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814A -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 Google Patents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814A
KR20100038814A KR1020080097914A KR20080097914A KR20100038814A KR 20100038814 A KR20100038814 A KR 20100038814A KR 1020080097914 A KR1020080097914 A KR 1020080097914A KR 20080097914 A KR20080097914 A KR 20080097914A KR 20100038814 A KR20100038814 A KR 20100038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ynthetic resin
flow meter
accommodation space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학
Original Assignee
이소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학 filed Critical 이소학
Priority to KR1020080097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814A/ko
Publication of KR2010003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01F1/103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with radiation as transfer means to the indicating device, e.g. light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몸체와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 및 제3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하부 플랜지,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차, 상기 제3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차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한다.
유량계, 플랜지, 날개차, 통전 금속, 용착

Description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Flow me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idet having the flow meter}
본 발명은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변을 닦는 데 사용하는 장치로, 본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물을 항문 주위로 분사하는 노즐 및 기능 조절을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비데를 통해 분사된 물은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통상 비데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비데는, 물을 가열하는 방법에 따라, 저탕식 온수 공급 방식과 순간 온수 공급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저탕식 온수 공급 방식의 비데는 물탱크에 있는 물을 적당하게 데우는 방식으로 제어가 비교적 쉽다. 그러나 물탱크 내부의 물은 비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소정의 온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계속적으로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는 비주기적으로 사용되는 비데의 특성상 불가피한 일이지만 전력 손실이 크다. 또한 물탱크 내부에는 물이 고여 있으므로 세균이 번식할 수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 다.
최근에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순간 온수 공급 방식의 비데가 널리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저장 탱크가 필요 없고, 비데를 사용할 때만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데 내부로 새롭게 유입된 물을 바로 데워서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세균 번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비데는 내부에 유량계를 포함한다. 유량계는 비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 또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며, 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유량계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물에 가해지는 열 공급량 또는 노즐로 분사되는 물의 양 등을 조절한다. 물의 온도 및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정확하게 제어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다른 온도의 물이 분사될 수 있고 또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이 설정한 압력과 달라, 사용자가 당황하거나 놀랄 수 있다. 따라서 비데의 유량은 유량계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유량계은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유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입구 및 출구 등 정해진 곳을 제외하고는 물이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유량계의 입구 및 출구를 제외한 곳으로 물이 통과하는 경우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한편, 유량계는 비데 뿐만 아니라 정수기, 연수기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유량계도 물이 새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입구 및 출구 등 정해진 곳을 제외하고는 물이 통과하지 않는 유량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는,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몸체와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 및 제3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하부 플랜지,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차, 상기 제3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차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유량계는, 상기 상부 플랜지 또는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오링홈과 상기 오링홈에 삽입되어 있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나사 결합 또는 리벳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축홈과 상기 축홈에 배치되어 있는 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차는 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는 통전 금속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용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의 평면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 접합 방법은, 제1 합성 수지와 제2 합성 수지를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제2 합성 수지 사이에 통전 금속을 배치하는 단계,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통전 금속을 가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를 녹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 수지 접합 방법은,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제조 방법은,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내측 제2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날개차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통전 금속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전 금속을 가열하여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좌판, 상기 좌판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동관과 연결되어 있고 물을 분사하는 노즐, 상기 유동관과 연결되어 있는 유량계, 그리고 상기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는,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몸체와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 및 제3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연결되어 있는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통전 금속,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차, 상기 제3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차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용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빈틈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로 물이 새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 몸체의 입구 및 출구를 통해서만 물이 유동하므로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데 에 사용되는 노즐, 유동관, 히터 및 유량계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는 순간 온수 공급 방식이 적용된 비데(10)가 개시되어 있으나, 도 2의 구성 요소들은 저탕식 온수 공급 방식이 적용된 비데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유량계는 비데 뿐만 아니라 정수기, 연수기 등 유량 측정이 필요한 장치 어디에서든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비데(10)는 하우징(20), 좌판(30), 덮개(40), 제어부(50) 및 노즐(60)을 포함한다. 좌판(30)과 덮개(40)는 힌지 따위에 의해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좌변기(도시하지 않음) 위에 설치된다. 좌판(30) 및 덮개(40)는 아래 위로 움직여 좌변기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노즐(60)은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 위치로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하우징(20)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하우징(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비데(10)를 동작시키거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고하면, 노즐(60)은 하우징(20) 내측에 위치한 유동관(90)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동관(90)에는 가열 장치(70) 및 유량계(100)가 연결되어 있다. 유동관(90)은 수도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유동관(90)을 흐르는 물은 유량계(100)를 거쳐 가열 장치(70)로 공급되고, 가열 장치(70)를 흐르는 물은 순간적으로 데워져 노즐(60)을 통해 분사된다. 물의 온도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 장치(70) 통한 열 공급량이 조절된다. 유량계(100)는 가열 장치(7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한다. 설정된 양의 물이 가열 장치(70)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유 량계(100)는 유동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50)로 전달해야 한다. 제어부(50)는 유량계(10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유량 조절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한다. 비데(10)는, 노즐(60)을 통해 물이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노즐(6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탕식 온수 공급 방식의 경우, 비데는 물 저장고와 물 저장고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순간 가열 장치(7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는, 유량 측정이 필요한 장치 즉 비데, 정수기, 연수기 따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유량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유량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유량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유량계는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20), 날개차(140), 센서(150) 및 기판(160)을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0)는 상부 몸체(111)와 상부 플랜지(115)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111)는 입구(112a)와 출구(112b), 그리고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진다. 상부 플랜지(115)는 상부 몸체(111)의 아래쪽 가장자리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몸체(111)의 바깥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115)의 평면 모양은 사각형 이다. 그러나 상부 플랜지(115)의 평면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0)는 하부 몸체(121)와 하부 플랜지(125)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121)는 내측에 제2 수용공간 및 제3 수용 공간을 가진다. 하부 플랜지(125)는 하부 몸체(121)의 위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몸체(121)의 바깥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125)의 평면 모양은 사각형이다. 그러나 상부 플랜지(115)와 마찬가지로 그 평면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하부 플랜지(125)는 상부 플랜지(115)와 접착되어 있다.
상부 몸체(111)의 제1 수용 공간 및 하부 몸체(121)의 제2 수용 공간에는 날개차(140)가 배치되어 있다. 날개차(140)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115, 125)의 축홈에 배치된 축(130)에 연결되며,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하부 몸체(121)의 제3 수용공간에는 센서(150)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150)는 입구(112a)로 유입되어 출구(112b)로 유동하는 물의 양을 감지한다. 센서(150)는 날개차(14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함으로써 유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광 센서일 수 있다. 센서(150) 아래에는 기판(160)이 연결되어 있다. 기판(160)은 센서(1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한다. 기판(160)은 센서(15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증폭시켜 제어부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표면에는 구멍을 가지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는 비데, 정수기 또는 연수기 내부에 유량계를 고정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합성 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으 며, 그 모양은, 유량계가 사용되는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입구(112a) 및 출구(112b)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다음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결합 방식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는 볼트(230)에 의해 결합된다. 볼트(230) 대신 리벳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의 마주보는 면에는 오링홈(1155)이 형성되어 있고, 오링홈(1155)에는 오링(200)이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접착면으로 그 내부에 있는 물이 새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 사이에는 통전 금속(300)이 위치한다. 통전 금속(300)은 상부 및 하부 플랜지(115, 125)보다 용융점이 높다. 통전 금속(300)은 철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철망 형태를 가진다. 전기 에너지 따위를 가해 통전 금속(300)이 충분히 가열되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가 녹아 서로 달라 붙는다. 이때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에 압력을 가하여 이들이 더욱 잘 붙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공랭식 또는 수랭식 따위로 냉각시키면,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는 완전하게 접착되어, 그 접착면으로는 유체가 통하지 않는다.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 사이에 통전 금속(300)을 두고, 이 통 전 금속(300)을 가열하여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를 녹여 접합하는 방식은, 다른 합성 수지의 접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유량계 뿐만 아니라 합성 수지를 빈틈 없이 접합하기 위한 모든 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이는 모재를 녹여 접합하는 방식으로, 용착 금속을 녹여 모재를 접합하는 기존 방식과 다르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5)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플랜지(125)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11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15)는 하부 플랜지(125)의 측면을 감싸고 있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가 더욱 빈틈없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15)와 하부 플랜지(125) 사이에는 도 7과 같이 통전 금속(300)이 위치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오링(200)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데에 사용되는 노즐, 유동관, 히터 및 유량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유량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유량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유량계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0)

  1.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몸체와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 및 제3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하부 플랜지,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차,
    상기 제3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차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판
    을 포함하는 유량계.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 또는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오링홈과 상기 오링홈에 삽입되어 있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유량계.
  3. 제2항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나사 결합 또는 리벳 결합되어 있는 유량계.
  4. 제3항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축홈과 상기 축홈에 배치되어 있는 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차는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유량계.
  5. 제1항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는 통전 금속이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용착되어 있는 유량계.
  6.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의 평면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유량계.
  7. 제1 합성 수지와 제2 합성 수지를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제2 합성 수지 사이에 통전 금속을 배치하는 단계,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통전 금속을 가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를 녹여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접합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합성 수지와 상기 제2 합성 수지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합성 수지 접합 방법.
  9.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내측 제2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날개차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통전 금속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전 금속을 가열하여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용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량계의 제조 방법.
  10. 좌판,
    상기 좌판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동관과 연결되어 있고 물을 분사하는 노즐,
    상기 유동관과 연결되어 있는 유량계, 그리고
    상기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는
    입구와 출구 및 내측에 제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몸체와 마주하며, 제2 수용 공간 및 제3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연결되어 있는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통전 금속,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날개차,
    상기 제3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차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용착되어 있는
    비데.
KR1020080097914A 2008-10-06 2008-10-06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KR20100038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14A KR20100038814A (ko) 2008-10-06 2008-10-06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14A KR20100038814A (ko) 2008-10-06 2008-10-06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814A true KR20100038814A (ko) 2010-04-15

Family

ID=4221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914A KR20100038814A (ko) 2008-10-06 2008-10-06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8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425B1 (ko) 2016-05-30 2017-01-16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에서의 유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102082325B1 (ko) * 2019-09-10 2020-02-27 임영균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102317769B1 (ko) 2020-09-29 2021-10-27 안재섭 비데의 순간온수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425B1 (ko) 2016-05-30 2017-01-16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에서의 유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102082325B1 (ko) * 2019-09-10 2020-02-27 임영균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102317769B1 (ko) 2020-09-29 2021-10-27 안재섭 비데의 순간온수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62B1 (ko)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US9410720B2 (en) Fluid heating system and instant fluid heating device
US20100086289A1 (en) Modular tankless water heater with precise power control circuitry and structure
JPH02228536A (ja) 流体の漏れモニター装置
RU2566532C2 (ru) Газовый счетчик
KR20100038814A (ko) 유량계, 그 제조 방법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US20110034866A1 (en) Broadband infrared heating of medical fluids
US20180274792A1 (en) Water heater appliance with a flow meter
RU2007125650A (ru) Интерфейс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температуры для сопряжения с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ой
US11346089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US10830492B2 (en) Ultra-low flow electric tankless water heater
US20110180056A1 (en) Water valve device, and water heating apparatus for a solar water h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US10907860B2 (en) Electric tankless water heater
JPH02311632A (ja) 温水洗浄便座の温水加熱装置
US11280078B2 (en) Hot water system for bidet comprising flow path guide tank and hot water mode method using the same
CN208282404U (zh) 具有智能回水装置的整体式空气能热水器
KR102236716B1 (ko) 난방수 이용 급탕 장치
KR20100041264A (ko) 유량계 및 유량계를 포함하는 비데
KR20210135839A (ko) 온수 순환 시스템
JP3324283B2 (ja) 温水タンクの制御方法
US20230119604A1 (en) Electric tankless water heater with integral leak detection system
KR20150025280A (ko) 난방장치
JP4019556B2 (ja) 配管内蔵型貯湯式給湯装置
JP5478354B2 (ja) 給湯システム
JP6846293B2 (ja) 超音波流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