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486A -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486A
KR20100029486A KR1020080088294A KR20080088294A KR20100029486A KR 20100029486 A KR20100029486 A KR 20100029486A KR 1020080088294 A KR1020080088294 A KR 1020080088294A KR 20080088294 A KR20080088294 A KR 20080088294A KR 20100029486 A KR20100029486 A KR 2010002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protrusion
center
orthodontic bracke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7708B1 (en
Inventor
문승수
Original Assignee
문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수 filed Critical 문승수
Priority to KR102008008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708B1/en
Publication of KR2010002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Abstract

PURPOSE: A bracket for orthodontics is provided, which makes residue of the surface of the tooth minimized in separation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after use. CONSTITUTION: A bracket for orthodontics comprises a base(100) and a body(200). The base is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by adhesive and is formed of a junction(110)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body, an arch wires slot for inser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A protrusion is formed in order to have the predetermined height. In the protrusion, a protrusion member is formed.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Orthodontic Brackets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표면에 견고히 접합되면서도 사용 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bracket that can be well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after use while being firmly bonded to the tooth surface.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치아의 표면에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고정한 후 치열 교정용 브래킷들을 아치와이어(Arch wire)로 연결하여 아치와이어에 의해 발생되는 힘으로 고르지 못한 치열을 교정하는 것이다.In general, a method for orthodontics is widely known using an orthodontic bracket. This method is to fix the orthodontic bracket on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then to connect the orthodontic brackets with an arch wire to correct the uneven orthodontic teeth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arch wire.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통상적인 구조는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접합면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접합면 반대쪽에 형성되어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는 슬롯과 아치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 O-링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윙을 포함하는 브래킷 본체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합되어 있으면서도 사용 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includes a base having a joining surface fixed with an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an elastic O-ring for fixing the archwire with a slot formed opposite the joining surface of the base to receive the archwire. It consists of a bracket body including a wing on which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bolt is mounted. The orthodontic bracket must be firmly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during orthodontics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after use. do.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베이스의 접합면에 미세한 알갱이를 도포하여 접합면에서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접합면에 언더컷이 형성된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접합면에서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 등이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mprove the joint strength at the joint surface by applying fine grains to the joint surface of the base, and at the joint surface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undercut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bond strength of.

여기서 언더컷이란 제품 성형 후 금형이 형 열림 방향으로 작동할 때 금형이 제품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제품의 요철 부분 또는 오목한 부분을 가리킨다.Here, the undercut refers to an uneven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of the product in which the mold does not come out of the product when the mold is operated in the mold opening direction after forming the product.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언더컷이 형성된 경우 언더컷은 접착제에 대해 걸림턱으로 작용하게 되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If an undercut is formed in the orthodontic bracket, the undercut acts as a locking jaw against the adhesive, preventing the orthodontic bracke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하지만, 위와 같은 시도들은 접합면에서의 접합 강도만을 강조한 나머지 치열교정이 완료된 후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분리가 잘 되지 않았으며 분리되더라도 치아의 표면에 잔류물을 많이 남기는 등 깨끗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these attempts emphasized only the joint strength at the joint surface, and after the orthodontic correction was completed,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was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it did not separate well and left much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ere was a problem of not separating cleanly.

또한, 접합면에 미세한 알갱이를 도포한 경우는 미세한 알갱이를 포함하는 접합면과 치아의 표면과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접합면과 미세한 알갱이 사이의 접합이 약하기에 이 부분에서 분리가 잘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ine grains were applied to the joint surfac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joint surface containing the fine grains and the surface of the tooth could be improved, but the separation between the joint surface and the fine grains was weak, so the separation was well performed.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red.

또한, 접합면에 언더컷이 형성된 다수의 홈을 형성한 경우는 언더컷의 존재로 인하여 홈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을 해주어야만 했기에 제조과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가공 부위의 강도가 약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grooves with undercuts are formed on the joint surface, due to the presence of undercuts,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grooves has to be performed, which makes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plicate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akens the strength of the processed por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be.

위에서 접합면에 언더컷이 형성된 다수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가공을 해주어야만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reason why the separate processing to form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undercut on the joint surface as follows.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는 언더컷이 형성된 제품을 성형할 경우에는 제품 성형 후 금형이 형 열림 방향으로 작동할 때 금형이 제품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 코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치열 교정용 브래킷과 같은 극소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를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슬라이딩 코어도 극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In the case of forming a product having an undercut having a certain size, a sliding core is used to allow the mold to be removed from the product when the mold is operated in the mold opening direction after molding the product. In order to produce small products, the sliding core of the mold for producing them must also be manufactured in a very small size.

하지만, 극소형의 슬라이딩 코어를 제작하여 금형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기에 절삭 가공과 같은 별도의 가공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However, manufacturing a very small sliding core and applying it to a mold is practically impossible, so it is necessary to perform separate processing such as cutt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치아 표면에 견고히 접합되면서도 사용 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시 치아의 표면의 잔류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being firmly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after use and the orthodontic bracket to minimize the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tooth upon separation It ai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접합면에 언더컷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합면에 형성된 돌기에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작할 경우 돌출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성형 후 금형이 제품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돌출부의 돌출 길이를 극소화 및 최적화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joint surface in order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undercut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despite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when manufacturing the orthodontic bracket by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orthodontic bracket that minimizes and optimize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mold can be removed from the product after mold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접착제에 의해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며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 접합면이 형성된 베이스가 일측에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아치와이어 삽입용 슬롯이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가 구비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그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폐곡선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by an adhesive and provided with a base having a joint surface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one side, the arch on the opposite side In the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ody having a wire insertion slot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wherein the projec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o form a closed curve .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기의 외측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0.15 ~ 0.3㎛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d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protruding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uberance is 0.15 to 0.3 μm.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접합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앙 돌기와, 상기 중앙 돌기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슬롯과 평행한 가상선을 상정할 때 그 가상선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접합면 상의 영역 내에는 상기 중앙 돌기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center projection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joining surface,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space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es when a virtual line parallel to the slo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jections.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central protrusion is located in an area on the joi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ccupied by the slot.

상기 다수의 주변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며, 이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는 일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Some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rotrusions are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joining surface,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joining surface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part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슬롯의 양단부에 연하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응력 집중 노치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stress concentration notches are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body that extend to both ends of the slot.

상기 슬롯에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게이지가 삽입되 는 게이지 홈이 형성되되, 상기 게이지 홈은 그 중심이 상기 중앙 돌기의 중심축이 지나는 곳에 위치되도록 상기 슬롯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ot is formed with a gauge groove into which the gauge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teeth is inserted, the gaug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lot so that the center is located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projection passes. desirable.

상기 슬롯의 좌우에는 아치와이어 고정용 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ft and right of the slot is preferably formed the wing for fixing the arch wire.

상술한 바와 같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베이스의 접합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접합할 경우 베이스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면적이 증가되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합될 수 있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rthodontic bracket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by using an adhesive, the area of application of the adhesive to the base is increased and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firmly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Will be.

다수의 돌기에 구비되는 돌출부는 베이스에 도포된 접착제 중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부까지의 접착제에 대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합될 수 있게 된다.Th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ct as locking jaws for the adhesive from the bonding surface to the protrusions among the adhesives applied to the base,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firmly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베이스의 접합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들의 외측면에는 돌출 길이가 최적화되고 극소화된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접합면에 언더컷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합될 수 있게 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base has a protrusion length optimized and minimized, so that the same effect as the undercut is formed on the joining surface, the orthodontic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It can be joined.

슬롯의 양단부에 연하는 몸체의 측면에는 응력 집중 노치가 각각 형성되고, 응력 집중 노치의 작용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범위 내에는 중앙 돌기만이 위치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중앙 돌기에서의 분리가 가장 먼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중앙 돌기에서의 우선 분리는 주변 돌기들에서의 분리를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게 된다.Stress concentration notches are formed on the sides of the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lot, and only the central protrusion is located within the stress concentration range due to the ac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Separation at the central protrusion can be made first, and this preferential separation at the central protrusion leads to separation at the peripheral protrusions, and consequently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well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슬롯 내부에는 중앙 돌기의 중심축이 지나는 곳에 그 중심이 위치하는 게이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게이지 홈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중앙 돌기에서의 분리가 가장 먼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중앙 돌기에서의 우선 분리는 주변 돌기들에서의 분리를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게 된다.In the slot, a gauge groove is formed where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passes, so that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gauge groove so that the separation from the central protrusion occurs first. This preferential separation in the central protrusion leads to separation in the peripheral protrusions, which in turn allows the orthodontic bracket to be well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베이스의 접합면에 형성된 다수의 주변 돌기들 중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는 일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주변 돌기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위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에서의 분리가 먼저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에서의 우선 분리는 다른 주변 돌기들에서의 분리를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게 된다.Peripheral protrusion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joint surface among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rotrusion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base have a shape in which the portion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separation from the peripheral protrusion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outermost junction surface is first made, and the first separation from the peripheral protrusion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junction surface induces separation from other peripheral protrusions, As a result,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separated well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작할 경우 돌출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성형 후 금형이 잘 분리될 수 있도록 돌출부의 크기를 극소화하고 최적화하여, 종래의 언더컷 형성을 위한 별도의 추가 가공과정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해지게 되고, 제조원가가 감소하게 되며, 추가 가공에 따른 강도 약화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When manufacturing orthodontic brackets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in spite of the existence of protrusions, the size of the protrusions is minimized and optimized so that the mold can be separated well after molding, so that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ing process for forming a conventional undercut is required. By doing so,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and the problem of strength weakening due to further processing can be sol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베이스(100)와 몸체(20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200)의 중앙부에는 슬롯(30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ase 100 and the body 200, a slot 30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200.

상기 베이스(100)의 대략적인 형상은 사각형 모양이며,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base 100 is a rectangular shape, and generally has a parallelogram shape.

상기 베이스(100)에는 치아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면(11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이러한 접합면(110)은 각각의 치아(600, 도 4 참조)의 표면과 유사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base 100 is provided with a bonding surface 110 which is bonded to the tooth surface by an adhesive, and this bond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is similar to the surface of each tooth 600 (see FIG. 4). It is made of curved shape.

상기 접합면(110)에는 접합면(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앙 돌기(120)와 상기 중앙 돌기(120)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돌기(130)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들의 형상은 다양한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nding surface 110 is formed with a central protrusion 12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onding surface 110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rotrusions 130 positioned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shape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may be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various cross sections,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have a cylindrical shape.

한편, 상기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들은 0.1~0.3㎜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의 높이가 0.1㎜보다 작은 경우 후술할 돌출부(140)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0.3㎜보다 클 경우 접착층이 두꺼워져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height of about 0.1 ~ 0.3mm. If the height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 130 is less than 0.1mm, it is difficult to form the protrus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because when the thickness larger than 0.3mm the adhesive layer may be thickened, the adhesive force may be weakened.

상기 주변 돌기(130)들은 상기 중앙 돌기(120)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슬 롯(300)과 평행한 가상선(C1)을 상정할 때 그 가상선(C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며, 상기 가상선(C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까운 순서에 따라 제 1 돌기그룹(130a)과, 제 2 돌기그룹(130b)과, 제 3 돌기그룹(130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그룹의 수는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 1 돌기그룹(130a)과 제 3 돌기그룹(130c) 사이에는 더 많은 돌기그룹이 존재하거나 돌기그룹이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돌기그룹들(130a, 130b, 130c)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e C1 when the virtual line C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is parallel to the slot 300. The first protrusion group 130a, the second protrusion group 130b, and the third protrusion group 130c may be divided in a close order from the virtual line C1. Here, the number of the protruding groups is not limit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case. That is, there may be more protrusion groups or no protrusion groups at all between the first and third protrusion groups 130a and 130c, and any of the protrusion groups 130a, 130b, and 130c may exist. There can only be one.

상기 주변 돌기(130)들 중 일부는 접합면(110)의 경계에 위치하는데, 주변 돌기(130)를 가상선(C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서 세개의 돌기그룹으로 나눈 위 실시예의 경우 가상선(C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장 먼 상기 제 3 돌기그룹(130c)이 이에 해당한다. Some of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re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joint surface 110.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eripheral protrusion 130 is divided into three protrusion group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e C1. The third protrusion group 130c farthest from the distance C1 corresponds to this.

한편, 접합면(110)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제 3돌기그룹(130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돌기(130)들 중 접합면(11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일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third protrusion group 130c positioned at the boundary of the bonding surface 110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onding surface 110 among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nd a part thereof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made in a shape.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들에는 그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폐곡선을 이루는 돌출부(14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140)는 상기 돌기(120, 130)들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D)가 0.15 ~ 0.3㎛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40)의 돌출된 길이(D)가 0.15㎛보다 작으면 접착제에 대한 결합력이 작아지고 0.3㎛보다 크면 돌출부(140) 때문에 금형을 빼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re formed with protrusions 140 forming a closed curve cover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Preferably, the length 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20 and 130 is 0.15 to 0.3 μm. This is because when the protruding length D of the protrusion 140 is smaller than 0.15 μm, the bonding force to the adhesive becomes smaller, and when the protrusion length D is larger than 0.3 μm,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mold due to the protrusion 140.

한편, 상기 돌출부(140)는 상기 돌기(120, 130)들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돌출부(140)는 환형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14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int bisecting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120, 130), wh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protrusion 140 ) Is made into an annular ring shap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접합면(110) 반대편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200)에는 슬롯(300)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300)의 좌우로는 윙(400)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body 200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nd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and the body 200 is provided with a slot 300, and the slot ( The wing 400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300.

상기 슬롯(300)은 아치와이어(미도시됨)가 끼워질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롯(300)의 양 단부와 연하는 몸체(200)의 측면에는 일정 각도(A)로 함입된 응력 집중 노치(210)가 형성되며, 상기 응력 집중 노치(210)의 함입된 각도(A)는 90도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lot 300 is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depth to which the arch wire (not shown) can be fitted, and at a predetermined angle A on the side of the body 200 that connects to both ends of the slot 300. An embedded stress concentration notch 210 is formed, and the embedded angle A of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 210 is preferably a 90 degree angle.

또한, 상기 슬롯(300)의 바닥면(310)에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게이지(미도시)가 삽입되는 게이지 홈(311)이 형성되되, 상기 게이지 홈(311)은 그 중심이 상기 중앙 돌기(120)의 중심축(C2)이 지나는 곳에 위치되도록 상기 슬롯(300)의 바닥면(310) 중앙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310 of the slot 300 is formed with a gauge groove 311 is inserted into the gauge (not shown)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teeth, the gauge groove 311 is the center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310 of the slot 300 so that the central axis (C2) of the central projection 120 passes.

상기 윙(400)은 상기 슬롯(300)에 끼워지는 아치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 O-링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가 장착되도록 상기 슬롯(300)의 좌우에 한 개씩 또는 두 개씩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The wing 400 is one or two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ot 300 so that a fix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n elastic O-ring or bolt for fixing the arch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slot 300 is mounted. It may be formed, and in some cases may not be formed.

또한, 상기 윙(400)의 표면에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어느 치아에 사용되는지를 시술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 위치를 표시하는 딤플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딤플부(410)는 윙(400)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삼각형,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도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wing 400 is provided with a dimple portion 410 to indicate the position of use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which tooth is used for the orthodontic bracket. The dimple 410 may be concave on the surface of the wing 40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le, a circle, and a rectangle.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시술자 또는 브래킷 제작자가 선택한 접착제(500)를 매개로 치아(600)의 표면에 고정된다. 접착제(500)를 베이스(100)에 도포할 경우 접착제(500)는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들 사이의 접합면(110)으로 충진되며, 중앙 돌기(120)의 상부와 주변 돌기(130)의 선단을 덮을 정도의 높이로 도포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orthodontic bracket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via the adhesive 500 selected by the operator or bracket maker. When the adhesive 500 is applied to the base 100, the adhesive 500 is filled with the bonding surface 110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nd the upper and peripheral portions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It is applied at a height high enough to cover the tip of the protrusion 130.

이때, 상기 접합면(110)에 충진된 접착제(500)의 표면과 상기 중앙 돌기(120) 및 주변 돌기(130)들의 선단에 도포된 접착제(500)의 표면이 동일한 레벨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베이스(100)에 접착제(500)가 도포된 후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고정시키며, 계속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치열교정작업이 수행된다.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adhesive 500 filled in the bonding surface 110 and the surface of the adhesive 500 applied to the tip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chieve the same level. After the adhesive 500 is applied to the base 100, the orthodontic bracket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the orthodon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a conventional manner.

여기서, 윙(400)에 형성된 딤플부(410)는 시술자가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부적절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다른 치아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면, 중앙 돌기(120)와 주변 돌기(130)들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접착제(500)와 중앙 돌기(120) 및 주변 돌기(130)들의 선단을 덮도록 도포된 접착제(500)가 일체화된 상태로 치아(600)의 표면에 접착된다. Here, the dimple 410 formed in the wing 400 allows the operato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of use of the orthodontic bracket to prevent the inappropriate orthodontic bracket from being used for other teeth.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s described above, the tip of the adhesive 500 and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protrusion 120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The adhesive 500 applied to cover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in an integrated state.

이 경우 베이스(100)의 접합면(110)에 다수의 돌기(120, 130)가 형성되기 때 문에 베이스(100)에 대한 접착제(500)의 도포면적이 증가되어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0 and 130 are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500 to the base 100 is increas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a firm bonding. .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접합면(11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20, 130)에 구비되는 돌출부(140)는 베이스(100)의 접합면(110)과 치아(600)의 표면 사이에서 일체화되어 굳어진 접착제(500) 중 접합면(110)으로부터 돌출부(140)까지 충진된 접착제(510)에 대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600)의 표면에 견고히 접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s 140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0 and 130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may have the bonding surface 110 and the teeth of the base 100. The orthodontic bracket is a surface of the tooth 600 by acting as a locking jaw against the adhesive 510 filled from the joint surface 110 to the protrusion 140 among the adhesive 500 hardened and integrat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600. To allow for a secure bond.

이와 같은 돌출부(140)의 작용으로 접합면(110)에 언더컷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돌출부(140)의 돌출 길이의 최적화와 극소화로 인하여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작할 경우 돌출부(14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성형 후 금형이 잘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행해지던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가공과정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해지게 되고, 제조원가가 감소하게 되며, 추가 가공에 따른 강도 약화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By the action of the protrusion 140, the same effect as the undercut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110, and the orthodontic bracket by injection molding, etc. due to the optimization and minimization of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protrusion 140.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mold, the mold can be separated well after the molding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protrusion 140, so that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ing step for forming the undercut, which is conventionally performed, is not require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problem of strength weakening due to further processing can be solved.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치열교정이 완료되거나 필요에 의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분리공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힘을 가할 경우,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슬롯(300)의 양단부에 연하는 몸체(200)의 측면에는 응력 집중 노치(2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응력 집중 노치(210) 사이의 일정 영역, 즉 슬롯(300)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접합면(110) 상의 영역(111) 내에 응력이 집중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 to 4, when orthodontic correction is completed or if necessary to apply a force to the orthodontic bracket using a separation tool (not shown) to remove the orthodontic bracket from the surface of the teeth as needed. Since a stress concentration notch 210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body 200 that extends to both ends of the slot 300 of the orthodontic bracket, that is, a predetermined area between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es 210, that is, the slot 300.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region 111 on the joint surface 110 corresponding to this occupied region.

이러한 응력 집중 노치(210)의 작용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영역(111) 내에는 중앙 돌기(120)만이 위치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중앙 돌기(120)에서의 분리가 가장 먼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중앙 돌기(120)에서의 우선 분리는 주변 돌기(130)들에서의 분리를 유도(중앙 돌기(120)에서의 분리를 시작으로 방사형으로 분리가 전파되어 주변 돌기(130)들이 분리됨)한다. 따라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600)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게 된다.Only the central protrusion 120 is located in the region 111 where stress is concentrated due to the ac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 210, and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separation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20 occurs. The first separation in the central protrusion 120 induces the separation in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starting the separation in the central protrusion 120, the radial separation is spread and propagated around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are separated). Thus,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separated well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한편, 베이스(100)의 접합면(110) 반대편에 형성된 슬롯(300)의 바닥면(310) 중앙부에는 중앙 돌기(120)의 중심축(C2)이 지나는 곳에 그 중심이 위치되는 게이지 홈(311)이 형성됨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6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게이지 홈(311)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중앙 돌기(120)에서의 분리가 가장 먼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일조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310 of the slot 30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nd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the gauge groove 311 is located in the center where the central axis (C2) of the central protrusion 120 passes By forming the orthodontic bracket,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gauge groove 311 to help the separation in the central protrusion 120 to be made first.

한편, 베이스(100)의 접합면(110)에 형성된 다수의 주변 돌기(130)들 중 접합면(110)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주변 돌기(130)를 가상선(C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서 세개의 돌기그룹으로 나눈 위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3 돌기그룹(130c)에 속하는 돌기)는 일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6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주변 돌기(130)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위 접합면(110)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제 3 돌기그룹(130c)에 속하는 돌기)에서의 분리가 먼저 이루어지게 된다. 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rotrusions 130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the peripheral protrusions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positioned at the boundary of the bonding surface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virtual line C1. In the above embodiment divided into three protrusion groups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protrusions belonging to the third protrusion group 130c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thereof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is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When the separation is separated from the peripheral protrusions (projections belonging to the third protrusion group 130c)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upper joining surface 110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이러한 제 3 돌기그룹(130c)에 속하는 돌기들에서의 우선 분리는 주변 돌 기(130)들 중 제 2 돌기그룹(130b) 및 제 1 돌기그룹(130a)에 속하는 돌기들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게 된다.Priority separation of the protrusions belonging to the third protrusion group 130c may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protrusions belonging to the second protrusion group 130b and the first protrusion group 130a among the peripheral protrusions 130. do. Thus,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separated well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상기 응력 집중 노치(210) 및 게이지 홈(311)의 위와 같은 작용은 상술한 작용 외에도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파단을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ac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 210 and the gauge groove 311 may act to induce the fra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ction.

즉,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주로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6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파단이 생기기 쉬운데, 이러한 파단이 생기는 경우에 상기 응력 집중 노치(210) 및 게이지 홈(311)은 그 노치이펙트(notch effect)효과에 의해 파단이 특정부분을 따라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하여 결과적으로 치아(600) 표면에 잔류물이 덜 남으면서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since the orthodontic bracket is mainly made of a ceramic material, breakage is likely to occur when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In the case of such breakage,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 210 and the gauge groove ( 311) acts to induce breakage along a specific portion by the notch effect, resulting in a clean separation with less residue left on the surface of the tooth 600.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베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bas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몸체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body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도 4는 도 3의 "I" 영역을 확대한 도면.4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I”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베이스 110 : 접합면100: base 110: joint surface

120 : 중앙 돌기 130 : 주변 돌기120: center projection 130: peripheral projection

130a : 제 1 돌기그룹 130b : 제 2 돌기그룹130a: first protrusion group 130b: second protrusion group

130c : 제 3 돌기그룹 200 : 몸체130c: third protrusion group 200: body

210 : 응력 집중 노치 300 : 슬롯 210: stress concentration notch 300: slot

311 : 게이지 홈 400 : 윙 311: gauge groove 400: wing

500 : 접착제 600 : 치아500: adhesive 600: tooth

C1 : 가상선 C2 : 중심축C1: virtual line C2: central axis

Claims (12)

접착제에 의해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며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 접합면이 형성된 베이스가 일측에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아치와이어 삽입용 슬롯이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가 구비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In the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as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by an adhesive and having a joint surface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the opposite side is provided with a bod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lot for inserting the arch wire, 상기 돌기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그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폐곡선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forming a closed cur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기의 외측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0.15 ~ 0.3㎛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The protruding portion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0.15 ~ 0.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접합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앙 돌기와, 상기 중앙 돌기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슬롯과 평행한 가상선을 상정할 때 그 가상선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접합면 상의 영역 내에는 상기 중앙 돌기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center projection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joining surface,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space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es when a virtual line parallel to the slo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jections. And orthodontic brackets, wherein only the central protrusion is located in an area on the joi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ccupied by the slo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다수의 주변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며, 이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는 일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Some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rotrusions are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bonding surface, the peripheral protrus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bonding surface is a portion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슬롯의 양단부에 연하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응력 집중 노치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lot, respectivel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슬롯에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게이지가 삽입되는 게이지 홈이 형성되되, 상기 게이지 홈은 그 중심이 상기 중앙 돌기의 중심축이 지나는 곳에 위치되도록 상기 슬롯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The slot is provided with a gauge groove into which the gauge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tooth is inserted, the gaug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lot so that the center is located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projection passes. Orthodontic bracke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롯의 좌우에는 아치와이어 고정용 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slot is formed a wing for fixing the arch wire. 접착제에 의해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며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 접합면이 형성된 베이스가 일측에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아치와이어 삽입용 슬롯이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가 구비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In the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as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by an adhesive and having a joint surface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the opposite side is provided with a bod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lot for inserting the arch wire,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접합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앙 돌기와, 상기 중앙 돌기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슬롯과 평행한 가상선을 상정할 때 그 가상선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다수의 주변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접합면 상의 영역 내에는 상기 중앙 돌기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center projection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joining surface,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space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es when a virtual line parallel to the slo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jections. And orthodontic brackets, wherein only the central protrusion is located in an area on the joi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ccupied by the slo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다수의 주변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며, 이 접합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주변 돌기는 일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Some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rotrusions are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bonding surface, the peripheral protrus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bonding surface is a portion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슬롯의 양단부에 연하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응력 집중 노치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ss concentration notch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lot, respectively.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슬롯에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게이지가 삽입되는 게이지 홈이 형성되되, 상기 게이지 홈은 그 중심이 상기 중앙 돌기의 중심축이 지나는 곳에 위치되도록 상기 슬롯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The slot is provided with a gauge groove into which the gauge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tooth is inserted, the gaug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lot so that the center is located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projection passes. Orthodontic brackets.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슬롯의 좌우에는 아치와이어 고정용 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slot is formed a wing for fixing the arch wire.
KR1020080088294A 2008-09-08 2008-09-08 Orthodontic bracket KR100977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294A KR100977708B1 (en) 2008-09-08 2008-09-08 Orthodontic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294A KR100977708B1 (en) 2008-09-08 2008-09-08 Orthodontic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86A true KR20100029486A (en) 2010-03-17
KR100977708B1 KR100977708B1 (en) 2010-08-24

Family

ID=4217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294A KR100977708B1 (en) 2008-09-08 2008-09-08 Orthodontic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7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81B1 (en) * 2009-07-30 2011-06-20 휴비트 주식회사 Method for making an orthodontic bracket with a partial adhesive surface
WO2014110479A1 (en) * 2013-01-11 2014-07-17 Dentsply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usable with an injection molder for producing articles, in particular orthodontic brack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104B1 (en) 2010-04-01 2012-01-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1701256B1 (en) *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Orthodontic bracke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97Y2 (en) * 1986-08-01 1992-03-24
JPH11276504A (en) * 1998-03-31 1999-10-12 Toray Ind Inc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81B1 (en) * 2009-07-30 2011-06-20 휴비트 주식회사 Method for making an orthodontic bracket with a partial adhesive surface
WO2014110479A1 (en) * 2013-01-11 2014-07-17 Dentsply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usable with an injection molder for producing articles, in particular orthodontic brackets
CN104902842A (en) * 2013-01-11 2015-09-09 邓特斯普里国际公司 Apparatus and method usable with an injection molder for producing articles, in particular orthodontic brac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708B1 (en)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002B2 (en) Orthodontic appliance providing enhanced adhesive cure
KR100989407B1 (en) Orthodontic bracket
US20110250556A1 (en) Mounting Arrangement with Mounting Aid and Orthodontic Bracket
JP2571794Y2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0977708B1 (en) Orthodontic bracket
US20070134612A1 (en) Dento-facial orthopedic treatment and orthodontic arch wir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090010218A (en) Orthodontic bracket with removable slot cover
KR101252964B1 (en) Orthodontic bracket
US20120129118A1 (en) Orthodontic Buccal Tube
KR100571177B1 (en) Orthodontic bracket base and bracket using the base
JPH02257946A (en) Convertible buccal tube
KR101480147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109531B1 (en) Lingual bracket rebonding magnet core
JP2007296226A (en) Orthodontic bracket
JP2018502681A (en) Joint structure of implant abutment and crown
WO2006083088A1 (en) Orthodontics bracket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on teeth
JPH1199161A (en) Bracket installing method of orthodontic device
US20230380937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aligner and attachment
JP7370463B2 (en) brackets for orthodontics
JP2008529741A (en)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KR102090381B1 (en) Orthodontic zig,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9561950B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or a partial dental prosthesis
JP5443308B2 (en) Work model for dental technician and support base used therefor
KR20150031948A (en) Bracket for orthodontics
JP6723300B2 (en) Cover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