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945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945A
KR20100030945A KR1020080089927A KR20080089927A KR20100030945A KR 20100030945 A KR20100030945 A KR 20100030945A KR 1020080089927 A KR1020080089927 A KR 1020080089927A KR 20080089927 A KR20080089927 A KR 20080089927A KR 20100030945 A KR20100030945 A KR 20100030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i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945A/ko
Publication of KR2010003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945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예상 이동 시간과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접속 시간 정보가 포함된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복제, 사용 내역, 접속 지점, 접속 시간, 이동 시간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ILLEGAL MOBILE TERMILA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내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 및 접속 시간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은 넓은 지역에 걸쳐 가입자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중에도 통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시스템이 셀룰러 방식의 시스템이다. 셀룰러 시스템이란,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지역의 제한과 가입자 수용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으로 서비스 지역을 여러개의 작은 구역, 즉 셀(Cell)로 나누어서 서로 충분히 멀리 떨어진 두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주파수를 재사용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셀룰러 시스템 중 제일 처음 등장한 기술이 AMPS(Advance Mobile Phone System)과 TACS(Total Access Communication Services)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이며, 이를 1세대 이동통신이라 칭한다. 1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만으로는 급격히 증가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기가 어려워졌고,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의 음성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 등으로 인하여 1세대의 이동통신 보다 진보한 디지털 방식의 2세대 이동통신이 등장하게 되었다.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아날로그인 음성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음성 부호화를 실시한 후, 디지탈 변복조 방식으로 사용하며, 800M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다원접속 방식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서비스 및 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국의 IS-95(CDMA 방식), IS-54 (TDMA 방식)과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이 있다. 또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시스템은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분류되며, 1.8~2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들은 사용자들에게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었다. 하지만, 인터넷의 출현 및 사용자들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요구 등은 새로운 무선 플랫폼의 등장을 예고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방식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2000)과 같은 3세대 이동통신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이동 전화 가입자가 자신의 전화 단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근접 기지국과 신호 채널을 확인하고 동조시킨 후에 단말기 인증을 위해서 각 단말기에 저장된 MIN(Mobile Identifier Number)과 ESN(Electornic Serial Number)을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에서느 이 정보들을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적법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호 설정을 한 후 음성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구성한다.
그런데 최근 이동통신 망의 허점을 이용한 불법적인 단말기 복제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불법 단말기 복제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ESN을 읽을 수 있는 특수한 장비 또는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난된 단말기의 ESN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다른 단말기에 입력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것으로는 롬 라이터를 이용, 단말기의 MIN과 ESN 정보를 그대로 복제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로 여러 개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불법 복제는 도청, 감청, 시험 부정행위, 위치 정보 파악, 부당 요금 부과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처럼 단말기 불법 복제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기존의 ESN 및 MIN 확인 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 다른 대응 방안으로서 단말기에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한 인증키 값을 별도로 부여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어느 정도 불법 복제의 가능성을 낮출 수는 있으나, 이는 일부 단말기에만 적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나날이 발전하는 해킹 프로그램 기술에 의해 무력화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우려도 있다.
결국 ESN 및 MIN 확인 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한 인증 등 종래 기술에 의 한 방법으로는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 자체나 암호화 프로그램 등에 의존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접속 시간 정보가 포함된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 단말기의 사용 내역 정보만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각종 불법 장비 사용이나 해킹 프로그램에 의한 단말기의 불법 복제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일반적으로 과금 및 통화 분석 등의 목적으로 저장되는 가입자의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제 여부 판단을 위하여 과다한 추가 비용이나 장비 증설을 요하지 않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 내역 수신부와,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이동 시간 산출부와, 상기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결정하는 복제 여부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접속 시 간 정보가 포함된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 단말기의 사용 내역 정보만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각종 불법 장비 사용이나 해킹 프로그램에 의한 단말기의 불법 복제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일반적으로 과금 및 통화 분석 등의 목적으로 저장되는 가입자의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제 여부 판단을 위하여 과다한 추가 비용이나 장비 증설을 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 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장치와 이동통신 망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양 단말기(100, 104)는 이동통신 망(102)을 통하여 음성 및 영상통화, 데이터 서비스,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각종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단말기(100, 104)는 통신 기능을 갖춘 이동 통신 단말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등을 예로 들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통신 망(102)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과금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교환기와 단말기(100, 104) 사이에 위치하여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각 단말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송신 출력 제어, 핸드오프 결정 기지국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에 대한 그 외의 다른 기능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기지국은 단말(100, 104)로부터 호 설정을 위한 위치 등록 신호 및 이동 통신을 위한 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교환기는 유선통신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으로서 단말의 통신을 위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착, 발신 호 처리, 단말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및 다른 통신 망과의 연동기능을 담당하며, 그 외의 다른 기능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 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단말(100, 104)의 호 발신시, 위치 등록시 및 호 착신시 등 통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단말(100, 104)로의 착신을 위해 필요한 루팅 정보를 보유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교환기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전에 단말(100, 104)의 위치가 등록되어 있는 다른 교환기로 위치 삭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과금 센터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단말의 과금을 위한 시스템이다. 과금 센터는 이동 통신을 위한 통화 및 부가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각 단말별로 수행한다. 과금 센터는 복제 여부 판단 장치(106)로부터 복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해당 단말의 사용 내역 정보를 요청받고 그에 상응하는 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에 접속한 지점 및 접속 시간이 기록된 사용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제 여부 판단 장치(106)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망(10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복제 여부 판단 장치(106)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통신 망(102)과 연결된 별도의 장치로서 나타나고 있지만, 이동통신 망(102)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운용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 망(102)을 구성하는 여러 구성 요소 중 어느 구성 요소에 복제 여부 판단 모듈로서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제 여부 판단 장치(106)는 사용 내역 수신부(106a), 이동 시간 산출부(106b), 복제 여부 결정부(106c) 및 복제 정보 알림부(106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내역 수신부(106a)는 단말기(100, 104)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비스란,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음성 및 영상 통화, 데이터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메시지 전송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모든 서비스를 의미한다. 단말기(100, 104)의 가입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 망(102)에는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그 접속 시간 정보를 포함한 사용 내역 정보가 기록된다. 사용 내역 수신부(106a)는 이 사용 내역 정보를 이동통신 망(102)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100, 104)의 복제 여부 판단을 위하여 사용 내역 수신부(106a)가 수신한 사용 내역 정보에는 두 개 이상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그 접속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시간 산출부(106b)는 사용 내역 수신부(106a)를 통해 수신한 사용 내역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100, 104)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단말기(100, 104)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예상 이동 시간이란, 단말기(100, 104)의 제 1 접속 지점에서 제 2 접속 지점까지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말한다. 그리고 실제 이동 시간이란, 단말기 사용자가 제 1 접속 지점에서 제 2 접속 지점까지 실제로 이동하는 데 소용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 내역 수신부(106a)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100)의 사용 내역 정보에 A 지점에서 X 시간에 접속했다는 정보와 B 지점에서 Y 시간에 접속했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가정한다. 이동 시간 산출부(106b)는 먼저 X 시간과 Y 시간의 차이를 구해 단말기 사용자의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A 지점과 B 지점 간 이동에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용자가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이동할 때 소요될 수 있는 최단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 최단 시간 정보는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이동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 걸리는 평균 시간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단 시간 정보는 시스템 설정자가 어떤 교통 수단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정보를 구한다고 하면, 시스템 설정자는 비행기를 교통 수단으로 선택하여 서울에서 부산까지 비행기를 타고 가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최단 시간 정보로 정할 수도 있고, KTX를 이용하여 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단 시간 정보로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데이터 베이스에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최단 시간 정보가 다수 지점에 대하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시간 산출부(106b)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출발 및 도착 지점이 A 지점과 B 지점인 최단 시간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을 것이고, 이 최단 시간 정보가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 의 예상 이동 시간이 된다.
이동 시간 산출부(106b)가 A 지점 및 B 지점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면, 복제 여부 결정부(106c)는 예상 이동 시간과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단말기(100)의 복제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복제 여부 결정부(106c)는 단말기(100)의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100)가 복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비행기를 타고 이동하는 데 걸리는 예상 소요 시간이 1시간 30분이라고 가정한다. 이 때,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실제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이 30분으로 산출되었다면 이는 단말기가 복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A에서 B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또는 최단 시간)보다 더 빠르게 이동할 수는 없다는 가정하에서 내릴 수 있는 판단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시스템 설정자가 어떤 교통 수단을 선택하여 최단 시간을 결정할 것인지 여부가 복제 여부 결정부(106c)의 단말기 복제 여부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단말기(100)의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큰 경우 복제 여부 결정부(106c)는 단말기(100)가 복제되지 않고 정상적인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시간 산출부(106b)가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 시스템 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상기 A 지점 및 B 지점이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 산출이 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내역 정보에서 어떠한 지점을 선택하는 기준이 서울이나 부산과 같은 대도시 단위라면 문제가 없지만, 약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두 기지국을 기준으 로 서비스 접속 지점 및 그 접속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준으로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면 기술상 제약 등으로 인하여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데 제약이 따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 시간 산출부(106b)는 사용 내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접속 지점 간의 거리가 단말기의 복제 여부 판단이 가능한 최소 거리(이하, 복제 판단 최소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제 정보 알림부(106d)는 복제 여부 결정부(106c)의 판단 결과 단말기(100)가 복제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기(100)에 대한 모든 서비스 제공을 중지시키고, 단말기(100)에 서비스 중지를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복제된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한 서비스 가입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복제 정보 알림부(106d)는 복제된 것으로 판명된 단말기(100) 및 복제된 단말기, 예를 들면 단말기(100)와 동일한 MIN과 ESN을 갖고 있는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모든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중단시키는 명령을 이동통신 망(102)에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기들에 대해서는 단말기의 복제를 이유로 한 서비스 중지를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복제된 것으로 판명된 경우, 단말기(100) 및 다른 복제된 단말기 중 어떤 것이 정당한 가입자의 단말기인지까지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모든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를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 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200). 이 사용 내역 정보에는 단말기의 복제 여부 판단을 위해 두 개 이상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기의 복제 여부 결정을 위해,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202),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204).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은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예상 이동 시간과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결정한다(206). 즉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가 복제된 것으로 판단하며,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복제되지 않은 정상적인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300). 이 사용 내역 정보에는 단말기의 복제 여부 판단을 위해 두 개 이상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면, 거기에 포함된 두 개의 서비스 접속 지점을 선택하여 그 서비스 접속 지점 간 거리가 복제 판단 최소 거리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302).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스템상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서비스 접속 지점 간 거리가 복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단말기의 복제 여부 판단이 가능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계 302의 확인 결과 서비스 접속 지점 간 거리가 복제 판단 최소 거리보다 작으면 더 이상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지 않으며, 서비스 접속 지점 간 거리가 복제 판단 최소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계속해서 다음 단계(304)로 진행하게 된다.
서비스 접속 지점 간 거리가 복제 판단 최소 거리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접속 지점 간의 거리 및 이용 가능한 교통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304). 여기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접속 지점간 이동에 소요되는 최단 시간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최단 시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접속 지점 간을 이동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상정하고 그 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한 후, 서비스 접속 시간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306). 이제 산출된 예상 이동 시간 및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된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306). 만약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단말기가 복제되지 않은 정상적인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이동 시간이 예상 이동 시간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말기가 복제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에 대한 조치로서 복제된 것으로 판단된 단말기에 대한 모든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고, 복제 단말기로 판단되어 서비스가 중지되었음을 상기 단말기에 통지한다(31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접속 시간 정보가 포함된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나 암호화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 단말기의 사용 내역 정보만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각종 불법 장비 사용이나 해킹 프로그램에 의한 단말기의 불법 복제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일반적으로 과금 및 통화 분석 등의 목적으로 저장되는 가입자의 사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제 여부 판단을 위하여 과다한 추가 비용이나 장비 증설을 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장치와 이동통신 망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6)

  1.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간의 거리 및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접속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교환기,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또는 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복제 여부의 결정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복제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에 서비스 중지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 판단 방법.
  6.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지점에서의 접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 내역 수신부와,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접속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이동 시간 산출부와,
    상기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실제 이동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복제 여부를 결정하는 복제 여부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여부의 판단 장치.
KR1020080089927A 2008-09-11 2008-09-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30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927A KR20100030945A (ko) 2008-09-11 2008-09-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927A KR20100030945A (ko) 2008-09-11 2008-09-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945A true KR20100030945A (ko) 2010-03-19

Family

ID=4218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927A KR20100030945A (ko) 2008-09-11 2008-09-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194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계정 도용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194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계정 도용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507B2 (en) Access control for macrocell to femtocell handover
US9015808B1 (en) Restricting mobile device services between an occurrence of an account change and acquisition of a security code
US20070115886A1 (en) Method of verifying integrity of an access point on a wireless network
CN102938917A (zh) 非高铁用户切换方法和无线网络控制器
WO2008154865A1 (en) Cell access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08012271B (zh) 一种伪基站发现方法及装置
KR20110082033A (ko) 사용자 기기와 주 펨토셀들의 클러스터를 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CN10809340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050098850A (ko) 일원 관리 인증 장치
CN101884237B (zh) 在移动通信系统中用于测量家庭小区的方法
KR20120022452A (ko)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스마트 카드
CN101990278B (zh) 管理专属基站授权的方法及其相关装置
CN102348201B (zh) 获取安全上下文的方法和装置
CN102149149A (zh) 一种pci冲突检测方法和设备
CN111405607A (zh) 一种网络切换方法、设备及区块链系统
CN101938746B (zh) 一种用户标识模块反克隆的方法及装置
CN102264058B (zh) 一种用户身份识别卡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0003094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37711B1 (ko) 블랙리스트 인증 방식에 의한 단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224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ration of owner's terminal in small network of base stations
CN103179626A (zh) 无线通信系统中的用户设备切换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1577625A (zh) 定位业务计费方法、服务节点、移动定位中心及计费网关
JP200531864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2111286B1 (ko) 적응적인 셀 모드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493613A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