금형틀(410) 내측에 제 1 수지 조성물(221a)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금형틀(410)은 제 1 깊이(D1)를 가지는 제 1 영역(410a), 제 2 깊이(D2)를 가지는 제 2 영역(410c) 및 경사진 바닥면(412)을 가지는 제 3 영역(410b)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2 영역(410c)에는 제 1 홈 패턴(4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형틀(410)의 내측면에는 제 1 성형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은 광 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은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은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 상에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PET 필름이 배치된다. 이후,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은 경화되고, 제 1 레이어(221) 및 제 2 레이어(222)가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이 열 가소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에는 열 및/또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 2 금형틀(420) 내측에 제 2 수지 조성물(223a)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금형틀(420)은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금형틀(420)의 바닥면에는 제 2 홈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금형틀(420)의 내측면에는 제 2 성형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223a)은 광 경화 개시제를 포함하고,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221a)은 열 가소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223a) 상에 상기 제 1 레이어(221) 및 상기 제 2 레이어(222)가 배치된다. 이후,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223a)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223a)은 경화된다. 즉, 상기 제 2 레이어(222) 아래에 제 3 레이어(223)가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223a)에 열 및/또는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223a)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성형패턴 및 상기 제 2 성형패턴에 의해서 프리즘 패턴(22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패턴(411) 및 상기 제 2 홈 패턴(421)에 의해서, 산란패턴(226)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 필름(220)은 플렉서블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출광부(220c) 및 상기 출광부(220c)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입광부(220a)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 필름(220)은 플렉서블하면서도 향상된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광가이드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10)

  1. 플렉서블한 광가이드 필름; 및
    상기 광가이드 필름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상기 광원과 인접하는 입광부;
    상기 입광부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출광부; 및
    상기 입광부 및 상기 출광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광 경화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1 레이어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이어는 상기 제 2 레이어보다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2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레이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깊이를 가지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깊이보다 더 작은 제 2 깊이를 가지는 제 2 영역을 제 1 금형틀 내측에 제 1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한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은 광 경화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상에 투명한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금형틀은 내측에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 1 레이어가 형성되고,
    제 2 금형틀 내측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레이어를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 2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보다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광가이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80100540A 2008-10-14 2008-10-14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00041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540A KR20100041382A (ko) 2008-10-14 2008-10-14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540A KR20100041382A (ko) 2008-10-14 2008-10-14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82A true KR20100041382A (ko) 2010-04-22

Family

ID=4221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540A KR20100041382A (ko) 2008-10-14 2008-10-14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3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46A (ko) * 2014-04-08 2015-10-19 레이젠 주식회사 단차가 형성된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0016A (ko) * 2014-06-23 2016-01-04 레이젠 주식회사 양면 임프린팅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9662A (ko) * 2015-01-20 2016-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46A (ko) * 2014-04-08 2015-10-19 레이젠 주식회사 단차가 형성된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0016A (ko) * 2014-06-23 2016-01-04 레이젠 주식회사 양면 임프린팅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9662A (ko) * 2015-01-20 2016-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728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TWI542910B (zh) 光導元件及其製造方法以及顯示元件
JP6200132B2 (ja) 光学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光学シート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100246210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unit
US2008025455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for led package
KR20090117419A (ko) 표시장치
US7468839B2 (en)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ation film employed in the same
US20090040428A1 (en) Lightguide plate, planar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KR20100055155A (ko) 가요성 도광필름을 이용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US20080037272A1 (en) Optical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086784A (ja) 光学板、それ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1295551B1 (ko) 광조절 조립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
KR20090055137A (ko)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20080004138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의도광판 제조 방법
US20150138487A1 (en) Optical member,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435927B2 (en) Guide plat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80064595A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041382A (ko) 광가이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N108603651B (zh) 带有多个光路的光导
US20110134360A1 (en) Illumination unit,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4427718B2 (ja) ライトガイド製造方法
KR101128992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27185A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21171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955B1 (ko) 면광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