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261A -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261A
KR20100038261A KR1020080097445A KR20080097445A KR20100038261A KR 20100038261 A KR20100038261 A KR 20100038261A KR 1020080097445 A KR1020080097445 A KR 1020080097445A KR 20080097445 A KR20080097445 A KR 20080097445A KR 20100038261 A KR20100038261 A KR 2010003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outside air
outsid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선
Original Assignee
구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선 filed Critical 구자선
Priority to KR102008009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261A/ko
Publication of KR2010003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 F05B2240/91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which is a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위등에 수직풍력 발전기를 이용하여 내기배출과 발전이 이루어지고 내기 배출배관 외부로 외기유입 배관이 배출배관 외부와 적정공간을두고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하는것에 관한것으로 지붕위에 상기와같이 설치하여 수직풍력 발전기를통해 실내 내기가 바람의 방해를 받지않고 배출되고 발전도 되며 또한 배출배관외부 주위로 일정공간을 두고 외기유입 배관이 설치되어 지면보다 깨끗하고 낮은온도의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냉방이 이루어지는 것에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 배출배관. 외기유입관. 내기. 외기.

Description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A device to generate power by wind force and circulate internal and outdoor air.}
본 발명은 지붕위 등에 수직풍력 발전기를 이용한 실내내기 배출과 발전과 또한 배출배관 외부 주위에 외기유입관을 설치하여 외기를 유입하는것에 관한것으로 이러한 시설이 지붕위에 일괄 설치되어 수직풍력기를 이용하여 실내 내기가 바람의 방해를 받지않고 순조롭게 배출되고 풍력발전이 이루어지며 내기배출 배관주위로 외기유입관이 설치되어 지면보다 깨끗하고 낮은온도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실내냉방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에관한 것이다.
기존의 실내공기 순환방법은 문이나 창을열어 외기가 유입되고 내기가 배출되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내외기순환 방법은 매우 좋지못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우리들이 사는 주변은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대기가 많이 오염이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행이 우리몸은 면역기관이 있어 몸내부 침입을 막아주고 있어 다행한 일이나 계속된 호흡으로 인한 호홉기 질환이나 기관지등이 피해를 입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안으로 공기정화 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실 내전체를 정화할수 없으므로 만족할만한 수준의 기기가 개발되지 않고있는 실정이다 또한 더운날씨에 에어콘을 사용하여 냉방을 하고있다 이또한 바람직한 냉방방법이 아니다 실내 냉방으로 더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대기가 더워지고 냉방병등이 발생하는 인체에 유익하지 못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만족할만한 인체에 유익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기존건물 지붕위에 사용되고 있는 환풍기 등을보면 바람의 회전을 이용한 내기 자연배출 방법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배출방법이 있다 자연배출 방법은 에너지 소모가없이 자연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실내공기의 상승분이 바람의 저항없이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것으로 내기순환이 원활치 못하며 기압의 차가 심할때는 외기가 많이 유입되어 겨울철 같은 시기에는 난방에 문제가 발생하며 전기에너지 사용방법은 자연순환에 비해 내기배출은 원활하나 모타 고장이있어 교체시 어려움이 발생하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장없이 오래 사용할수 있고 또한 무동력으로 내 외기가 순환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문제 해결 방안으로 본 발명은 지붕위에 적정높이의 내기배출 배관을 설치하고 위에 수직풍력 발전기를 설치하여 내기배출과 발전을 겸하고 배출배관 아래 적정지역에 외기유입 배관을 배출배관 외부로 적정공간을 두고 설치하여 외기를 유입하는 일체형으로 지붕위에 일괄 설치되어 수직풍력 발전기가 바람에 의해 회전하 면서 배출배관의 회전축에 설치된 경사형 날개가 회전하면서 내기를 아래서 위로 퍼올려 수직풍력기 날개사이로 배출되고 발전도 되며 배출배관과 외기유입관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어 지하나 실내에서 냉방용 으로 사용대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한다
상기와같이 설치되면 내기가 원할이 배출되고 외기도 유입되며 조절기를 이용하여 내 외기가 같은량으로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져 겨울철같이 추운날씨에 내외기를 적절히 조절 사용하여 편리하고 에너지 소비를 막고 발전도 겸할수 있어 에너지가 생산되어 실내등 에서 사용할수 있는 친환경 방법이다.
상세 설명에 앞서 기출원된 제(10-2008-0083638)호의 대류에 의한 내외기 순환방법과 제 (10-2008-0084821)호의 풍력을 이용한 실내공기 배출과 발전장치의 두가지를 같이 본 발명과 사용하는것이 이상적인 방법이라 생각하며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지붕위 등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내기배출과 배출배관 주위를 이용한 외기유입 방법으로 도 1과같이 지붕200위에 배출배관60이 적정높이로 설치되고 위로 풍력발전기100가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풍력발전기100내 날개가 회전하면서 아래 배출배관60내 경사날개가 돌아 내기가 날개30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고 위발전실10 에서 전력이 생산되며 배출배관60아래 배출배관 외부 주위로 적정간격을 두고 외기유입관80이 아래 지붕까지 설치되어 외기가 지하나 건물내로 유입되고 외기유입구 위로 우산70이 설치되어 빗물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수직풍 력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과 내기 배출과 내기 배출배관 주위로 설치된 외기유입 배관 장치로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풍력발전과 내외기순환 구조에 관한것으로 지붕위에 내기 배출배관이 적정높이 설치되고 위에 내기배출과 풍력을 이용한 풍력장치와 발전실이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날개가 회전되면서 발전이되고 날개안쪽 사이를 통해 아래 배관내 회전축의 경사날개 회전에 의해 내기가 배출되고 배출배관 아래 적정위치에 외기유입을 위한 외기 배출배관이 설치되고 배출배관 외부와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배출배관 과의 공간사이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건물 냉방으로 사용되고 외기유입관 위에 빗물유입을 막아주는 경사로된 우산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내기배출과 내기 배출배관 주위로 설치된 외기 유입배관 설치방법이다 다음은 수직 풍력기를 이용한 내 외기순환에 관한 것으로 지붕위 등에 내기배출 배관을 적정높이로 설치하고 그위로 수직형 풍력기를 설치하여 방향타를 좌우 양방향 으로설치하고 한쪽 방향타 쪽에 타공구멍을 설치하여 구멍없는 방향타 쪽에 바람의 압을 많이받게 하여 쉽게 타공구멍 쪽으로 방향이 바뀌게 하고 방향타 옆으로 바람막을 양쪽 좌우로 설치하여 날개풍압을 줄이고 수직풍력기 위의 발전실을 제외하여 발전을 하지않고 순수내기 배출로만 사용하는 방법으로 배출관내 회전축에 경사형 날개를 달아 내기를 배출하거나 혹은 회전축에 경사형 날개가 없이 내기를 자연배출 하거나 회전축의 날개를 반대로 경사지게 하여 외기를 유입하는 방법의 수직 풍력기를 이용한 내 외기 순환방법이다 다음은 수직풍력기 아래 외기유입 배관설치 방법과 내 외기 순환배관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과같이 외기유입관 위로 빗물차단 우산을 설치하지 않고 외기유입관 을 위로올려 수직풍력기와 외기유입 공간을두고 바로 설치하여 수직풍력기 아래판이 빗물유입을 차단하고 공간사이로 외기가 유입되며 또한 외기유입 배관이 배출배관 내부로 설치되고 외기유입구가 배출배관 외벽을 뚤고 외부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개나 한개이상 여러개를 설치하여 각 각 다른실내로 외기를 공급하는 방법과 배출배관 외부로 외기유입관을 한개나 한개이상 다수로 설치하는 방법과 반대로 외기유입관을 중심으로 배출배관이 상기와같이 외기유입관 내부나 외부로 한개나 한개이상 다수개로 설치되는 방법으로 구성된 수직풍력기 아래를 이용한 내외기 순환방법과 배출배관 이나 외기유입 배관중 어너한쪽 배관 내 외부를 이용한 다른한쪽배관 설치방법 등으로 구성된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과 내외기순환 방법의 입면도.
도 2는 기출원된 ( 수직풍력기의 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전실 20; 방향타
30; 날개 50; 바람막
60; 배출배관 70; 우산
80; 외기유입관 90; 타공구멍
100; 풍력발전기 200; 지붕

Claims (5)

  1. 지붕위 등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내기배출과 배출배관 주위를 이용한 외기유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풍력발전과 내외기순환 구조에 관한것으로 지붕위에 내기 배출배관이 적정높이 설치되고 위에 내기배출과 풍력을 이용한 풍력장치와 발전실이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날개가 회전되면서 발전이되고 날개안쪽 사이를 통해 아래 배관내 회전축의 경사날개 회전에 의해 내기가 배출되고 배출배관 아래 적정위치에 외기유입을 위한 외기 배출배관이 설치되고 배출배관 외부와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배출배관 과의 공간 사이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건물 냉방으로 사용되고 외기유입관 위에 빗물유입을 막아주는 경사로된 우산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내기배출과 내기 배출배관 주위로 설치된 외기 유입배관 설치방법.
  3. 도 1과같이 지붕200위에 배출배관60이 적정높이로 설치되고 위로 풍력발전기100가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풍력발전기100내 날개가 회전하면서 아래 배출배관60내 경사날개가 돌아 내기가 날개30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고 위발전실10 에서 전력 이 생산되며 배출배관60 외부 주위로 적정간격을 두고 외기유입관80이 위에서 아래 지붕까지 설치되어 외기가 지하나 건물내로 유입되고 외기유입구 위로 우산70이 설치되어 빗물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수직풍력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과 내기 배출과 내기 배출배관 주위로 설치된 외기유입 배관 장치.
  4. 도 1과 도 2와 같이 수직 풍력기를 이용한 내 외기순환에 관한 것으로 지붕위 등에 내기배출 배관을 적정높이로 설치하고 그위로 수직형 풍력기를 설치하여 방향타를 좌우 양방향 으로설치하고 한쪽 방향타 쪽에 타공구멍을 설치하여 구멍없는 방향타 쪽에 바람의 압을 많이받게 하여 쉽게 타공구멍 쪽으로 방향이 바뀌게 하고 방향타 옆으로 바람막을 양쪽 좌우로 설치하여 날개풍압을 줄이고 수직풍력기 위의 발전실을 제외하여 발전을 하지않고 순수내기 배출로만 사용하는 방법으로 배출관내 회전축에 경사형 날개를 달아 내기를 배출하거나 혹은 회전축에 경사형 날개가 없이 내기를 자연배출 하거나 회전축의 날개를 반대로 경사지게 하여 외기를 유입하는 방법의 수직 풍력기를 이용한 내 외기 순환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수직풍력기 아래 외기유입 배관설치 방법과 내 외기 순환배관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과같이 외기유입관 위로 빗물차단 우산을 설치하지 않고 외기유입관 을 위로올려 수직풍력기와 외기유입 공간을두고 바로 설치하여 수직풍력기 아래판이 빗물유입을 차단하고 공간사이로 외기가 유입되며 또한 외기유입 배관이 배출배관 내부로 설치되고 외기유입구가 배출배관 외벽을 뚤고 외부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개나 한개이상 설치하여 각 각 다른실내로 외기를 공급하는 방법과 배출배관 외부로 외기유입관을 한개나 한개이상 다수로 설치하는 방법과 반대로 외기유입관을 중심으로 배출배관이 상기와같이 외기유입관 내부나 외부로 한개나 한개이상 설치되는 방법으로 구성된 수직풍력기 아래를 이용한 내외기 순환 방법과 배출배관 이나 외기유입 배관중 한쪽배관 내 외부를 이용한 다른한쪽 배관 설치방법.
KR1020080097445A 2008-10-04 2008-10-04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KR20100038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45A KR20100038261A (ko) 2008-10-04 2008-10-04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45A KR20100038261A (ko) 2008-10-04 2008-10-04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261A true KR20100038261A (ko) 2010-04-14

Family

ID=4221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445A KR20100038261A (ko) 2008-10-04 2008-10-04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2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3759A (zh) * 2011-06-27 2012-01-18 南开大学 翼伞自主归航半实物仿真系统
KR20200102690A (ko) 2019-02-22 2020-09-01 임장열 대류현상을 이용한 온도조절용 윈드타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3759A (zh) * 2011-06-27 2012-01-18 南开大学 翼伞自主归航半实物仿真系统
KR20200102690A (ko) 2019-02-22 2020-09-01 임장열 대류현상을 이용한 온도조절용 윈드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1314B (zh) 风力发电装置
JP5067730B2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
EP3276269A1 (en) Intake/exhaust unit and double skin system using same
CN103245018B (zh) 带有遮阳、发电和消声的分体式蒸发空调机组
JP2009264721A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一層式)
CN101949569A (zh) 高楼房间太阳能通风装置
Ismail et al. Stack ventilation strategies in architectural context: a brief review of historical development, curr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KR20140104073A (ko) 친환경 다기능 폐열회수형 공조시스템
CN211958497U (zh) 一种变电站通风装置
KR20100038261A (ko) 풍력발전과 내외기 순환방법.
KR20120033507A (ko) 지열을 이용한 실내의 공조 시스템
CN205224350U (zh) 百叶式光伏建筑立面和百叶式光伏幕墙
ES2641713T3 (es) Módulo de ingeniería de construcción
KR20110129249A (ko)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CN101982705A (zh) 高楼房间通风装置
CN114992766A (zh) 一种热泵型空气幕系统及其节能方法
CN101230749B (zh) 室内空调安装、散热专用通道
CN206590726U (zh) 一种电梯井道通风装置
CN201569068U (zh) 防雷型自然能四季式热水系统
CN205502323U (zh) 具有发电功能的呼吸式幕墙
JP2016056735A (ja) 風力発電装置
KR101569961B1 (ko) 태양 복사열과 자연풍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풍력발전 타워 및 풍력 발전기의 정격스피드 자동 제어 방법
CN201024648Y (zh) 室内空调安装、散热专用通道
KR20150142387A (ko)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냉방에너지 생산용 풍력기 설계
CN204693600U (zh) 曲面分体壁挂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