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620A - 컴퓨터 본체 케이스 - Google Patents

컴퓨터 본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620A
KR20100036620A KR1020080095931A KR20080095931A KR20100036620A KR 20100036620 A KR20100036620 A KR 20100036620A KR 1020080095931 A KR1020080095931 A KR 1020080095931A KR 20080095931 A KR20080095931 A KR 20080095931A KR 20100036620 A KR20100036620 A KR 2010003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frame
hdd
power suppl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선
Original Assignee
강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선 filed Critical 강호선
Priority to KR102008009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620A/ko
Publication of KR2010003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2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구성되어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는 파워스플라이 장착부의 배면에 컴퓨터의 또다른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서 이렇게 마련된 공간부에 제3 HDD나 CPU 쿨러를 설치하므로서 한정된 공간을 지닌 슬림형 컴퓨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일측 이상이 개구되는 박스형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102)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각종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103)와;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앞쪽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4)로 구성이 되고,
상기 컴퓨터 부품 장착부(103)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벽 내면에 형성되며 메인보드가 설치되는 메인보드 장착부(105)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전면 패널과 맞닿아 설치되고, 2개의 HDD 또는 1개의 HDD 및 1개의 FDD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HDD 장착부(106)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HDD 장착부의 옆에 종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히 배치되며 ODD가 장착되는 ODD 장착부(107)와; 상기 ODD 장착부 하부에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로 구성하여서 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는 배면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ㄷ'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의 정면에는 파워스플라이(115)를 장착하고,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는 제3 HDD(113)나 CPU 쿨 러(114)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컴퓨터 본체 케이스, 프레임, 커버, 컴퓨터 부품 장착부, 메인보드 장착부, HDD 장착부, ODD 장착부, 파워서플라이 장착부, 공간부, 통공, 제3 HDD, CPU 쿨러, 파워스플라이

Description

컴퓨터 본체 케이스{Computer Main Case}
본 발명은 컴퓨터를 구성하는 본체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슬림형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파워스플라이가 장착되는 파워스플라이 장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파워스플라이 장착부의 배면에 컴퓨터의 또다른 부품을 고정하는 공간부를 더 형성하여서 이러한 공간부에 제3 HDD나 CPU 쿨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슬림형 컴퓨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IT)기술의 발전으로 가정이나 기업에 널리 보급된 개인용 컴퓨터는 없어서는 아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고, 1가구 다 PC시대에 접어들게 되면서 컴퓨터 본체의 부피를 축소하는 콤팩트화 및 슬림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컴퓨터의 기능상 발전 및 컴퓨터 본체의 외형 디자인과 소재 개발에도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종래의 컴퓨터 본체는 처리속도 등 기능의 개발과 운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의 다양한 디자인 개발과 함께 컴퓨터 본체의 케이스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림 형 본체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컴퓨터 본체에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서 컴퓨터 본체가 주변과의 조화로움을 주도록 디자인되고 있고, 젊은 세대에 맞추어 콤팩트하게 만들어지고 있으며, 케이스는 철판으로 제작 사용되고 있다.
컴퓨터 본체는 크게 책상 위에 놓여지는 데스크탑형 PC(이하 '컴퓨터'라 칭함)와 휴대하는 노트북 PC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데스크탑형 컴퓨터는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내장되는 컴퓨터의 각 구성부품들 예컨대, 메인보드(Main board), HDD(Hard Disk Drive), FDD(Floppy Disk Drive), ODD(Optical Disk Drive),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CPU 쿨러(CPU Cooler)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규격을 ATX(ATX 1.0)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종래 컴퓨터의 부품은 본체 케이스에 일정한 규칙없이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컴퓨터의 본체 케이스는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조립과 운반이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책상에서 넓은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을 하지 못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Micro-ATX라는 규격이 창안되어 슬림형 컴퓨터가 출시되고 있다.
슬림형 컴퓨터는 종래의 컴퓨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다만 케이스 및 각 구성부품의 사이즈가 작게 축소된 것으로서, 이러한 슬림형 컴퓨터의 본체 케이스는 그 이전의 구형 컴퓨터의 본체 케이스에 비해 크기가 획기적으로 축소되 어 공간점유율이 적기 때문에 면적이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고, 운반시 힘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슬림형 컴퓨터 케이스는 케이스가 구형의 컴퓨터 케이스보다 작기 때문에 구형 컴퓨터의 각 부품(메인보드, 드라이브, 파워서플라이 등)이 슬림형 케이스에 장착되지 못한다.
즉, 구형 컴퓨터의 부품과 슬림형 컴퓨터 부품을 공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슬림형 케이스에 맞는 컴퓨터 부품을 생산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보관 및 관리가 복잡하며, 구형 컴퓨터 부품을 재활용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구형 컴퓨터 부품을 파기하게 되어 산업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이 극심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국내 특허출원 제10-2005-42621호(특허등록 제556134호)와 같은 컴퓨터 본체 멀티 케이스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컴퓨터 본체 멀티 케이스의 구조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이상이 개구되는 박스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각종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부품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벽(15) 내면에 형성되며 메인보드가 설치되는 메인보드 장착부(20)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뒤쪽 상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HDD가 설치되는 HDD 장착부(30)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앞쪽 상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HDD와 FDD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제1 HDD/FDD 공용장착부(40);
상기 제1HDD/FDD 공용장착부의 하부 일측 단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HDD와 FDD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제2 HDD/FDD 공용장착부(50);
상기 제2HDD/FDD 공용장착부의 옆에 종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ODD가 장착되는 제1/제2 ODD 장착부(60,70);
상기 ODD 장착부 하부와 메인보드 장착부의 전방을 향해 바닥부에 형성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80)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슬림 케이스는 ATX 2.2 규격의 하나인 Micro-ATX 규격의 메인보드와 Micro-ATX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해야만 하는데, 상기와 같은 형태의 컴퓨터 본체 멀티 케이스는 구형의 ATX(ATX 1.0) 부품은 물론 구형 및 최신의 일반 규격 부품(Full-ATX)과 소형 부품(Micro-ATX) 규격을 아우르는 부품의 호환을 유지하면서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결국 서로 다른 사이즈의 컴퓨터 부품을 공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위와 같은 형태의 컴퓨터 본체 멀티 케이스들은 상기 ODD 장착부 하부와 메인보드 장착부의 전방을 향해 바닥부에 형성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80)가 본체 케이스 안쪽으로 일정간격 만큼 돌출되도록 고정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파워서플라이 장착부(80)는 사방이 막힌 형태의 돌출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파워서플라이 장착부에 파워서플라이만을 고정할 수 있 도록 된 것이어서 단순히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전혀 할수 없으므로 한정된 컴퓨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구성되어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는 파워스플라이 장착부의 배면에 컴퓨터의 또다른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서 이렇게 마련된 공간부에 제3 HDD나 CPU 쿨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정된 공간을 지닌 슬림형 컴퓨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일측 이상이 개구되는 박스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각종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앞쪽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로 구성이 되고,
상기 컴퓨터 부품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벽 내면에 형성되며 메인보드가 설치되는 메인보드 장착 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전면 패널과 맞닿아 설치되고, 2개의 HDD 또는 1개의 HDD 및 1개의 FDD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HDD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HDD 장착부의 옆에 종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히 배치되며 ODD가 장착되는 ODD 장착부와; 상기 ODD 장착부 하부에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로 구성하여서 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는 배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ㄷ'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의 정면에는 파워스플라이를 장착하고,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제3 HDD나 CPU 쿨러를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구성되어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는 파워스플라이 장착부의 배면에 컴퓨터의 또다른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서 이렇게 마련된 공간부에 제3 HDD나 CPU 쿨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정된 공간을 지닌 슬림형 컴퓨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본체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케이스(100)는,
일측 이상이 개구되는 박스형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102)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각종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103)와; 컴퓨터를 제어하는 다수의 보턴이 설치되고,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앞쪽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 부품 장착부(103)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벽 내면에 형성되며 메인보드가 설치되는 메인보드 장착부(105)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전면 패널(104)과 맞닿아 설치되고, 2개의 HDD 또는 1개의 HDD 및 1개의 FDD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HDD 장착부(106)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HDD 장착부의 옆에 종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히 배치되며 ODD가 장착되는 ODD 장착부(107)와;
상기 ODD 장착부 하부에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컴퓨터 본체 케이스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기술구성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적어도 일 측이 개구되는 박스형 프레임(101) 및 이 프레임의 측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102)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각종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103)와, 앞쪽에 컴퓨터를 제어하는 다수의 보턴이 설치되고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앞쪽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4)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1)은 예컨대, 5개의 스틸판재인 전후/상하/측판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103)가 갖추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컴퓨터 부품은 메인보드, HDD, ODD(예를 들어 CD-ROM 드라이브), FDD, 파워서플라이, 각종 카드 등이 있으며, 그 수량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컨대, 메인보드와 파워서플라이는 각각 하나씩 장착되며, HDD와 ODD 및 FDD(예를 들어 3.5" 드라이브)는 하나 또는 두 개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적용된 컴퓨터 부품 장착부(103)는, 케이스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메인보드가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체결되는 메인보드 장착부(105), 두개의 HDD 또는 1개의 HDD 및 1개의 FDD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HDD 장착부(106), 하나의 ODD 장착부(107) 및 하나의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로 구성된다.
메인보드 장착부(105)는 프레임(101)의 일측판 예컨대, 개구부와 대향되는 측벽에 형성되고, HDD 장착부(106)는 프레임(101) 내부의 안쪽 상단에 배치되며,
ODD 장착부(107)는 프레임의 내부 HDD 장착부의 옆에 종방향을 따라 각각 나 란히 배치되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는 상기 ODD 장착부 하부 바닥부에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고, 카드 슬롯(109)은 프레임(101)의 후벽 대략 중앙에서부터 하부에 걸쳐 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1) 후벽의 카드 슬롯(109) 상측에는 종방향을 따라 다수개(도면에는 두 개만 도시됨)의 순환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 장착부(105)는 측벽에 형성되며, HDD 장착부(106)와 ODD 장착부(107)는 각각 판재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의 특징적인 요부 구성은,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파워스플라이(115)가 장착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의 단면이 'ㄷ'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서 파워서플라이 장착부의 배면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의 정면에는 파워스플라이(115)가 장착되고,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는 도 7 과 같이 제3 HDD(113)를 장착하거나 도 8 과 같이 CPU 쿨러(114)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공(112)을 형성하여서 파워스플라이 장착부에 고정되는 파워서플라이나 제3 HDD 또는 CPU 쿨러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파워스플라이를 장착하는 파워스플라이 장착부(108)의 배면에 컴퓨터의 또다른 부품을 장착하는 공간부(111)를 형성하여서 이렇게 마련된 공간부에 제3 HDD(113)나 CPU 쿨러(11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슬림형 컴퓨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CPU 쿨러(114)는 CPU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온도를 낮추는 데 중요한 장치로서, 주요 설계 이론은 방열판이 열을 전도시키고 팬으으로 바람을 불어 넣거나 불어 내어서 열을 식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 케이스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본체 케이스의 개략적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의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 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파워서플라이 장착부의 배면 공간부에 제3 HDD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도 6 에서 파워스플라이와 파워서플라이 장착부 및 제3 HDD를 분해한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파워스플라이와 파워서플라이 장착부 및 CPU 쿨러를 분해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컴퓨터 본체 케이스 101 : 박스형 프레임
102 : 커버 103 : 컴퓨터 부품 장착부
104 : 전면 패널 105 : 메인보드 장착부
106 : HDD 장착부 107 : ODD 장착부
108 : 파워서플라이 장착부 109 : 카드 슬롯
110 : 순환공 111 : 공간부
112 : 통공 113 : 제3 HDD
114 : CPU 쿨러 115 : 파워스플라이

Claims (1)

  1. 일측 이상이 개구되는 박스형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102)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각종 컴퓨터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103)와;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앞쪽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4)로 구성이 되고,
    상기 컴퓨터 부품 장착부(103)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벽 내면에 형성되며 메인보드가 설치되는 메인보드 장착부(105)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전면 패널과 맞닿아 설치되고, 2개의 HDD 또는 1개의 HDD 및 1개의 FDD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HDD 장착부(106)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HDD 장착부의 옆에 종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히 배치되며 ODD가 장착되는 ODD 장착부(107)와; 상기 ODD 장착부 하부에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로 구성하여서 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는 중앙부에 다수의 통공(112)을 구비하고, 배면에는 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ㄷ'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108)의 정면에는 파워스플라이(115)를 장착하고,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는 제3 HDD(113)나 CPU 쿨러(114)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컴퓨터 본체 케이스.
KR1020080095931A 2008-09-30 2008-09-30 컴퓨터 본체 케이스 KR20100036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931A KR20100036620A (ko) 2008-09-30 2008-09-30 컴퓨터 본체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931A KR20100036620A (ko) 2008-09-30 2008-09-30 컴퓨터 본체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620A true KR20100036620A (ko) 2010-04-08

Family

ID=4221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931A KR20100036620A (ko) 2008-09-30 2008-09-30 컴퓨터 본체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352A (ko) * 2021-08-05 2023-02-14 권은성 컴퓨터 케이스 조립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352A (ko) * 2021-08-05 2023-02-14 권은성 컴퓨터 케이스 조립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567B2 (en) Tower computer system
US20080123292A1 (en) Reinforced Air Shroud
US7522413B2 (en) Heat dissipating system
US778475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legs
US201201510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universal computing system
US20080144281A1 (en) Computer enclosure
US201302719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computing systems
US20060176659A1 (en) Portable computer
US20100038497A1 (en) Laptop stand with heat dissipation device
US7440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a chassis
US20110122576A1 (en) Computer
JP2006114035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893424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oling capability
US8089761B2 (en) Computer
US2013014829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ir duct
JP2005190297A (ja) サーバ、情報処理装置及び筐体
US8085536B2 (en) Computer
US7230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a chassis
US8154865B2 (en) Computer including a disk drive, motherboard and fan
KR20100036620A (ko) 컴퓨터 본체 케이스
KR100556134B1 (ko) 컴퓨터 본체 멀티 케이스
KR200353678Y1 (ko) 컴퓨터 본체 멀티 케이스
US20070025093A1 (en) Computer enclosure
US20080239664A1 (en) Heat dissipating system for computer
KR101131476B1 (ko) 소형 데스크탑용 컴퓨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