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095A -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095A
KR20100036095A KR1020080095550A KR20080095550A KR20100036095A KR 20100036095 A KR20100036095 A KR 20100036095A KR 1020080095550 A KR1020080095550 A KR 1020080095550A KR 20080095550 A KR20080095550 A KR 20080095550A KR 20100036095 A KR20100036095 A KR 20100036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
user
communication channel
client terminal
gui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401B1 (ko
Inventor
황복규
우영욱
김상훈
유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9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4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망 관리 장치에 접속하여 해당 망 관리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는 GUI 등록부, 그리고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GUI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켜 GUI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망 감시 장치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조회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켜, 원하는 망 관리 장치로의 데이터 조회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95550
통합망, 컨버전스네트워크, 망감시, 망관리, convergence, network

Description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YSTEM FOR MANAGING CONVERGENCE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분야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하여 동작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망 관리 장치(network management system, NMS)가 이용된다.
망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 상태,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 상태, 모듈 내의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데이터 상태, 접속 상태, 통신 여부 등과 같은 논리적인 요소의 상태까지 감시하여 장애 여부 등을 판단하게 된다.
종래에는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각 네트워크의 동작 등에 적합한 개별적인 망 관리 장치가 구축되어,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관리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가 서로 융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에서는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버전스 네트워크(convergence network)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네트워크의 사용으로 인해,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네트워크를 경유하거나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여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지만, 각 네트워크에 대한 개별적인 망 관리 장치를 이용해서는 컨버전스 네트워크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여러 네트워크들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나 동작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 각 망 관리 장치는 자신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고, 컨버전스 네트워크의 운용자 역시 각 망 관리 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조회할 필요가 생겼다.
따라서 네트워크 별로 별개로 구축되어 있는 서로 다른 망 관리 장치의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컨버전스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운용자 시스템은 해당 망 관리 장치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각 망 관리 장치는 해당 네트워크의 동작 특성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네트워크와 통신하므로, 망 관리 장치들과 해당 네트워크들 간의 통신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른 망 관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운용자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과는 별개로 접속을 원하는 망 관리 장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하므로, 운용자 시스템 및 망 관리 장치의 구조와 동작이 복잡해진다.
또한 서로 다른 망 관리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할 경우,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정확하게 해당 데이터의 개수나 형태 등이 일치해야 한다. 하지만, 각 망 관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관리 오류 등으로 인해 송수신하고자 하는 일부 데이터의 손실 등으로 인해, 해당 데이터의 개수나 형태가 서로 일치하 지 않을 경우, 동일한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송수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망 관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고 간편하기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망 관리 장치에 접속하여 해당 망 관리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는 GUI 등록부, 그리고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GUI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켜 GUI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망 감시 장치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조회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신측 GUI 컴포넌트에서 상기 수신측 GUI 컴포넌트로 검색 파리미터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상기 GUI 등록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 중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게 설치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권한별로 사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를 대응하는 이미지로 표시한 이미지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 이미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이미지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의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GUI 통신 설정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 두 개의 GUI가 선택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선택된 두 개의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가 상기 GUI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GUI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망 관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는 GUI 등록부와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GUI 컴포넌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비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길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길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설치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GUI 컴포넌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 컴포넌트 목록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를 상기 GUI 등록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할 경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할 경우, 상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 형성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형성 단계는,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 두 개의 GUI 컴포넌트들 중에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를 판정하는 단계, 통신 채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각각 송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와 수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와 상기 수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에 상기 통신 채널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기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길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설치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GUI 컴포넌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 컴포넌트 목록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를 상기 GUI 등록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할 경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할 경우, 상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 형성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형성된 통신 채널에 관련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로그 아웃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GUI 컴포넌트 사용 환경을 화면 GUI 상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켜, 원하는 망 관리 장치로의 데이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망 관리 장치들간의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해도 각 망 관리 장치 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경우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의 의해 원하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형성되므로, 송신측 GUI 컴포넌트측에서 입력된 검색 파라미터가 수신측 GUI 컴포넌트로 전송되어, 동일한 검색 파라미터에 대한 다른 종류의 데이터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 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의 관리를 실시하는 제1 망 관리 장치(100),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의 관리를 실시하는 제2 망 관리 장치(200), 제1 및 제2 망 관리 장치(100, 200)에 연결되어 있는 통합 망 관리 장치(300)를 구비한다.
제1 망 관리 시스템(100)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110)과, 제1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감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130)를 갖는 제1 서버(120)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데이터베이스(130)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한 장애 이력 데이터와 같이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단말(110)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component)(GUI11, GUI12)가 설치되어 제1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GUI 컴포넌트(GUI11, GUI12)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정해진 특정 동작을 실행하고, 원하는 데이터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의 집합으로서, GUI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때, GUI 컴포넌트(GUI11)는 서버(120)의 장애 이력 데이터베이스(130)에 접속하여, 장애 이력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는 장애 이력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컴포넌트이다.
제2 망 관리 장치(100)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210)과, 제2 클라이언트 단말(210)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망 감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 는 제2 데이터베이스(230)를 갖는 제2 서버(220)를 구비한다. 이때,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VOC (voice of customer) 데이터와 같이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클라이언트 단말(210)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GUI21, GUI22)가 설치되어 제2 클라이언트 단말(210)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GUI 컴포넌트(GUI21)는 서버(120)의 VOC 데이터베이스(230)에 접속하여, VOC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VOC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컴포넌트이다.
통합 망 관리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GUI11, GUI22)가 설치되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과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과 연결되어 있고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운용자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와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320)를 구비한다.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GUI11, GUI22)의 동작 등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311)를 구비한다.
데이터 저장부(320)는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운용자에 의해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GUI11, GUI12, GUI21, GUI22)를 저장하고 있는 GUI 저장부(321)와 GUI 저장부(321)에 연결되어 있고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GUI 컴포넌트 관련 정보를 저장해 놓은 데이터베이스부(322)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부(322)는 사용자 별로 정해진 권한에 따라 이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분류하여 저장해 놓은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331), 제3 클라이 언트 단말(310)의 사용자에 의해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설치하여 표시된 GUI 컴포넌트(GUI11, GUI22) 상태를 저장해 놓는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별로 저장해 놓은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 GUI 컴포넌트를 이미지화한 이미지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 이미지 저장부(334) 및 사용자별 권한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권한 저장부(335)를 구비한다.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331)에 저장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는 사용자 권한별로 이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이 정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권한은 네트워크 종류별, 서비스 종류별, 사용자의 부서 및 직위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331)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을 통해 사용자가 로그인하며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이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가 달라진다.
이때, 네트워크 종류는 코넷(konet), 프리미엄(premium),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액세스망(access network) 등으로 나눠지고, 서비스 종류는 SoIP(storage over internet protocol), PSTN, 메가TV(Mega)TV, 메가패스(megapass) 등일 수 있다. 또한, 부서는 본사, 지사, 본부, 지역망 관제 센터, 전국망 관제 센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는 사용자 별로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설치하여 표시해 놓은 GUI 컴포넌트(GUI11, GUI22) 상태를 저장해 놓는다. 즉, 사용자 별로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설치하여 표시해 놓은 GUI 컴포넌 트(GUI11, GUI22)가 서로 상이하므로, 사용자 별로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표시된 GUI 컴포넌트 상태를 저장해 놓는다. 이때,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뷰(view)별로, 즉, 작업 화면 별로 현재 실행(lading)된 GUI 컴포넌트,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GUI 컴포넌트 위치 정보, 각 GUI 컴포넌트의 크기 정보, 즉 GUI 컴포넌트의 크기가 최대상태인지 최소 상태인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는 사용자로 의해 설정되어 있는 GUI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두 GUI 컴포넌트인 GUI11와 GUI21간의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 이미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에 GUI11와 GUI21간의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통신 채널 설정 동작을 행하지 않고, 이미 설정되어 있는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GUI11와 GUI21간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때,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는 사용자 권한 별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A" 등급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일 경우, "A" 등급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목록을 사용자에게 알려줘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목록 중 사용자가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 설정 후 이용할 수 있거나 사용자의 권한 등급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기본적으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 수신측 GUI 컴포넌트, 통신 채널 식별자, 송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parameter), 수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일 수 있다.
송신측 GUI 컴포넌트는 두 개의 GUI 컴포넌트 중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GUI 컴포넌트이고, 수신측 GUI 컴포넌트는 두 개의 GUI 컴포넌트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GUI 컴포넌트이다. 통신 채널 식별자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 간에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인식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송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종류이고, 수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는 수신되는 데이터 종류이다. 이때, 송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와 수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는 서로 같은 종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GUI 컴포넌트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 파라미터가 가입자 이름, 가입자 전화번호, 가입자 주소 및 장애 이력 데이터이고,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 파라미터가 가입자 이름, 가입자 전화번호 및 VOC 데이터일 때, 송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와 수신되는 데이터 파라미터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데이터 파라미터인 가입자 이름일 수 있다. 즉, 가입자 이름에 대한 데이터가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측 GUI 컴포넌트에서 수신측 GUI 컴포넌트로 전달될 수 있다.
GUI 컴포넌트 이미지 저장부(334)는 사용자 권한 별로 이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의 내용이나 동작 특성에 맞는 이미지로 표시한 GUI 컴포넌트 이미지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GUI 컴포넌트 목록만으로 해당 GUI 컴포넌트의 내용이나 동작 특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지만, 해당 GUI 컴포넌트에 대한 이미지 목 록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각 GUI 컴포넌트의 내용이나 동작 특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GUI 컴포넌트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별 권한 저장부(335)는 각 사용자에 부여된 권한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을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이러한 구조를 갖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3는 사용자에 의해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동작이 시작되면(S10)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운용자는 복사나 삭제 등의 동작을 통해 각 망 관리 장치(100, 120)의 클라이언트 단말(110, 210)에 표시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GUI11, GUI12, GUI21, GUI22) 중에서 원하는 GUI 컴포넌트를 GUI 등록부(321)에 등록해 놓는다(S11). 이때, 운용자는 GUI 등록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원하는 GUI 등록을 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GUI 등록부(321)에 저장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권한별로 GUI 컴포넌트 목록이 분리되어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331)에 저장되고, 각 GUI 컴포넌트에 대한 이미지 목록 또한 GUI 등록부(321)에 등록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에 맞게 GUI 컴포넌트 이미지 저장부(334)에 저장된 데이터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운용자에 의해 GUI 등록부(321)에 제1 및 제2 망 관리 장치(100, 200)에서 설정된 GUI 컴포넌트 중 원하는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고, 등록된 GUI 컴포넌트에 맞게 데이터 베이스부(322)에 저장된 데이터 또한 정렬되면,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해당 GUI 컴포넌트를 통해 원하는 망 관리 장치(100, 200)에서 수집한 원하는 망 관리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를 로그인하면, 동작 제어부(311)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새로운 GUI 컴포넌트를 불러와 자신의 화면에 등록한 후 표시하여 이용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한다(S12).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새로운 GUI 컴포넌트를 등록하고자 할 경우, 동작 제어부(311)는 데이터 저장부(320)의 사용자별 권한 저장부(3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을 판정한다(S13).
다음, 동작 제어부(311)는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331)와 GUI 컴포넌트 이미지 저장부(33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권한에 맞는 GUI 컴포넌트 목록과 이에 대응하는 GUI 이미지 목록을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표시한다(S14).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GUI 컴포넌트 목록과 이미지 목록을 참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등록하고자 하는 GUI 컴포넌트 목록 또는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목록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 권한에 맞는 이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 또는 GUI 이미지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자 권한에 맞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목록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직급이 나 직무에 맞게 이용 가능한, 또는 설정해 놓으면 유용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목록 중 사용자가 원하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목록을 선택하여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1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 컴포넌트 목록 또는 GUI 이미지 목록을 판정한 후(S15), 판정된 GUI 컴포넌트 목록 또는 GUI 이미지 목록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를 GUI 등록부(321)에서 탐색하여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등록한다(S16).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제1 및 제2 망 관리 장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 중에서 원하는 GUI 컴포넌트를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등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위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의 GUI 컴포넌트 등록 동작이 모두 행해지면, 동작 제어부(311)는 사용자에 의해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7).
사용자에 의해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이 선택될 경우, 동작 제어부(311)는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대한 통신 채널이 이미 본인에 의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8).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대한 통신 채널이 이미 이전에 설정되었을 경우, 동작 제어부(311)는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해당 통신 설정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여(S19)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간의 통신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대한 통신 채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동작 제어부(311)는 사용자에 선택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 간의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S20).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두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동작을 시작하면(S20), 동작 제어부(311)는 서로 통신을 원하는 두 개의 GUI 컴포넌트 중에서 어떤 것이 송신측 GUI 컴포넌트인지 수신측 GUI 컴포넌트를 판정한다(S21). 이 때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가 정해지므로, 동작 제어부(311)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판정하여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를 판정한다.
다음, 동작 제어부(311)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 채널 식별자를 생성한다(S22). 이 때, 통신 채널 식별자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 간의 고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변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채널 식별자는 뷰(view)의 값, 즉 열려 있는 작업 화면의 번호, 송신측 GUI 컴포넌트 이름 및 수신측 컴포넌트 이름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채널 식별자가 만들어지면, 동작 제어부(311)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간의 통신 채널을 생성한다(S23).
따라서 동작 제어부(311)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각각 송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method), 즉, 프로그램과 수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를 생성한다. 이때, 송신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라미터로서 통신 채널 식별자,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생성된 수신을 위한 메소드 이름 및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데이터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때, 송신 데이터 파라미터는 가입자 전화번호 일 수 있다. 또한 수신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라미터로서 통신 채널 식별자 및 수신하고자 하는 수신 데이터 파라미터일 수 있다. 송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신 데이터 파라미터는 가입자 전화번호 일 수 있다.
이 때,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 각각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메소드에 통신 채널 식별자를 전달하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메소드에서는 전달된 통신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 간의 통신 채널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두 개의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동작 제어부(311)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통신 채널에 관한 통신 설정 데이터를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에 저장한다(S24). 따라서 후에 동일한 GUI 컴포넌트들에 대한 통신 채널 형성을 원할 경우, GUI 통신 설정 저장부(333)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통신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설정 동작 없이 바로 통신 채널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또는 이미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333)의 통신 설정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두 GUI 컴포넌트 간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동작 제어부(311)는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에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사용 환경을 사용자 별로 저장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을 로그인하면, 동작 제어부(311)는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을 표시 상태를 사용자 A가 로그아웃하기 전의 화면 상태로 표시한다.
다시 도 2에 돌아가, 단계(S12)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GUI 컴포넌트를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등록하길 원하지 않을 경우, 즉 자신이 로그아웃 하기 전의 화면 상태에서 작업하길 원할 경우, 동작 제어부(310)는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에 접속하여 현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사용 환경을 불러와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에 표시한 후(S111), 단계(S110)로 넘어가 현재의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표시 상태를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음으로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에 로그인하여, 저장된 사용 환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동작 제어부(311)는 통합 망 관리 장치(300)의 초기 화면을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사용자가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에 로그인하면, 동작 제어부(311)는 먼저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 환경을 화면 GUI 상태 저장부(332)에서 불러와 표시하거나 초기 화면을 표시한 후, 단계(S12)의 동작인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새로운 GUI 컴포넌트를 불러와 자신의 화면에 등록하여 표시한 후 이용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의 화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고, 원하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화면에 등록된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망 관리 장치에서의 필요한 데이터는 원하는 형태로 불러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제3 클라이언트 화면(310)에 GUI11와 GUI22의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고, GUI11와 GUI22간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GUI11이 수신측 GUI 컴포넌트이고, GUI22가 송신측 컴포넌트이며, 송신 데이터 파라미터와 수신 데이터 파라미터는 가입자 전화번호라고 하자.
이럴 경우, 사용자가 GUI11를 실행시키고, 가입자 전화번호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파라미터로 입력하면,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는 제1 망 관리 장치(100)의 서버(120)에 접속하고 장애 이력 데이터(130)를 검색하여 가입자 전화번호 별로 장애 이력 데이터를 조회한다. 또한, 검색 파라미터로 가입자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GUI11과 GUI22사이에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가입자 전화번호"가 "GUI22"의 컴포넌트로 전달된다. 이때, "가입자 전화번호"는 송신 데이터 파라미터와 수신 데이터 파라미터가 된다. 이로 인해, GUI22가 자동으로 실행되어, 제3 클라이언트 단말(310)는 제2 망 관리 장치(200)의 서버(220)에 접속하고 VOC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가입자 전화번호 별로 VOC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네트워크 별로 구축되어 있는 망 관리 장치의 동작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해당 망 관리 장치를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동작시켜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해당 망 관리 장치에 대한 원하는 GUI 컴포넌트만을 간단하게 실행시킴으로써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은 각 망 관리 장치에 해당하는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키므로, 망 관리 장치들간의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해도 각 망 관리 장치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경우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형성되므로, 송신측 GUI 컴포넌트 측에서 입력된 검색 파라미터가 수신측 GUI 컴포넌트로 전송되어, 동일한 검색 파라미터에 대한 다른 종류의 데이터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각 망 관리 장치에서의 관리 문제로 인해,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형식이 각 망 관리 장치에 상이하게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망 관리 장치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는 사용자에 의해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망 관리 장치에 접속하여 해당 망 관리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는 GUI 등록부, 그리고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GUI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GUI 컴포넌트를 실행시켜 GUI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망 감시 장치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조회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을 포함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두 개의 GUI 컴포넌트는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신측 GUI 컴포넌트에서 상기 수신측 GUI 컴포넌트로 검색 파라미터가 전송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GUI 등록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 중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게 설치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권한별 GUI 설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표시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사용자 권한별로 사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를 대응하는 이미지로 표시한 이미지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GUI 컴포넌트 이미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한 GUI 컴포넌트 이미지 목록을 표시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의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GUI 통신 설정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 두 개의 GUI가 선택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선택된 두 개의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가 상기 GUI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GUI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
  6. 적어도 하나의 망 관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GUI 컴포넌트가 등록되어 있는 GUI 등록부와 상기 GUI 등록부에 등록된 GUI 컴포넌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비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길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길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설치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GUI 컴포넌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 컴포넌트 목록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를 상기 GUI 등록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할 경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할 경우, 상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 형성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 형성 단계는,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 두 개의 GUI 컴포넌트들 중에서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를 판정하는 단계,
    통신 채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GUI 컴포넌트와 수신측 GUI 컴포넌트에 각각 송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와 수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와 상기 수신 기능을 위한 메소드에 상기 통신 채널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기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GUI 컴포넌트를 설치하길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권한에 대응하는 설치 가능한 GUI 컴포넌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GUI 컴포넌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 컴포넌트 목록에 대응하는 GUI 컴포넌트를 상기 GUI 등록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의 형성을 원할 경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이미 존재할 경우, 상기 GUI간 통신 설정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 형성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 간 통신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GUI 컴포넌트간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형성된 통신 채널에 관련된 통신 채널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로그 아웃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GUI 컴포넌트 사용 환경을 화면 GUI 상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망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80095550A 2008-09-29 2008-09-29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50A KR101069401B1 (ko) 2008-09-29 2008-09-29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50A KR101069401B1 (ko) 2008-09-29 2008-09-29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095A true KR20100036095A (ko) 2010-04-07
KR101069401B1 KR101069401B1 (ko) 2011-09-30

Family

ID=4221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550A KR101069401B1 (ko) 2008-09-29 2008-09-29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4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781A (ko) * 2001-06-28 2002-07-12 김행곤 망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0475432B1 (ko) * 2002-02-26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609667B1 (ko) * 2004-02-23 2006-08-08 (주)위트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갱신 시스템
KR100601875B1 (ko) * 2005-01-10 2006-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401B1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439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ustomer centric network management
US20180262533A1 (en) Monitoring Device Data and Gateway Data
US8806550B1 (en) Rules engine for troubleshooting video content delivery network
US8458369B2 (en) Automatic peripheral discovery, authorization, and sharing across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91787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acquisition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7580936B2 (en) Extendable discovery of network device information
JP7176296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ログデータ送信方法、プログラム
US96928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tup of wireless device for home network
US2007014347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valuating suitability of a network for packetized communications
US8055700B2 (en) Network test/measurement agent extensible with different types of network interfaces
US20120123727A1 (en) Self-service circuit tes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158092B1 (ko) 네트워크 장치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28331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の自動生成機構
CN103209082A (zh) 网关设备诊断方法、设备及系统
US8805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bulk network data collection
US8656011B2 (en) Method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detecting communication apparatus coupled to communication network
KR101069401B1 (ko) 통합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924575B2 (en) Automatic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113298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lecommunication system devices
US90492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analysis of a hybrid telephony network
KR100487125B1 (ko) 운용자 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JP4463868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管理システム
US20060048198A1 (en) Establishing remote connections
KR100674327B1 (ko)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한 ip-a/vdsl 장비에대한 자동제어시스템
KR20090071985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