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563A -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563A
KR20100038563A KR1020080097580A KR20080097580A KR20100038563A KR 20100038563 A KR20100038563 A KR 20100038563A KR 1020080097580 A KR1020080097580 A KR 1020080097580A KR 20080097580 A KR20080097580 A KR 20080097580A KR 20100038563 A KR20100038563 A KR 20100038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traffic
request message
loc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숙
송재승
김래영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563A/en
Publication of KR2010003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traffic localiz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s provided to reduce the waste of network resources by optimizing a communications route between two terminals which use a same edge gateway. CONSTITUTION: Terminals(UE1,UE2) respond to a request received from a network core. The terminals execute new data bearer or IP tunnel setup procedures for the localization of traffic. The terminals execute update procedures about an existing data bearer or IP tunnel. The terminals generate traffic localization request messages.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Traffic localiz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의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 TL) 절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ffic localization (TL)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radio access)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WCDMA의 첫 번째 진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는 중기적인(mid-term) 미래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무선 접속 기술을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 사항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또한 경쟁하는 무선 접속 기술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 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 사항으로 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불필요한 시간지연(latency)의 방지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등도 3GPP에서의 기술 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radio access technology are widely deployed around the worl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hich can be defined as the first evolution of WCDMA, provides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ith highly competitive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in the mid-term future. However, as the demands and expectations of users and operators continue to increase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ing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continues, new technological evolution in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s required to be competitive in the future. Reduced cost per bit, increased service availability, the use of flexible frequency bands, simple structure and open interface, and adequat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re demanding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prevention of unnecessary latency in the network node and the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can also promote the technology evolution in 3GPP.

3GPP 릴리스(Release) 8에는, 전술한 요구 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써, EPC(Evolved Packet Core)라는 망 아키텍쳐(Network Architecture)가 기술되어 있다. EPC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집합이다. EPC는 기존의 3GPP 시스템 아키텍쳐의 코아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진화시켜, 진화된 무선접속망(Evolved RAN)인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을 지원하고, 또한 패킷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시킨 효율적인 망 구조를 갖는다. EPC와 E-UTRAN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EPS(Evolved Packet System)라 한다.In 3GPP Release 8, a network architecture called an Evolved Packet Core (EPC) is described as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for meeting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s. EPC is a collection of network nodes for 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EPC has evolved the core network of the existing 3GPP system architecture to support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which is an evolved RAN,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acket networks. In order to simplify the network node, it has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EPC and an E-UTRAN is called an EPS (Evolved Packet System).

도 1은 EPS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고 있는 단말(UE1, UE2)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예는, 두 단말(UE1, UE2)이 동일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GW)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로써,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 단말(UE1, UE2)이 서로 근접한 지역(반드시 물리적인 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에 위치하면서 통신을 하는 경우에, 두 단말(UE1, UE2)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S-GW는 동일하지 않지만 PDN-GW는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low between terminals UE1 and UE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 EPS network.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wo UEs UE1 and UE2 are using the same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GW), and a serving gateway (S-GW) is the same. Do not use that.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wo terminals UE1 and UE2 communicate while being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not necessarily a physical distance), the two terminals UE1 and UE2 communicate as shown in FIG. 1. The S-GW is not the same, but the PDN-GW can use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말(UE1)과 PDN-GW와의 사이 및 제2 단말(UE2)과 PDN-GW와의 사이에는 각각 EPS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1 단말(UE1)과 제2 단말(UE2) 사이의 통신에서 데이터는 이 EPS 베어러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EPS 베어러는 각각 논리적으로 두 개의 아이피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EPS 베어러는 제1 단말(UE1)과 제1 S-GW(S-GW1)사이 및 제1 S-GW(S-GW1)와 PDN-GW 사이에 설정된 아이피 터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EPS 베어러는 제2 단말(UE2)과 제2 S-GW(S-GW2)사이 및 제2 S-GW(S-GW2)와 PDN-GW 사이에 설정된 아이피 터널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EPS bearer is set between a first terminal UE1 and a PDN-GW and between a second terminal UE2 and a PDN-GW, respectively, and the first terminal UE1 and the second terminal. In communication between UE2,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is EPS bearer. Each EPS bearer is logically composed of two IP tunnels.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PS bearer includes an IP tunnel set between the first terminal UE1 and the first S-GW (S-GW1) and between the first S-GW (S-GW1) and the PDN-GW. . The second EPS bearer includes an IP tunnel set between the second terminal UE2 and the second S-GW (S-GW2) and between the second S-GW (S-GW2) and the PDN-GW.

그런데, 전술한 제1 및 제2 EPS 베어러를 통한 두 단말(UE1, UE2) 사이의 통신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PDN-GW를 경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UE1)에서 제2 단말(UE2)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제2 단말(UE2)에서 제1 단말(UE1)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데이터 패킷은 제1 S-GW(S-GW1) 또는 제2 S-GW(S-GW2)에서 PDN-GW로 먼저 전송된 후에 다시 동일한 PDN-GW에서 제2 S-GW(S-GW2) 또는 제1 S-GW(S-GW1)로 전송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 과정은, 제1 S-GW(S-GW1)과 제2 S-GW(S-GW2) 사이에서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PDN-GW를 경유함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시간지연(latency)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이 제1 또는 제2 S-GW와 PDN-GW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과정을 거침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가 있다.However,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UE1 and UE2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PS bearers, data to be transmitted is unnecessarily passed through the PDN-GW. More specifically, when transmitting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UE1) to the second terminal (UE2) or from the second terminal (UE2) to the first terminal (UE1), the data packet is the first S- First transmission from the GW (S-GW1) or the second S-GW (S-GW2) to the PDN-GW and then again from the same PDN-GW to the second S-GW (S-GW2) or the first S-GW (S -GW1). This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is delayed in the data transmission process due to unnecessarily data passing through the PDN-GW between the first S-GW (S-GW1) and the second S-GW (S-GW2). latency). In addition, since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first or second S-GW and the PDN-GW, network resources may be wasted.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PDN-GW를 통해 각각 EPS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를 설정하고 있는 두 단말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에, 기존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 제1 S-GW와 제2 S-GW 사이에서 반드시 PDN-GW를 경유한다. 그 결과, 상기 두 단말 사이에 통신에서는 불필요한 시간지연이 초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폭(bandwidth)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시간지연과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포함되어 있는 무용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경로를 없애거나 또는 합리화할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wo terminals that respectively set up an EPS bearer or IP tunnel through the same PDN-GW, the data packet transmitted in the existing data transmission path is the first S-GW and the second S. Must pass via PDN-GW between -GW. As a result, an unnecessary time delay may be caus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and a waste of network resources such as bandwidth occurs. In order to prevent such unnecessary time delay and waste of network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or rationaliz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useless data packet included in the existing data transmission path.

이러한 조치 중의 하나는 트래픽의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 TL)이다. 트래픽의 국부화란 단말들 사이의 통신에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중복 경로 또는 우회 경로를 없애거나 또는 합리화하는 것을 가리킨다. 트래픽의 국부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들 사이의 통신에서는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업데이트된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One such measure is Traffic Localization (TL). Localization of traffic refers to eliminating or rationalizing a redundant path or a bypass path existing on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a data packet i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en traffic is localize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newly created or updated path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한 에지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말이 통신할 경우에, 상기 단말들 사이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경로를 최적화하거나 합리화할 수 있도록,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wo or more terminals communicate using the same edge gatew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o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of the data packet between the terminals can be optimized or rationalized, traffic To provide localization procedur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 국부화 절차는 동일한 에지 게이트웨이(edge gateway)까지 각각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고 있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에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제어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제어 개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erformed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each of which establishes a data transmission tunnel to the same edge gateway. Receiving a first request message from the edge gateway requesting to use traffic localization, a second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ending to a control entity,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message, receiving a first response message from the mobility control entity indicat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 국부화 절차는 동일한 서빙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 각각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를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data transmission tunnel with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rough a same serving gateway. Determin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first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use th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serving gatewa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에 의하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말이 동일한 게이트웨이(예컨대, 서빙 게이트웨이(S-GW)는 다르지만 에지 게이트웨이(edge gateway)가 같은 경우)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게 될 경우에, 상기 단말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에지 게이트웨이(예컨대, PDN-GW)를 경유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되는 데이터가 PDN-GW를 경유하는 대신에 두 S-GW 사이에 새롭게 설정된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을 통해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에지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두 단말 사이의 통신 경로를 합리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래픽 국부화 절차 후에 이루어지는 상기 단말들 사이의 통신에서는, 비효율적인 전송 경로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으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시간지연을 감소 내지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폭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terminals communicate using the same gateway (for example, when the serving gateway (S-GW) is different but the edge gateway is the same). In case of, the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terminals may not pass through an edge gateway (eg, PDN-GW). Inst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ransmitting data via a PDN-GW,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newly established bearer or IP tunnel between two S-GWs. It is possible to rationalize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terminals.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after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it is possible to reduce or eliminate the time delay that may occur in the network nod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n inefficient transmission path. The waste of network resources such as bandwidth can also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프로토콜에 따른 베어러 생성 절차 또는 베어러 업데이트 절차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고, 단지 전송 메시지에 트래픽 국부화 정보만을 추가함으로써,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로 새로운 메시지를 정의하거나 새로운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he traffic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bearer creation procedure or the bearer update procedure according to the existing protocol as it is, and only ad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message. . Th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define a new message or define a new transport protocol in order to perform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plain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통신을 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말(User Equipment, 12, 14)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아(Core)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20, 30, 40, 5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코아(Network Core, A)를 포함한다. 단말(12, 14)과 네트워크 코아(A)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가 배치되는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의 구성은 단말(12, 14) 및/또는 네트워크 코아(A)의 특성이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는 진화된 무선접속망의 하나인 E-UTRA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와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은 같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를 통해서 네트워크 코아(A)와 통신을 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를 통해서 네트워크 코아(A)와 통신을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two or more terminals 12 and 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20, 30, constituting a cor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Core (A), including 40, 50). A radio access network (RAN) is arrang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12 and 14 and the network core A. In FIG. 2, an illustration of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onfiguration of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r types of the terminals 12, 14 and / or network core A. For example, a radio access network (RAN) may include an E-UTRAN, which is one of the evolved radio access networks.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is irrelevant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may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core A through the same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different radio access networks ( It may als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core (A) through the RAN.

단말(12, 14)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과 같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를 통해 네트워크 코아(A)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및/또는 다른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단말(12, 14)의 명칭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단말(12, 14)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가입자 기기(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or Wireless Station) 등 으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 14)은 이동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고정된 장치일 수도 있다.The terminals 12 and 14 are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nodes and / or network nodes constituting the network core A via a radio access network (RAN) such as an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Devic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names of the terminals 12 and 14. For example, the terminals 12 and 14 may include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user equipment (UE), a subscriber station (SS), and a wireless device (Wireless). Device or Wireless Station). Such terminals 12 and 14 are generally mobile, but may be fixed devices.

그리고 단말(12, 14)은 신호 생성 및 처리 수단인 프로세서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12, 14)은 사용자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단말의 여러 정보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s 12 and 14 include a processor, a signal generation and processing means, and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with a radio access network (RAN). Although not shown, the terminals 12 and 14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user data or program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or data of the terminal, a user interface such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and the like.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단말(12, 14)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단말에게 요청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 14)은, 네트워크 코아(A)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트래픽의 국부화를 위하여 새로운 데이터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 설정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설정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에 대한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고자 하는 단말(12, 14)은 이를 요청하는 메시지인 트래픽 국부화 요청 메시지(예컨대,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Request Bearer Resource Alloc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이를 네트워크 코아(A)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s 12 and 14 may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requested by the terminal in performing a procedure for localizing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terminals 12 and 14,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network core A, perform a new data bearer or IP tunnel setting procedure or local data bearer that is configured or configured for localization of traffic. Update procedure for IP tunnel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terminal 12, 14, which intends to initiate a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generates a traffic localization request message (eg, a Bearer Resource Allocation message) that is a message requesting the traffic localization request message, and generates a network core ( You can also send to A).

네트워크 코아(A)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아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20, 30, 40, 50)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코아(A)는, 예를 들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인 EPC(Evolved Packet Core) 등과 같은 PS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만 개시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코아(A)의 구성이 도 2에 개시된 구성요소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코아(A)가 EPC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구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EPC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 등은 3GPP TS 23.401 및 TS 23.402 v8.2.0 (2008-06) 규격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규격에 기술된 내용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그대로 결합될 수 있다.The network core A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20, 30, 40, 50 constituting the co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network core (A) is, for example, of a P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system,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or Evolved Packet Core (EPC), which is 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It may consist of network no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IG. 2 discloses only the minimum components necessary to descri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core A is not limited to the components disclosed in FIG. 2.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network core A is composed of network nodes of the EPC will be described, but this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of each of the network nodes constituting the EPC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3GPP TS 23.401 and TS 23.402 v8.2.0 (2008-06) standards, which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It can be combined as it is.

게이트웨이(20)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종단하는 제1 게이트웨이(22a, 22b)와 네트워크 코아(A)에서 외부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구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게이트웨이(2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코아(A)가 3GPP LTE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게이트웨이(22a, 22b)는 서빙 게이트웨이(S-GW)이고, 상기 제2 게이트웨이(24)는 3GPP 코아 네트워크에서 외부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한 에지 게이트웨이(edge gateway)인 PDN-GW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게이트웨이(22a, 22b)와 제2 게이트웨이(24)가 각각 S-GW와 PDN-GW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네트워크 코아(A)를 구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게이트웨이(22a, 22b, 24)는 각각 S-GW와 PDN-GW 이외 에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명칭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게이트웨이(22a, 22b)와 제2 게이트웨이(24)의 구분은 단지 기능적인 구분일 따름이며,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노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노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gateway 20 is a first gateway 22a, 22b at which the interface to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terminates, and a second gateway serving as an entrance / ex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network core A. (24). For example, when the network core A is composed of network nodes of a 3GPP LTE system, the first gateways 22a and 22b are serving gateways (S-GWs), and the second gateway 24 is used. May be a PDN-GW, which is an edge gateway for exiting from the 3GPP core network to an external packet data network. However, the first gateways 22a and 22b and the second gateway 24 are not limited to S-GW and PDN-GW, respectively,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tituting the network core A. hav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gateways 22a, 22b, and 24 may be replaced with network nodes of other name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S-GW and the PDN-GW,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division of the first gateways 22a and 22b and the second gateway 24 is merely a functional divis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one physical network node or each as a separate physical network node.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12, 14)은 각각 소정의 결합 절차(Attach Procedure) 및/또는 소정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절차(Radio Bearer Establishment Procedure)에 따라서, 제1 게이트웨이(22a 또는 22b)를 통해 제2 게이트웨이(24)인 PDN-GW까지 EPS 베어러(EPS Bearer)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서로 통신 중인 두 단말(12, 14)이 각각 EPS 베어러를 설정할 경우에, S-GW(22a, 22b)와 PDN-GW(24)는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모두 다를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게이트웨이 중에서 어느 하나만 동일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s 12 and 14 may respectively use the first gateway 22a or 22b according to an attach procedure and / or a radio bearer establishment procedure.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set up to the PDN-GW, which is the second gateway 24. In general, when two terminals 12 and 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et up EPS bearers, the S-GWs 22a and 22b and the PDN-GW 24 may both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one of the gateways may be the same.

그런데,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에서는, 서로 통신 중인 두 단말(12, 14)이 각각 설정한 EPS 베어러(또는 아이피 터널)의 PDN-GW(24)는 동일하나, S-GW(22a, 22b)는 다른 경우를 가정한다. 서로 통신 중인 두 단말(12, 14)이 각각 사용 중인 S-GW(22)는 다르지만 PDN-GW(24)가 모두 동일한 이유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상기 두 단말(12, 14)이 서로 근접한 지역(반드시 물리적인 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에 위치할 경우에, 각각의 단말(12, 14)이 설정한 EPS 베어러의 S-GW(22)는 다르고 PDN-GW(24)가 동일할 수 있다.However, in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PDN-GW 24 of the EPS bearer (or IP tunnel) set by the two terminals 12 and 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s the same, S-GWs 22a and 22b assume different cases. Although the S-GWs 22 used by the two terminals 12 and 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different, there is no limitation as to why the PDN-GWs 24 are all the same. For example, when the two terminals 12 and 14 are located in an area close to each other (not necessarily a physical distance), the S-GW 22 of the EPS bearer set by each terminal 12 and 14 is set. ) May be different and the PDN-GW 24 may be the same.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코아(A)는 이동성 제어 개체(MME or MAG, 30)를 포함한다. 이동성 제어 개체(30)는 단말(12, 14)이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게이트웨이(20))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것 등과 같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하며,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과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 단말(12, 14)을 위한 이동성 제어 개체(30)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각 단말(12, 14)을 위한 게이트웨이(20), 예컨대 S-GW(22a, 22b)는 다르고 PDN-GW(24)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이동성 제어 개체(30)까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 2, the network core A includes a mobility control entity (MME or MAG) 30. The mobility control entity 30 may control a control plane such as processing a control signal when there is a join request from the terminal 12 or 14 or another network node (eg, the gateway 20) or a radio bearer setup request. It is responsible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control plane,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tting up EPS bearer or IP tunnel and mob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ity control entity 30 for each terminal 12, 1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even if the gateway 20 for each terminal 12, 14, for example, the S-GWs 22a, 22b is different and the PDN-GW 24 is the same, the mobility control entity 3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

상기 이동성 제어 개체(30)는 E-UMTS의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이거나 MAG(Media Access Gateway)일 수 있는데,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MAG는 아이피(IP) 레벨의 이동성 관리 및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 관련된 프로토콜인 PMIP(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정의하고 있는 네트워크 노드이며, 이동성 제어 평면(Mobility Control Plane) 뿐만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 평면(User Data Plane) 또한 포함한다.The mobility control entity 30 may be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or a media access gateway (MAG) of the E-UMTS, which is exemplary. MAG is a network node defined by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to use the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PMIP), a protocol related to IP-level mobility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user data. It includes not only a control plane but also a user data plane.

그리고 네트워크 코아(A)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SS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 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다. 그리고 AAA 서버는 네트워크 코아(A)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단말의 접근을 허락하고 단말의 위치 등과 같은 단말 관련 기록을 남겨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관련 서버이다. 도 2에서는 HSS와 AAA(40)는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HSS와 AAA(40)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개체이나,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의 네트워크 노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core (A) may further include a home subscriber server (HSS) and an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server 40. HSS is a network node that contains a database containing subscriber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AAA server is an authentication-related server that allows the terminal to access the network node constituting the network core (A) and controls the terminal by leaving a terminal-related record such a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FIG. 2, the HSS and AAA 40 are shown as one block,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nly. The HSS and AAA 40 may be logically divided functional entities, but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as one network node 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network nodes.

또한, 네트워크 코아(A)는 정책 및 과금 서버(Policy and Charging Server, 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책 및 과금 서버(50)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PCRF는 사업자의 정책 및 과금에 관한 규칙을 가지고 있는 기능적 네트워크 노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정책 및 과금 서버(50)의 PCRF는 트래픽의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 TL)에 관한 사업자의 정책 및/또는 규칙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core (A) may further include a policy and charging server (Policy and Charging Server, 50). The policy and charging server 50 may include a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PCRF). The PCRF is a functional network node with rules about the carrier's policy and billing.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RF of the policy and charging server 50 may have a policy and / or a rule of a provider regarding traffic localization (TL).

다음으로 도 2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에 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써 3GPP TS 23.401 규격에 기술되어 있는 시스템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에 관하여 설명하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이 경우에, 단말(12, 14)과 네트워크 노드(20, 30) 사이의 인터액션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22a, 22b, 24, 30, 40, 50) 사이의 인터액션을 위해서, 3GPP TS 23.401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MME(30)과 S-GW(22a, 22b) 사이, 두 S-GW(22a, 22b) 사이, 및 S-GW(22a, 22b)와 PDN-GW(24) 사이에는 GTP-C(GPRS Tunneling Protocol for the Control plane)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실시예는 3GPP TS 23.402 규격에 기술되어 있는 시스템 또는 이보다 개선된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명칭이나 레퍼런스 포인트, 그리고 사용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등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들은 단지 형식적인 것이다.Next, a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FIG. 2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embodiment describes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in a system described in the 3GPP TS 23.401 standard 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In this cas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rminals 12 and 14 and the network nodes 20 and 30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etwork nodes 22a, 22b, 24, 30, 40 and 50, the 3GPP TS 23.401 standard is used. Defined reference points can be used. And GTP-C (GPRS) between the MME 30 and the S-GWs 22a and 22b, between the two S-GWs 22a and 22b, and between the S-GWs 22a and 22b and the PDN-GW 24. You can exchange messages using the Tunneling Protocol for the Control plane.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system described in the 3GPP TS 23.402 standard or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mproved from this.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be applied, the names, reference points, and available communication protocols of the network node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vary. These differences are merely formal.

그리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통신 중인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말(12, 14)이 각각 설정하고 있거나 또는 설정하려고 하는 EPS 베어러의 S-GW(22a, 22b)는 다르지만 PDN-GW(24)는 동일하다. 하지만, 각 단말(12, 14)을 위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예컨대 MME(30)나 PCRF(50)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12, 14)을 위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30, 50)인 동일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는데,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S-GWs 22a and 22b of the EPS bearers that are set or are to be set by the two or more terminals 12 and 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PDN-GW ( 24) is the same. However,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for each terminal 12, 14 and other network nodes, such as the MME 30 or the PCRF 50, are not necessarily identical.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assumes and describes the same case of the other network nodes 30 and 50 for each terminal 12 and 14, which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전체가 하나의 절차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단지 도면 작성의 편리를 위하여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코아측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로써, 후술하는 제2 실시예가 단말측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는 것과 다르다.3A and 3B are message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ll constituting a procedure, and are shown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rawing. This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is initiated at the network core sid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below, which initiates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t the terminal side.

도 3a를 참조하면, 우선 제1 단말(12)과 네트워크 코아 사이에는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그 결과로 제1 단말(12)과 PDN-GW(24) 사이에는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S110). 도 3a에서는 제1 단말(12)이 결합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EPS 베어러 설정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2)이 아닌 네트워크 코아측에서 개시하여 EPS 베어러를 설정하거나, 또는 제1 단말(12)이 절차를 개시하더라도 결합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가 아닌 다른 메시지(예컨대,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Request Bearer Resource Allocation) 메시지나 베어러 업데이트 요청(Update Bearer Request) 메시지 등)를 이용하여 절차를 개시함으로써 EPS 베어러를 설정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A, first,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network core. As a resul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PDN-GW 24. EPS bearer or IP tunnel is established (S110). 3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terminal 12 initiates an EPS bearer setup procedure by sending an attach request message,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For example, an EPS bearer may be established by initiating a network core rather than the first terminal 12, or a message other than an attach request message (eg, even if the first terminal 12 initiates a procedure). The EPS bearer may be set by initiating a procedure using a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message or a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따라서 단계 S110의 결과로 설정되는 EPS 베어러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일 수도 있고, 또는 디폴트 베어러를 전제로 제1 단말(12)과 PDN-GW(24) 사이에 추가로 설정되는 데디케이티드 베어러(Dedicated Bearer)일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에서, 단말(12 또는 14)과 PDN-GW(24) 사이에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설정하는 절차는 3GPP TS 23.401 v8.2.0과 3GPP TS 23.402 v8.2.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간략하게 설명한다.Therefore, the EPS bearer set as a result of step S110 may be a default bearer as shown in FIG. 3A, or is add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PDN-GW 24 on the assumption of the default bearer. It may be a dedicated bearer set to be a dedicated bearer. In the 3GPP LTE system,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between the terminal 12 or 14 and the PDN-GW 24 is described in detail in 3GPP TS 23.401 v8.2.0 and 3GPP TS 23.402 v8.2.0. This is briefly explained.

제1 단말(12)은 결합 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 message)를 네트워크 코아,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코아의 MME(30)로 전송한다(S111). MME(30)는 이동성 제어 개체의 일례로써 도시한 것이며, MAG일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제1 단말(12)로부터 부분 결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ME(30)는, 필요한 경우에 HSS 및 AAA(도시하지 않음)와 접촉을 하여 제1 단말(12)에 대한 인증 절차 및/또는 위치 업데이트 절차, 가입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MME(30)는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터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S-GW(22a)로 전송하고(S112), 제1 S-GW(22a)는 수신된 메시지를 PDN-GW(24)로 전달한다(S113).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는 예컨대, Create Default Bearer Request일 수 있고, 상기 터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예컨대, (P)MIP Binding Update 일 수 있는데, 이러한 메시지 유형은 예시적인 것이다. The first terminal 12 transmits an Attach Request message to a network core, more specifically, to the MME 30 of the network core (S111). The MME 30 is shown as an example of a mobility control entity and may be a MAG.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MME 30 receiving the partial join request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12, if necessary, in contact with the HSS and AAA (not shown) for the first terminal 12 Authentication procedures and / or location update procedures, subscriber data acquisition procedures, and the like. The MME 30 transmits a bearer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or tunne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to the first S-GW 22a (S112), and the first S-GW 22a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PDN-GW 24. Transfer to (S113). The bearer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may be, for example, Create Default Bearer Request, and the tunne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may be, for example, (P) MIP Binding Update. This message type is exemplary.

계속해서, PDN-GW(24)는 응답으로 베어러 설정 응답 메시지 또는 터널 설정 응답 메시지를 제1 S-GW(22a)로 전송하고(S114), 제1 S-GW(22a)는 이 메시지를 MME(30)로 전달한다(S115). 상기 베어러 설정 응답 메시지는 예컨대, Create Default Bearer Response일 수 있고, 상기 터널 설정 응답 메시지는 예컨대, (P)MIP Binding Ack. 일 수 있다. 그리고 MME(30)는 단계 S111의 결합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결합 수용 메시지(Attach Accept message)를 제1 단말(12)로 전송한다(S116).Subsequently, the PDN-GW 24 sends a bearer setup response message or tunnel setup response message to the first S-GW 22a in response (S114), and the first S-GW 22a sends this message to the MME. Transfer to 30 (S115). The bearer establishment response message may be, for example, Create Default Bearer Response, and the tunnel establishment response message may be, for example, (P) MIP Binding Ack. Can be. The MME 30 transmits an Attach Accept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12 in response to the association request message of step S111 (S116).

전술한 과정의 결과, 제1 단말(12)과 PDN-GW(24) 사이에는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 예컨대 디폴트 베어러가 설정된다. 단계 S110의 결과로 설정되는 EPS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은 두 개의 데이터 전송 터널(Data Transfer Tunnel)로 구성된다. 즉, 상기 EPS 베어러는 제1 단말(12)과 제1 S-GW(22a) 사이에 설정되는 제1 데이터 전송 터널(Data Transfer Tunnel)과 함께 제1 S-GW(22a)와 PDN-GW(24) 사이에 설정되는 제2 데이터 전송 터널을 포함한다.As a result of the above process,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for example, a default bearer,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PDN-GW 24. The EPS bearer or IP tunnel set as a result of step S110 is composed of two data transfer tunnels. That is, the EPS bearer includes a first S-GW 22a and a PDN-GW (with a first data transfer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first S-GW 22a). 24) a second data transmission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m.

그리고 제2 단말(14)과 네트워크 코아 사이에도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그 결과로 제2 단말(14)과 PDN-GW(24) 사이에도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S120). 단계 S110에서 제1 단말(12)이 PDN-GW(24)와 EPS 베어러를 설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한 세부 단계들(단계 S111 내지 S116)내용은, 제2 단말(14)이 PDN-GW(24)와 EPS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S120의 세부 단계들(S121 내지 S126)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계 S120의 절차에 참여하는 제2 S-GW(22b)는 단계 S110의 절차에 참여하는 제1 S-GW(22a)와 다르지만, 단계 S110과 단계 S120의 절차에 참여하는 PDN-GW(24)는 동일하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In addition,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network core. As a result, an EPS bearer or IP tunnel is also form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PDN-GW 24. It is set (S120). The detailed steps (steps S111 to S116)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etting up the EPS bearer with the PDN-GW 24 by the first terminal 12 in step S110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24 and the detailed steps S121 to S126 of step S120 for setting the EPS bearer,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econd S-GW 22b participating in the procedure of step S12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S-GW 22a participating in the procedure of step S110, the procedure of steps S110 and S120 is performed. Note that the PDN-GW 24 participating in the are the same.

단계 S120의 결과, 제2 단말(14)과 PDN-GW(24) 사이에는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 상기 EPS 베어러도, 단계 S110의 결과로 설정되는 EPS 베어러와 마찬가지로,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이거나 또는 디폴트 베어러를 전제로 제2 단말(14)과 PDN-GW(24) 사이에 추가로 설정되는 데디케이티드 베어러(Dedicated Bearer)일 수 있다. 그리고 이 EPS 베어러도 두 개의 데이터 전송 터널(Data Transfer Tunnel) 즉, 제2 단말(14)과 제2 S-GW(22b) 사이에 설정되는 제1 데이터 전송 터널과 함께 제2 S-GW(22b)와 PDN-GW(24) 사이에 설정되는 제2 데이터 전송 터널을 포함한다.As a result of step S120,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PDN-GW 24. Like the EPS bearer set as a result of step S110, the EPS bearer may be a default bearer or additionally set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PDN-GW 24 on the premise of the default bearer. It may be a dedicated bearer. The EPS bearer also has two data transfer tunnels, that is, a second S-GW 22b together with a first data transfer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second S-GW 22b. ) And a second data transmission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 PDN-GW 24.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계 S110과 상기 단계 S120 사이의 진행 순서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계 S110이 단계 S120보 다 먼저 진행되거나, 또는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단계 S120이 단계 S110 보다 먼저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두 단계(S110 및 S120)는 거의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order of progression between the step S110 and the step S120. As shown in FIG. 3A, step S110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S120, or, as opposed to step S120,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S110. Alternatively, the two steps S110 and S120 may be performed at about the same time.

계속해서 도 3b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코아의 게이트웨이(20)는 트래픽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 TL)를 사용할지를 판단한다(S130). 도 3b에는 게이트웨이(20) 중에서 PDN-GW(24)에서 TL의 사용 여부에 대하여 판단(이하, 'TL 판단'이라 한다)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TL의 사용 여부는 S-GW(22)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TL 판단을 한 네트워크 노드가 TL 요청 메시지 또는 TL 지시 메시지 등의 메시지를 PDN-GW(24)로 전달하는 과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3B, the gateway 20 of the network core determines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TL) (S130). Although FIG. 3B shows that the PDN-GW 24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TL in the gateway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L determination'), this is exemplary. Whether or not the TL is used may be determined by the S-GW 22 or another network node. In this case, the network node that has made the TL determination may transmit a message such as a TL request message or a TL indication message to the PDN-GW 24. The delivery process may be further added.

단계 S130에서 PDN-GW(24)는 후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TL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정보들은 그 전체가 TL 판단을 위한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거나 또는 그 일부만이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실제 TL 판단을 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정보의 전체가 종합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일부의 정보만이 TL 판단에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TL 판단을 하는 어떠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operation S130, the PDN-GW 24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TL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escribed later.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cluded in the entire set of information for TL determination, or only a part thereof may be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And even if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in the actual TL determination, all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may be used collectively, and only a part of the information may be used for the TL determination. It may b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licable to any case in which TL determination is made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escribed below.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첫 번째 정보는, PDN-GW(24)가 PCRF(50)의 인터액션(interaction)을 통해서 획득한 정책 제어 및 과금(PCC) 규칙(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PCC 규칙은 TL의 허용 여부와 함께 TL의 허용 조건에 관한 내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CC 규칙은 PDN-GW(24)가 이미 이전에 받아 두었을 수도 있고, 또는 TL 판단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PDN-GW(24)가 PCRF(50)와의 인터액션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The first inform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is a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 obtained by the PDN-GW 24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PCRF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C rule may include contents regarding the permission conditions of the TL along with whether the TL is allowed. This PCC rule may have already been previously received by the PDN-GW 24, or may be obtained by the PDN-GW 24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CRF 50 only when necessary for TL determination.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두 번째 정보는 가입자 정보(Subscriber's Information)이다. 가입자 정보는 예컨대, EPS 베어러를 설정하고 있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의 가입자가 TL을 이용할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가입자 정보는, 이미 EPS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이라면, MME(30)와 HSS(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인터액션을 통해 얻은 가입자 정보가 MME(30)로부터 제1 S-GW(22a) 또는 제2 S-GW(22b)를 통하여 PDN-GW(24)로 미리 전달되었을 수도 있고, 또는 필요한 경우에 PDN-GW(24)가 직접 요청하여 MME(30)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Second inform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is Subscriber's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bscribers of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that set up the EPS bearer have a right to use the T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ME 30 and the HSS (not shown) is obtained from the MME 30 by the first S-GW 22a or the first S-GW 22a. It may have been delivered in advance to the PDN-GW 24 via the 2 S-GW 22b, or may be directly requested by the PDN-GW 24 and received from the MME 30 when necessary.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세 번째 정보는 게이트웨이 정보이다.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는 게이트웨이 자체에 관한 정보이거나 또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정보는 해당 S-GW(22a, 22b) 및/또는 PDN-GW(24)가 트래픽 국부화에 대하여 지원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DN-GW(24)는 이러한 게이트웨이(예컨대, S-GW(22a, 22b))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필요한 경우에만 S-GW(22a, 22b)와의 인터액션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Third inform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is gateway information. The gatewa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gateway itself 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teway. For example, in the former case, the gatewa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GWs 22a and 22b and / or the PDN-GW 24 can support traffic localization. no. The PDN-GW 24 may be acquiring such gateway (eg, S-GW 22a, 22b) information in advance, or may obtain 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GW 22a, 22b only when necessary. .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네 번째 정보는 단말 정보이다. 단말 정 보는 단말(12, 14)들 각각의 능력치(Capability) 등과 같은 단말 자체에 관한 정보이거나 또는 단말(12, 14)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12, 14)에 관하여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정보는 단말(12, 14)이 트래픽 국부화를 이해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이거나 또는 트래픽 국부화의 수행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정보는 본 단계의 이전에 미리 획득해둔 정보이거나 또는 단말이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의 인터액션을 통해 직접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Fourth inform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is terminal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itself, such as capability of each of the terminals 12, 14, or is directly received from the terminals 12, 14 or obtained from another network nod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s 12, 14.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s 12 and 14 can understand traffic localization or information related to performing traffic localiz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previously obtained before the present step or may be information obtained directly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erminal or another network node.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서로 다른 S-GW(22a, 22b)를 사용하지만 PDN-GW(24)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단계 S130에서 PDN-GW(24)가 TL 판단을 하는 조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PDN-GW(24)는 서로 통신하려고 하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사용하는 PDN-GW(24)가 같으면(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S-GW(22a, 22b)가 다르면),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TL을 사용할지를 판단한다. TL 판단을 하는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는, 예를 들어, 단말(12, 14)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22a, 22b, 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자신과 EPS 베어러를 설정하고 있는 단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PDN-GW(24)이 스스로 파악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에 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use different S-GW 22a, 22b, but the PDN-GW 24 is using the same, step In step S130, the PDN-GW 24 may be a condition for TL determination. In this case, the PDN-GW 24 is the same as the PDN-GW 24 used by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f necessary, the S-GW 22a). , 22b),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TL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Whether the condition for making the TL determination is satisfied is, for example, a terminal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erminals 12 and 14 and / or other network nodes 22a, 22b and 30 or setting up an EPS bearer with itself.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DN-GW 24 may grasp on its own, or directly obtain information about it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다른 S-GW(22a, 22b)를 사용하면서 PDN-GW(24)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정보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PDN-GW(24) 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각각 사용하는 S-GW(22a, 22b)와 PDN-GW(24)가 같은지 또는 다른지도 함께 고려하여, 단계 S130에서의 TL 판단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의 집합 중에서 상기 단말 정보에 해당 단말이 사용하고 있는 S-GW(22a, 22b) 및/또는 PDN-GW(24)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is that the PDN-GW 24 uses the same while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use different S-GWs 22a and 22b. It can be on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 of. In this case, the PDN-GW 24 considers whether the S-GWs 22a and 22b and the PDN-GW 24 used by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are the same or different. In step S130, the TL determination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include S-GW 22a and 22b and / or PDN-GW 24 information used by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set of information.

그리고 본 단계(S130)을 위하여 단말과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 및 인터액션,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 및 인터액션 방식은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교환과 인터액션은 3GPP LTE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 또는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정보 교환 및 인터액션 방식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formation exchang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nodes, and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network nodes are not limited for this step (S130). For example,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intera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information exchange and interaction scheme between a terminal and a network node or between network nodes which is conventionally performed in a 3GPP LTE system.

본 단계에서 PDN-GW(24)는, 전술한 정보들 및 여러 가지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두 단말(12, 14) 사이의 통신에서 자기 자신(PDN-GW)를 거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 경로가 존재하고, 또한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가 네트워크 자원 활용의 측면이나 전송 시간의 측면 등에서 더 효율적이거나 또는 최적화된 경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두 단말(12, 14)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상기 최적화된 데이터 전송 경로로 변경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요건이 충족되었다고 해서, 본 단계(S130)에서 PDN-GW(24)가 반드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이라고 판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 판단 결과는 임의적일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요건이 완전히 충족되지는 않더라도, 필요한 경우에는 임의적으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In this step, the PDN-GW 24 transmits data more effectively than passing through itself (PDN-GW)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12 and 14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nd various judgment criteria. If the path exists and the new data transmission path is determined to be a more efficient or optimized path in terms of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or transmission time, etc., the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two terminals 12 and 14 is optimized. It can be decided to change to the data transmission path. However, if the above requirement is satisfied, it is not necessary to determine that the PDN-GW 24 will use traffic localization in this step S130,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arbitrary.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raffic localization will be used arbitrarily if necessary, even if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s are not fully met.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두 단말(12, 14) 사이의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로 이용될 새로운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이하, 단순히 'TL 베어러 설정 절차'라고 한다)가, 제1 단말(12) 및 제2 단말(14) 각각과 네트워크 코아 사이에서 수행된다(S140, S1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계 S140과 단계 S150의 순서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상기 두 단계(S140, S1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가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두 단계가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3B,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new bearer or IP tunnel to be used as a data transmission path in communication between two terminals 12 and 14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L bearer setup procedure'), It is performed between each of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network core (S140, S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the steps S140 and S150 is not limited, and any one of the two steps S140 and S150 may be performed first or two steps may be per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이러한 TL 베어러 설정 절차(S140, S150)는, 단계 S130에서 TL 판단을 수행한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PDN-GW(24)가 개시하는 절차일 수 있다. 그리고 TL 베어러 설정 절차(S140, S150)은 각각의 단말(12, 14)과 각각의 S-GW(22a, 22b) 사이에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을 설정하는 절차와 두 S-GW(22a, 22b) 사이에 베어러 또는 아이피 ㅌ널을 설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전자의 절차는 각각의 단말(12, 14)과 각각의 S-GW(22a, 22b) 사이에 새로운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의 단말(12, 14)과 PDN-GW(24)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기존의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후자의 절차는,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통상적인 베어러 설정 절차 또는 아이피 터널 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베어러 생성 절차 또는 베어러 업데이트 절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국부화를 위하여 추가로 새로운 메시지를 정의하거나 새로운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이하, TL 베어러 설정 절차(S140, S15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TL bearer setup procedure (S140, S150) may be a procedure initiated by the network node, for example, the PDN-GW 24, which has performed the TL determination in step S130. The TL bearer setup procedure (S140, S150) is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bearer or IP tunnel between each of the terminals 12 and 14 and the respective S-GWs 22a and 22b and two S-GWs 22a and 22b. The procedure includes setting up a bearer or IP channel in between. Among these, the former procedure is performed using a procedure for creating a new bearer or IP tunnel between each terminal 12, 14 and each S-GW 22a, 22b, or each terminal 12, 14) and the PDN-GW 24 may be performed using a procedure for updating an existing bearer or IP tun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tter procedure may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bearer setup procedure or IP tunnel setup procedure between two network nodes. However, when using an existing bearer creation procedure or bearer update procedure, it is not necessary to define a new message or define a new transport protocol for traffic localization. Hereinafter, the TL bearer setup procedures S140 and S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계 S130에서 TL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PDN-GW(24)는 제1 TL 요청 메시지를 S-GW(22a, 22b)로 전송한다(S141, S151). 그리고 제1 TL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GW(22a, 22b)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TL 정보를 처리하여 이해하고, 필요한 TL 정보를 저장해 둔다. 상기 제1 TL 요청 메시지는 TL 베어러 설정을 위한 절차를 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로써, 그 명칭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TL 요청 메시지는 TL 정보(TL Info.)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Bearer Request message) 또는 TL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Bearer Request message)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에, 상기 TL 정보는 TL의 실행을 지시하거나 또는 요청하는 정보와 함께, TL의 실행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22a, 22b, 30) 및/또는 단말(12, 14)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예컨대, 통신하려고 하는 두 단말(12, 14)에 관한 정보 및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트래픽 경로에 관한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node, for example, the PDN-GW 24, which decides to use the TL in step S130, transmits the first TL request message to the S-GWs 22a and 22b (S141 and S151). The S-GWs 22a and 22b receiving the first TL request message process and understand the T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and store necessary TL information. The first TL request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to start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TL bearer, and the name thereof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TL request message may be a bearer request message including TL information or a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including TL informa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is case, the TL information, along with information indicating or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TL, is additionally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other network nodes 22a, 22b, 30 and / or the terminals 12, 14 in the execution of the TL.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wo terminals 12 and 14 to communicate with, information about a traffic path to be newly set, etc.).

그리고 제1 TL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GW(22a, 22b)는 제2 TL 요청 메시지를 MME(30)에게 전송한다(S142, S152). 상기 제2 TL 요청 메시지는 MME(30)에서 관리되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메시지로써, 전술한 제1 TL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새로운 명칭의 메시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상기 제2 TL 요청 메시지는 TL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이거나 또는 TL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일 수 있으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TL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ME(30)도, S-GW(22a, 22b)와 마찬가지로,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TL 정보를 처리하여 이해하고, 필요한 TL 정보를 저장해 둔다.After receiving the first TL request message, the S-GWs 22a and 22b transmit the second TL request message to the MME 30 (S142 and S152). The second TL request message is a message for updating information of a control plane managed by the MME 30, and may be the same message as the aforementioned first TL message or a message having a different new name may be used. have. In the former case, the second TL request message may be a bearer cre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L information or a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including TL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ke the S-GWs 22a and 22b, the MME 30 receiving the second TL request message processes and understands the T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and stores necessary TL information.

계속해서, MME(30)는 단말(12, 14)들 각각과 무선 베어러 생성 절차 또는 무선 베어러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한다(S143, S153). 본 단계를 수행하는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네트워크측에서 개시하는 기존의 무선 베어러 생성 절차 또는 무선 베어러 업데이트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단계를 절차를 이용하여, MME(30)는 TL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에게 필요하거나 또는 단말에게 통지가 필요한 정보를 단말(12, 14)로 전달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임의적이다. 상기 정보는 전술한 TL 정보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MME 30 performs a radio bearer generation procedure or a radio bearer update procedure with each of the terminals 12 and 14 (S143 and S153).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anner of performing this step,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using an existing radio bearer creation procedure or radio bearer update procedure initiated by the network side. However, by using the procedure of this step, the MME 30 may deliver information required to the terminal or required to notify the terminal to the terminals 12 and 14 in performing the TL, which is arbitrary. The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TL information.

그리고 MME(30)는 수신된 제2 TL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제1 TL 응답 메시지를 S-GW(22a, 22b)로 전송한다(S144, S154). 상기 제1 TL 응답 메시지는, 네트워크에서 개시하여 요청한 TL의 수행 여부에 대한 응답(수락이나 거절 등)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제1 TL 응답 메시지의 유형은 수신된 제2 TL 요청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TL 요청 메시지가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제1 TL 응답 메시지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Bearer response message) 또는 베어러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Update Bearer Response message)일 수 있다.The MME 30 transmits a first TL response message, which is a response to the received second TL request message, to the S-GWs 22a and 22b (S144 and S154). The first TL response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response (accept or rejection) regarding whether to perform the requested TL initiated by the network. The type of the first TL response mes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ceived second TL request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TL request message is a bearer creation request message or a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the first TL response message may be a bearer response message or a bearer update response message. May be).

그리고 제1 S-GW(22a) 또는 제2 S-GW(22b)는 상대방 S-GW(22b 또는 22a)와의 사이에 새로운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S145, S155). 예를 들어, 제1 S-GW(22a)와 제2 S-GW(22b)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 지(Create Bearer Request message)와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Bearer Response message)를 보내고 받음으로써,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전송 터널은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가 종료한 후에,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 사이의 통신시에 데이터 전송 경로로 이용된다.The first S-GW 22a or the second S-GW 22b performs a procedure for creating a new bearer or IP tunnel between the counterpart S-GW 22b or 22a (S145 and S155). For example,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send and receive a bearer create request message and a bearer create response message. A data transmission tunnel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This data transmission tunnel is used as a data transmission path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after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is finished.

이와 같이, TL의 수행 여부에 대한 수락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 제1 TL 응답 메시지가 MME(30)로부터 S-GW(22a, 22b)로 전송되면, 단말(12, 14)과 S-GW(22a, 22b)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새로 생성되거나 또는 기존의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업데이트되고, 또한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나면,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 새로운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S146, S156). As such, when the first TL response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o perform the TL is transmitted from the MME 30 to the S-GWs 22a and 22b, the terminals 12 and 14 and the S-GW are transmitted. Between 22a and 22b, a bearer or IP tunnel for data transmission is newly created or an existing bearer or IP tunnel is updated, and also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After the exchange of the request message and the response message, a new bearer or IP tu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S146, S156).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되는 베어러는 각각의 단말(12, 14)과 각각의 S-GW(22a, 22b) 사이 및 두 S-GW(22a, 22b) 사이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S-GW(22a, 22b)와 PDN-GW(24) 사이에 존재하던 기존의 베어러(데이터 전송 터널)는 더 이상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는 사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기존의 베어러 관련 정보는 S-GW(22a, 22b)와 PDN-GW(24) 사이에 교환될 수 있으며, 이미 이전에 그 구간에 존재하던 다른 베어러들을 릴리스시키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a newly created or updated bearer is formed only between each terminal 12, 14 and each S-GW 22a, 22b and between two S-GWs 22a, 22b. . The existing bearer (data transmission tunnel) existing between the S-GWs 22a and 22b and the PDN-GW 24 is no longer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It doesn't work. However, the existing bearer related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between the S-GWs 22a and 22b and the PDN-GW 24, and may not release other bearers previously existing in the section.

그리고 MME(30)로부터 제1 TL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S-GW(22a, 22b)는, 수신 된 제1 TL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TL 응답 메시지를 PDN-GW(24)로 전송한다(S147, S157). 예를 들어, 상기 제2 TL 응답 메시지는 PDN-GW(24)로부터 개시된 TL을 위한 절차를 수행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TL 응답 메시지에는 새롭게 설정된 베어러 또는 IP 터널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The S-GWs 22a and 22b that receive the first TL response message from the MME 30 transmit the second TL response message to the PDN-GW 24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TL request message. (S147, S157). For example, the second TL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procedure for the TL initiated from the PDN-GW 24 has been per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TL response message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newly set bearer or IP tun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계 S146 (또는 단계 S156)와 단계 S147 (또는 단계 S157)의 수행 순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46 (또는 단계 S156)와 단계 S147 (또는 단계 S157)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 또는 진행 순서가 반대로 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S146(또는 단계 S156)와 단계 S147 (또는 단계 S157)은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order of performing steps S146 (or step S156) and step S147 (or step S157).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step S146 (or step S156) and step S147 (or step S157) may proceed sequentially or in reverse order.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tep S146 (or step S156) and step S147 (or step S157) may be performed at about the same time.

전술한 단계 S140과 단계 S150의 절차가 종료되면, S-GW(22a, 22b)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의 통신에서는 트래픽의 국부화를 위한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단계 S140과 단계 S150의 종료 이후에는, 제1 S-GW(22a)는 제1 단말(12)이 제2 단말(14)에게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PDN-GW(24)로 전송하지 않고 바로 제2 S-GW(22b)로 전송하여 제2 단말(14)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S-GW(22b)는 제2 단말(14)이 제1 단말(12)에게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PDN-GW(24)로 전송하지 않고 바로 제1 S-GW(22a)로 전송하여, 제1 단말(12)로 전송되도록 한다(S160).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수행한 이후에, 단계 S160에서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of steps S140 and S150 are completed, the S-GWs 22a and 22b recognize that the procedure for localizing traffic has been complet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can do. That is, after the end of steps S140 and S150, the first S-GW 22a does not transmit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2 to the second terminal 14 to the PDN-GW 24.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second S-GW 22b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4. The second S-GW 22b transmit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14 to the first terminal 12 directly to the first S-GW 22a without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PDN-GW 24. In order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2 (S160). 4 schematically shows a path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in step S160 after performing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가 종료되면,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 사이의 통신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PDN-GW(24)를 거치지 않고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터널을 통해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 PDN-GW(24)를 경유하는 우회 경로 대신에 다이렉트 경로를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코아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As such, when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he traff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d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the transmitted data does not go through the PDN-GW 24. Transmission is carried out through a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Th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a direct path is used instead of the bypass path via the PDN-GW 24. Since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the data transmission time in the network core can be shortened and network resource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그리고 이후에는 설정된 베어러 또는 IP 터널의 관리에 있어서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GW(22a, 22b)는 상기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지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하여 소정의 PCC 규칙을 적용시키거나 또는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S-GW(22a, 22b)로부터 PDN-GW(24)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PDN-GW(24)로의 정보 전달 절차는 S-GW(22a, 22b)가 자동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및/또는 PDN-GW(24)로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Thereafter, necessary procedures may be performed in managing the configured bearer or IP tunnel. For example, the S-GWs 22a and 22b may apply certain PCC rules or collect information about billing for data traffic passing through the bearer or IP tunnel. The collected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from the S-GWs 22a and 22b to the PDN-GW 24. This information transfer procedure to the PDN-GW 24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periodically by the S-GWs 22a and 22b and / or when there is a request to the PDN-GW 24.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도 전체가 하나의 절차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단지 도면 작성의 편리를 위하여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5A and 5B are message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s a whole constitute one procedure, they are shown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rawing.

본 실시예는 단말측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고, 네트워크 코아에 서 트래픽 국부화(TL)를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경우로써, 전술한 제1 실시예가 네트워크 코아측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는 것과 다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는 단말은 제1 단말(12) 또는 제2 단말(14) 하나뿐이거나 또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 모두가 해당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1 단말(12)이 혼자서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나, 제2 단말(14)이 혼자서 또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모두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initiates a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and determines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TL) in the network core.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performs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in the network core side. It is not the same as start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itiating the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may be the first terminal 12 or the second terminal 14, or both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correspond to the terminal. May be Hereinafter, only the case where the first terminal 12 initiates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by itself based on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econd terminal 14 alone or the first terminal (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both the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may be equally applicable even when initiating a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도 5a를 참조하면, 우선 제1 단말(12)과 네트워크 코아 사이에는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그 결과로 제1 단말(12)과 PDN-GW(24) 사이에는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S210). 그리고 제2 단말(14)과 네트워크 코아 사이에도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그 결과로 제2 단말(14)과 PDN-GW(24) 사이에도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S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상기 단계 S210과 상기 단계 S220 사이의 진행 순서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단계 S210과 단계 S220의 절차에 참여하는 S-GW(22a, 22b)는 서로 다르지만, 단계 S210과 단계 S220의 절차에 참여하는 PDN-GW(24)는 동일하다는 것의 주의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5A, first,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network core. As a resul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PDN-GW 24. EPS bearer or IP tunnel is established (S210). In addition,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network core. As a result, an EPS bearer or IP tunnel is also form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PDN-GW 24. It is set (S2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order of progress between the step S210 and the step S220, and the S-GWs 22a and 22b participating in the procedure of step S210 and step S2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step S210 and step S220 are differ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DN-GW 24 participating in the procedure of the same are the same.

단계 S210과 단계 S220의 결과, 제1 단말(12)과 PDN-GW(24) 사이 및 제2 단말(14)과 PDN-GW(24) 사이에는 각각 EPS 베어러 또는 IP 터널이 설정된다. 상기 EPS 베어러는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이거나 또는 상기 디폴트 베어러를 전 제로 단말(12, 14)과 PDN-GW(24) 사이에 추가로 설정되는 데디케이티드 베어러(Dedicated Bearer)일 수 있다. 상기 EPS 베어러는 모두 두 개의 데이터 전송 터널(Data Transfer Tunnel) 즉, 각각의 단말(12, 14)과 각각의 S-GW(22a, 22b) 사이에 설정되는 제1 데이터 전송 터널과 함께 각각의 S-GW(22a, 22b)와 PDN-GW(24) 사이에 설정되는 제2 데이터 전송 터널을 포함한다.As a result of steps S210 and S220,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PDN-GW 24 an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PDN-GW 24, respectively. The EPS bearer may be a default bearer or a dedicated bearer in which the default bearer is additionally set between the zero terminals 12 and 14 and the PDN-GW 24. The EPS bearers are each S together with two data transfer tunnels, that is, a first data transfer tunnel established between each of the terminals 12 and 14 and the respective S-GWs 22a and 22b. A second data transmission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 GWs 22a and 22b and the PDN-GW 24.

그리고 제1 단말(12)은 TL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코아, 보다 구체적으로 PDN-GW(24)로 전송한다(S23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2)은 TL 요청 메시지를 MME(30)로 전송한다(S231). 그리고 MME(30)는 수신된 TL 요청 메시지를 제1 S-GW(22a)로 전달하고(S232), 또한 제1 S-GW(22a)는 수신된 TL 요청 메시지를 PDN-GW(24)로 전달한다.The first terminal 12 transmits the TL request message to the network core, more specifically, to the PDN-GW 24 (S23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12 transmits a TL request message to the MME 30 (S231). The MME 30 forwards the received TL request message to the first S-GW 22a (S232), and the first S-GW 22a forwards the received TL request message to the PDN-GW 24. To pass.

상기 TL 요청 메시지는 제1 단말(12)이 다른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4)과의 통신에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을 네트워크측에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TL 요청 메시지는 예컨대, 상기 제2 단말(14)에 관한 정보 외에 TL 요청 정보(TL request Info.)를 포함하는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Request Bearer Resource Allocation message)일 수 있는데,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TL 요청 정보는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The TL request message is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network side to use traffic localization in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14. The TL request message may be, for example, a Bearer Resource Allocation message including a TL request information (TL request Info.)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terminal 14, which is exemplary. . In this case, the TL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the use of traffic localization.

그리고 이후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N-GW(24)는 PCRF(50) 등과의 인터액션을 통해 획득하거나 또는 미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PCRF 트래픽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 TL)를 사용할지를 판단한다(S240). 단계 S240에서 PDN-GW(24)는 정 책 제어 및 과금(PCC) 규칙(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 가입자 정보, 게이트웨이 정보, 및 단말 정보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로 구성된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TL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ame procedure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B, the PDN-GW 24 may use PCRF Traffic Localization (TL) using information obtained in advance o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CRF 50 or the like. Determine whether (S240). In step S240, the PDN-GW 24 is included in a set of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rom a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 subscriber information, gateway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TL is used.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서로 다른 S-GW(22a, 22b)를 사용하지만 또한 서로 같은 PDN-GW(24)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단계 S230에서 PDN-GW(24)가 상기 정보의 집합을 이용하여 TL 판단을 하는 조건이 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서로 다른 S-GW(22a, 22b)를 사용하지만 PDN-GW(24)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정보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PDN-GW(24)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이 사용하는 S-GW(22a, 22b)는 다르고 또한 PDN-GW(24)는 같은지 여부도 함께 고려하여, TL 판단을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use different S-GWs 22a and 22b but also use the same PDN-GW 24. In step S230, the PDN-GW 24 may be a condition for making a TL determination using the set of information. Alternatively, although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use different S-GWs 22a and 22b, the PDN-GW 24 uses the same one. It can be one of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DN-GW 24 considers whether the S-GWs 22a and 22b used by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are different and the PDN-GW 24 is the same. TL determination is performed.

본 단계(S240)에서 PDN-GW(24)는, 전술한 정보들 및 여러 가지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TL을 사용할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두 단말(12, 14) 사이의 통신에서 자기 자신(PDN-GW)를 거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 경로가 존재하고, 또한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가 네트워크 자원 활용의 측면이나 전송 시간의 측면 등에서 더 효율적이거나 또는 최적화된 경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두 단말(12, 14)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상기 최적화된 데이터 전송 경로로 변경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240, the PDN-GW 24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TL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nd various criteria. For example, there is a data transmission path that is more effective than passing through itself (PDN-GW)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12, 14, and the new data transmission path may be used in terms of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or transmission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re efficient or optimized path from the side, etc., it may be decided to change the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two terminals (12, 14) to the optimized data transmission path.

계속해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단말(12) 및 제2 단말(14) 각각과 네트워크 코아 사이에서는 TL 베어러 설정 절차가 수행된다(S250, S2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계 S250과 단계 S260의 순서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상기 두 단계(S250, S26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가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두 단계가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5B, a TL bearer setup procedure is performed between each of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and the network core (S250 and S26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the steps S250 and S260 is not limited, and any one of the two steps S250 and S260 may be performed first or two steps may be per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이러한 TL 베어러 설정 절차(S250, S260)는, 단계 S240에서 TL 판단을 수행한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PDN-GW(24)가 개시하는 절차일 수 있다. 그리고 TL 베어러 설정 절차(S250, S260)은 각각의 단말(12, 14)과 각각의 S-GW(22a, 22b) 사이에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을 설정하는 절차와 두 S-GW(22a, 22b) 사이에 베어러 또는 아이피 ㅌ널을 설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전자의 절차는 각각의 단말(12, 14)과 각각의 S-GW(22a, 22b) 사이에 새로운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의 단말(12, 14)과 PDN-GW(24)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기존의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후자의 절차는,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통상적인 베어러 설정 절차 또는 아이피 터널 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is TL bearer setup procedure (S250, S260) may be a procedure initiated by the network node, for example, the PDN-GW 24, which has performed the TL determination in step S240. The TL bearer setup procedure (S250, S260) is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 bearer or IP tunnel between each of the terminals 12 and 14 and the respective S-GWs 22a and 22b and two S-GWs 22a and 22b. The procedure includes setting up a bearer or IP channel in between. Among these, the former procedure is performed using a procedure for creating a new bearer or IP tunnel between each terminal 12, 14 and each S-GW 22a, 22b, or each terminal 12, 14) and the PDN-GW 24 may be performed using a procedure for updating an existing bearer or IP tun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tter procedure may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bearer setup procedure or IP tunnel setup procedure between two network nodes.

전술한 단계 S250과 단계 S260의 TL 베어러 설정 절차가 종료되면, 제1 S-GW(22a)와 제2 S-GW(22b)는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의 통신에서는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단계 S250과 단계 S260의 종료 이후에는, 제1 S-GW(22a)는 제1 단말(12)이 제2 단말(14)에게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PDN-GW(24)로 전송하지 않고 바로 제2 S-GW(22b)로 전송하여 제2 단말(14) 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S-GW(22b)도 역시 제2 단말(14)이 제1 단말(12)에게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PDN-GW(24)로 전송하지 않고 바로 제1 S-GW(22a)로 전송하여 제1 단말(12)에게로 전송되도록 한다(S260).When the above-described TL bearer setting procedure of steps S250 and S260 ends,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It can be appreciated that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he traffic has been completed. That is, after the end of steps S250 and S260, the first S-GW 22a does not transmit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2 to the second terminal 14 to the PDN-GW 24.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second S-GW 22b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4. The second S-GW 22b also transmit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14 to the first terminal 12 to the first S-GW 22a without being transmitted to the PDN-GW 24. The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2 (S2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가 종료되면, 제1 단말(12)과 제2 단말(14) 사이의 통신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PDN-GW(24)를 거치지 않고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터널을 통해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S-GW(22a)와 제2 S-GW(22b)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 PDN-GW(24)를 경유하는 우회 경로 대신에 다이렉트 경로를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코아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As such, when the localization procedure of the traff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d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 and the second terminal 14, the transmitted data does not go through the PDN-GW 24. Transmission is carried out through a tunnel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Th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S-GW 22a and the second S-GW 22b, a direct path is used instead of the bypass path via the PDN-GW 24. Since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the data transmission time in the network core can be shortened and network resource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그리고 이후에는 설정된 베어러 또는 IP 터널의 관리에 있어서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GW(22a, 22b)는 상기 베어러 또는 IP 터널을 지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하여 소정의 PCC 규칙을 적용시키거나 또는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S-GW(22a, 22b)로부터 PDN-GW(24)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PDN-GW(24)로의 정보 전달 절차는 S-GW(22a, 22b)가 자동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및/또는 PDN-GW(24)로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Thereafter, necessary procedures may be performed in managing the configured bearer or IP tunnel. For example, the S-GWs 22a and 22b may apply certain PCC rules or collect information about billing for data traffic passing through the bearer or IP tunnel. The collected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from the S-GWs 22a and 22b to the PDN-GW 24. This information transfer procedure to the PDN-GW 24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periodically by the S-GWs 22a and 22b and / or when there is a request to the PDN-GW 24.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의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도 1은 EPS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고 있는 단말(UE1, UE2)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low between terminals UE1 and UE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 EP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plain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3A and 3B are message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수행한 이후에 단말들(UE1, UE2) 사이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data between terminals UE1 and UE2 after perform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의 국부화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5A and 5B are message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localization procedure of traffic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동일한 에지 게이트웨이(edge gateway)까지 각각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고 있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에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first request message from the edge gateway requesting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each establishing a data transmission tunnel to the same edge gateway;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제어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Sending a second request message to a mobility control entity requesting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2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제어 개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message, receiving a first response message from the mobility control entity indicat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And 상기 제2 단말을 위한 서빙 게이트웨이와 통신하여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와 제1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Establishing a first data transmission tunnel with the serving gateway in communication with a serving gateway for the secon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수신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과 각각 새로운 무선 베어러의 설정 절차를 완료한 상기 이동성 제어 개체로부터,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receiving of the first response message, the localization control entity is configured to instruct the use of traffic localization from the mobility control entity that has completed the procedure of setting up a new radio bearer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And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fter receiving the first response message, 상기 제1 단말과 제2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Establishing a second data transmission tunnel with the firs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각각 트래픽 국부화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Bearer Request message) 또는 트래픽 국부화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Bearer Request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quest message and the second request message each include a bearer request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or a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Bearer Request me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ffic localiz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트래픽 국부화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Create Bearer Response message) 또는 트래픽 국부화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Update Bearer Response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response message is a bearer response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or a bearer update response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A method for localiz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트래픽 국부화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와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와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tablishing of the first data transmission tunnel exchanges a bearer creation request message and a bearer creation response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ing gateway. Localiz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에지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in response to the first request message, sending a second response message to the edge gateway indicat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Localization method of traffic. 제1 서빙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제1 단말과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고, 또한 제2 서빙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제2 단말과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Establishing a data transmission tunnel with the first terminal via the first serving gateway, and establishing a data transmission tunnel with the second terminal via the second serving gateway;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Traffic Localization)를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에서 트래픽 국부화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서빙 게이트웨이와 상기 제2 서빙 게이트웨이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And transmitting a first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serving gateway and the second serving gateway, respectively. Localiz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는, 정책 제어 및 과금(PCC) 규칙(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 가입자 정보(Subscriber's Information), 게이트웨이 정보, 및 단말 정보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로 구성된 정보의 집합에 기초하여,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information of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a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 a subscriber's information, a gateway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ased on the s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일부 정보만을 이용하여,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the determining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by using all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or using only so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A method of localiz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서로 다른 서빙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터널을 설정하고 있는 것은, 상기 판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거나 또는 상기 정보의 집합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o establish the data transmission tunnel via a different serving gateway is a precondition for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step or included in the set of information. Method for localiz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전에,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before the determining step,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을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And receiving a second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use of traffic localiz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트래픽 국부화 요정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Request Bearer Resource Allocation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request message is a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트래픽 국부화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Create Bearer Request message) 또는 트래픽 국부화 정보 를 포함하는 베어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Bearer Request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request message is a bearer create request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or a bearer update request message including traffic localization information. A method for localiz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픽 국부화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서빙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2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in response to the first request message, a response message indicating whether to use traffic localization from the first serving gateway and the second serving gateway, respectively. A method for localiz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0080097580A 2008-10-06 2008-10-06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000385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80A KR20100038563A (en) 2008-10-06 2008-10-06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80A KR20100038563A (en) 2008-10-06 2008-10-06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63A true KR20100038563A (en) 2010-04-15

Family

ID=4221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80A KR20100038563A (en) 2008-10-06 2008-10-06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56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056A3 (en) * 2010-05-03 2012-03-0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15894A (en) 2011-08-05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for controlling overload based on subscriber's priority and method thereof
WO2016135838A1 (en) * 2015-02-23 2016-09-01 富士通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terminal, and base st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056A3 (en) * 2010-05-03 2012-03-0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55418B2 (en) 2010-05-03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15894A (en) 2011-08-05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for controlling overload based on subscriber's priority and method thereof
WO2016135838A1 (en) * 2015-02-23 2016-09-01 富士通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terminal, and base station
JPWO2016135838A1 (en) * 2015-02-23 2017-11-24 富士通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terminal, and bas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27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tunneling protocols
CN109314695B (en) Method for determining user plane protocol stack,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and system
US2021002206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Yang et al. Solving the data overload: Device-to-device bearer control architecture for cellular data offloading
JP4672002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38485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11811670B2 (en) Packet delay parameter obtain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JP2020524940A (en)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048734B1 (en) Methods, devices, and networks for negotiating Mobile Internet Protocol performance
US20190394712A1 (en) Network event reporting for pdn connectivity
CN109196893B (en)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190085177A (en)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dio link monitoring and failure procedures for multi-beam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CN111630824A (en) Method and system for offloading data traffic
TWI792415B (en) Multi-access pdu session state synchronization between ue and network
CN113613216A (en) Time critical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KR10168292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nod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node in data service network
CN108271433B (en) Data message processing method,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and user plane network element
CN109429366B (en) PDU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102267B2 (en) Server- and network-assisted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signaling
WO2011116714A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N107277882B (en) Data routing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WO201405964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field service
US9084136B2 (en) Single bearer network connection establishment
KR20100038563A (en) Traffic localization proced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CN116097751A (en) Re-anchoring with SMF re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