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249A -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249A
KR20110129249A KR1020100048786A KR20100048786A KR20110129249A KR 20110129249 A KR20110129249 A KR 20110129249A KR 1020100048786 A KR1020100048786 A KR 1020100048786A KR 20100048786 A KR20100048786 A KR 20100048786A KR 20110129249 A KR20110129249 A KR 2011012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uilding
vertical duct
wind power
ris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민
Original Assignee
지에스파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파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파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249A/ko
Publication of KR2011012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수직덕트와, 상기 고층 건물 내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 및, 이 수평덕트 또는 상기 수직덕트에 설치된 풍력터빈발전기를 포함하여서, 지리 또는 기후적인 특성에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부는 통풍력을 이용하여 양질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고층 건물 내에 갖춰진 예컨대 굴뚝과 같은 수직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용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고 공간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Wind power generating appratus using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 있는 예컨대 굴뚝과 같은 수직덕트의 구조를 개선하고서 이 개선된 수직덕트에 연통되게 풍력터빈발전기를 설치하여, 풍향 또는 풍량에 관계없이 굴뚝효과로 인한 통풍력에 의해 발전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풍력발전기에 비하여 양질의 전기를 생산하고, 초기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은 지난 3천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20세기 초까지 풍력은 물의 펌핑이나 곡물을 가는 등 기계적 동력으로 이용되었다. 1970년대 초반의 석유파동 이후 풍력은 대체 에너지로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기계적 동력보다는 전력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미 20세기 초에 풍력발전기가 개발되었으며, 풍력을 지속가능한 중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인식하게 되면서 풍력발전기는 단계적으로 개량되어 왔다.
풍력발전이란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 이에 사용되는 풍력발전기는 지면에 대한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형 및 수직형으로 분류된다.
수직형은 풍차가 곡선형의 대칭 날개로 구성되어 있어, 풍향에 관계없이 작동시킬 수 있고, 기어박스나 발전기 등을 지상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각 회전수에서 회전력의 변화가 심하고, 자기 시동능력이 없으며, 높은 풍속에서 속도제어의 선택이 한정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현재 수직형 풍력발전기의 연구개발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수평형은 프로펠러(propeller)형 풍차를 사용하는 것으로, 오늘날 풍력발전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수평형 풍력발전기의 한 예가 나타나 있다. 이 수평형 풍력발전기(10)는 탑(13)과, 이 탑(13)의 정상부에 설치된 나셀(nacelle:11)로 구성되어 있다. 나셀(11)에는 회전체(12)와 기어박스, 발전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소형에서는 회전체와 나셀이 후미깃에 의해 풍향을 따라 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대형에서는 별도의 풍향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전기 및 기계적으로 회전체와 나셀을 풍향 쪽으로 또는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단가가 기존의 발전방식과 경쟁가능한 수준으로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풍력발전은 에너지 밀도가 낮고, 불규칙하고 간헐적이어서 경제적으로 변동이 크며, 지형이나 기후의 제약이 있다. 즉, 기존의 풍력발전은 사용유체인 바람을 이용하기 위하여 지리적인 특성을 고려해 연중 바람이 부는 풍향과 풍속을 참고로 하여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바람이 불어주지 않으면 풍력발전기는 무용지물이 되며,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이후부터는 바람이 불어 주기만을 기다리는 실정으로 고가의 설치비에 비하여 연중 발전량이 저조한 것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리 또는 기후적인 특성에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부는 통풍력을 이용하여 양질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예컨대 굴뚝과 같은 수직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초기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수직덕트와, 상기 고층 건물 내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 및, 이 수평덕트의 공기유입구 주변에 설치된 풍력터빈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수직덕트와, 이 수직덕트와 연통되고서 상기 고층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더운 공기를 유도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고층 건물의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 및, 상기 수직덕트 내에 설치된 다수의 풍력터빈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층 건물 내 수직덕트에서 일어나는 굴뚝효과를 이용하여 통풍력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에너지 밀도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지리 또는 기후적인 특성에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부는 통풍력을 이용하여 양질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고층 건물 내에 갖춰진 예컨대 굴뚝과 같은 수직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용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고 공간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평형 풍력발전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풍력터빈발전기들의 배치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고층 건물(2)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3)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4a)가 형성된 수직덕트(4)와, 상기 고층 건물(2) 내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4)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5) 및, 이 수평덕트(5)의 공기유입구(5a) 주변에 설치된 풍력터빈발전기(6)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고층 건물(2) 내에 설치된 수직덕트(4)에서 일어나는 굴뚝효과를 이용하여 통풍력을 생성하고, 이러한 통풍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평덕트(5)의 공기유입구(5a)로 들어올 때 공기유입구(5a)에 설치한 풍력터빈발전기(6)로 발전을 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 고층 건물(2)이 많이 세워지고 있는바, 이러한 건물에는 대부분 난방 및 온수공급을 위한 보일러, 비상시 전력 생산을 위한 자가 발전기, 냉방 및 습도조절을 위한 공조기 등과 같은 열원기기(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열원기기(3)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에 연통되어 열원기기(3)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통풍로로 작용하는 예컨대 굴뚝과 같은 수직덕트(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직덕트(4)는 그 하단이 상기한 열원기기(3)에 연결되고 상단은 대략 옥상까지 뻗어 공기배출구(4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층 건물(2)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덕트(4) 내에서는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공기보다 높을 때 위로 공기가 유출되고 아래로 유입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굴뚝효과라 한다. 이 굴뚝효과는 수직덕트(4) 안팍의 온도차가 크거나 수직덕트(4)의 높이가 높을수록 심화되어 수직덕트(4) 내에 강한 통풍력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에는, 상기 고층 건물(2) 내 하층에 위치되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되, 상기 수직덕트(4) 및 건물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5)가 추가로 구비된다.
건물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는 이 수평덕트(5)의 공기유입구(5a)는 지표면에서 약 3m 이상 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가능한 고층 건물(2)의 출입문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배치되어서, 건물을 출입하거나 그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공기유입구(5a)에는 건물의 외부 쪽에서는 단면적이 넓고 건물의 내부를 향해 수직덕트(4) 쪽으로 갈수로 차츰 그 단면적이 좁게 되는 벤튜리부(5b)를 갖추고 있어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를 모아서 풍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열원기기(3)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얻게 되는 전도열과, 상기 열원기기(3)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복사열, 상부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지표열 등에 의해 수직덕트(4)의 내부에는 계속 열에너지가 축적되게 되므로, 수직덕트(4)의 하부에서부터 공기가 점차 승온되게 된다.
별도의 가열수단 없이도 상기와 같은 열원에 의해 수직덕트(4) 내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지고 부력이 커져서, 결국 공기는 위로 올라가게 된다. 위로 올라간 공기는 수직덕트(4)의 상단에 있는 공기배출구(4a)를 통해 배출되는 한편, 고층 건물(2)의 외부에 있는 공기가 밀도차에 의해 상기 수직덕트(4)와 수평하게 연통된 수평덕트(5)의 공기유입구(5a)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공기흐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수평덕트(5) 및 수직덕트(4)에 통풍력을 생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상기 통풍력을 이용하여서 풍력발전을 하도록 된 것이다.
공기유입구(5a)의 주변에는 풍력발전을 하기 위한 풍력터빈발전기(6)가 설치된다. 이 풍력터빈발전기(6)는 예컨대 축류식 또는 원심식 풍력터빈발전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풍력터빈발전기(6)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는 개략적으로 풍력터빈발전기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상태에서도 공기의 온도차 및 밀도차로 인한 수평덕트(5) 및 수직덕트(4)의 통풍력에 의해 공기유입구(5a)의 풍력터빈발전기(6)가 구동하게 됨으로써, 양질의 전기를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야간이나 동절기에 난방으로 건물 내부가 따뜻하고 건물 외부가 차갑기 때문에 굴뚝효과가 심화되어 강한 통풍력이 생성되므로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주간이나 하절기에도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소위 히트펌프로 작용하는 공조기와 같은 열원기기를 이용해서 통풍력을 생성하게 되므로 생산전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태풍이 불거나 우천(또는 강설)시에는 바람의 풍압에 의해 풍력터빈발전기(6)가 구동될 수도 있다.
건물이 높아서 매우 큰 통풍력이 발생하여 각 열원기기(3)의 안정된 운전이 어려워지게 되면, 상기한 수평덕트(5)를 다수개로 형성하고서 그 안에 각각 풍력터빈발전기(6)를 장착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수평덕트(5)의 하류측에는 필요에 따라 이 수평덕트(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댐퍼(5c)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5a)의 상류측 또는 풍력터빈발전기(6)의 입구측에는 방호망(미도시)을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이나 곤충 및 조류 등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공기배출구(4a)에도 동일한 목적으로 방호망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풍력터빈발전기들의 배치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층 건물(2)에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적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는 풍력터빈발전기(6)의 배치 및 실내에서 발생된 더운 공기를 유도하는 배기덕트의 구조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거의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아래에서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고층 건물(2)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3)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4a)가 형성된 수직덕트(4)와, 이 수직덕트(4)와 연통되고서 상기 고층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더운 공기를 유도하는 배기덕트(7)와, 상기 고층 건물(2)의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4)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5) 및, 상기 수직덕트(4) 내에 설치된 다수의 풍력터빈발전기(6)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고층 건물(2) 내에 설치된 수직덕트(4)에서 일어나는 굴뚝효과를 이용하여 통풍력을 생성하고, 이러한 통풍력에 의해 상기 수직덕트(4) 내에 설치한 풍력터빈발전기(6)로 발전을 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에 구비된 열원기기(3)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에 연통되어 열원기기(3)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통풍로로 작용하는 수직덕트(4)는, 그 하단이 상기한 열원기기(3)에 연결되고 상단은 대략 옥상까지 뻗어 공기배출구(4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층 건물(2)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덕트(4) 내에서는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공기보다 높을 때 위로 공기가 유출되고 아래로 유입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굴뚝효과라 한다. 이 굴뚝효과는 수직덕트(4) 안팍의 온도차가 크거나 수직덕트(4)의 높이가 높을수록 심화되어 수직덕트(4) 내에 강한 통풍력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에는, 상기 수직덕트(4)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연통되고서 상기 고층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더운 공기를 유도하는 배기덕트(7)가 추가로 구비되어서, 배기덕트(7)에 의해 더운 공기의 폐열이 수직덕트(4) 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 배기덕트(7)에는 필요에 따라 배기덕트를 개폐하도록 된 댐퍼(7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상기 고층 건물(2) 내 하층에 위치되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되, 상기 수직덕트(4) 및 건물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5)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 수평덕트(5)는 건물이 높아서 매우 큰 통풍력이 발생하더라도 각 열원기기(3)의 안정된 운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외부를 향해 개구된 공기유입구(5a)와, 수평덕트의 개폐를 조절하는 댐퍼(5c)가 구비되어 있어서, 강한 통풍력이 발생하면 건물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수직덕트(4)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열원기기(3)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얻게 되는 전도열과, 상기 열원기기(3)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복사열, 상기 배기덕트(7)로 유도된 더운 공기의 폐열, 상부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지표열 등에 의해 수직덕트(4)의 내부에는 계속 열에너지가 축적되게 되므로, 수직덕트(4)의 하부에서부터 공기가 점차 승온되게 된다.
별도의 가열수단 없이도 상기와 같은 열원에 의해 수직덕트(4) 내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지고 부력이 커져서, 결국 공기는 위로 올라가게 된다. 위로 올라간 공기는 수직덕트(4)의 상단에 있는 공기배출구(4a)를 통해 배출되는 한편, 밀도차에 의해 상기 수직덕트(4)와 수평하게 연통된 배기덕트(7) 또는 수평덕트(5)로부터 공기가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공기흐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수직덕트(4) 내에 통풍력을 생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상기 통풍력을 이용하여서 풍력발전을 하도록 된 것이다.
수직덕트(4)에는 풍력발전을 하기 위한 다수의 풍력터빈발전기(6)가 설치되는데, 이들 풍력터빈발전기(6)는 적어도 상기 수직덕트(4)와 상기 배기덕트(7)의 연통지점보다는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풍력터빈발전기(6)는 예컨대 축류식 또는 원심식 풍력터빈발전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풍력터빈발전기(6)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는 풍력터빈발전기의 배치관계가 잘 나타나 있다. 각 풍력터빈발전기(6)의 상류측에는 댐퍼(6a)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상태에서도 공기의 온도차 및 밀도차로 인한 수직덕트(4)의 통풍력에 의해 풍력터빈발전기(6)가 구동하게 됨으로써, 양질의 전기를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야간이나 동절기에 난방으로 건물 내부가 따뜻하고 건물 외부가 차갑기 때문에 굴뚝효과가 심화되어 강한 통풍력이 생성되므로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주간이나 하절기에도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소위 히트펌프로 작용하는 공조기와 같은 열원기기 또는 더운 공기의 폐열을 바로 이용해서 통풍력을 생성하게 되므로 생산전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평덕트(5)의 공기유입구(5a) 또는 수직덕트(4)의 공기배출구(4a)에는 방호망(미도시)을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이나 곤충 및 조류 등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수직덕트와,
    상기 고층 건물 내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 및,
    이 수평덕트의 공기유입구 주변에 설치된 풍력터빈발전기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건물의 외부 쪽에서는 단면적이 넓고 건물의 내부를 향해 수직덕트 쪽으로 갈수로 단면적이 좁게 되는 벤튜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덕트의 하류측에는 이 수평덕트를 개폐할 수 있도록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4. 고층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원기기와 연통되고 상단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수직덕트와,
    이 수직덕트와 연통되고서 상기 고층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더운 공기를 유도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고층 건물의 하층에 위치되어 건물의 외부와 상기 수직덕트를 연통시키는 수평덕트 및,
    상기 수직덕트 내에 설치된 다수의 풍력터빈발전기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터빈발전기는 적어도 상기 수직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연통지점보다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터빈발전기 각각의 상류측에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기기는, 난방 및 온수공급을 위한 보일러, 비상시 전력 생산을 위한 자가 발전기, 냉방 및 습도조절을 위한 공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1020100048786A 2010-05-25 2010-05-25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20110129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86A KR20110129249A (ko) 2010-05-25 2010-05-25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86A KR20110129249A (ko) 2010-05-25 2010-05-25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49A true KR20110129249A (ko) 2011-12-01

Family

ID=4549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786A KR20110129249A (ko) 2010-05-25 2010-05-25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2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21Y1 (ko) * 2012-08-20 2013-04-15 박상우 풍력 발전장치
KR101688100B1 (ko) 2015-08-24 2016-12-20 박정치 자연대류를 이용한 환기 및 발전장치
WO2017164503A1 (ko) * 2016-03-22 2017-09-28 이완호 건물일체형 풍력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9826754A (zh) * 2019-04-08 2019-05-31 江苏孔雀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层建筑的气流风能自发电系统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21Y1 (ko) * 2012-08-20 2013-04-15 박상우 풍력 발전장치
KR101688100B1 (ko) 2015-08-24 2016-12-20 박정치 자연대류를 이용한 환기 및 발전장치
WO2017164503A1 (ko) * 2016-03-22 2017-09-28 이완호 건물일체형 풍력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9826754A (zh) * 2019-04-08 2019-05-31 江苏孔雀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层建筑的气流风能自发电系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3494B2 (en) Building integrated wind energy power enhancer system
CN102220943B (zh) 从废弃动能产生势能的管道动力涡轮系统
US8459930B2 (en) Vertical multi-phased wind turbine system
WO2010098656A2 (en) Wind, solar and rain harvester
US20100257795A1 (en) Building-integrated system for capturing and harvesting the energy from environmental wind
US10280900B1 (en) Omnidirectional building integrated wind energy power enhancer system
KR20180116418A (ko) 건축물과 결합된 풍력 발전기
CN112534130A (zh) 涡流加速风能塔
US20100060010A1 (en) Ecology friendly compound energy unit
KR20110129249A (ko) 고층 건물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JP2009121451A (ja) 風力発電装置
WO2022105351A1 (zh) 一种重力风发电装置
EP3597900B1 (en) Wind turbine
JP5551748B2 (ja) 発電装置
Tong et al. Innovative Power‐Augmentation‐Guide‐Vane Design of Wind‐Solar Hybrid Renewable Energy Harvester for Urban High Rise Application
US20130058758A1 (en) Wind turbine installed on the top floor of a residential building, particularly in an urban area
WO2016008179A1 (zh) 自造风风力发电系统
US8115332B2 (en) Solar-initi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Ragheb Wind turbines in the urban environment
CN203939628U (zh) 自造风风力发电系统
CN103527415B (zh) 建筑分布复合式风力发电机组
JP2005083327A (ja) 複合発電装置
RU2189495C2 (ru) Башенный ветродвигатель
CN102748230B (zh) 一种可降低城市热岛效应的楼房管道喷雾式发电方法
US11384734B1 (en) Wind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