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788A -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788A
KR20100028788A KR1020080087682A KR20080087682A KR20100028788A KR 20100028788 A KR20100028788 A KR 20100028788A KR 1020080087682 A KR1020080087682 A KR 1020080087682A KR 20080087682 A KR20080087682 A KR 20080087682A KR 20100028788 A KR20100028788 A KR 2010002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d
debt
bon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윈비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윈비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윈비엔티
Priority to KR102008008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788A/ko
Publication of KR2010002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부실채권 매입사가 채무자(부실채권)을 매입부터 매각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통합관리 하는 시스템으로 채권자가 채권을 매입 시 적정수준의 가격책정을 돕기 위한 채권분석 프로그램, 매입 후 사후관리를 위한 관리프로그램, 운용 및 매각 시 자료추출을 위한 통계를 통합 운용하는것으로서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망; 매입사의 채권자(운용관리자 or 추심원)가 온라인 접속을 통해 상기 채무자(부실채권)에 대한 정보를 입력 또는 확인하고 변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실채권 관리서버 ; 상기 부실채권 관리서버에 채권정보를 등록시켜 채무자, 채권, 변제금 등을 관리하고 채권자 단말기(PC); 상기 부실채권 관리서버에 채무정보를 등록시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속 후 채무자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실채권, 채권, 관리, 매입,매각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The system of networks-base the NPL(Non-Performing Loan) be in control of analysis, purchase, sales, and managemen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매입, 매각, 사후 관리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채권자에게 편리하고 간편하게 채무자(부실채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관리의 과정을 일목 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채권의 종류는 개인을 놓고 보면 신용카드, 일반자금 대출, 부동산 담보대출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크게 보면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채권이 정상적으로 소멸하기 위해서 채무자는 매월 약정기일 혹은 매 분기 마다 약정한 금리 또는 변동금리에 해당하는 이자를 납부하고, 약정종료일까지 대출금을 변제하면 소멸하게된다.
이렇게 소멸되는 채권에 대해서는 특별한 사후관리가 필요치 않지만, 부실채권으로 변하는 경우 일반적인 관리외에 특별한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부실채권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채권의 이자납입기일 또는 변제기일에 정상적으로 납입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였거나, 혹은 원금상환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채권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부실채권의 경우 담보의 유무에 따라 사후관리가 달라지게 된다.
담보부 부실채권의 경우 무담보 부실채권에 비하여 리스크가 적기 때문에 회수 가능성이 높은 반면 무담보 부실채권의 경우 신용대출이기 때문에 담보부 부실채권에 비하여 회수 가능성이 낮은편이다.
담보부 부실채권은 변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담보권을 법원을 통하여 경매 처분하거나 혹은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으로 현금화 후 채권을 회수하게 된다.
이러한 담보부 부실채권의 사후관리는 담보의 처분액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담보 처분금액이 채권액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채권의 전액을 상환받게 되나 채권금액 보다 적을 경우 일부만 상환받은 상태가 되므로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무담보 부실채권으로 변경되어 사후관리가 된다.
이때부터, 일반적인 무담보 부실채권과 같은 방법으로 관리되지만, 처음부터 무담보 부실채권이었던 경우보다 회수가 어렵게 된다. 그렇다고 하여 관리방법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무담보 부실채권의 경우 금융기관은 단기간 연체자에 대하여 안내 형식 혹은 강도가 낮은 형태로 채권관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금융기관에서 정한 기간이 지나게 되면 채권 관리의 강도는 높아지고, 여 연체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회수가 어렵게 된다. 결국 회수가 불투명하다고 판단되는 때부터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게 되고, 종국에 회수가 되지 않는 채권에 대하여 상각처리 하게 된다.
이러한 채권에 대해 채권자는 일부 금액을 탕감해 주는 방법으로 변제를 촉구하게 된다.
종국에 무담보 부실채권을 헐값에 매각하는 과정까지 가게 되고 이러한 무담보 부실채권의 매각에 있어서 1997년 이후 국내은행의 형태를 보면 원금의 2%~20%정도에 매각하게 된다.
상기 매각 되는 부실채권에 대해 매입사(자산관리사)에서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부실채권의 매입부터 재 매각까지의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 하는 시스템이 요구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를 충족시기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권자(자산관리사)가 부실채권에 대한 평가를 돕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부샐채권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감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부실채권 관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로 기록한 매체(DB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권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관리시스템을 제공하여 채권 및 채무자(보증인)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실채권의 평가시 채권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채권을 자동 분석해 주기 때문에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방의 부실채권 분석 및 사후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부실채권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망(100)을 통해 채권자가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채무정보를 입력하는 채권자 단말기(200), 상기 채무자의 채무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채무자의 변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실채권을 관리하는 부실채권 관리서버(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실채권 관리서버(20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무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채무정보 DB(310), 살기 채권자에 의해 입력된 부실채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부실채권정보 DB(320), 상기 채무자가 부실채권에 대해 변제를 하게 되는 경우 생성되는 변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변제정보 DB(330), 상기 부실채권의 원 채권자(최초발생기관)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원채권자정보 DB(340), 채권자의 정보를 등록시켜 저장하는 관리자 관리모듈(350), 부실채권의 등록된 정보를 관리 하는 부실채권 관리모듈(360), 채무자가 부실채권에 대해 변제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채무변제 관리모듈(370), 채무자에 의해 변제된 변제금을 분 석하여 통계를 내주는 채권통계모듈(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실채권 관리 모듈(360)이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는, 채권자가 상시 채무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채권원금, 이자(연체료), 연락처, 시효기산일등 채무자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공란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채무 변제 관리 모듈(370)은 상기 채권자가 각 채무자에 대해 변제금을 입력 후 채권의 상태(종결여부)를 설정 할 수 있는 공란을 갖는다.
그리고, 채권통계 모듈(380)은 상기 채무 변제 관리 모듈(370)에서 관리 되는 변제금에 따라 채권의 성격별, 채권의 담당자별, 기간별 통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사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도3에 적용된 채권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는 채권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이고, 도 6은 (재)매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이다.
먼저, 첨부 도면 도 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실채권 관리서버(200)가 채권자로부터 입력되는 채권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채권자는 부실채권 관 리서버(200)의 동작 흐름에 따라 채권분석(S100)과, 분석과정 후 매입가 산정 및 매입(S200) 과정을 거쳐, 등록된 정보를 관리 하고 부실채권의 채무액을 변제토록 하는 채권관리(S300)와, 관리되어진 채권; 채무자에 대한 정보 수정, 채무액 변제를 거친 채권을 관리하는 채권통계(S400)와, 통계 과정을 거친 채권을 분석하여 매각(S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채권분석(S100)을 첨부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채권분석(S100) 프로그램을 설치(S101)하고, 매입처가 등록(S102)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부실채권 정보를 부실채권 관리서버(200)에 정보를 등록(S104)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신규 매입처(S103)를 등록하고, 등록한 자료를 통해 채권분석 통계(S105)를 내고 원 채권자 정보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 채권분석(S100)과정을 거쳐 판단된 부실채권은 도면 도5에 첨부된 채권관리(S300)의 동작 흐름에 따라 관리 되어 진다.
먼저 도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리되어질 등록 채권조회(S301)를 하여 채권 정보가 존재하면 각 채권별 담당자 배정(S303)을 거치고, 채권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채권 분석으로 복귀(S302)하여 채권을 (재)등록 하게 되며, 배정 받은 채권에 대해 담당자가 추심업무(S304)를 진행하여 채무금에 대해 채무변제(S306)를 할 수 있게 유도작업을 하여 변제가 완료되면 특정 조건에 따라 변제금을 확인(S307) 을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도면 도 3에 도시된 매각(S500)을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면 도3의 채권통계(S400)의 분석과정을 거친 채권에 대해 매입처별, 업종별 구분으로 확인하는 채권통계확인(S501)와, 확인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입찰을 유도하기 위한 매각제안서(S502)를 작성하고, 각 매입사에 입찰여부를 확인 하는 매각(매입)여부(S503)확인 작업을 거쳐 유찰시 매입을 유도하는 재컨텍(S504)로 매각(매입)여부(S503)로 복귀하며, 매각 계약 성사시 양도하여야 할 DB에 대해 보완 수정 후 부실채권 정보를 양도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적용된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도3에 적용된 채권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는 도3에 적용된 채권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6은 도3에 적용된 매각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 통신망(인터넷), 200 : 채권관리 서버,
300 : 채권자 단말기(PC), 310 : 채무자 DB,
320 : 부실채권 DB, 330 : 변제 DB,
340 : 원채권자 DB, 350 : 관리자 모듈,
360 : 부실채권관리 모듈, 370 : 채무변제 모듈,
380 : 채권통계 모듈

Claims (10)

  1. 부실채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권 관리 서버
    매입한 부실채권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채권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채권자가 단말기(PC)를 통해 부실채권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부실채권에 대한 채무자 정보를 수정 보완할 수 있고
    상기 채권 관리 서버는,
    단말기(PC)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관리자 모듈에서 검색 조건에 맞는 부실채권 정보를 조회, 수정, 보완 할 수 있는 부실채권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채권 거래 서버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상기 부실채권을 분석하여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근거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 채권 분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실채권 관리 모듈이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는,
    상기 채권자가 채무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채무기준일, 채무원금, 이자(연체료), 가지급금, 법비용, 주소, 전화번호등 채무자의 전반적인 정보를 기록 및 수정 할 수 있는 공란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실채권 관리 모듈이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는,
    상기 채권자가 상기 채권자가 채무자의 변제기일, 변제금액, 추심일지 종결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수정 할 수 있는 공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제 2항에 분석정보는,
    채무대상의 특정기일(Cut off day)을 기준으로 양도받은 정보에 대한 가치평가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시스템.
  6. (a) 부실채권 관리서버가, 채권자로부터 입력되는 채권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채권자는 부실채권 관리서버의 분석기준에 따라 부실채권을 평가하는 채권분석 과정;
    (b) 채권분석 과정을 거친 채권을 관리자 모듈에 등록하여 각 채무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추심담당자에게 채권을 배분하여 추심업무를 진행한 변제금 통계를 확인 할 수 있는 채권 매입, 관리, 통계과정;
    (c) 부실채권 관리서버로부터 얻은 통계를 바탕으로 제안서 or 운용시뮬레이션 작성 후 매각을 진행 하는 재매각 과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제과정은,
    상시 부실채권 관리과정에 의해 부싱채권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부실채권정보 를 바탕으로 원금 및 이자금 산정 후 담당자에 의해 채무자에게 변제를 촉구하게 되며, 이 과정은 일지로 작성되게 된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제과정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는,
    상기 채무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채무기준일, 채무원금, 이자(연체료), 수수료, 제비용, 송달받을수 있는 주소, 일지를 기록할 수 있는 공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사후 관리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채권의 통계 과정은,
    상기 채무자에 대한 변제금을 월별, 분기별, 년도별, 원채권자(매입처)별, 담장자별로 각각의 통계를 기준을 입력 후 확인 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채권 통계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채권의 (재)매각 과정은,
    상기 채무자에 대한 변제금을 제외한 잔액을 제 9항의 과정을 거쳐 확인 한 채권 정보를 바탕으로 제안서 작성 후 입찰 과정을 거쳐 (재)매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재)매각 거래 방법.
KR1020080087682A 2008-09-05 2008-09-05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KR20100028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82A KR20100028788A (ko) 2008-09-05 2008-09-05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82A KR20100028788A (ko) 2008-09-05 2008-09-05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88A true KR20100028788A (ko) 2010-03-15

Family

ID=4217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682A KR20100028788A (ko) 2008-09-05 2008-09-05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7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950A2 (en) * 2011-06-08 2012-12-13 Institutional Cash Distributors Technology Llc Collectively analyzing holdings across multiple fixed income products
KR101434922B1 (ko) * 2012-07-30 2014-08-28 주식회사 유라이프소프트 채권 분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897938B1 (ko) * 2018-01-26 2018-09-12 최성민 채권 평가 시스템 및 방법
WO2019017531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핀투비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950A2 (en) * 2011-06-08 2012-12-13 Institutional Cash Distributors Technology Llc Collectively analyzing holdings across multiple fixed income products
WO2012170950A3 (en) * 2011-06-08 2013-05-23 Institutional Cash Distributors Technology Llc Collectively analyzing holdings across multiple fixed income products
US8700509B2 (en) 2011-06-08 2014-04-15 Institutional Cash Distributors Technology, Llc Collectively analyzing holdings across multiple fixed income products
KR101434922B1 (ko) * 2012-07-30 2014-08-28 주식회사 유라이프소프트 채권 분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9017531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핀투비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KR101897938B1 (ko) * 2018-01-26 2018-09-12 최성민 채권 평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9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ive financing of assets
US200400029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alance transfer accounts
US20020055905A1 (en) System and process for securitizing reverse mortgage loans
US20100241537A1 (en) Debt sales system and method
US200802945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business credit and improving personal credit
WO2006088975A2 (en) A financial product and method which link a debt instrument to a bond
JP2008512768A (ja) 住宅資産保護契約書およびその取引方法
US78226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pertaining to a plurality of financial assets for multifamily and housing developments
US20210133873A1 (en) Architecture for creation, publication, and distributed investment of property-backed vehicles
US2015029428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funds based on payment obligations
KR20100028788A (ko)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Ahlawat Evaluation of mortgage default characteristics using Fannie Mae’s loan performance data
US20170011369A1 (en) Network-based payment processor
US801043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ssuing securities on tax-exempt bonds based on a single trust
US20050086149A1 (en) Credit risk hedg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210131521A (ko) 세일앤리스백 방식의 slb 사모펀드 전용 p2p 금융상품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Hunt et al. US residential-mortgage transfer systems: a data-management crisis
WO2007079132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verse mortgages
KR20010100755A (ko) 부실채권 거래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Jaffee et al. Securitization in European Mortgage Markets
US200900831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rtgage
Stanciu et al. FACTORING-A MODERN ALTERNATIVE OF EXOGENOUS FINANCING AND MANAGEMENT OF COMPANY RECEIVABLES.
JP3928882B1 (ja) 売掛債権の入金実績に連動した融資限度額出力システム、融資限度額登録システム、融資限度額の出力方法、及び融資限度額の登録方法
KR100487493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사후 관리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2041780A (ja) 信託システムおよび信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