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231A - 구강 세척기 - Google Patents

구강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231A
KR20100028231A KR1020080087157A KR20080087157A KR20100028231A KR 20100028231 A KR20100028231 A KR 20100028231A KR 1020080087157 A KR1020080087157 A KR 1020080087157A KR 20080087157 A KR20080087157 A KR 20080087157A KR 20100028231 A KR20100028231 A KR 2010002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ral
housing
control un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수 문
Original Assignee
영 수 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수 문 filed Critical 영 수 문
Priority to KR102008008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231A/ko
Publication of KR2010002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세척기 내부에 흐르는 구강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종래의 구강세척기 밸브 역할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강세척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다가 분사노즐을 당겨 누르면 구강세척수를 통과시키는 유수제어부와 가늘고 강한 물줄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수행하도록 하여, 구강세척기 사용 도중 수압에 의하여 분사노즐이 튀겨나가는 이탈현상을 막고 누수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2중으로 설치하여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한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087157
밸브, 분사노즐, 구강세척수, 유수로, 수돗물

Description

구강 세척기{Oral Irrigator}
본 발명은, 칫솔질만으로는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등에 숨어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가늘고 강한 물줄기를 음식물 찌꺼기가 숨어있는 구강 구석 구석을 분사하여 제거하면서 청결한 구강 위생을 도모하는 구강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한 가닥의 물줄기를 강하게 분사하는 기구들 중에서 금속으로 제작된 소방호스 밸브나 정원용 물살포장치 밸브처럼 덩치 큰 기구들은 튼튼하면서도 사용 빈도가 낮아 고장률이 낮지만, 가정용 구강 세척기는 작고 사용빈도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정교하지 않은 플라스틱 소재 위주로 제작되는 탓에 물줄기를 차단하고 제어하는 밸브의 고장이 많고 수명이 짧아 아직도 소비자의 불만이 있을 정도로 구강세척기 제조업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구강 세척기의 역사는 수 십 년이 될 정도로 길지만 아직도 취약한 밸브의 수명 때문에 세계의 유명 메이커 제품들조차도 구강세척장치의 전원을 켜거나 구강세척기를 수도관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분사노즐에서 물줄기가 분사되다가 사용을 멈추고 싶을 때에는 구강세척기의 손잡이에 있는 밸브 스위치를 눌러야만 물길을 차단하는, 가장 제작이 간편하지만 아주 불편한, 밸브를 아직도 채택하고 있을 정도로 구강세척기의 누수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있다.
구강세척기의 손잡이에 있는 밸브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분사가 정지되어 있다가 밸브 스위치를 누르면 구강세척수가 분사되는 밸브장치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좋으나, 밸브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계속 분사되고 스위치를 누르면 분사가 중지되는 형태의 구강세척기가 아직도 시장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그러한 밸브 스위치의 구조가 가장 제작하기 쉽고 가장 고장률이 적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렴한 구강세척기들은 그러한 밸브 스위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좀 더 견고하고 아름다우며 좀 더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강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수하우징(1)과, 유입되는 구강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닫혀지고 분사노즐을 유입수하우징 방향으로 당겨 누름으로 구강세척수의 유수로가 열려지는 유수제어부(2a)(2b) 및, 유수제어부를 통과한 구강세척수가 분사되어지는 분사노즐(3a)(3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구강세척기가 가지고 있던 밸브 스위치를 아예 제거하고 그 기능을 유입수하우징(1)에 내장되어있는 유수제어부(2a)(2b)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노즐(3a)(3b)에 부여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구강세척기는 모양이 간결하게 되었고, 밸브 스위치 설치로 인한 설계상의 구속이 없어졌으므로 완벽한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게 되어 한결 세련되고 다양한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종래의 구강세척기는 밸브 스위치에 O-링(Ring)과 같은 밀폐부재가 스위치 방향과 분사노즐 방향에 각각 1개씩 밖에 없으므로(미도시) 밀폐부재가 쉽게 닳아 구강세척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누수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밀착판(10)이 접촉면적이 넓은 패킹(Packing) 또는 큰 O-링으로 된 제1밀폐부재(4)와 상수도관이나 전동구강세척기의 모터펌프에서 제공되어지는 구강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밀착되어 유수로를 1차로 차단하고, 도3와 도4에서는 분사노즐착탈봉(15a)을 감싸고 있는 2개의 분사노즐밀폐부재(16)중 밀착판에 가까운 밀폐부재가, 도6과 도7에서는 O-링으로 된 제2밀폐부재(5)가, 다시 누수를 차단하는 2중의 밀폐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것보다 누수현상이 거의 없을 정도로 현저히 감소되어 구강세척기의 수명을 늘리면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제거하였으며, 분사되는 수압에 의하여 간혹 구강세척기의 착탈봉으로부터 갑자기 튀겨나가면서 구강을 다치게도 하였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엄지와 인지 손가락으로 분사노즐턱(9)을 잡고서 유입수하우징(1) 방향으로 당겨야 구강세척수가 분사되고 손가락을 놓으면 분사노즐이 원위치하면서 분사가 중지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사용 도중 분사노즐의 이탈로 구강을 다칠 가능성이 제거되어 아주 안전한 구강세척기가 되었다.
도2와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크게 구강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수하우징(1)이 밀착판(10)이 있는 유수제어부(2a)(2b)와 함께 결합되어있는 부분과 구강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a)(3b)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두 부분이 결합되어야만 구강세척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노즐을 유입수하우징(1)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분사노즐착탈봉(15a)(15b)을 갖추어야 하는데, 도2에서 도4까지의 도면에서와 같이 끝 부분이 막힌 분사노즐착탈봉(15a)을 분사노즐턱(9)에 연장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고, 도5에서 도7까지의 도면과 같이 분사노즐착탈봉(15b)을 유수제어부(2b)의 밀착판(10)에 연장하여 구성시키면서 분사노즐의 결합구를 분사노즐착탈봉(15b)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암컷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분사노즐착탈봉의 위치에 따라 유수제어부의 모양이 달라지는 것을 도2에서 도7까지의 도면에서 알 수 있지만, 기능이나 작동방법에는 조금의 차이도 없다.
유입수하우징(1)에 결합되어있는 유입호스(11)를 타고 유입수하우징(1) 속으로 들어온 구강세척수는 도3과 도6에서 보듯이 수압에 의하여 유수제어부(2a)(2b)를 유입호스 반대 방향으로 강력하게 밀어 밀착판(10)과 제1밀폐부재(4)가 서로 밀착되게하여 구강세척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유입수하우징(1) 속의 구강세척수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못한다. 만약 제1밀폐부재(4)가 누수차단을 완벽히 처리하지 못하였을 때, 도3의 경우에는 2개의 분사노즐밀폐부재중 밀착판 쪽의 것이, 도6의 경우에는 제2밀폐부재(5)가 2중으로 구강세척기의 누수현상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3과 도6에서 보듯이 구강세척기를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분사노즐턱(9)과 유입수하우징(1)이 유수제어부(2a)(2b)에 의하여 떨어져 있지만, 도4와 도7처럼 작동 시에는 분사노즐턱(9)이 유수제어부(2a)(2b)를 수압이 제공되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밀면서 유입수하우징(1)과 밀착되어지는데 이 때 유입수하우징(1) 속에 갇혀있던 구강세척수는 도4와 도7의 화살표 방향의 유수로(8)를 따라 유입수배출구멍(12a)(12b)과 분사노즐(3a)(3b)의 유수로를 거쳐 밖으로 분사되어진다.
그리고 도2의 분사노즐착탈봉의 유입수배출구멍(12a)을 도8처럼 2개의 부사노즐밀폐부재보다 더 밀착판에 가까운 곳에 유입수배출구멍을 구성시킬 수도 있다.
도3과 도6은 유입호스(11)에서 인입된 구강세척수가 유입수하우징(1) 속의 파이프 모양으로 된 하우징유입관(13)을 통하여 제어부유입관(14) 속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유입된 구강세척수는 밀착판(10)을 수압으로 밀면서 밀착판(10)을 제1밀폐부재(4)와 밀착시켜 유입수하우징 내부의 구강세척수를 갇혀두지만 도4와 도7처럼 분사노즐턱(9)을 당겨 유입수하우징(1)과 밀착시키면 갇혀있던 구강세척수는 하우징유입관(13)의 외벽과 제어부유입관(14)의 내벽 사이의 틈새로 흘러들면서 제어부유입관 외부로 빠져나와 밀착판(10)의 가장자리를 거쳐 유입수배출구멍(12a)(12b)으로 진입하면서 분사노즐(3a)(3b)의 유로를 타고 밖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도3과 도6의 분사노즐착탈봉(15a)(15b)과 제어부유입관(14)은 밀착판(10)에 의하여 서로 막혀있어 유입수하우징(1) 속의 구강세척수가 서로 연통되지 않지만, 도4와 도7처럼 구강세척기 작동 시에는 밀착판(10)의 가장자리와 유입수하우징의 내벽 사이의 틈새로 구강세척수가 분사노즐착탈봉(15a)(15b)의 유입수배출구멍(12a)(12b)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4에서처럼 분사노즐착탈봉(15a)이 분사노즐에 있는 경우 2개의 분사노즐밀폐부재(16) 사이에, 그리고 도7처럼 분사노즐착탈봉(15b)이 유수 제어부(2)에 있는 경우에는 제2밀폐부재(5)와 제3밀폐부재(6) 사이 지점에, 유입수배출구멍(12a)(12b)을 1-2개 정도 형성시켜 구강세척기 작동 시 유입수하우징(1) 속의 구강세척수가 쉽게 분사노즐착탈봉(15a)(15b) 속의 유수로 쪽으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 구강세척기들의 분사노즐 착탈 및 누수방지를 위한 장치는, 본 발명처럼 O-링에만 의존하는 것과 이에 더하여 착탈되는 적당 부위에 암수 형태의 잠금장치를 두는 2가지가 있었으나, O-링만 설치하는 것은 구강세척수의 수압이 강하면 분사노즐이 튀겨 나와 잇몸을 다치게 하는 경우가 간혹 있었고 잠금장치가 있는 것은 구강세척기 사용도중 분사노즐의 방향전환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망가지는 경우도 있었으나, 본 발명은 O-링에만 의존하지만 작동 시 항상 엄지와 인지 손가락이 분사노즐턱(9)을 붙잡고 있으므로 분사노즐의 방향전환이 자유롭고 수압에 의하여 분사노즐이 튀겨나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없으므로 종래의 구강세척기가 가지고 있던 문제들이 말끔히 해결되었다.
더구나 본 발명은 밀폐부재가 2중으로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종래의 구강세척 기가 안고 있던 누수현상까지도 해소시켰기 때문에 구강세척기의 수명이 연장되어 실용성을 향상시켰고 사용도중 분사노즐의 이탈로 야기되는 불상사도 방지할 수 있어 한결 안전한 구강세척기가 되었다.
도9는 유입수하우징 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물 속에서도 녹슬지 않는 탄성부재(7)를 이용하여 제1밀폐부재(4)와 밀착판(10)이 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을 평균 수압의 상수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전동 구강세척기에 착설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8의 탄성부재(7)의 설치는 생략하여도 무방하겠으나 약한 수압의 상수도관에 연결하여 본 발명을 사용할 때 유용한 방법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 분야에서 활동하고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하게 변형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도2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도2의 작동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도5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도5의 작동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착탈봉의 유입수구멍 위치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9는 유입수하우징 내부의 제2실시예를 표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Claims (6)

  1. 유입호스를 통하여 구강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수하우징과;
    상기 유입수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된 구강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유수로를 차단하는 유수제어부 및;
    상기 유입수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하여 유입수하우징 방향으로 당기면 차단되었던 유수제어부의 유수로를 열면서 구강세척수를 밖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2. 유입호스를 통하여 구강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수하우징과;
    상기 유입수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된 구강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유수로를 차단하는 유수제어부 및;
    상기 유수제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하여 유입수하우징 방향으로 당기면 차단되었던 유수제어부의 유수로를 열면서 구강세척수를 밖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하우징과 유수제어부의 밀착판이 맞닿는 곳에 밀폐부재를 설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구성되어 있는 분사노즐착탈봉의 끝부분이 막히되 길이방향으로 유입수배출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하우징과 유수제어부의 밀착판이 맞닿는 곳에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6.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유입관과 분사노즐착탈봉은 밀착판에 의하여 막혀있고 유입수배출구멍을 밀폐부재가 있는 방향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KR1020080087157A 2008-09-04 2008-09-04 구강 세척기 KR20100028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157A KR20100028231A (ko) 2008-09-04 2008-09-04 구강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157A KR20100028231A (ko) 2008-09-04 2008-09-04 구강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231A true KR20100028231A (ko) 2010-03-12

Family

ID=4217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157A KR20100028231A (ko) 2008-09-04 2008-09-04 구강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2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2416A1 (en) * 2016-12-15 2018-06-21 Water Pik, Inc.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CN111494040A (zh) * 2020-04-06 2020-08-07 优品优家(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水牙线口腔清洁器
US11642203B2 (en) 2016-01-25 2023-05-09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with hose connector fitting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203B2 (en) 2016-01-25 2023-05-09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with hose connector fittings
WO2018112416A1 (en) * 2016-12-15 2018-06-21 Water Pik, Inc.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CN110267623A (zh) * 2016-12-15 2019-09-20 洁碧有限公司 用于口腔冲洗器手柄的暂停阀和绕转组件
US10779922B2 (en) 2016-12-15 2020-09-22 Water Pik, Inc.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CN110267623B (zh) * 2016-12-15 2022-03-29 洁碧有限公司 用于口腔冲洗器手柄的暂停阀和绕转组件
CN114642510A (zh) * 2016-12-15 2022-06-21 洁碧有限公司 用于口腔冲洗器手柄的暂停阀和绕转组件
CN111494040A (zh) * 2020-04-06 2020-08-07 优品优家(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水牙线口腔清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659B1 (ko) 와류 토출형 구강 세정기
US7814585B1 (en) Dental shower water pick
KR100625267B1 (ko) 구강 세척기
KR200414654Y1 (ko) 수전 금구 장착형 구강 세정기
KR102179943B1 (ko)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CA2959298A1 (en) Oral cavity washer using compressed air
KR101592233B1 (ko) 비데의 역류방지장치
KR20100028231A (ko) 구강 세척기
KR200478927Y1 (ko) 구강분사노즐을 구비한 샤워기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100964839B1 (ko) 구강 세정기
KR100935995B1 (ko) 구강세척기
KR100964838B1 (ko) 구강 세정기
KR200466351Y1 (ko) 구강 세정 장치
KR200408409Y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WO2023272979A1 (zh) 一种除垢装置和便器的下水管道
KR100758688B1 (ko) 호스 연결형 비데 장치
KR200348618Y1 (ko) 구강세정장치
CA2798723A1 (en) Hydraulic plunger device
CN210228367U (zh) 家用冲牙器
WO2009041750A1 (en) Oral irrigator
KR101338578B1 (ko) 구강세정기
JPWO2008020466A1 (ja) 鼻腔洗浄器
KR20160124602A (ko) 휴대용 치아 세정장치
CN217537221U (zh) 一种马桶喷水机构的喷头和马桶喷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