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77A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77A
KR20100026877A KR1020080086047A KR20080086047A KR20100026877A KR 20100026877 A KR20100026877 A KR 20100026877A KR 1020080086047 A KR1020080086047 A KR 1020080086047A KR 20080086047 A KR20080086047 A KR 20080086047A KR 20100026877 A KR20100026877 A KR 20100026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unit
portable electronic
uni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619B1 (ko
Inventor
최무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619B1/ko
Priority to US12/549,848 priority patent/US20100053108A1/en
Publication of KR2010002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에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1 입출력부(100)와,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 2 입출력부(200)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전자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00),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전자종이, e-paper, 전자문서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Portable device and the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에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반도체 분야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 및 이용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 의해 촉발된 디지털 컨버전스는 각종 미디어 및 정보통신 환경 전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컨버전스는 디지털 방송, 인터넷, 모바일 등의 확장을 통해 가전, 통신, 방송, 기타 서비스업 등이 융합(converge)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음성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DMB의 시청, MP3 파일의 재생, 사진촬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부(display unit)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된 정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정보 및 사용자입력에 따른 정보 등을 시각적 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이다. 특 히, 디지털 컨버전스의 최근 경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기능은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표시부는 CRT(cathode ray tude) 디스플레이장치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유비쿼터스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이의 장점과 전자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결합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플라스틱 기판 위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반사형의 쌍안정성(bistable) 표시소자가 올라가는 형태의 전자종이가 개발되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버튼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스틱 또는 손의 접촉으로 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입력 방식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성상 현재 재생 중인 전자문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제공받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을 중지하고 저장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의 내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컨텐츠파일이 휴대용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1 입출력부와,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 2 입출력부와,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 및 제 2 컨트롤러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전자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은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파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 텐츠 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d)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링크 대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1)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의 내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컨텐츠파일이 휴대용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 1 입출력부(100)와 제 2 입출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각각 제 1 터치패널(110) 및 제 2 터치패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안정 및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기장 제거시의 투과 상태에 따라 구분된다. 즉, 상기 단안정 방식은 전기장의 제거시 최종적으로 인가한 전기장 신호에 관계없이 언제나 한가지의 투과도만을 보이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기 쌍안정 방식은 전기장의 제거시 최종적으로 인가한 전기장 신호에 따라 검정색 및 흰색의 두가지 투과도를 보이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e-paper, electronic paper)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자종이는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쌍안정성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각각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비디오화면을 재생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는 후술할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각각에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비하여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1 컨트롤러(1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또는 전자문서를 재생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데이터의 기록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부(40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쉬 메모리, PRAM(Phase-change RAM), FRMA(Ferro-electric RAM), 그리고 MRAM(Magneto-resistive RAM)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는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되어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되는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ID3 태그정보, 가사정보 및 관련기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음악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 중인 음악의 곡명, 작곡가, 가수 등의 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곡명, 작곡가, 가수 등의 정보는 ID3 태그정보에 포함된 곡 해설정보로부터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부(100)는 가사정보와 인기순위, 방송출연 등의 신문기사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비디오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자막정보, 영화정보 및 관련기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영화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 중인 영화의 제목, 감독, 출연자, 시놉시스 등을 포함하는 영화정보와 자막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영화의 인기순위, 관객동원 등과 관련된 신문기사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이미지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EXIF(exchageable image file format)정보 및 사용자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사진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사진의 카메라 및 렌즈 정보, 촬영날짜, 노출시간, 플래시 사용 여부 등의 EXIF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메시지로 구성되는 사용자입력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은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비디오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한다는 것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재생되거나 또는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최초로 검출된 관련정보 데이터로부터 최종적으로 검출된 관련정보 데이터까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누적하여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음악가사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는 음악가사 등의 정보를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하는 것이다.
상기 순차적으로 누적된 관련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송출되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관련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재생한다.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전자문서의 형태로 재생되는 상기 관련정보는 하나의 페이지에 순차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각각 하나의 페이지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한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 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1 컨트롤러(1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문서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및 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전자신문 등의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전자신문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흑백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서 재생할 수 없는 컬러 이미지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제 2 입출력부(200)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2 입출력 부의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는 전자문서가 재생된다.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의 내용을 구성하는 텍스트 중에서 밑줄표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1 입출력부의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링크 대상 컨텐츠가 재생된다. 즉,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서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비디오 데이터 등이 재생된다.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동영상을 재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서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동영상 컨텐츠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하여 재생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 우, 통신부(500)는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에 밑줄이 표시된 하이퍼링크 객체정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어를 검색어로 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링크 대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헤더 부분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메인입출력부를 설정하는 메인설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는 서브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입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전자문서의 재생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재생명령에 대응하는 메인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입출력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 상기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지 아니한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설정되는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은 변환 부(700)에 의해 상기 메인입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예컨대,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설정된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한다. 이때,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 이동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하여 일대 일로 대응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 정면 및 배면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서브입출력부 터치스크린 상의 점들은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면 대칭에 의한 점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즉, 사용자에 의한 특정 위치에 대한 입력은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의 면 대칭에 해당하는 지점의 입력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 이동은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서브입출력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입력의 상대적인 위치 및 속도에 따라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입출력부를 통한 화면의 재생을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상기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만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될 때에 한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사용자명령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중력감지센서(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력감지센서(610)는 중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중력감지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중력을 이용하여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측의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반대 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 2 입출력부(2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패널(110)을 통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조도감지센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도감지센서(620)는 조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조도가 더 높은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조도감지센서(620)에 의해 감지된 조도를 이용하여 조도가 더 높은 측의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지면을 향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반대 측에 형성되며, 지면을 향하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측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제 2 입출력부(2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패널(110)을 통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카메라센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사용자의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가 형성되는 면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형상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사용자측을 향하고 있는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형성되는 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센서(63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사용자측을 향하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터치패널(210)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입력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650)가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에 버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버튼에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점들과 터치스크린 상의 점들이 각각 일 대 일로 대응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의 입력장치이다. 반면에, 터치패드는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커서를 움직이는 입력장치이다. 상기 터치패드는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점들과 일 대 일로 대응되는 방식에 의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터치입력부에의 접촉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우측면 및 좌측면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우측 손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경우, 상기 우측면에 형성된 터치입력부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 손으로 상기 좌측면에 형성된 터치입력부를 접촉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입출력부(2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 정보 또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된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되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더라도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대기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인가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갱신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한다.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은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기 직전의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변화된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이 갱신된 이후, 상기 제어부(300)는 다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은 용량산출부(800)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용량산출부(800)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측정하여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용량산출부(80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의 잔여용량과 상기 산출된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이용하여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을 막대, 눈금, 도형 형태의 그래픽이미지와 함께 시간을 단위로 한 숫자의 형태로 디스 플레이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는 타이머부(900) 및 메모리부(40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부(900)는 현재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사용자스케줄 정보와 상기 타이머부(900)에 의한 현재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현재 시각과 함께 시각에 따른 사용자스케줄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가 서브입출력부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서브입출력부로 설정된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 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원종료 신호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또는 배터리의 전기용량이 모두 소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의 인가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최종적인 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원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대기화면을 갱신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현재 전원상태를 알 수 있고, 현재 시각에 따른 스케줄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 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은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에는 제 1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 100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문서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및 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에 대하여 제 1 입출력부의 반대 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종이는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쌍안정성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1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12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10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하이퍼링크는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을 즉시 보여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화살표 형상의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면, 상기 마우스 커서는 손가락 형상으로 바뀌며, 이때 사용자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검출한다(S120).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도록 연결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이때,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플래쉬 메모리, PRAM, FRAM, 그리고 MRAM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상기 검출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한다(S13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흑백의 화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의 내용 중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하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하이퍼링크의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르면,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제 2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은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200).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에는 제 2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 200 단계를 재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 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22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10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어서, 제 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3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40 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 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검출한다(S230).
한편, 제 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한다(S240).
이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를 재생한다(S250).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체와 연결된 컨 텐츠로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르면, 재생되는 전자문서의 내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컨텐츠파일이 휴대용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2 입출력부의 화면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1 입출력부의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 1 입출력부 110: 제 1 터치패널
120: 제 1 컨트롤러 200: 제 2 입출력부
210: 제 2 터치패널 220: 제 2 컨트롤러
300: 제어부 400: 메모리부
500: 통신부 600: 메인설정부
610: 중력감지센서 620: 조도감지센서
630: 카메라센서 650: 사용자입력부
700: 변환부 800: 용량산출부
900: 타이머부

Claims (17)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1 입출력부와;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 2 입출력부와;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 및 제 2 컨트롤러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전자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1 입출력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은,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파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a)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d)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링크 대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
KR1020080086047A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KR10151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47A KR101513619B1 (ko)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US12/549,848 US20100053108A1 (en) 2008-09-01 2009-08-28 Portable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47A KR101513619B1 (ko)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77A true KR20100026877A (ko) 2010-03-10
KR101513619B1 KR101513619B1 (ko) 2015-04-20

Family

ID=4217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47A KR101513619B1 (ko)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6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9979A (zh) * 2010-09-28 2013-01-02 尤塔设备Ipr有限公司 具有显示屏的装置
WO2013187595A1 (ko) * 2012-06-12 2013-12-19 (주)앤드웍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관련정보 제공장치 및 관련정보 공유 시스템
KR20160039631A (ko) * 2010-12-10 2016-04-11 요타 디바이시스 아이피알 리미티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0338B2 (en) * 2006-09-14 2011-08-02 Spring Design Co., Ltd Electronic devices having complementary dual display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9979A (zh) * 2010-09-28 2013-01-02 尤塔设备Ipr有限公司 具有显示屏的装置
KR20160039631A (ko) * 2010-12-10 2016-04-11 요타 디바이시스 아이피알 리미티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WO2013187595A1 (ko) * 2012-06-12 2013-12-19 (주)앤드웍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관련정보 제공장치 및 관련정보 공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619B1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19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multimedia items on an electronic device
US66339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dium
KR1015332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77288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US20040242269A1 (en) Automatically updating user programmable input sensors to perform user specified functions
US11233895B2 (en) Automatic wallpaper set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235266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vibrating section which vibrates depending on reproduction position
CN103257821A (zh) 图像显示设备中改变字幕属性的装置和方法
WO2020192299A1 (zh) 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150079371A (ko) 단말기에서 근전도 검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1656838B2 (en) User interfaces for time period-based curated playlists
EP311586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416485A (zh) 信息引导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117282A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44363A1 (en) Screen capture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040228A1 (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00053108A1 (en) Portable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857531A (zh) 移动终端及其文件显示方法
KR101513619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WO2022227589A1 (zh) 音频处理方法及装置
KR20100026845A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CN112711636B (zh) 数据同步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30027403A1 (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150420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TW200844810A (en) Microphones as contact sensors for devic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