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492A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492A
KR20100032492A KR1020080091401A KR20080091401A KR20100032492A KR 20100032492 A KR20100032492 A KR 20100032492A KR 1020080091401 A KR1020080091401 A KR 1020080091401A KR 20080091401 A KR20080091401 A KR 20080091401A KR 20100032492 A KR20100032492 A KR 2010003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roller
front plate
bills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4119B1 (en
Inventor
박창호
정의학
서정욱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19B1/en
Publication of KR2010003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paper money is provided to simplify a structure by stacking and separating the paper money through one roller. CONSTITUTION: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20) enables a customer to deposit and withdraw paper money. A carriage path(40) transfers the paper money which is deposited and withdrawn. A determining unit(50) determines the abnormality of paper money. A controller(90) controls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es of the paper money.

Description

지폐입출금장치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Banknote Machine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입금처리하고 고객이 요청한 금액을 출금 처리하는 지폐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processes the banknotes put by the customer and withdraws the money requested by the customer.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고객이 입출금거래를 위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를 통해 고객이 현금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financial service menu, and a screen unit on which a transaction status is displayed. Is provided, the customer is to carry out cash withdrawal through the banknote withdrawal device.

도 1은 종래의 지폐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in the conventional banknote withdrawal device.

입금 거래에 있어서, 이용자가 전면판(1)과 칸막이판(2) 사이의 공간[입금 공간(a)]으로 지폐를 투입하면, 칸막이판(2)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입금된 지폐를 분리부 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픽업롤러(4), 가이드롤러(5) 및 피딩롤러(6)로 구성되는 분리부에서는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해서, 반송로(7) 상으로 이송한다. In the deposit transaction, when the user inserts a bill into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1 and the partition plate 2 (the deposit space a), the partition plate 2 moves to the right to separate the deposited bill. To the side. Then, in the separating part comprised of the pick-up roller 4, the guide roller 5, and the feeding roller 6, a banknote is isolate | separated one by one and conveyed on the conveyance path 7.

반송로(7)에 반출된 지폐는 판별부(8)를 거치면서 지폐의 이상유무 등이 판 별된다. 판별부(8)를 통과한 후, 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판별된 지폐[이하, 정상 지폐]는 일시보관고(9)에 보관되고, 이상권으로 판별된 지폐[이하, 리젝트 지폐]는 게이트(10)를 통과하여 스택롤러(11)에 의해 누름판(3)과 칸막이판(2) 사이의 공간[출금 공간(b)]으로 스택되어 정렬된다. 그 후, 셔터(12)를 개방하여 리젝트 지폐가 있음을 알린다. 이때, 칸막이판(2)과 누름판(3)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용자가 지폐를 꺼내기 쉽게 한다. The banknotes carried out on the conveyance path 7 pass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8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are abnormal. After passing through the judging section 8, the banknot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mal banknotes) determined as normal tickets by the judging section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9, and the banknot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ject banknotes) determined as abnormal notes are gate 10. The stack roller 11 is stacked and aligned by the stack roller 11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essing plate 3 and the partition plate 2 (withdrawal space b). Thereafter, the shutter 12 is open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reject bill. At this time, the partition plate 2 and the pressing plate 3 move to the r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bill.

원할 경우, 리젝트 지폐는 이용자가 꺼낸 후 다시 입금할 수 있다. 이때, 칸막이판(2)은 누름판(3) 측으로 후퇴되어, 이용자가 지폐를 전면판(1)과 칸막이판(2) 사이의 입금 공간(a)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한다. If desired, the rejected bills can be taken out and deposited again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partition plate 2 is retracted to the pressing plate 3 side,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bill into the deposit space a between the front plate 1 and the partition plate 2.

판별부(8)에서 정상 지폐로 판정된 지폐는 일시보관고(9)에 있다가, 이용자의 입금 요구에 의해 반송로(7)를 통과하여 지폐저장고(14)에 보관된다.The banknote determin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8 as the normal banknote is in the temporary storage 9, and is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14 through the conveyance path 7 at the request of the user's deposit.

이용자가 출금을 요구하면, 지폐저장고(14)에 보관된 지폐는 반송로(7)로 보내져 판별부(8)를 통과하게 된다. 정상 지폐는 스택롤러(11)에 의해 누름판(3)과 칸막이판(2) 사이의 출금 공간(b)으로 스택되어 정렬된 후, 이용자에 의해 출금된다. 이때, 판별부(8)에서 리젝트 지폐로 판정된 지폐는 일시보관고(9)에 있다가 리젝트박스(13)로 보내져 보관된다. When the user requests withdrawal, the banknotes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14 are sent to the conveying path 7 and pass through the discriminating section 8. The normal banknotes are stacked and aligned by the stack roller 11 into the withdrawal space b between the pressing plate 3 and the partition plate 2, and then withdrawn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banknote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8 as the reject banknote is in the temporary storage 9 and sent to the reject box 13 for storage.

상기 종래의 지폐입출금장치에서는 입금되는 지폐는 전면판(1)과 칸막이판(2) 사이의 입금 공간(a)에 스택되고, 출금되는 지폐는 누름판(3)과 칸막이판(2) 사이의 출금 공간(b)에 스택된다. 즉, 입금되는 지폐와 출금되는 지폐가 놓여지는 공간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입금된 지폐가 분리되기 위해서는 분리부의 롤 러(4, 5, 6)를 통해 낱장으로 분리되고, 출금되는 지폐는 스택부의 스택롤러(11)를 통해 한 장씩 스택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the conventional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the banknotes to be deposited are stacked in the deposit space (a) between the front plate (1) and the partition plate (2), withdrawal is withdrawn between the pressing plate (3) and the partition plate (2) Stacked in space b. That is, the space in which the banknote to be deposited and the banknote to be withdrawn are placed is separated. 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deposited banknotes are separated into sheets through the rollers (4, 5, 6) of the separating portion, the withdrawn banknotes are stacked one by one through the stacking roller (11) of the stack portion.

그러나, 지폐가 입금되는 공간과 출금되는 공간을 하나로 하고, 지폐의 분리와 스택이 하나의 롤러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지폐입출금장치의 구성이 더욱 간단해지고, 부품의 간소화에 따라 지폐입출금 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f the space in which the bills are deposited and the space to be withdrawn are made one by one, and the separation and stacking of the bills are made in one roller part, the construction of the banknotes and withdrawals becomes simpler, and the production of the banknotes and withdrawals as the parts are simplified. The cost will be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지폐가 입금되는 공간과 출금되는 공간을 하나로 하고, 지폐의 분리와 스택이 하나의 롤러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갖고 또한 부품의 간소화에 따라 지폐입출금 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지폐입출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has a simpler structure and a more simple structure by combining the space in which bills are deposit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bills are withdrawn, and separating and stacking the bills in one rol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money withdrawal device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aper money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simplification.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지폐입출금장치는 고객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한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 지폐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입출금부에서 입금되는 지폐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하고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서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에서의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부는 입금된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 송하고 그리고 출금하기 위한 지폐를 입출금부 내로 스택하기 위해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스택부와, 상기 분리스택부 측에 위치하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단에 위치하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입금 또는 출금하기 위한 지폐는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nknote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er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depositing or withdrawing banknotes; 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the banknotes withdrawn and withdrawn are transferred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nk notes; A plurality of storage bins for storing the bills receiv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s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iscriminating unit or for storing the bank notes withdrawn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wherein the depositing and withdrawing unit separates the deposited banknotes one by one, transfers them to the conveying path, and stacks a plurality of rollers for stacking the banknotes into the withdrawal unit.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ing stack portion, a front plate which is located on the separation stack side and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push plat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plate and movable back and forth, banknotes for depositing or withdrawing money is the front plate And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push plate.

또한, 입금된 지폐가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상에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ile the deposited bank notes are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bnormalities, the rejected banknotes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s by the determination unit wait on the conveying path, an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eposited banknotes is finished, the rejected bankno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ing path and the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또한, 입금된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가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에서 분기된 롤 상에 감겨져서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ile the banknotes are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have been deposited, the reject banknotes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s by the discriminating unit are wound on a roll branched from the conveying path and waited, and separation of the deposited banknotes is prevented. After the end, the reject banknote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ance path and a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또한, 상기 분리스택부는,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고 또는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하기 위한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동축이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보다는 작은 지름을 갖고, 그 외주의 일정 각도에 가늘고 긴 형상의 다수의 날개 가 형성되어, 지폐 스택시 상기 다수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지폐를 적절히 가압하여 지폐가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게 하는 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stack unit, the pick-up roller to provide a separation pressure for separating the bills one by one, and transfer the bills placed on the lower end of the pickup roller by the pickup roller on the transport path or from the transport path Feeding roller for stacking the banknotes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a guide roller for contacting the feeding roller to transfer the banknotes therebetween, coaxial with the guide roller and smaller diameter than the guide roller It has a plurality of wings of elongate shape is formed at a certain angle of the outer periphery, and when the stack of bills, the plurality of blades is rotated when appropriately presses the bill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cking roller to be neatly aligned It is done.

또한, 지폐 입금시 상기 전면판은 분리스택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분리스택부의 롤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anknote is deposited, the front plate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stack,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또한, 입금된 지폐의 분리시, 상기 전면판은 전면판 하부의 개구를 통해 분리스택부의 픽업롤러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픽업롤러 뒤로 후퇴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는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에 놓인 지폐를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스택롤러는 비구동 상태로 스택롤러의 날개가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가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separating the deposited banknote, the front plate is retracted behind the pickup roller to expose the pickup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through an opening in the bottom of the front plate, the push plate is plac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Presses toward the pick-up roller, and the stack roller is controlled so that the blade of the stack roller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non-driven state.

또한, 지폐의 출금시 반송로를 거쳐 이송된 지폐는 상기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되고, 상기 전면판과 픽업롤러는 지폐가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될 때, 지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후퇴되고, 상기 스택롤러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nknote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ing path during the withdrawal of the banknotes are stacked between the guide rollers and the feeding rollers and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When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push plates, it is retracted so as not to obstruct the movement path of the bill, and the stack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ill.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지폐입출금장치는 고객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한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 지폐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입출금부에서 입금되는 지폐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하고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서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에서의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부는 입금된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 송하고 그리고 출금하기 위한 지폐를 입출금부 내로 스택하기 위해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스택부와, 상기 분리스택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단에 위치하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입금 또는 출금하기 위한 지폐는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nknote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er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depositing or withdrawing banknotes; 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the banknotes withdrawn and withdrawn are transferred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nk notes; A plurality of storage bins for storing the bills receiv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s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iscriminating unit or for storing the bank notes withdrawn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wherein the depositing and withdrawing unit separates the deposited banknotes one by one, transfers them to the conveying path, and stacks a plurality of rollers for stacking the banknotes into the withdrawal unit.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ing stack portion, a front plate which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parating stack portion and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 hinge axis, and a push plat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plate and movable back and forth, and deposits or withdraws money. Banknotes to be characterized in that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또한, 입금된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가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상에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ile the banknotes are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deposited are abnormal, the rejected banknotes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s by the determination unit wait on the conveying path, an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eposited banknotes is finished, the rejected banknotes are rejected. The bill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ance path and a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또한, 입금된 지폐가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에서 분기된 롤 상에 감겨져서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ile the received banknotes are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abnormal, the rejected banknotes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s by the discriminating unit are wound on a roll branched from the conveying path and waited, and the separation of the deposited banknotes is finished. The reject banknote is then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ance path and a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또한, 상기 분리스택부는,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고 또는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하기 위한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동축이면서 상기 가이드 롤러보다는 작은 지름을 갖고, 그 외주의 일정 각도에 가늘고 긴 형상의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지폐 스택시 상기 다수의 날개가 지폐를 적절히 가압하여 지폐가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게 하는 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stack unit, the pick-up roller to provide a separation pressure for separating the bills one by one, and transfer the bills placed on the lower end of the pickup roller by the pickup roller on the transport path or from the transport path A feeding roller for stacking the banknot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a guide roller for contacting the feeding roller to transfer the banknotes therebetween, and a diameter smaller than the guide roller while being coaxial with the guide 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cking roller having a plurality of elongated shape is formed at a certain angle of the outer periphery, when the plurality of wings to press the bill properly when the banknotes stacked, the banknotes can be aligned neatly .

또한, 지폐 입금시 상기 전면판은 픽업롤러를 덮도록 위치되어, 이물질 등이 분리스택부의 롤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anknote is deposited, the front plate is positioned to cover the pickup 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또한, 입금된 지폐의 분리시, 상기 전면판은 전면판 하부의 개구를 통해 분리스택부의 픽업롤러가 노출될 수 있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는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에 놓인 지폐를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스택롤러는 비구동 상태로 스택롤러의 날개가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가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eposited bill is separated, the front plate rotates about a hinge axis to expose the pickup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through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is a banknote plac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Presses toward the pick-up roller, and the stack roller is controlled so that the blade of the stack roller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non-driven state.

또한, 지폐의 출금시 반송로를 거쳐 이송된 지폐는 상기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되고, 상기 전면판은 지폐가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될 때, 지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픽업롤러는 지폐가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될 때, 지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후퇴되고, 상기 스택롤러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nknote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ing path during the withdrawal of the banknotes are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by passing between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the front plate is bills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When stacked in the space of the billet, it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so as not to obstruct the path of bills, and the pick-up roller does not obstruct the path of bills when bills are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ceplate and the pushplate. Retracted, the stack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ill.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가 입금되는 공간과 출금되는 공간을 하나로 하고, 지폐의 분리와 스택이 하나의 롤러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폐입출금장치 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부품이 간소화되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in which the bills are deposited and the space to be withdrawn are made one by one, and the separation and stacking of the bills are made in one roller portion, thereby making the structure of the bill acceptor device simpler, thus simplifying the parts.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롤러(32)와 스택롤러(34)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ller 32 and the stack roller 3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장치에서는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서 지폐(24)의 입금과 출금이 이루어지며, 지폐의 분리와 스택을 모두 수행하는 분리스택부(30)에 의해 지폐의 낱장 분리 및 출금을 위한 스택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2a, in the banknote withdraw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bill 24 is made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both the separation and stacking of bills A stack for separating and withdrawing a sheet of bills is made by the separating stack unit 30.

상기 분리스택부(30)는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31)와,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반송로(40) 상으로 이송하고 또는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상기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스택하기 위한 피딩롤러(33)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2)와, 상기 가이드롤러(32) 와 동축이고 그 외주의 일부분에 날개(34a)가 형성된 스택롤러(34)를 포함한다. The separation stack 30 is a pickup roller 31 which provides a separation pressure for separating the bills one by one, and the bills separated by the pickup roll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pickup roller on the conveying path 40. Feeding roller 33 for stacking the banknotes conveyed or transferred from the conveying path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a guide for contacting the feeding rollers and transferring the banknotes therebetween. The roller 32 and the stack roller 34 which is coaxial with the said guide roller 32, and the blade | wing 34a wa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is includ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32)는 이격된 3개의 롤러(32a)와, 상기 3개의 롤러를 연결하는 축(3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택롤러(34)는 가이드롤러(32) 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롤러(32)의 3개의 롤러(32a) 사이에 동축으로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3, the guide roller 32 is composed of three rollers 32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haft 32b connecting the three rollers. The stack roller 3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guide roller 32 and is coaxially inserted between the three rollers 32a of the guide roller 32.

입금된 지폐가 분리될 때는, 스택롤러(34)의 날개(34a)가 분리되는 지폐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택롤러(34)는 구동되지 않으며, 스택롤러의 날개(34a)는 가이드롤러(32)와 피딩롤러(33)가 접촉되는 부분(P)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제어된다(도 4a 참조). 한편, 지폐의 출금을 위해 지폐를 반송로(40)를 거쳐 전면판(21)과 푸쉬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한 장씩 스택할 때는, 스택롤러(34)는 반시계방향(즉,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스택롤러(34)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날개(34a)는 지폐를 적절히 가압하여 지폐가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도록 돕는다. When the deposited bills are separated, the stack roller 34 is not driven so that the blade 34a of the stack roller 3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parated bills, and the blades 34a of the stack rollers are guide rollers 32. The feeding roller 33 is controlled to be located opposite to the portion P in contact (see FIG. 4A).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nknotes are stacked one by one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rate 22 via the conveyance path 40 for the withdrawal of the banknotes, the stack roller 34 is counterclockwise (that is, the banknotes). Driv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wings (34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ack roller 34 to properly press the banknotes so that the banknotes can be aligned neatly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상기 가이드롤러(32)와 스택롤러(34)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ller 32 and the stack roller 34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same function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지폐(24)를 입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depositing the banknote 24 will be described.

이용자가 지폐(24)를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에 넣으면, 지폐는 분리스택부(30)의 픽업롤러(31), 가이드롤러(32) 및 피딩롤러(33)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된 후, 판별부(50)를 지나게 된다. 이때, 스택롤러(34)는 구동되지 않고, 스 택롤러의 날개(34a)는 가이드롤러(32)와 피딩롤러(33)가 접촉되는 부분(P)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제어된다. When the user inserts the banknote 24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the banknote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31, the guide roller 32, and the feeding roller 33 of the separation stack 30. After being separated into sheets, the determination unit 50 passes. At this time, the stack roller 34 is not driven, and the blade 34a of the stack roller is controlled to be located opposite to the portion P where the guide roller 32 and the feeding roller 3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판별부(50)에서 정상권으로 판별된 정상 지폐(24a)는 게이트(60)에서 상류측 반송로를 지나 일시보류부(70)에 저장된다. 한편, 리젝트 지폐(24b)는 게이트(60)를 통과하여 반송로(40) 상에 한 장씩 위치하게 된다. The normal banknote 24a determin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50 as the normal winding is stored in the temporary holding unit 70 through the upstream transport path at the gate 60. On the other hand, the reject banknote 24b passes through the gate 60, and is located one by one on the conveyance path 40. FIG.

입금된 모든 지폐(24)가 분리되면, 반송로 상에 위치하고 있던 리젝트 지폐(24b)는 다시 게이트(60) 및 판별부(50)를 지나 분리스택부(30)의 픽업롤러(31), 가이드롤러(32), 피딩롤러(33) 및 스택롤러(34)에 의해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스택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이때, 스택롤러(34)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스택롤러(34)의 날개(34a)가 지폐의 스택을 돕는다.When all the banknotes 24 deposited are separated, the reject banknote 24b located on the conveyance path passes through the gate 60 and the discriminating unit 50 again, the pickup roller 31 of the separation stack unit 30, The guide roller 32, the feeding roller 33 and the stack roller 34 are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returned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stack roller 34 is drive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blade 34a of the stack roller 34 assists stacking of bills.

이와 달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젝트 지폐(24b)는 반송로(40)에서 분기된 롤(45)에 일시적으로 감겨져 있다가, 입금된 모든 지폐(24)가 분리되면 역으로 회전되어 판별부(50)를 지나 입출금부(20) 내로 반환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2B, the reject banknote 24b is temporarily wound on a roll 45 branched from the conveying path 40, and then rotates in reverse when all the banknotes 24 deposited are separ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50 may be returned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정상 지폐로 확인된 금액에 대해 이용자가 입금 요구를 하면, 일시보류부(70)에 저장되어 있던 정상 지폐(24a)는 반송로(40)를 거쳐 지폐저장박스(80)에 저장된다. When the user makes a deposit request for the amount of money confirmed as the normal banknote, the normal banknote 24a stored in the temporary holding unit 70 is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box 80 via the conveyance path 40.

다음으로, 지폐를 출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ocess of withdrawing banknotes will be described.

이용자가 출금 요구를 하면, 지폐저장박스(80)에 저장된 지폐는 반송로(40) 상으로 보내져서 판별부(50)를 통과한다. 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판별된 지폐는 분리스택부(30)의 픽업롤러(31), 가이드롤러(32), 피딩롤러(33) 및 스택롤러(34)에 의해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스택되어 이용자가 출금할 수 있다. 이때, 스택롤러(34)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스택롤러(34)의 날개(34a)가 지폐의 스택을 돕는다.When the user requests a withdrawal, the bill stored in the bill storage box 80 is sent onto the conveyance path 40 and passes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50. Banknote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as the normal right ar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by the pickup roller 31, the guide roller 32, the feeding roller 33 and the stack roller 34 of the separation stack unit 30 ( 22)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user can withdraw money. At this time, the stack roller 34 is drive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blade 34a of the stack roller 34 assists stacking of bills.

한편,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에서의 일련의 부품들의 동작은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series of parts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9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서 지폐의 입금 및 출금 과정이 모두 이루어지고, 지폐의 분리와 스택도 하나의 분리스택부(30)에서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in on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separation and stacking of the banknotes are also performed in one separation stack unit 30. .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 지폐 입금 공간(a)과 지폐 출금 공간(b)이 분리되고, 지폐의 분리를 담당하는 분리부와 지폐의 스택을 담당하는 스택부로 나누어진 구성에 비해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지폐의 입출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간소화로 지폐입출금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the banknote deposit space (a) and the banknote withdrawal space (b) are separated, and are further divided into a structure divided into a separating part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separation of bills and a stack part which is responsible for stacking the bill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bill.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a banknote device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parts.

이러한 간단한 구성으로 지폐의 입출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판별부(50)를 통과한 리젝트 지폐(24b)가 반송로(40) 또는 반송로에서 분기된 롤(45) 상에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있다가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나면, 반송로(40)를 거쳐 분리스택부(30)를 통해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으로 반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폐가 입금되는 공간과 출금되는 공간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면판(21)과 푸쉬플레이트(22) 사이의 하나의 공간만으로도 지폐입출금장치에서 필요한 모든 입출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With this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ration of the banknote, and the reject banknote 24b passing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50 temporarily stops on the conveyance path 40 or the roll 45 branched off from the conveyance path. After the separation of the banknotes received by the user is completed, it is returned to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through the separation stack 30 through the conveyance path 40.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space in which the bill is deposited and the space to be withdrawn, so that only on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can perform all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rations required by the banknote withdrawal device.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지폐 입출금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4A to 4C, the positions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ng stack unit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nknote withdrawal process will be described. Shall be.

도 4a는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부(20)에 입금할 때의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30)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s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separation stack 30 when the user deposits a banknote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지폐를 입금할 수 있도록 셔터(23)가 개방되면, 이용자는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지폐를 입금한다. 이용자가 지폐 입금 시, 이물질 등을 분리스택부(30)의 롤러(31, 32, 33) 내로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판(21)은 분리스택부(3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에는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도면에 미도시)이 마련되어,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는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shutter 23 is opened to deposit the banknote, the user deposits the banknote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When the user deposits a bill, the front plate 21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stack 30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rollers 31, 32, and 33 of the separation stack 30. Separate driving means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so that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can move in a desired direction.

도 4b는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부(20)에 입금한 후, 입금된 지폐를 낱장씩 분리하기 위해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가 분리스택부(30) 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move toward the separation stack 30 in order to separate the deposited bills one by one after the user deposits the bills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Drawing.

전면판(21)은 전면판 하부의 개구 사이로 픽업롤러(31)가 노출되도록 픽업롤러 뒤로 후퇴되고, 푸시플레이트(22)는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에 놓인 지폐를 픽업롤러(31) 측으로 가압하여, 픽업롤러가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분리된 지폐는 가이드롤러(32)와 피딩롤러(33) 사이를 통과하여 반송로(40)로 이송된다. The front plate 21 is retracted behind the pickup roller so that the pickup roller 31 is exposed between the openings at the bottom of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22 picks up the bill placed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Pressing to the (31) side, the pick-up roller can separate the bills one by one. The separated bill is passed between the guide roller 32 and the feeding roller 33 and is transferred to the conveyance path 40.

도 4c는 입금 리젝트 지폐를 반환할 때 또는 지폐를 출금할 때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30)의 롤러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4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rollers of the separating stack 30 when returning the deposit reject banknote or withdrawing the banknote.

리젝트 지폐 또는 출금을 위한 지폐는 반송로(40)를 거쳐 분리스택부(30)의 가이드롤러(32)와 피딩롤러(33) 사이를 통과하여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스택된다. 이때, 스택롤러(34)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스택롤러(34)의 날개(34a)가 지폐의 스택을 돕는다. 또한, 픽업롤러(31)는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으로 지폐를 스택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퇴되어 있고, 전면판(21)도 후퇴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reject banknote or the banknote for withdrawal passes between the guide roller 32 and the feeding roller 33 of the separation stack 30 through the conveying path 40 and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re stacked in space. At this time, the stack roller 34 is drive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blade 34a of the stack roller 34 assists stacking of bills. In addition, the pickup roller 31 is retracted so as not to obstruct stacking of bill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front plate 21 also maintains the retracted state.

지폐의 스택이 끝나면,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는 셔터(23) 쪽으로 이동하여, 이용자가 셔터 개방 후에 지폐를 꺼낼 수 있게 한다. When the stack of bills is finished,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move toward the shutter 23,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bills after the shutter is opened.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지폐 입출금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5A to 5C, the positions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stack unit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nknote withdrawal process will be described. Shall be.

도 5a는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부(20)에 입금할 때의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30)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A is a figure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separation stack part 30 when a user deposits a banknote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art 20. FIG.

본 실시예에서, 푸시플레이트(22)는 구동수단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전면판(21)은 힌지식으로 고정되어 솔레노이드에 의해 힌지축(25)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만 할 수 있게 된 구조이다. 이용자가 지폐 입금 시, 이 물질 등을 분리스택부(30)의 롤러(31, 32, 33) 내로 투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판(21)은 분리스택부(30)의 픽업롤러(31)를 덮을 수 있게 위치된다. 지폐를 입금할 수 있도록 셔터(23)가 개방되면, 이용자는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지폐를 입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 plate 22 is moved in the desired direction by the drive means, but the front plate 21 is hingedly fixed so that it can only rotate at a certain angle about the hinge axis 25 by the solenoid. It is a structure. When the user deposits bills, the front plate 21 is a pickup roller 31 of the separation stack 30 in order to prevent the substanc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rollers 31, 32, 33 of the separation stack 30. It is positioned to cover. When the shutter 23 is opened to deposit the banknote, the user can deposit the banknote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도 5b는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부(20)에 입금한 후, 입금된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해 푸시플레이트(22)가 분리스택부(30) 쪽으로 더 이동하고, 전면판(21)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B shows that after the user deposits the bill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the push plate 22 is further moved toward the separation stack 30 to separate the deposited bill one by one, and the front plate 21 is rotat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one state.

전면판(21)은 전면판 하부의 개구 사이로 픽업롤러(31)가 돌출되도록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픽업롤러(31) 측으로 회전되고, 푸시플레이트(22)는 지폐를 픽업롤러(31) 측으로 가압하여, 픽업롤러(31)가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분리된 지폐는 가이드롤러(32)와 피딩롤러(33) 사이를 통과하여 반송로(40)로 이송된다. The front plate 21 is rotated toward the pickup roller 31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5 so that the pickup roller 31 protrudes between the openings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22 transfers the bills to the pickup roller 31. Pressing to the side, the pickup roller 31 is able to separate the bills one by one. The separated bill is passed between the guide roller 32 and the feeding roller 33 and is transferred to the conveyance path 40.

도 5c는 입금 리젝트 지폐를 반환할 때 또는 지폐를 출금할 때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30)의 롤러(31, 32, 33, 34)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5C shows the position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rollers 31, 32, 33, 34 of the separating stack 30 when returning the deposit reject bill or withdrawing the bill. It is a figure explaining.

분리스택부(30)의 가이드롤러(32)와 피딩롤러(33)에 의해 지폐를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으로 스택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픽업롤러(31)는 후퇴되어 있고, 전면판(21)도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픽업롤러(31) 측으 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pickup roller 31 is retracted so that the guide roller 32 and the feeding roller 33 of the separation stack 30 do not interfere with stacking the bill into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And the front plate 21 also maintains the state rotated toward the pickup roller 31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5).

입출금부(20) 내의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공간에 지폐의 스택이 끝나면, 셔터(23)가 개방되어 이용자가 지폐를 꺼낼 수 있다. When the stack of banknotes is finish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the shutter 23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bankno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장치에 따르면, 입출금부(20) 내의 전면판(21)과 푸시플레이트(22)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서 지폐의 입출금이 이루어지고, 또한 지폐의 분리와 스택이 하나의 분리스택부(30)에서 이루어지므로, 지폐입출금장치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간소화로 인해 지폐입출금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banknote is made in on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1 and the push plate 22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and the banknote is separated and stacked. Since the separation stack 30 is made of, the structure of the banknote withdrawal device can be more simpl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anknote device can be reduced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part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도 1은 종래의 지폐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anknotes in the conventional banknote withdrawal devic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롤러와 스택롤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ller and the stack 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지폐입출금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s 4a to 4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sta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nknote withdrawal process.

도 5a 내지 도 5c는 지폐입출금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의 위치 및 분리스택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s 5a to 5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sta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nknote withdrawal proces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입출금부20: deposit and withdrawal

21 : 전면판21: front panel

22 : 푸시플레이트22: push plate

23 : 셔터23: shutter

24 : 지폐24: banknote

30 : 분리스택부30: separation stack

31 : 픽업롤러31: pickup roller

32 : 가이드롤러32: guide roller

33 : 피딩롤러33: Feeding Roller

34 : 스택롤러34: stack roller

34a : 날개34a: wings

40 : 반송로40: return path

50 : 판별부50: discrimination unit

60 : 게이트60 gate

70 : 일시보류부70: temporary hold

80 : 지폐저장박스80: Banknote Storage Box

Claims (14)

고객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한 입출금부;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customers to deposit or withdraw bills;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the banknotes withdrawn and withdrawn are transferred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지폐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nk notes; 상기 입출금부에서 입금되는 지폐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하고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서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A plurality of storage bins for storing the bills receiv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s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iscriminating unit or for storing the bank notes withdrawn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에서의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ills, 상기 입출금부는 입금된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고 그리고 출금하기 위한 지폐를 입출금부 내로 스택하기 위해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스택부와, 상기 분리스택부 측에 위치하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단에 위치하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고,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separates the deposited bills one by one, transfers them to the transport path, and separates a stac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llers for stacking the bills for withdrawal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nd is located on the separation stack and is movable back and forth. A front plate and a push plate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front plate and movable back and forth, 입금 또는 출금하기 위한 지폐는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Banknotes to deposit or withdraw money bill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제1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가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상에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ile the banknotes are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deposited, the rejected banknotes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s by the discriminating unit waits on the conveying path, and the separation of the deposited banknotes is finished. After the reject banknote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ance path and the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제1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가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에서 분기된 롤 상에 감겨져서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The reject banknote of claim 1, wherein the reject banknote determined as an abnormal banknote by the discriminating unit is wound on a roll branched from the conveying path and waited while the banknote is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banknote is abnormal. After the separation of the bill is finished, the rejected bill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ing path and the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스택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paration stack unit,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와, A pickup roller which provides a separation pressure for separating bills one by one,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고 또는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하기 위한 피딩롤러와, A feeding rolle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ickup roller for transferring the bills separated by the pickup roller onto a conveying path or for stacking the bills conveyed from the conveying path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A guide roller for contacting the feeding roller and transferring the banknote therebetween; 상기 가이드롤러와 동축이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보다는 작은 지름을 갖고, 그 외주의 일정 각도에 가늘고 긴 형상의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지폐 스택시 상기 다수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지폐를 적절히 가압하여 지폐가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게 하는 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Coaxial with the guide roller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guide roller, a plurality of wings having a long elongate shap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outer periphery, when the stack of bills are rotated when the plurality of wings rotate the bill appropriately press the banknote Banknotes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cking roller to be aligned. 제4항에 있어서, 지폐 입금시 상기 전면판은 분리스택부로부터 이격되게 위 치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분리스택부의 롤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stack at the time of depositing the banknote,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s from entering the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제4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분리시, 상기 전면판은 전면판 하부의 개구를 통해 분리스택부의 픽업롤러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픽업롤러 뒤로 후퇴하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separating the deposited bills, the front plate is retracted behind the pickup roller so that the pickup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portion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front plate, 상기 푸시플레이트는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에 놓인 지폐를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The push plate presses the bill plac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toward the pickup roller side, 상기 스택롤러는 비구동 상태로 스택롤러의 날개가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가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And the stack roller is controlled so that the blade of the stack roller is located opposite to a portion where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non-driven state. 제4항에 있어서, 지폐의 출금시 반송로를 거쳐 이송된 지폐는 상기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되고, According to claim 4, Banknote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ing path 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banknote is passed between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is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상기 전면판과 픽업롤러는 지폐가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될 때, 지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후퇴되고,The front plate and the pickup roller are retracted so as not to obstruct the movement path of the paper money when the paper money is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상기 스택롤러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The stack roller is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ill. 고객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한 입출금부;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customers to deposit or withdraw bills;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the banknotes withdrawn and withdrawn are transferred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지폐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nk notes; 상기 입출금부에서 입금되는 지폐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하고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서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A plurality of storage bins for storing the bills receiv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s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iscriminating unit or for storing the bank notes withdrawn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지폐를 입출금하는 과정에서의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bills, 상기 입출금부는 입금된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고 그리고 출금하기 위한 지폐를 입출금부 내로 스택하기 위해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스택부와, 상기 분리스택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단에 위치하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고,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separates the deposited bills one by one, transfers them to the transport path, and separates a stack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llers for stacking the bills for withdrawal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paration stack and hinge hinges. A front plat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center, and a push plate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front plate and movable back and forth, 입금 또는 출금하기 위한 지폐는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Banknotes to deposit or withdraw money bill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제8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가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상에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10. The rejected banknote of claim 8, wherein the rejected banknote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 by the discriminating unit waits on the conveyance path while the banknote is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anknote is abnormal. After the reject banknote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ance path and the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제8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가 분리되는 동안, 판별부에 의해 이상 지폐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에서 분기된 롤 상에 감겨져서 대기하고, 입금된 지폐의 분리가 모두 끝난 후 상기 리젝트 지폐는 반송로 및 분리스택부를 거쳐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놓여져서 고객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The reject banknot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reject banknote determined as abnormal banknote by the discriminating unit is wound on a roll branched from the conveying path and waited while the banknote is sepa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banknote is abnormal. After the separation of the bill is finished, the rejected bill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via a conveying path and the separation stack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스택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the separation stack unit,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와, A pickup roller which provides a separation pressure for separating bills one by one, 상기 픽업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고 또는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하기 위한 피딩롤러와, A feeding rolle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ickup roller for transferring the bills separated by the pickup roller onto a conveying path or for stacking the bills conveyed from the conveying path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A guide roller for contacting the feeding roller and transferring the banknote therebetween; 상기 가이드롤러와 동축이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보다는 작은 지름을 갖고, 그 외주의 일정 각도에 가늘고 긴 형상의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지폐 스택시 상기 다수의 날개가 지폐를 적절히 가압하여 지폐가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게 하는 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Coaxial with the guide roller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guide roller, a plurality of wings having a long and thin shap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outer periphery, the plurality of wings when pressing the banknotes properly align the banknotes when the banknotes stacked Banknote device with and including a stack roller to be able to be. 제11항에 있어서, 지폐 입금시 상기 전면판은 픽업롤러를 덮도록 위치되어, 이물질 등이 분리스택부의 롤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12.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front plate is positioned to cover the pickup roller when depositing the banknote,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s from entering the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제11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분리시, 상기 전면판은 전면판 하부의 구를 통해 분리스택부의 픽업롤러가 노출될 수 있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separating the deposited bills, the front plate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to expose the pickup roller of the separation stack through the sphere of the lower front plate, 상기 푸시플레이트는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에 놓인 지폐를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The push plate presses the bill plac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toward the pickup roller side, 상기 스택롤러는 비구동 상태로 스택롤러의 날개가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가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And the stack roller is controlled so that the blade of the stack roller is located opposite to a portion where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non-driven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지폐의 출금시 반송로를 거쳐 이송된 지폐는 상기 가이드롤러와 피딩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되고, According to claim 11, Banknote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ing path when the withdrawal of bills are passed between the guide roller and the feeding roller is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상기 전면판은 지폐가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될 때, 지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The faceplate rotates about a hinge axis so that when the bills are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ceplate and the pushplat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bills, 상기 픽업롤러는 지폐가 상기 전면판과 푸시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스택될 때, 지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후퇴되고,The pickup roller is retracted so as not to obstruct the movement path of the bill when the bill is stack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push plate, 상기 스택롤러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장치. The stack roller is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ill.
KR1020080091401A 2008-09-18 2008-09-18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KR101184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01A KR101184119B1 (en) 2008-09-18 2008-09-18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01A KR101184119B1 (en) 2008-09-18 2008-09-18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492A true KR20100032492A (en) 2010-03-26
KR101184119B1 KR101184119B1 (en) 2012-09-18

Family

ID=4218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401A KR101184119B1 (en) 2008-09-18 2008-09-18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6444B2 (en) 2011-05-26 2013-12-03 Fujitsu Frontech Limited Paper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KR101467715B1 (en) * 2010-11-19 2014-12-0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Bill deposit/withdrawal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715B1 (en) * 2010-11-19 2014-12-0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Bill deposit/withdrawal device
US8596444B2 (en) 2011-05-26 2013-12-03 Fujitsu Frontech Limited Paper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KR101404355B1 (en) * 2011-05-26 2014-06-09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aper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119B1 (en)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806B1 (en) Transacting device
KR1008088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paper moneys of various kinds
KR101089655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O2010049968A1 (en) Money handling apparatus
WO2014199711A1 (en) Medium protection device and medium separation/collection device
WO2014024652A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US4501416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20140088946A (en) Cassette for deposit and withdrawal of checks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16245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JP3580468B2 (en) Banknote transaction device
JP2000331214A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6710353B2 (en) Banknote handling device
KR101184119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KR20130027711A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and the method thereof
KR20130090970A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KR20090054058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and the method thereof
KR101775779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N108961535B (en)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JP6497193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JP7275479B2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transaction device
KR200389004Y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672597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20120078054A (en) Paper money treating apparatus having stack space control guid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761478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WO2011081233A1 (en) Bill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