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184A -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 Google Patents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184A
KR20100037184A KR1020080096365A KR20080096365A KR20100037184A KR 20100037184 A KR20100037184 A KR 20100037184A KR 1020080096365 A KR1020080096365 A KR 1020080096365A KR 20080096365 A KR20080096365 A KR 20080096365A KR 20100037184 A KR20100037184 A KR 2010003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ing
longitudinal direction
soil sampl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579B1 (ko
Inventor
오은정
이종복
김은미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8009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 시료 채취의 목적에 최적화된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0)이 삽입되는 삽입부(11); 및 상기 삽입부(11)의 반대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끝단부가 이루는 모서리가 예리해지도록 벽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취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에 외측 옆면이 밀착되는 헤드(21); 및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21)의 일측면에 고정 구비되는 그립(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서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동 및 제동 해제하는 고정 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양 시료, 채취, 분취, 등분, 등간격, 제동

Description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Soil Sampler}
본 발명은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술 문명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삶의 질이 비약적으로 상승하였으나, 반대급부적으로 산업 폐기물 등과 같은 유해 물질들의 발생량 역시 급격히 증가하여 대기, 수질, 토양 등의 오염도가 점점 심각해져 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대기, 수질, 토양 등을 분석하여 오염도를 검사하는 절차나 기준 등을 법규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 기관에서 측정된 오염도 등을 기반으로 하여 환경 보전 사업을 전개하거나 오염원을 제거하는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국내의 경우 토양과 관련하여서는, 토양환경보전법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및 대책기준을 관리하고 있으며, 적합 여부 판단을 위해 적용하도록 되어 있는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에 채취, 분석, 검사 등에 관한 각종 절차 및 기준이 명시되어 있다. 토양은 수직으로나 수평적으로 균일하지 않으므로, 채취한 시료가 대상 지역의 토양을 대표할 수 있도록 상기 법규의 절차 및 기준에 충실히 따라 채취를 수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토양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시료 채취 지점을 선정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양 시료 채취기나, 또는 모종삽, 삽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토양 시료를 채취하게 된다.
한편,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및 BTEX는 VOCs 로 일반 중금속 측정용 시료 등의 채취와는 별도의 시료 채취 방법이 필요하다. 여기서 BTEX라 함은 유류 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성 화합물인,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 벤젠(Ethyl benzene) 및 크실렌(Xylene)을 나타낸다.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르면,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 및 BTEX 시험용 시료의 경우, 대상지역의 대표치를 구할 수 있는 1개의 지점을 선정한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이 터진 10㎖ 플라스틱 주사기로 상술한 바와 같이 채취된 토양 시료의 3곳에서 각각 약 2㎖씩 5 ∼ 10g의 토양을 분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취된 토양 시료는 미리 준비된 시험관에 수용된 후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분석 역시, 토양환경보전법에 정의되어 있는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정확한 측정 자료의 확보를 위해서는 시료의 대표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토양 시료의 분취에 사용되는 시료 분취 기구가 토양 채취 전용이 아닌 일반 주사기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것인 바, 시료 채취 전 주사기를 가공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가 발생하여 시료 분취 업무의 지연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공하는 사람 개인에 따라 가공 형태, 가공 후 주사기의 부피, 가공에 사용하는 주사기 제품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여러 요인들이 시료 분취에 영향을 끼침에 따라 검사 결과에 있어 통계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 시료 채취의 목적에 최적화된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0)이 삽입되는 삽입부(11); 및 상기 삽입부(11)의 반대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끝단부가 이루는 모서리가 예리해지도록 벽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취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에 외측 옆면이 밀착되는 헤드(21); 및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21)의 일측면에 고정 구비되는 그립(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서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동 및 제동 해제하는 고정 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돌기(31a); 상기 제동 돌기(31a)가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홈(32a);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마다의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레일(31b); 상기 제동 레일(31b)이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레일(32b);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피스톤(20)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31d1) 또는 상기 피스톤(20) 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나선형 홈(31d2); 및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1) 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31d1) 또는 상기 나선형 홈(31d2)과 맞물리는 걸림부(32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41); 및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그립(22)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몸체 고 정부(41) 상에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이동부(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홀더(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돌기(31a); 상기 제동 돌기(31a)가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홈(32a);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피스톤 회전부(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마다의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레일(31b); 상기 제동 레일(31b)이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레일(32b);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피스톤 회전부(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홀더(40)의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이동 경로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동 바(31c); 상기 홀더(40)의 몸체 고정부(41)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바(31c)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32c);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고정 수단(30)은 분취된 토양의 평균 밀도에 따라 상기 제동 바(31c)가 돌출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동 위치 조절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고정부(41)는 상기 몸체(10) 전체가 상기 홀더(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부(11) 끝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삽입부(11)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몸체(10)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 형성되는 결합용 판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고정부(41)는 상기 결합용 판재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40)는 상기 홀더(40)의 몸체 상에 상기 홀더(40)를 손에 쥐기 편하도록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하여 함몰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그립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분취부(20) 및 상기 몸체(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취부(20)에 덮여지는 덮개(14);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분취된 토양 시료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몸체(10) 상에 형성되며, 분취된 토양의 평균 밀도 및 부피의 관계에 의해 환산되는 질량 단 위로 표시되는 눈금(1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일회용 주사기를 가공하여 토양 시료 분취 목적으로 사용하였던 것과 비교하여, 본래의 토양 시료 채취의 목적에 최적화되어 제작된 본 발명의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토양 시료 채취의 준비 절차를 간소화하여 시료 채취 준비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양 시료 분취 기준에 따라 동일한 양의 토양 시료를 3번 채취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들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양 시료 채취 업무 처리 효율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기구는 시료의 정확한 채취를 위한 토양 시료 채취 전용 기구인 바, 시료의 대표성이 확보된 분석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토양 조사의 정확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의 제1실시예 및 고정 수단의 제1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종래에 사용되던) 앞쪽을 잘 라낸 일회용 주사기와 비슷하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의 상기 몸체(1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0)이 삽입되는 삽입부(11); 및 상기 삽입부(11)의 반대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끝단부가 이루는 모서리가 예리해지도록 벽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취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에 외측 옆면이 밀착되는 헤드(21); 및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21)의 일측면에 고정 구비되는 그립(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취부(20) 및 상기 몸체(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취부(20)에 덮여지는 덮개(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삽입부(11)는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에서의 피스톤이 삽입되는 부분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나, 상기 분취부(12)는 종래의 가공된 일회용 주사기와는 격별한 차이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의 상기 분취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경사로 제조 단계에서 미리 가공되어 나오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가 일일이 일회용 주사기의 앞부분을 잘라내는 가공을 해야만 하던 종래의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토양 시료 분취를 준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라 시료 분취 및 검사에 걸리 는 전체적인 시간 또한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시료 검사 효율을 비약적으로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분취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이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의 경우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부분을 단지 수평면으로(즉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내었기 때문에 채취되는 부분의 벽면이 몸체의 벽면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토양 시료를 퍼내는 과정에서 토질이 조금 단단한 경우 토양 내부로 채취기를 박아 넣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취부(12)가 적절한 각도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토양 내부로 채취기를 박아 넣을 때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으로 토양으로 파고들도록 할 수 있어 토양 시료를 퍼내기에 매우 용이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가공된 일회용 주사기의 경우, 일회용 주사기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진 형태로 잘라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회용 주사기의 경우 바늘이 위치하는 부분에 밀접하여 눈금이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분취부(12)와 같은 형상으로 일회용 주사기를 잘라낼 경우 눈금 부분을 침범하여 훼손할 수밖에 없게 되어, 정확한 양을 분취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분취부(12)가 제조 단계에서 용이하게 미리 형성되며, 또한 제조 단계에서 적절한 위치에 눈금(13)을 형성하여 주면 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쉽게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고정 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토양환경보전법에 규정되어 있는 바에 따르면,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및 BTEX는 "토양 시료의 3곳에서 각각 약 2㎖씩 5 ∼ 10g의 토양을 분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분취 시에는 반드시 전체 채취량의 1/3씩 3번을 분취해야 한다.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토양 시료를 퍼낼 때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일회용 주사기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은 부피를 기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채취 필요량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물며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씩의 양을 맞추어 정확하게 분취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어, 이는 시험자 개개인의 숙련도에 크게 좌우되게 되었으며, 역시 이에 따라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하락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에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서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동 및 제동 해제하는 고정 수단(30)을 구비시킨다. 제동 및 제동 해제한다는 것은,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제동하였다가, 필요 시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을 해제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동작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 지점(즉 도 2에서 A 지점)에 위치한 상기 고정 수단(30)에서 상기 피스톤(20)이 더 이상 뒤로 밀리지 못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제동한 뒤 토양 시료를 채취하게 되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전체 채취 필요량의 정확히 1/3만큼의 토양 시료가 수용된다. 다음으로, 1/3 지점의 상기 고정 수단(30)을 해제한 뒤 2/3 지점(즉 도 2에서 B 지점)에 위치한 상기 고정 수단(30)에서 역시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제동한 채 토양 시료를 채취하면, 이미 상기 몸체(10) 내부에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만큼의 토양 시료가 수용되어 있고,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만큼의 빈 공간이 생김으로써, 여기에 토양 시료가 꽉 차게 채취를 수행하면 상기 몸체(10) 내부에는 전체 채취 필요량의 2/3만큼의 토양 시료가 수용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2/3 지점의 상기 고정수단(30)을 해제한 뒤 전체 필요 채취량 지점(즉 도 2에서 C 지점)에 위치한 상기 고정 수단(30)에서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제동한 채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전체 필요 채취량을 완전히 채취하면, 정확하게 3군데에서 1/3만큼씩의 토양을 분취하는 작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 2에 도시된 상기 고정 수단(30)의 제1실시예를 통해 상기 고정 수단(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상기 고정 수단(30)이,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돌기(31a); 상기 제동 돌기(31a)가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홈(32a);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동 돌기(31a)는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3개의 위치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동 돌기(31a)의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는 물론, 전체 채취 필요량에 대하여 1/3, 2/3 및 1이 되는 지점(즉 도 2(A)에서 A, B, C 지점)이 된다. 도 2(B) 는 상기 제동 돌기(31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몸체(10)의 단면 및 상기 피스톤(20) 헤드(21)의 단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 돌기(31a)는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솟아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다. 도 2(B)에는 상기 제동 돌기(31a)가 한 위치(여기서의 위치란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즉 A 위치, B 위치 또는 C 위치를 말한다)에 3개가 구비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물론 상기 제동 돌기(31a)는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또는 2개, 4개 등 몇 개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제동 돌기(31a)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가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제동 돌기(31a)를 만나면 당연히 도 2(D)와 같이 상기 헤드(21)가 상기 제동 돌기(31a)에 걸려 이동할 수 없게 되는데, 이 상태가 제동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동 돌기(31a)에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가 걸리게 하고 토양 시료를 채취하면, 1/3만큼의 토양 시료가 분취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이 제동된 상태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다음 지점으로 상기 피스톤(20)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제동을 해제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고정 수단(30)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동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에 제동 해제 홈(32a)을 형성한다. 상기 제동 해제 홈(32a)은 상기 제동 돌기(31a)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헤드(21) 측면에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을 회전시켜 상기 제동 돌기(31a)가 상기 제동 해제 홈(32a)에 딱 맞게 삽입되는 위치가 되게 하면, 상기 피스톤(20)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동 돌기(31a)가 상기 제동 해제 홈(32a)을 따라 통과하게 되며, 이 상태가 바로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을 이동시킨 후, 2/3 지점에서 상기 피스톤(20)을 도 2(D)와 같이 회전시키면, 다시 피스톤(20)은 제동 상태가 되며, 다시 토양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고정 수단(30)을 이용하여 전체 필요 채취량의 1/3씩을 정확하게 분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의 제1실시예 및 고정 수단의 제2실시예이다. 이 경우,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에 형성되는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마다의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레일(31b); 상기 제동 레일(31b)이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레일(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제동 돌기가 형성되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제동 레일(31b)이 형성된다. 상기 제동 레일(3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 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 2/3, 1 지점(이하 A, B, C 지점으로 칭한다)에서 서로 약간씩 어긋나게 회전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단면을 보면 각각의 위치, 즉 A, B, C 지점 각각에 형성된 제동 레일(31b)들이 서로 조금씩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동 해제 레일(32b)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제동 해제 홈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동 해제 레일(32b)이 상기 제동 레일(31b)에 걸리게 되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이 제동되며, 상기 제동 해제 레일(32b)을 회전시켜 상기 제동 레일(31b)이 상기 헤드(21) 상에 형성된 상기 제동 해제 레일(32b)과 맞물리게 되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수단(30)이 형성된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를 사용함으로써, 토양 시료를 용이하게 3등분하여 분취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토양환경보전법에는 토양 시료의 3곳에서 "각각 약 2㎖씩 5 ∼ 10g"의 토양을 분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자연 상태의 토양 밀도인 용적밀도(g/cm3)의 경우 밭토양은 1.08 ~ 1.31, 논토양은 1.02 ~ 1.25의 범위에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 바, 5 ~ 10g의 토양을 채취하려면 해당 토양의 종류에 따라 질량 및 밀도의 관계를 사용하여 채취해야 하는 부피 값을 환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취된 토양 시료 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13)은, 분취된 토양의 평균 밀도 및 부피의 관계에 의해 환산되는 질량 단위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밭토양과 논토양의 밀도에 차이가 있고, 또한 동종의 토양이라 할지라도(즉 같은 밭토양끼리라 할지라도) 지점에 따라 토양의 밀도가 차이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채취 필요량의 범위가 5 ~ 10g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눈금(13)은 밭토양 및 논토양을 합쳐 전체적인 평균 밀도 값에 의해 환산되어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보다 정확한 양을 채취하도록, 밭토양용 눈금과 논토양용 눈금 등과 같이 토양 밀도에 따라 달라지도록 다종의 눈금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의 제2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몸체(10) 및 피스톤(20)에 더불어, 상기 몸체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수용하는 홀더(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41); 및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그립(22)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몸체 고정부(41) 상에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이동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 고정부(41)는 상기 몸체(10)를 견고히 바인딩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이동부(42)는 상기 그립(22) 부분을 견고히 바인딩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 고정부(41)에 예를 들면 레일 결합 등과 같은 형태로 결 합됨으로써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을 움직임으로써 상기 피스톤(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40)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20)을 조작할 때 훨씬 힘을 덜 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홀더(40)는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1) 쪽 끝단부 부분을 바인딩함으로써, 상기 몸체(10) 전체가 상기 홀더(40)의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40)가 상기 몸체(10) 삽입부(11) 쪽 끝단부 부분과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1) 쪽 끝단부는 상기 몸체(10)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연장 형성되는 결합용 판재부 부분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용 판재부 부분은 일반적인 주사기 삽입부 부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인 바 주사기의 형태를 알고 있는 자라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이므로 도면 상에서는 굳이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결합용 판재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몸체 고정부(41)는 이러한 판재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면 된다.
더불어 상기 홀더(40)의 몸체 상에는 홀더 그립부(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 그립부(44)는 상기 홀더(40)의 몸체 상에 함몰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홀더(40)를 손에 쥐기 편하도록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홀더(4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 수단(3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스톤(20)의 그립(22) 부분이 상기 홀더(40)의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에 바인딩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에 상기 피스톤(20)을 회전시키는 피스톤 회전 수단(43)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회전 수단(43)은 상기 그립(22)의 끝단부를 견고히 바인딩하고 있는 롤링 버튼 형태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스톤(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다른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의 제2실시예 및 고정 수단의 제3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몸체(10), 피스톤(20) 및 홀더(40)로 이루어지되,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나 상기 피스톤(20) 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홀더(40) 상에 형성된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홀더(40)의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이동 경로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동 바(31c); 상기 홀더(40)의 몸체 고정부(41)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바(31c)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3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서 상기 제동 바(31c) 및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매우 간략하게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동 바(31c) 및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일반적인 기계적인 수단이나 전자적인 수단이 결합된 형태 등,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일례로, 상기 제동 바(31c)는 山자를 가로 방향으로 늘려 놓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상기 제동 바(31c)의 하측 一자 부분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동 바(31c)를 상기 一자 부분을 축으로 회전시키도록(회전 각도에 따라 제동 또는 제동 해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동 바(31c)가 역시 山자를 가로 방향으로 늘려 놓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상기 제동 바(31c)의 하측 一자 부분을 상기 몸체 고정부(41)의 안쪽으로 밀어넣어지거나(제동 해제) 또는 내밀어지는(제동)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동 바(31c)는 전자적 구동 수단에 의하여 내밀어지거나 밀어넣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상기 제동 바(31c)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에 제어 신호를 주는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동 바(31c) 및 제동 해제 수단(32c)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전체 채취 필요량의 1/3, 2/3 및 1이 되는 각각의 3개소에서 제동하거나 또는 제동 해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채취 필요량의 기준은 토양환경보전법 상 질량 기준(5 ~ 10g)으로 되어 있는 바, 토양의 밀도에 따라 채취되어야 하는 토양의 부피가 달라지게 된다. 홀더(40)가 없는 경우(즉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의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눈금(13)을 질량 단위로 표시하되 토양의 종류(즉 밀도)별로 다르게 표시하거나 또는 질량 기준 범위만 만족할 수 있도록 적당한 평균 밀도 값을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의 제2실시예, 즉 홀더(40)를 포함하는 경우, 밀도 차이에 따른 전체 채취량의 조절을 제동 위치 조절 수단(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동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30)의 형태에 따라 그에 맞는 형태로 적절히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수단(30)이 상기 도 5의 제3실시예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동 바(31c)는 山자를 가로 방향으로 늘려 놓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상기 제동 바(31c)의 하측 一자 부분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동 바(31c)를 상기 一자 부분을 축으로 회전시키도록(회전 각도에 따라 제동 또는 제동 해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상기 제동 바(31c)의 하측 一자 부분을 상기 몸체 고정부(41)의 안쪽으로 밀어넣어지거나(제동 해제) 또는 내밀어지는(제동)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경우라고 하자. 이 때, 상기 제동 바(31c)가 한 개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토양 종류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다종이 구비되도록 하고(즉 각각의 제동 바는 山자에서의 3개의 |자들 간의 간격이 토양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다종의 제동 바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작동하게 한다. 이 때, 상기 제동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이 다종의 제동 바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맞물려 작동될 수 있도록 해 주는 형태로 구현되면 된다.
또는 상기 제동 바(31c)가 전자적 구동 수단에 의하여 내밀어지거나 밀어넣 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동 해제 수단(32c)은 상기 제동 바(31c)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에 제어 신호를 주는 버튼으로 구현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동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제동 바(31c)의 위치를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동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30)의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의 제3실시예이다. 도 2 및 도 3의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제동 돌기나 제동 레일 등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따로 형성된 구조가 없는 대신,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1) 측 끝단부 및 상기 피스톤(20) 상에 형성된 구조로서 제동 수단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피스톤(20) 상에는 도 6(A)와 같이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홈(31d1)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6(B)와 같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나선형 홈(31d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1) 측 끝단부에는 상기 홈(31d1) 또는 상기 나선형 홈(31d2)과 맞물리는 걸림부(32d)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피스톤(20)이 도 2 및 도 3,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피스톤(20)을 상기 몸체(10) 내부로 삽입될 때, 상 기 홈(31d1)이 상기 걸림부(32d)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의 움직임을 제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걸림부(32d)는 상기 몸체(10) 삽입부(11) 측 끝단부의 둘레 중 일부에만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걸림부(32d)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31d1)과 상기 걸림부(32d)가 동일면 상에 있을 때 상기 피스톤(20)을 회전시켜 상기 홈(31d1) 및 상기 걸림부(32d)가 서로 걸리도록 하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이 제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나선형 홈(31d2)이 상기 걸림부(32d)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20)의 삽입 깊이 변화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엄밀히 말하자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제동하는 것은 아니겠으나, 삽입 깊이의 변화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료를 원하는 양만큼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20) 상에 형성되는 홈이 나선형 홈(31d2)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32d)는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부(11) 둘레를 따라 일부만 돌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또는 상기 나선형 홈(31d2)과 나사 결합이 되도록 상기 삽입부(11)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나선 형상이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걸림부(32d)는 상기 피스톤(20)에 형성되는 구조의 형태에 따라 그에 맞물려 동작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기만 한다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가 상기 몸체(10) 내부에 제동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상기 피스톤(20) 및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1) 측 끝단부에 제동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실시예의 경우 시료와 제동 구조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동 구조의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었으나 제3실시예의 경우 시료와의 직접 접촉이 완전히 배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토양 시료 채취 지점 선정 방법 및 토양 시료 채취기의 일례.
도 2는 본 발명의 토양 시료 채취기의 제1실시예 및 고정 수단의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 시료 채취기의 제1실시예 및 고정 수단의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토양 시료 채취기의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토양 시료 채취기의 제2실시예 및 고정 수단의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토양 시료 채취기의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토양 시료 채취기의 덮개의 사용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의)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10: 몸체 11: 삽입부 12: 분취부
20: 피스톤 21: 헤드 22: 그립
30: 고정 수단
31a: 제동 돌기 32a: 제동 해제 홈
31b: 제동 레일 32b: 제동 해제 레일
31c: 제동 막대 32c: 제동 해제 수단
40: 홀더
41: 몸체 고정부 42: 피스톤 이동부 43: 피스톤 회전부
44: 홀더 그립부

Claims (10)

  1.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0)이 삽입되는 삽입부(11); 및 상기 삽입부(11)의 반대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끝단부가 이루는 모서리가 예리해지도록 벽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분취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에 외측 옆면이 밀착되는 헤드(21); 및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21)의 일측면에 고정 구비되는 그립(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서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동 및 제동 해제하는 고정 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돌기(31a); 상기 제동 돌기(31a)가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홈(32a);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마다의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레일(31b); 상기 제동 레일(31b)이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레일(32b);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피스톤(20)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31d1) 또는 상기 피스톤(20) 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나선형 홈(31d2); 및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1) 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31d1) 또는 상기 나선형 홈(31d2)과 맞물리는 걸림부(32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41); 및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그립(22)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몸체 고정부(41) 상에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이동부(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홀더(4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돌기(31a); 상기 제동 돌기(31a)가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홈(32a);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피스톤 회전부(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측 옆면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마다의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 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 레일(31b); 상기 제동 레일(31b)이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의 측면에 상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동 해제 레일(32b);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2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피스톤 회전부(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상기 홀더(40)의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이동 경로 상 및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3개소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동 바(31c); 상기 홀더(40)의 몸체 고정부(41)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바(31c)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 상기 피스톤 이동부(42)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32c);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0)은
    분취된 토양의 평균 밀도에 따라 상기 제동 바(31c)가 돌출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동 위치 조절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고정부(41)는
    상기 몸체(10) 전체가 상기 홀더(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부(11) 끝단부를 고정하되,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삽입부(11)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몸체(10)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 형성되는 결합용 판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고정부(41)는 상기 결합용 판재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100)는
    상기 분취부(20) 및 상기 몸체(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취부(20)에 덮여지는 덮개(14);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분취된 토양 시료의 양을 측정하도록 상기 몸체(10) 상에 형성되며, 분취된 토양의 평균 밀도 및 부피의 관계에 의해 환산되는 질량 단위로 표시되는 눈 금(1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KR1020080096365A 2008-10-01 2008-10-01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KR101002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365A KR101002579B1 (ko) 2008-10-01 2008-10-01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365A KR101002579B1 (ko) 2008-10-01 2008-10-01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184A true KR20100037184A (ko) 2010-04-09
KR101002579B1 KR101002579B1 (ko) 2010-12-21

Family

ID=4221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365A KR101002579B1 (ko) 2008-10-01 2008-10-01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994A1 (en) * 2013-09-17 2015-03-26 Reterro, Inc. In-situ thermal desorption processes
CN104931294A (zh) * 2015-06-05 2015-09-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油田污泥取样装置
CN108709766A (zh) * 2018-07-25 2018-10-26 吉林大学 一种两用微观结构冷冻加热取样器及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1379B (zh) * 2015-09-11 2018-05-22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环刀土壤采样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612A (en) 1983-12-27 1985-10-29 Theresa Caldwell Soil sampler
JP2006283426A (ja) * 2005-04-0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土サンプリ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994A1 (en) * 2013-09-17 2015-03-26 Reterro, Inc. In-situ thermal desorption processes
CN104931294A (zh) * 2015-06-05 2015-09-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油田污泥取样装置
CN108709766A (zh) * 2018-07-25 2018-10-26 吉林大学 一种两用微观结构冷冻加热取样器及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579B1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ndness et al. Two-dimensional mapping of copper and zinc in liver sections by laser ablation–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US6176326B1 (en) Soil sampling measuring device
KR101002579B1 (ko) 토양 시료 분할 채취기
US4989678A (en) Soil sampling kit and a method of sampling therewith
WO2004078233A3 (en) Cartridge having an integrated collection element for point of care system
IL155345A0 (en) Continuous strip of fluid sampling and test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packaging and using the same
JP5665863B2 (ja) 質量分析計の機能を点検するテスト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質量分析でのイオン収量変動の補償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0021664A8 (en) Collection device for biological samples and methods of use
WO2004078232A3 (en) Collection device adapted to accept cartridge for point of care system
DE60335785D1 (de) Analyseset mit Stechhilfe und Messgerät
Wu et al. Alleviating moisture content effects on the visible near-infrared diffuse-reflectance sensing of soils
CN104198598A (zh) 一种维生素b12的测定方法
US7539282B2 (en) XRF analyzer
EP0796659A3 (en) Pipette for collecting and dispensing material samples
Elish et al. Determination of uranium concentration in a single hair strand by LAICPMS applying continuous and single pulse ablation
Sudhaker et al. Effect of using Propanol as internal standard on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thanol in different biological matrices by head space-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JP2008064554A (ja) 検体容器用アダプタ、及び検体容器用ラック
JP2009150830A (ja) 試料採取部材、試料取り出し部材、及びそれらを備えた試料採取キット
Butler et al. Current trends: a perspective from 30 years of Atomic Spectrometry Updates
JP2018038933A (ja) 液計量具、液計量方法及び希釈方法
Roszkowska et al. In vivo SPME for bioanalysis 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toxicology
Jones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a gas chromatograph intoximeter breath alcohol device part I—in-vitro experiments
US6357535B1 (en) Soil sampling apparatus
Grandjean et al. Laed
김형준 Development of Caffeine Metabolite Analysis Method for Evaluation of Various Drug Metabolic Enzyme Pheno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