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31A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31A
KR20100026831A KR1020080085986A KR20080085986A KR20100026831A KR 20100026831 A KR20100026831 A KR 20100026831A KR 1020080085986 A KR1020080085986 A KR 1020080085986A KR 20080085986 A KR20080085986 A KR 20080085986A KR 20100026831 A KR20100026831 A KR 2010002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value
operation setting
unique identification
user termin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1505B1 (ko
Inventor
정영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05B1/ko
Priority to CNA2008101867723A priority patent/CN101459791A/zh
Publication of KR2010002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있어서, 특히 외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데 적당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선택 조작 없이도,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별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며, 특히 블루투스 단말기와 같은 외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선호 채널 조건 등을 포함하는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디지털 방송, 동작 환경, 블루투스, 식별번호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operation environment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별로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데 적당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기술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발전하면서 고화질화 및 다기능화를 실현하였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동작에 관련하여 서로 다른 동작 설정 값을 보유한다. 즉,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다수 사용자별 동작 설정 값을 보유하였다.
그에 따라, 전원 온(on) 후에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또는 장치에 구비되는 키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키 신호에 의해 메뉴에서 하나의 사용자 설정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동적 설정 값을 읽어들이고 그 읽어들인 동작 설정 값에 대응하여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선호 채널 조건 등을 포함하는 동작 환경으로 전환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반드시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또는 특정 키의 선택 조작에 기반해서만 동작 환경이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 주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선택 조작 없이도,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별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같은 외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선호 채널 조건 등을 포함하는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일 특징은, 고유 식별번호를 갖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 간의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한 경우에,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검색하고, 현재 동작 설정 값을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으로 상기 출력부의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 조건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설정 값을 포함하여 다른 외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별로 다수 동작 설정 값을 더 보유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채널을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다수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현재 선호 채널 목록을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선호 채널 목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채널의 탐색 범위를 상기 변경된 선호 채널 목록에 따른 탐색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의 일 특징은, 고유 식별번호를 갖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통신이 유효한 연결인 경우에,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유 식별변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검색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현재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는,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채널을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는, 다수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현재 선호 채널 목록을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선호 채널 목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의 다른 특징은,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유 식별번호가 등록된 경우에,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작 설정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보유한 이전 동작 설정 값을 상기 수신된 동작 설정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현재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단말기와 같은 외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선호 채널 조건 등을 포함하는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변경해주기 때문에, 동작 환 경을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리모컨 또는 특정 키 조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특히, 현재 동작 환경을 사용자가 이전에 미리 설정해 둔 동작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불필요한 조작이 필요치 않는다.
또한, 장치의 전원이 온(on)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어 그 감지된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에 기반하여 동작 환경을 자동 전환해주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같은 외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선호 채널 조건 등을 포함하는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변경해 주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외부 사용자 단말로써 블루투스 단말기를 하나의 예로써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외부 사용자 단말을 블루투스 단말기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면서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된 사용자 단말이면서 두 단말 간(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 단말 간)에 자동으로 통신 연결이 지원되는 단말기이면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다수의 리모컨들이 통신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경우이면서 각 리모컨에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된 경우라면, 외부 사용자 단말은 해당 리모컨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통신 모듈(10)과 출력부에 해당하는 영상 출력부(20) 및 음성 출력부(30)와 제어부(40)와 저장부(50)로 구성된다.
통신 모듈(10)은 고유 식별번호를 갖는 외부 사용자 단말로써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한다. 따라서, 통신 모듈(10)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부에 해당하는 영상 출력부(20) 및 음성 출력부(30)는 제어부(40)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 환경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 출력부(20)는 제어부(40)에 의해 설정되는 영상 출력 조건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30)는 제어부(40)에 의해 설정되는 음성 출력 조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한다.
제어부(40)는 통신 모듈(10)을 통해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이 연결될 시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동작 환경을 연결된 블루투스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동작 환경으로 변경한다. 단, 제어부(40)는 무선 통신 연결되는 블루투스 단말기가 미리 등록되어 그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 신 연결이 유효한 경우에만 전술된 바와 같이 동작 환경을 변경한다. 만약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되는 블루투스 단말기가 미리 등록되지 않아서 그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무효한 경우라면, 제어부(40)는 현재 동작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며, 해당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저장부(50)는 여러 식별번호별로 서로 다른 동작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동작 설정 값들을 보유하는 것으로, 저장부(50)는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블루투스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포함하면서 또한 다른 여러 외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별로 다수 동작 설정 값을 더 보유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통신 모듈(10)과 블루투스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한 경우에, 그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등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이어서, 무선 통신 연결된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저장부(50)에서 검색한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저장부(50)에서 검색한 동작 설정 값으로 현재 동작 설정 값을 자동 변경한다.
그에 따라, 영상 출력부(20) 및 음성 출력부(30)는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 조건으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 데이터는 방송데이터와 부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데이터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부가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하며, 뉴스, 스포츠, 날씨 및 주식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텔레텍스 트(teletext)를 하나의 예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전술된 영상 출력 조건이나 음성 출력 조건 이외에도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자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인 OSD(On screen display)나 방송 채널 조건을 블루투스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에 따라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50)에 저장된 동작 설정 값은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 조건을 포함하여 예약 방송 채널 목록이나 선호 방송 채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동작 환경이 자동 변경될 시에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채널을 그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현재 선호 채널 목록을 그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선호 채널 목록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0)는 외부로부터 선호 채널들 중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탐색이 요구되는 경우에, 방송 채널의 탐색 범위를 그 변경된 선호 채널 목록에 따른 탐색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환을 위한 방송 채널의 탐색 범위가 전체 방송 채널인 상태였다가 이후 고유 식별번호에 따라 동작 환경이 변경된 경우라면, 제어부(40)는 채널 전환을 위한 탐색 범위를 전체 방송 채널에서 해당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선호 방송 채널로 한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 키 입력에 따라, 장치의 전원이 온(on)된다. 이어, 통신 모듈(10)과 제어부(40)의 연동을 통해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단말기를 탐색한다(S10).
이어, 통신 모듈(10)과 제어부(40)의 연동을 통해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한다(S20). 즉,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후에, 제어부(40)는 통신 모듈(10)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된 블루투스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현재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한 연결인지를 확인한다(S30).
무선 통신 연결된 블루투스 단말기의 식별번호가 미리 등록됨에 따라 그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한 연결인 경우에, 제어부(40)는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그의 고유 식별변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저장부(50)에서 검색한다(S40).
그리고, 제어부(40)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동작 환경을 저장부(50)에서 검색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변경한다(S50). 상세하게, 제어부(40)는 저장부(50)에서 검색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영상 출력부(20)의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부(30)의 음성 출력 조건을 변경하며, 예약 방송 채널 목록이나 선호 방송 채널 목록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조건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채널을 그 검색 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방송 채널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현재 선호 채널 목록을 그 검색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선호 채널 목록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된 선호 채널 목록은 변경 이전의 선호 채널 목록과 서로 다른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 키 입력에 따라 장치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접속이 시도되면(S100), 해당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S110)
만약, 블루투스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가 등록된 상태이면(S120), 제어부(40)는 통신 모듈(10)을 통해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그의 고유 식별변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수신한다(S130). 이때, 제어부(40)는 수신한 동작 설정 값을 해당 고유 식별번호에 맵핑시켜 저장부(5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 단말기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설정 값을 입력 또는 변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연결 시마다 동작 설정 값을 수신하고, 이전에 수신하여 저장된 동작 설정 값과 금번 수신한 동작 설정 값이 불일치되는 경우에 저장된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보유한 이 전 동작 설정 값을 금번에 수신된 동작 설정 값으로 변경한다(S140).
이어, 제어부(40)는 변경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현재 동작 환경을 자동 설정한다. 즉, 제어부(40)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현재 동작 환경을 변경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변경한다(S150). 상세하게, 제어부(40)는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영상 출력부(20)의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부(30)의 음성 출력 조건을 변경하며, 예약 방송 채널 목록이나 선호 방송 채널 목록을 포함하는 방송 채널 조건을 변경한다. 그에 대한 예는 전술하였으므로 그 예의 상세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고유한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동작 환경을 자동 변경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서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언급하였으나, 다른 예로써, 무선 통신 연결을 확립(establish)하기 이전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블루투스 단말기 간에 통신 연결을 위한 세션(Session)을 설정할 시에, 그 세션 설정 중에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번호를 동작 환경을 자동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연결이 확립된 이후에 동작 환경을 자동 변경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세션 설정 시에 동작 환경을 자동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Claims (15)

  1. 고유 식별번호를 갖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 간의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한 경우에,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검색하고, 현재 동작 설정 값을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으로 상기 출력부의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 조건을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설정 값을 포함하여 다른 외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별로 다수 동작 설정 값을 더 보유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채널을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방송 채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현재 선호 채널 목록을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선호 채널 목록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채널의 탐색 범위를 상기 변경된 선호 채널 목록에 따른 탐색 범위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고유 식별번호를 갖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이 유효한 연결인 경우에,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고유 식별변호에 대응되는 동작 설정 값을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현재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영상 출력 조건과 음성 출력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는,
    현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채널을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방송 채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는,
    다수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현재 선호 채널 목록을 상기 검색된 동작 설정 값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선호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선호 채널 목록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14.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유 식별번호가 등록된 경우에, 상기 외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작 설정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보유한 이전 동작 설정 값을 상기 수신된 동작 설정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을 사용하여 현재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동작 설정 값에 따라 영상 출력 조건, 음성 출력 조건 및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채널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KR1020080085986A 2008-09-01 2008-09-0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KR10153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986A KR101531505B1 (ko) 2008-09-01 2008-09-0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CNA2008101867723A CN101459791A (zh) 2008-09-01 2008-12-26 数字广播接收装置及操作环境自动设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986A KR101531505B1 (ko) 2008-09-01 2008-09-0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31A true KR20100026831A (ko) 2010-03-10
KR101531505B1 KR101531505B1 (ko) 2015-06-26

Family

ID=4077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986A KR101531505B1 (ko) 2008-09-01 2008-09-0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1505B1 (ko)
CN (1) CN101459791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85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티브이의 사용자 선호환경 자동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60070991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취향에 따른 개인 설정 정보 설정방법 및 시스템
KR101081535B1 (ko) * 2005-09-06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및 장치
KR20080067210A (ko) * 2007-01-15 2008-07-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fid를 이용한 tv 환경설정값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505B1 (ko) 2015-06-26
CN101459791A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3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537234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80099592A (ko) 원격제어유닛 및 원격동작방법
JP4845518B2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US8548617B2 (en) Sound output control device
JP4776001B2 (ja) 携帯型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
CN1956521B (zh) 用于改变/管理频道的方法和广播接收器
KR2012000953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90015260A (ko) 다중 영상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방법과 시스템 및 이에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26831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환경 자동 설정 방법
JP200828864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929055B2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home network system
EP223593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CN106454457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2227007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510128B1 (ko)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한 tv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80046934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over-the-air (OTA) information using text message and method thereof
TWI756942B (zh) 電視頻道掃描方法以及電視系統
CN101399935A (zh) 电视的频道搜索装置及方法
KR200314452Y1 (ko) 영상기기의 외부 채널 절환 장치
CN100372358C (zh) 使用无线频道的无线通信系统及其无线通信方法
KR20150024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어설정 방법
KR100633068B1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100821739B1 (ko) 인터넷 티브이의 아이피 어드레스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5151215A (ja) テレビ番組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