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232A -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232A
KR20100031232A KR1020080090220A KR20080090220A KR20100031232A KR 20100031232 A KR20100031232 A KR 20100031232A KR 1020080090220 A KR1020080090220 A KR 1020080090220A KR 20080090220 A KR20080090220 A KR 20080090220A KR 20100031232 A KR20100031232 A KR 2010003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h
operation mode
ne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은
조재원
최호규
최승훈
임치우
홍송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232A/ko
Publication of KR2010003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전원이 온(on) 될 시, 기지국으로부터의 새로운 규격 기반 P-SCH(Primary-Synchronization Channel)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새로운 규격 기반 P-SCH에서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새로운 규격의 단말이 자신이 속해 있는 기지국의 운영모드에 맞게 동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공존모드, SCH(Synchronization Channel), 프리앰블, 동작모드

Description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OPERATING MODE OF MOBILE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로운 규격의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속의 이동통신을 위해서 많은 무선통신 기술들이 후보로 제안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이라 칭함) 기법은 현재 가장 유력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향후 대부분의 무선통신 기술에서는 상기 OFDM 기술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3.5세대 기술이라고 불리는 IEEE 802.16 계열의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에서도 상기 OFDM 기술을 표준규격으로 채택하고 있다.
상기 OFDM 방식은 다중 반송파(Multi-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 는 방식이다. 즉, 직렬로 입력되는 심볼(Symbol) 열을 병렬 변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 즉 다수의 부채널(sub-channel)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 MCM) 방식의 일종이다.
상기 OFDM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동기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 이하 'SCH'라 칭함)을 송신한다. 상기 SCH가 프레임의 앞에 위치될 경우 프리앰블(Preamble)로 불리기도 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SCH와 프리앰블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단말은 상기 SCH를 이용해서 시간 동기(timing synchronization) 및 기지국을 구분한다. 상기 SCH가 송신되는 위치는 송신기와 수신기간에 미리 규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SCH는 일종의 기준신호(reference signal)로서 동작하게 된다.
종래의 IEEE 802.16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기반의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IEEE 802.16e 기반 단말(이하 '16e 단말'로 칭함)에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16e 단말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동기 및 기지국 구분을 수행한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인 IEEE 802.16m(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 시스템은 상기 IEEE 802.16e 기반 시스템(이하 '16e 시스템'으로 칭함)이 진화한 시스템이다.
기존 IEEE 802. 16e가 서비스되지 않는 곳에 새롭게 IEEE 802.16m이 서비스되는 경우, IEEE 802.16m 기반 기지국(이하 '16m 기지국'으로 칭함)은 IEEE 802.16m 기반 단말(이하 '16m 단말'로 칭함)만 지원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를 단독 모드(only mode)라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IEEE 802.16e가 서비스되는 곳에 IEEE 802.16m이 서비스되는 경우, 16m 기지국은 16m 단말뿐만 아니라 기존 16e 단말도 함께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를 공존모드(mixed mode)라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공존모드에서 16m 기지국은 16e 단말과 16m 단말 모두가 시간 동기와 기지국 구분을 수행할 수 있도록 IEEE 802.16e 기반 프리앰블(이하 '16e 프리앰블'로 칭함)과 IEEE 802.16m 기반 SCH(이하 '16m SCH'로 칭함)를 모두 송신한다. 이때, 상기 16e 단말은 16m 기지국이 전송하는 16e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동기와 기지국 구분을 수행하고, 상기 16m 단말은 16m 기지국이 전송하는 16m SCH를 이용하여 시간 동기와 기지국 구분을 수행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16m 단말은 16m 기지국이 전송하는 16m SCH와 16e 프리앰블을 모두 이용하여 시간 동기와 기지국 구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통신시스템은 규격 등을 변경하여 기존 시스템 대비 고속의 데이터를 서비스하거나 구현상 이슈를 해결하는 등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진화 과정에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들이 동일한 지역 내에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legacy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 기존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예 :IEEE 802.16m)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새로운 시스템은 기존(legacy) 단말뿐 아니라 새로운 단말에게 모두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16m 단말의 동작모드는 사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해당 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자동으로 결정해야 하는 경우 도 있다. 즉, 16m 단말의 전원이 온(on)될 시, 해당 16m 단말은 탐색을 통해 자신이 단독모드로 운영되는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니면 공존모드로 운영되는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없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의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16m SCH(비-계층(Non-hierarchy) 구조의 경우) 혹은 16m P-SCH(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에 1비트의 정보를 추가하여, 이를 수신한 새로운 규격의 단말(16m 단말)이 자신의 동작모드가 16m 공존모드인지 16m 단독모드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16e 프리앰블을 16m SCH(비-계층(Non-hierarchy) 구조의 경우) 혹은 16m S-SCH(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에 일대일로 대응시킴으로써, 추후 초기 셀 탐색 시 최적의 16e 프리앰블 검출을 통해 최적의 셀을 탐색하고, 검출된 최적의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CH(비-계층(Non-hierarchy) 구조의 경우) 혹은 16m S-SCH(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를 검출하여,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공존모드 혹은 레거시 16e 모드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전원이 온(on) 될 시, 기지국으로부터의 새로운 규격 기반 P-SCH(Primary-Synchronization Channel)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새로운 규격 기반 P-SCH에서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새로운 규격 기반 P-SCH(Primary-Synchronization Channel) 신호를 추출하는 부반송파 디매핑기와, 전원이 온(on) 될 시, 상기 추출된 P-SCH 신호와 기 저장된 P-SCH 시퀀스들 각각을 상관 연산하여, 연산된 상관값들 중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관값에 대응하는 P-SCH 시퀀스에서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의 단말이 초기 셀 탐색 시 동작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자신이 속해 있는 기지국의 운영모드에 맞게 동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의 단말(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존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새로운 규격의 기지국(16m 기지국)(100)은 새로운 규격의 단말(16m 단말)(102, 104)만을 지원하는 반면, 공존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새로운 규격의 기지국(16m 기지국)(200)은 새로운 규격의 단말(16m 단말)(202)뿐만 아니라 기존 규격의 단말(16e 단말)(204)도 함께 지원한다.
현재 상기와 같은 단독모드의 시스템과 공존모드의 시스템이 함께 존재하므로, 새로운 규격의 단말(16m 단말)은, 자신이 단독모드로 운영되는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니면 공존모드로 운영되는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로써 자신이 속해 있는 기지국의 운영모드에 맞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하향링 크(Downlink : DL)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존모드의 하향링크 프레임(frame)은, 16e 단말을 위한 영역(300)과 16m 단말을 위한 영역(302)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16e 단말을 위한 영역(300)은 16e 단말의 시간 동기 및 기지국 구분을 위한 16e 프리앰블(preamble)(30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16m 단말을 위한 영역(302)은 16m 단말의 시간 동기 및 기지국 구분을 위한 16m SCH(306)를 포함한다. 여기서, 16m 단말은 시간 동기 및 기지국 구분을 위하여 상기 16e 프리앰블(304)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16m SCH(306)에서 SCH 심볼의 종류는 하나 혹은 두개 일 수 있으며, 상기 SCH 심볼의 종류가 하나밖에 없는 구조를 비-계층(Non-hierarchy) 구조라 칭하고, 상기 SCH 심볼의 종류가 두개가 있는 구조를 계층(hierarchy) 구조라 칭한다. 이때, 상기 계층 구조에서 두개의 SCH 심볼은 각각 P-SCH (Primary SCH)와 S-SCH (Secondary SCH)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 단말(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4는 16m SCH가 비-계층(Non-hierarchy)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한 16m 단말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 절차대로 단말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가지 사항이 16m SCH의 구조에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먼저, 단말의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 즉 16m 공존모드인지 16m 단독모드 인지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가 16m SCH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16e 프리앰블에 16m SCH가 일대일로 대응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6m SCH 시퀀스의 개수가 16e 프리앰블 시퀀스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16m SCH 시퀀스 중에서 16e 프리앰블 시퀀스 개수만큼의 시퀀스가 미리 선택되어 16e 프리앰블 시퀀스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16m 단말)은 4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전원의 온(on)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전원의 온이 감지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전원의 온이 감지될 시, 상기 단말은 403단계에서 사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을 시, 상기 단말은 419단계에서 상기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16m 단독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16m 단독모드일 시, 42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단독모드로 결정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16m 단독모드가 아닐 시, 즉 상기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16m 공존모드일 시, 상기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16e 프리앰블 중 최적의 프리앰블의 검출을 시도한다.
반면,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405단계에서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SCH의 검출을 시도하고,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SCH의 검출에 성공하였는지 여 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SCH의 검출 시도는 16m SCH에 포함되어 있는 1비트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SCH의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2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단독모드로 결정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SCH의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초기 셀 탐색에서 최적의 셀을 탐색하기 위해 상기 409단계에서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을 시도하고,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05단계로 돌아가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SCH의 검출을 재시도하고,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혹은, 상기 403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을 통해 탐색된 최적의 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413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CH의 검출을 시도하고,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CH의 검출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CH의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417단계에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공존모드로 결정한다. 반면, 상기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CH의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423단계에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레거시 16e 모드로 결정 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 단말(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5는 16m SCH가 계층(hierarchy)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한 16m 단말의 동작모드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 절차대로 단말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가지 사항이 16m SCH의 구조에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먼저, 단말의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 즉 16m 공존모드인지 16m 단독모드인지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가 16m P-SCH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혹은 상기 1비트의 정보가 16m S-SCH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16e 프리앰블에 16m S-SCH가 일대일로 대응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6m S-SCH 시퀀스의 개수가 16e 프리앰블 시퀀스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16m S-SCH 시퀀스 중에서 16e 프리앰블 시퀀스 개수만큼의 시퀀스가 미리 선택되어 16e 프리앰블 시퀀스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16m 단말)은 5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전원의 온(on)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전원의 온이 감지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5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전원의 온이 감지될 시, 상기 단말은 503단계에서 사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을 시, 상기 단말은 519단계에서 상기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16m 단독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16m 단독모드일 시, 52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단독모드로 결정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16m 단독모드가 아닐 시, 즉 상기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16m 공존모드일 시, 상기 단말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16e 프리앰블 중 최적의 프리앰블의 검출을 시도한다.
반면,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505단계에서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P-SCH의 검출을 시도하고,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P-SCH의 검출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P-SCH의 검출 시도는 16m P-SCH에 포함되어 있는 1비트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P-SCH의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52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단독모드로 결정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P-SCH의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초기 셀 탐색에서 최적의 셀을 탐색하기 위해 상기 509단계에서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을 시도하고,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505단계로 돌아가 16m 단독모드에 대한 16m P-SCH의 검출을 재시도하고,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혹은, 상기 503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최적의 16e 프리앰블의 검출을 통해 탐색된 최적의 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513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SCH의 검출을 시도하고,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SCH의 검출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SCH의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517단계에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16m 공존모드로 결정한다. 반면, 상기 16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16m S-SCH의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523단계에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레거시 16e 모드로 결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RF(Radio Frequency) 처리기(60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602), CP(Cyclic Prefix) 제거기(604), 시간동기 획득기(606),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기(608), 부반송파 디매핑기(610), 복조기(612), 복호기(614), 동작모드 결정기(616)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RF 처리기(6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의 신호 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DC(602)는 상기 RF 처리기(600)로부터의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CP 제거기(604)는 상기 ADC(602)로부터의 샘플데이터에서 OFDM심볼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OFDM심볼 동기를 기준으로 보호구간(예 : Cyclic Prefix)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시간동기 획득기(606)는 상기 CP 제거기(604)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임시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된 샘플데이터로부터 시간동기(또는 프레임동기)를 획득하여 상위 제어기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동기 획득기(606)는 상기 획득된 시간동기 기준으로 샘플데이터를 OFDM심볼 단위로 출력한다. 여기서, 프레임 동기(시간동기)를 시간영역에서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프레임 동기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획득될 수 있다.
FFT 연산기(608)는 상기 시간동기 획득기(606)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부반송파 디매핑기(610)는 기존 규격의 프리앰블 수신 구간일 경우 일정 톤(3개의 부반송파 간격) 간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프리앰블 신호를 추출하여 동작모드 결정기(616)로 제공한다. 만일, 새로운 규격의 SCH 수신 구간일 경우,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610)은 일정 톤 간격(2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매핑되어 있는 SCH 신호(혹은 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 P-SCH 신호와 S-SCH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616)로 제공한다. 만일, 데이터 수신 구간일 경우,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610)은 상기 FFT 연산기(608)로부터의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데이터 패킷(버스트 혹은 PDU)을 추출하여 복조기(612)로 제공한다.
복조기(612)는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610)로부터의 수신 패킷을 복조(de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복호기(614)는 상기 복조기(612)로부터의 복조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여 정보데이터를 복원한다.
동작모드 결정기(616)는 단말 전원이 온(on) 될 시,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610)로부터의 SCH 신호(혹은 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 P-SCH 신호)와 기 저장된 SCH 시퀀스들(혹은 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 P-SCH 시퀀스들) 각각을 상관 연산하고, 연산된 상관값들 중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이 검출된 경우,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616)는 상기 검출된 상관값에 대응하는 SCH 시퀀스에서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확인된 정보가 공존모드에 대한 정보이거나 혹은 상기 정보 확인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616)는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610)로부터의 프리앰블 신호와 기 저장된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을 상관 연산하고, 연산된 상관값들 중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이 검출된 경우,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616)는 상기 검출된 상관값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에서 일대일 대응하는 SCH 시퀀스(혹은 계층(hierarchy) 구조의 경우, S-SCH 시퀀스)를 검출한다. 만약, 상기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616)는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공존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기존(legacy) 규격만을 지원하는 레거시 모드로 결정한다. 한편,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을 시,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616)는 전원 온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로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존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하향링크(Downlink : DL)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 단말(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 단말(16m 단말)이 초기 셀 탐색을 통해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규격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18)

  1.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on) 될 시, 기지국으로부터의 새로운 규격 기반 P-SCH(Primary-Synchronization Channel)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새로운 규격 기반 P-SCH에서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는 1비트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는 기존(legacy) 규격과 새로운(new)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 공존모드, 새로운(new) 규격만을 지원하는 단독모드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새로운(new) 규격의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규격 기반 P-SCH 대신 새로운 규격 기반 SCH(Synchronization Channel)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을 시, 상기 전원 온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정보가 공존모드에 대한 정보이거나 혹은 상기 정보 확인에 실패하였을 시,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존 규격 기반 프리앰블 중 최적의 프리앰블을 검 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새로운 규격 기반 S-SCH(Secondary-Synchronization Channel) 시퀀스 중 기존 규격 기반 프리앰블 시퀀스 개수만큼의 S-SCH 시퀀스가, 상기 기존 규격 기반 프리앰블 시퀀스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기존 규격 기반 최적의 프리앰블에 일대일 대응하는 새로운 규격 기반 S-SCH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에 성공하였을 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공존모드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에 실패하였을 시,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기존(legacy) 규격만을 지원하는 레거시 모드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규격 기반 S-SCH 대신 새로운 규격 기반 SCH(Synchronization Channel)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새로운 규격 기반 P-SCH(Primary-Synchronization Channel) 신호를 추출하는 부반송파 디매핑기와,
    전원이 온(on) 될 시, 상기 추출된 P-SCH 신호와 기 저장된 P-SCH 시퀀스들 각각을 상관 연산하여, 연산된 상관값들 중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관값에 대응하는 P-SCH 시퀀스에서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는 1비트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는 기존(legacy) 규격과 새로운(new)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 공존모드, 새로운(new) 규격만을 지원하는 단독모드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새로운(new) 규격의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규격 기반 P-SCH 대신 새로운 규격 기반 SCH(Synchronization Channel)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는,
    상기 단말의 동작모드가 사전 결정되어 있을 시, 상기 전원 온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사전 결정되어 있는 동작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기존 규격 기반 프리앰블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동작모드 결정기는, 상기 확인된 정보가 공존모드에 대한 정보이거나 혹은 상기 정보 확인에 실패하였을 시, 상기 추출된 프리앰블 신호와 기 저장된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을 상관 연산하여, 연산된 상관값들 중 설정값 이상인 상관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관값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에서 일대일 대응하는 S-SCH(Secondary-Synchronization Channel) 시퀀스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에 따라 단말 자신의 동작모드를 공존모드 혹은 기존(legacy) 규격만을 지원하는 레거시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새로운 규격 기반 S-SCH 시퀀스 중 기존 규격 기반 프리앰블 시퀀스 개수만큼의 S-SCH 시퀀스가, 상기 기존 규격 기반 프리앰블 시퀀스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규격 기반 S-SCH 대신 새로운 규격 기반 SCH(Synchronization Channel)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90220A 2008-09-12 2008-09-12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31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20A KR20100031232A (ko) 2008-09-12 2008-09-12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20A KR20100031232A (ko) 2008-09-12 2008-09-12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32A true KR20100031232A (ko) 2010-03-22

Family

ID=4218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220A KR20100031232A (ko) 2008-09-12 2008-09-12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89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동기화 및 검출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08562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 모드 검출 방법
US7990932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initial cell acquisition and pilot sequence detection
US9398552B2 (en) Beacon assisted cell sear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88235B1 (en) Base Station Device
CA2675838C (en) Cell searching system and method
KR100924684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001723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167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presence and a start of a zone in a frame
KR20120140000A (ko) 기기간 통신을 위한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RU25340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канал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13928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획득과 셀 아이디 탐색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1162216B1 (ko) 가변 순환전치부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송수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
US20080310525A1 (en) FFT-size detector and FFT-size detection method and cell search apparatus and cell search method in cellular system
JP504512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490141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副同期チャネルの送受信装置及び方法
JP2007060116A (ja) 無線端末装置およびスケーラブル帯域幅システムにおけるシンボルタイミング検出方法
KR20100031232A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94158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 지원장치 및 방법
KR20100003771A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존모드를 위한 셀 아이디매핑 장치 및 방법
US20100002782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