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842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842A
KR20100038842A KR1020080097976A KR20080097976A KR20100038842A KR 20100038842 A KR20100038842 A KR 20100038842A KR 1020080097976 A KR1020080097976 A KR 1020080097976A KR 20080097976 A KR20080097976 A KR 20080097976A KR 20100038842 A KR20100038842 A KR 2010003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ference signal
sounding reference
terminal
pow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894B1 (ko
Inventor
한상국
이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8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의 앞과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심볼의 데이터 할당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지연 시간과 상기 데이터 할당 정보를 고려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과 다음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포함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력 설정 시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전력 증폭 시간 지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nce Signal)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을 적용하는 경우, 무선통신시스템은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단위로 전력을 제어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송신 구간 중 TTI 단위로 전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TTI를 구성하는 심볼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100)와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102)에 서로 다른 전력 제어 공식(Power Control Formula)를 적 용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신호의 PUSCH(100)보다 사운딩 기준 신호(102)의 전력 변화(Power variation)가 크도록 전력 제어 공식을 적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 표준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통신시스템은 TTI를 구성하는 PUSCH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변화를 다르게 적용한다. 따라서, 단말은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를 서로 다른 이득으로 증폭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를 서로 다른 이득으로 증폭하는 경우, 단말의 전력 설정 시간(110)에 따라 사운딩 기준 신호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인접한 데이터 심볼에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증폭 이득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설정 지연 시간과 데이터 할당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설정 시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데이터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제어 방법은, 전송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의 앞과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심볼의 데이터 할당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지연 시간과 상기 데이터 할당 정보를 고려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과 다음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포함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설정 지연 시간과 데이터 할당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전력 설정 시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CP(Cyclic Prefix)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무선통신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의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 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구성하는 심볼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에 서로 다른 전력 제어 공식(Power Control Formula)를 적용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PUSCH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변화(Power variation)를 다르게 설정한다. 여기서, 하나의 TTI는 두 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은 전력 설정 시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과 데이터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은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기 전에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의 전력을 목표 전력까지 증폭하기 위한 시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1단계에서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부팅되는 경우, 자신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송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남는 자원을 이용하여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단말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기준 신호의 전력 레벨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설정을 고려하여 상기 기준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203단계에서 확인한 기준 신호의 전력 이득이 1dB 증가하도록 상기 기준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상기 기준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데 소요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205단계에서 기준 신호의 전력 증폭을 시작할 때 카운터를 구동시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증폭이 완료될 때까지의 카운터 값을 확인하여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별도의 기준 신호를 생성 및 증폭하여 자신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변화(Power variation)에 대한 각각의 이득 별로 전력을 증폭하는데 소요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LTE 표준의 경우, 단말은 -3dB에서 12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을 증폭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변화에 대한 각각의 이득 별로 전력을 증폭하는데 소요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해 확인한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누적하여 사용하거나,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을 설정할 때마다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새롭게 확인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한 자신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증폭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301단계에서 TTI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TTI(N)에 대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제어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TTI(N-4)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따라 TTI(N)를 구성하는 PUSCH의 자원 할당 정보와 사운딩 기준 신호의 할당 정보를 확인한다. 만일, TTI(N-4)의 제어 정보에 따라 TTI(N)에 사운딩 기준 신호의 할당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301단계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만일, TTI에 사운딩 기준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TTI에 사운딩 기준 신호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TTI의 PUSCH에 대한 전력 레벨(PPUSCH)과 사운딩 기준 신호(SRS)에 대한 전력 레벨(PSRS)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TTI(N)에 대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제어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TTI(N-4)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따라 서빙 국에서 설정한 PUSCH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제어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 기 서빙 국은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중계국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심볼 영역의 전력 레벨(PPUSCH)과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의 전력 레벨(PSRS)을 비교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 심볼 영역의 전력 레벨(PPUSCH)과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의 전력 레벨(PSRS)이 동일한 경우(PPUSCH=PSRS),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305단계에서 데이터 심볼 영역의 전력 레벨(PPUSCH)과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의 전력 레벨(PSRS)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PPUSCH≠PSRS),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설정 지연 시간(TSRS_delay)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화에 따른 이득 별로 미리 확인하여 저장한 전력 설정 지연 시간들 중 상기 3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에 따른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TTI(N)에 대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TTI(N-4)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따라 TTI(N)를 구성하는 PUSCH의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TTI(N-4)의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311단계로 진행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Figure 112008069843899-PAT00001
여기서, 상기 TSRS_Power은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고, TSRS_Start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며, 상기 TSRS_delay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제어에 따른 단말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이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에 모두 포함되도록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309단계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313단계로 진행하여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Figure 112008069843899-PAT00002
여기서, 상기 TSRS_Power은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고, TSRS_Start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며, 상기 TSRS_delay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제어에 따른 단말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이 데이터 심볼에 모두 포함되도록 상기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은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뒤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TTI(N)에 대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TTI(N-4)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따라 TTI(N)를 구성하는 PUSCH의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TTI(N-4)의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뒤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뒤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317단계로 진행하여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Figure 112008069843899-PAT00003
여기서, 상기 TPUSCH_Power은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제어 시작 시점을 나타내고, TPUSCH_Start는 다음 TTI에 대한 데이터 심볼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며, 상기 TPUSCH_delay는 다음 TTI에 대한 데이터 심볼의 전력 제어에 따른 단말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사운딩 기준 신호의 뒤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이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에 모두 포함되도록 상기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뒤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319단계로 진행하여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Figure 112008069843899-PAT00004
여기서, 상기 TPUSCH_Power은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제어 시작 시점을 나타내고, TPUSCH_Start는 다음 TTI에 대한 데이터 심볼의 시작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사운딩 기준 신호의 뒤에 위치하는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이 데이터 심볼에 모두 포함되도록 상기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간을 설정한 후, 상기 단말은 321단계로 진행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의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SRSdelay)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23단계로 진행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CP(Cyclic Prefix)의 길이(SRSCP)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SRSdelay)을 비교한다.
만일,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CP의 길이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RSCP≥SRSdelay),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CP의 길이가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보다 작은 경우(SRSCP < SRSdelay), 상기 단말은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CP의 길이와 상기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의 차를 고려하여 상기 TSRS_Power과 상기 TPUSCH_Power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SRSCP가 SRSdelay보다 작은 경우, 단말은 미리 정해진 오프셋(offset) 만큼 상기 TSRS_Power과 상기 TPUSCH_Power을 갱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321단계로 되돌아가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SRSdelay)을 다시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심볼의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설정한 전력 증폭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서빙국의 제어에 따라 TTI의 13번째 심볼에 사운딩 기준 신호를 할당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12번째 심볼과 다음 TTI의 0번째 심볼의 데이터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도 4의 (a), (b), (c) 및 (d)와 같이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번째 심볼과 다음 TTI의 0번째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번째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단말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또한, 다음 TTI의 0번째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번째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또한, 다음 TTI의 0번째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번째 심볼과 다음 TTI의 0번째 심볼에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단말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다음 TTI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점을 결정한다.
이하 설명은 전력 설정 지연 시간과 데이터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과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단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500), 전력 증폭기(502), 커플러(504), 이득 제어부(506), 전력 검출기(508), 제어부(510) 및 저장부(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부(500)는 기준 신호 또는 전송 신호를 해당 변조 수준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고, 고주파(RF: Radion F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수준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을 나타낸다.
상기 전력 증폭기(502)는 상기 이득 제어부(60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커플러(504)는 상기 전력 증폭기(502)에서 기준 신호를 증폭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기 전력 검출기(608)로 제공한다.
상기 이득 제어부(506)는 상기 전력 증폭기(502)로 전력 증폭 이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502)에서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득 제어부(506)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변화에 따른 각각의 이득에 대한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 신호의 증폭 이득을 결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502)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전력 증폭기(502)에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득 제어부(506)는 서빙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50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득 제어부(506)는 상기 저장부(512)에서 전력 제어 정보에 따른 전력 설정 지연 시간과 사운딩 기준 신호의 앞뒤로 위치하는 데이터 심볼의 자원 할당 정보를 고려하여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이득 제어부(506)는 상기 전력 제어 정보와 상기 전력 설정 시작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502)를 제어한다.
상기 전력 검출기(508)는 상기 커플러(504)에서 커플링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이득 제어부(506)로부터 제공받은 기준 신호에 대 한 전력 이득의 증가치를 고려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기준 신호의 증폭을 시작할 때 카운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력 검출기(508)로부터 제공받은 커플링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레벨이 될 때까지의 카운터 값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카운터 값을 상기 단말에 대한 전력 설정 지연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512)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12)는 상기 제어부(510)에서 확인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변화에 따른 이득 별 상기 단말의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저장한다.
이하 설명은 상기 이득 제어기(506)이 상세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득 제어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득 제어기(506)는 시간 제어부(600)와 증폭 제어부(6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간 제어부(600)는 상향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에 따른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력 설정 시작 시점(TSRS_Power)과 다음 TTI에 대한 데이터 심볼의 전력 설정 시작 시점(TPUSCH_Power)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시간 제어부(600)는 상기 저장부(512)에서 저장된 전력 제어 정보에 따른 이득 별 전력 설정 지연 시간들 중 상향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에 따른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사운딩 기준 신호의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경우, 상기 시간 제어부(600)는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SRSdelay)을 확인하여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CP의 길이(SRSCP)와 비교한다. 만일, 상기 SRSCP가 상기 SRSdelay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시간 제어부(600)는 상기 SRSCP와 상기 SRSdelay의 차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한 TSRS_Power과 TPUSCH_Power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 제어부(600)는 미리 정해진 오프셋(offset) 만큼 상기 TSRS_Power과 상기 TPUSCH_Power을 갱신한다. 이후, 상기 시간 제어부(600)는 사운딩 기준 신호에 포함되는 전력 설정 지연 시간(SRSdelay)을 다시 확인하여 상기 TSRS_Power과 TPUSCH_Power을 다시 갱신할 것인지 결정한다.
상기 증폭 제어부(602)는 상기 시간 제어부(600)에서 결정한 전력 설정 지연 시간과 서빙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502)의 전력 증폭률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설정 지연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증폭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설정한 전력 증폭 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득 제어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

  1.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송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사운딩 기준 신호 영역의 앞과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심볼의 데이터 할당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지연 시간과 상기 데이터 할당 정보를 고려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과 다음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포함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전력 설정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97976A 2008-10-07 2008-10-0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6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76A KR101466894B1 (ko) 2008-10-07 2008-10-0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76A KR101466894B1 (ko) 2008-10-07 2008-10-0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842A true KR20100038842A (ko) 2010-04-15
KR101466894B1 KR101466894B1 (ko) 2014-12-02

Family

ID=4221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976A KR101466894B1 (ko) 2008-10-07 2008-10-0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79A3 (ko) * 2010-10-28 2012-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파워 조절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34B1 (ko) * 2002-03-27 2009-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시공간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한 채널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US8725066B2 (en) * 2006-08-23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to mobile station connected to relay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78151B2 (en) * 2006-10-03 2010-08-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fficient scheduling request channel for wireless networks
KR100884750B1 (ko) * 2006-12-05 2009-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fdd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사운딩 신호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79A3 (ko) * 2010-10-28 2012-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파워 조절 방법 및 장치
US8737257B2 (en) 2010-10-28 2014-05-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US9042262B2 (en) 2010-10-28 2015-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US9282561B2 (en) 2010-10-28 2016-03-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US9756585B2 (en) 2010-10-28 2017-09-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894B1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089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KR101828901B1 (ko) D2d 통신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96301B1 (ko) 다중 송신 안테나들이 존재할 경우의 전력 헤드룸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564114B2 (ja) 端末アクセス方法、システム及び関連装置
JP5209780B2 (ja) Tdd通信システム内の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
US11924775B2 (en) Power control method and terminal
EP3346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474713B (zh) 控制装置对装置(d2d)通信的传输的设备和方法
KR201300339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328133A1 (en) Power control of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signal
US10498576B2 (en) Guard interval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8886752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CN102333366B (zh) 在移动通信系统中控制上行链路发送功率的装置和方法
CN102036359B (zh) 上行传输信息的发送方法和设备
JP2009089064A (ja) 無線送信機及び無線受信機
EP2104297A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10146689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90260627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KR20080022700A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방법 및 장치그리고 그 시스템
JP614142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多重入出力信号を増幅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825417B1 (ko) 간섭제거 중계기
KR20150005153A (ko)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0482A (ko) 이동 통신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 시스템의 안정적인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득 설정 방법
JP2014093677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4114515A2 (zh) 上行传输的发射功率确定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