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699A -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699A
KR20100026699A KR1020080085807A KR20080085807A KR20100026699A KR 20100026699 A KR20100026699 A KR 20100026699A KR 1020080085807 A KR1020080085807 A KR 1020080085807A KR 20080085807 A KR20080085807 A KR 20080085807A KR 20100026699 A KR20100026699 A KR 2010002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inyin
input
mica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장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호 filed Critical 장준호
Priority to KR102008008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699A/ko
Priority to CN2009101715867A priority patent/CN101667068B/zh
Publication of KR2010002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장치의 4×3 키패드에 중국어 병음(pinyin)자모를 배열하여 병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1, 2, 3, 4, 5, 6, 7, 8, 9, 0, *, #의 각 키를 구비한 4×3 키패드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1에 b p m (중순성), 상기 키 2에 f d t (순치성f + 설첨성), 상기 키 3에 n l r (설첨성+교설첨성r), 상기 키 4에 g k h (설근성), 상기 키 5에 j q x (설면성), 상기 키 6에 zh ch sh(교설첨성), 상기 키 7에 z c s (설치성), 상기 키 8에 y/i (in, ing) , 상기 키 9에 w/u (un ) , 상기 키 0에 o ( ong) , 상기 키 #에 e (en, eng, er) , 상기 키 *에 a (an, ang) 병음 자모가 각기 할당되고, 상기 1 내지 7의 각 키에 성모 구성을 유사 성형에 맞게 구성하고, 상기 1 내지 7의 각 키에 구성된 키에서 변화되는 어떤키의 입력도 토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지막으로 입력된 문자가 첫번째 성모 병음입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휴대장치의 4×3 키패드에 12개가 넘는 병음자모를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고유의 전통습관 방식으로 병음을 입력하고 한자변환까지를 이해하기 쉽고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때문에, 병음사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PINYIN INPUT METHOD FOR PORTABLE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장치의 4×3 키패드에 중국어 병음(pinyin)자모를 배열하여 병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병음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휴대장치는 휴대폰, 리모콘 등 기타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한자입력에 있어서 국가표준은 27484자 이지만 휴대폰에서 부호화할 수 있는 것은 6763자 뿐이다.
이와 같은 6763자는 409개의 상용음으로 발음되고, 동음이의어가 많다. 약 16자 정도가 뜻은 다르지만 음이 같다.
한편, 종래에 개발된 병음 자모 입력방법은 영문 표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중국어 고유의 전통적 사입 방식과 맞지 않으므로 병음자모를 이질화 시키거나 퇴보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폰, 리모콘, 기타 휴대용 기기 등의 휴대장치에서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식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다. 예로, 중국어 발음을 영문으로 표현하여 입력하는 병음입력방법과, 한자를 자소 단위로 분리하고 각 자소에 해당하는 필획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중국은 1958년부터 '한어병음방안'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알파벳 자모를 차용하여 중국음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어병음방안은 자모표, 성모표, 운모표, 성조부호, 격음부호 등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떠한 한자음이라 하더라도 한어병음방안의 자모표에 제시된 상용음은 알파벳 26개 부호로 표기할 수 있다.
여기서, 병음이란 영어에서의 발음 기호와 같이 중국어 발음을 영문자 표기로 바꾸어 중국어를 표현하기 위한 중국어 발음 기호이다. 예컨대, 병음은 총 21 개의 성모와 36 개의 운모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모 및 운모는 단독으로 또는 여러 자음, 모음들과 결합하여 상용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중국어 병음입력방식은 영문으로만 발음을 표현하기 때문에 동일한 발음을 갖는 한자(평균16자)들이 너무 많아,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동일한 발음을 갖는 수많은 한자들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일일이 선택해 주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한자를 입력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병음자모에 해당하는 입력이 전통적인 사유 방식이 아닌 영문순서에 의한 배열로, 일반인들이 터득하고 익숙하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어병음방안의 다섯부분과 같이 각각에 뜻을 내포하여 중국 문자양식으 로 상용화 한것에 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알파벳 순에 의한 입력방식은 전통을 잃어버리고 단지 표현문자에 불과 한 것이다.
자국의 방식이 아닌 알파벳 방식은 일반인들이 그 규칙을 이해하고 활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영문자판의 조합을 암기하고 적절하게 활용하기는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오랜 시간의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다.
위에서 휴대장치의 대표적인 것은 휴대폰으로, 음성 통화위주의 휴대폰 목적에 문자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추가 되었다. 이로 인해 휴대전화기의 효율을 높이는 반면, 소형의 휴대폰에 문자입력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된것이다.
중국 자모는 상술된 바와 같이 많은 성모와 운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12개의 키를 구비한 키패드에 조합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현재 일반 휴대폰은 대표적으로 병음입력방식을 사용하며, 기존 키패드에 사용되던 영문표기를 통한 입력방식으로 병음입력을 할 수 있도록 그대로 적용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방법은 중국정부에서 발표한 내용(“숫자키보드 한자입력 기술 통용요구”(안)는 '광동國筆과기유한공사'가 작성했으며, 이는 한자입력 기술이 중국 국민의 사용습관에 부합하도록 최대한 보장하여 중국문화의 계승과 시장의 규범화를 더욱 유리하게 할 수 있다.)에 부합되지 안을뿐 아니라, 문자 형상을 찾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종래에 자판은 영문 나열식으로 영어 알파벳순에 의한 조합으로 실제 중국의 고유의 자모와는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해 중국인들은 병음보다는 영문을 먼저 습 득해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병음에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 우려가 높다.
소형의 디지털 전자 장치는 작은 크기 및 적은 수의 키패드들을 갖는 입력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문자들을 키패드에 할당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를 할당함으로써 요구되는 키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예컨대, 휴대폰에 구비되는 키패드 상의 0부터 9까지의 숫자키들 각각에는 2 내지 3 개의 영문 알파벳이 할당된다.
특히, 중국어는 영어나 한글 등과 같은 표음문자와 달리 표의문자로서, 문자의 개수가 수만 개에 달하기 때문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개인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소형의 디지털 전자장치(정보처리장치)의 키패드에 문자들을 일일이 할당하기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휴대장치의 4×3 키패드에 12개가 넘는 병음자모를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고유의 전통습관 방식으로 병음을 입력하고 한자변환까지를 이해하기 쉽고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1, 2, 3, 4, 5, 6, 7, 8, 9, 0, *, #의 각 키를 구비한 4×3 키패드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1에 b p m (중순성), 상기 키 2에 f d t (순치성f + 설첨성), 상기 키 3에 n l r (설첨성+교설첨성r), 상기 키 4에 g k h (설근성), 상기 키 5에 j q x (설면성), 상기 키 6에 zh ch sh(교설첨성), 상기 키 7에 z c s (설치성), 상기 키 8에 y/i (in, ing) , 상기 키 9에 w/u (un ) , 상기 키 0에 o ( ong) , 상기 키 #에 e (en, eng, er) , 상기 키 *에 a (an, ang) 병음 자모가 각기 할당되고, 상기 1 내지 7의 각 키에 성모 구성을 유사 성형에 맞게 구성하고, 상기 1 내지 7의 각 키에 구성된 키에서 변화되는 어떤키의 입력도 토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지막으로 입력된 문자가 첫번째 성모 병음입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병음 한자 입력모드 일때 운모의 입력에 의해 상용음이 이루어 지면, 화면 하단에 한자가 표시되며, 표시된 한자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1 내지 7의 각 성모키는 한자를 선택할수 있는 숫자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운모와 부성운모는 단운모 뒤에 규칙적으로 붙어 사용되는 n, ng, er을 해당 단운모 8 키에 i, in, ing, 9 키에 u, un, 0 키에 o,ong, # 키에 e, en, eng, er, * 키에 a, an, ang를 각기 토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병음 입력 모드 일때, 상기 1 내지 7의 각 성모키는 사용 병음 성조 표시모드로 각 숫자는 1성에서 5성을 표시 하는 성조로 전환하여, 문자를 병음 성조모드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음 입력표시모드로 전환 시 상기 표시부의 한자표시라인에 성조기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8 키, 9 키는 결합운모 철자 규칙에 따라 병음 첫음으로 입력될 때 성모역할을 하는 y,w로 입력되고, 병음 둘째음부터는 y는 i로, w는 u로 운모에 각기 입력되며, 이를 셋트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장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이 있고, 병음자모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장치의 4×3 키패드에 12개가 넘는 병음자모를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고유의 전통습관 방식으로 병음을 입력하고 한자변환까지를 이해하기 쉽고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때문에, 병음사용이 용이해지고 병음사용의 취지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휴대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때 휴대장치는 휴대폰은 물론이고, 리모콘 등 기타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중국어 문자는 발음하는 한자가 각각에 뜻을 가지고 있는 표의 문자이다.
반면, 병음은 일상 적인 대화를 그대로 표현하는 표음 문자라 할 수 있다. 즉, 병음은 한자 없이 뜻을 전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병음과 성조를 표시하면 중국인의 모든 사람이 그 뜻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 미국 등 어느 나라든지 동음 이의어라는 것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실제 앞 뒤를 연관지를 경우 내용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가령 한국어의 경우 "배" 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앞 뒤 내용이 없다면 배 라는 뜻을 알 수 없을 것이다.
예로, 한국의 "배"는 물을 건너는 "배" 과일의 "배" 등 여러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를 단글자로 기재하면 그 의미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반면, 중국글자의 경우 "배"라는 병음및 필획을 통해 해당하는 한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뜻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대략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병음도 있다.
중국어 병음자모의 구성은 성모와 운모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병음은 '성모+운모(+운모...)' 및 '운모(+운모...)'와 같은 입력방식으로 모든 병음을 구성할 수 있다.
성모(한글의 자음)를 보면, 중순성 b p m, 순치성 f, 설첨성 d t n l, 설근성 g k h, 설면성 j q x, 교설첨성 zh ch sh r, 설치성 z c s로, 21개로 구성된다.
중국어 철자규칙을 정리하면, i와 U와의 결합운모는 성모 없이 쓰일 경우 i U 대신 y로, u와의 결합운모는 성모 없이 쓰일 경우 u 대신 w로 쓰이는 철자규칙에 의해 y w 는 성모에 역활을 하게 된다.
운모(한글의 모음)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단 운모 a o e i u (e,u 로 사용하는것 2개)
복 운모 ai ei ao ou
부성운모 an en ang eng
권설운모 er
결합운모(제치류,합구류,촬구류)로 구성
제치류 ya yo ye yai yao you yan yin yang ying(ia ie iao iou ian in iang ing)
합구류 wa wo wai wei wan wen wang weng(ua uo uai uei uan uen uang ueng)
uei,uen 성모결합시 e 생략 ueng = ong
촬구류 yue yuan yun yong( Ue Uan Un iong)
uan,un = Uan,Un 중복
운모의 규칙은 보면, 단 운모와 복운모(단운모+단운모)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부성운모(단운모+ n,ng) 와 권설운모 er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운모(철자 규칙에 의해 y,w 성모 인 구성) 즉 y,w 이후 단,복, 부성 운모의 결합은 운모 규칙과 동일한 구성 요소로 된 운모가 있다.
성조 표기 방법에서 모두 조사이기는 하지만 서로의 쓰임이 다르다.
제 1 성, 제 2 성, 제 3 성, 제 4 성, 제 5 성’이라고 하는 말은 편의상 부르는 이름이고 본래는 ‘음평, 양평, 상성, 거성, 경성’이라한다.
1성(음평)은 감탄, 놀라움을 표시하고 문장의 앞에서 감탄을 표시한다.
2성(양평)은 의문과 반문을 표시한다.
3성(상성)은 의혹을 표시한다.
4성(거성)은 대답, 승낙, 깨달음을 표시한다.
5성(경성)은 은 문장뒤에서 감탄을 표시한다.
성조 표시는 반드시 a, e, i, o, u중 어느 한 글자에만 한다.
이외의 글자에는 하지 않는다.
성조 표기 순서는 a > o > e > i > u이다.
a, e, i, o, u 중 가장 먼저 나오는 것에 한다. 단 i나 u(위에 두점이 있는 것 포함)가 가장 먼저 나올 때는 두 번째로 나오는 것에 한다.
ai -> a, ei -> e, ao -> a, ou -> o, ia -> a, ie -> e, iao -> a, iu -> u, ian -> a, ie -> e, ua -> a, ue -> e, ui -> i, uan -> a, uang -> a와 같이 여러 운모가 있으면 성조 표기 순서에 따라 성조를 표기 한다.
상기 중국 병음의 구성에서 나열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순서가 영문 방식(성모와 운모가 엉킨 상태)에 의한 입력방식은 여러가지 복잡하고 중국 정서에 맞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병음을 빨리 입력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키패드는 휴대폰, 리모콘, 기타 휴대장치에서 도 1과 같은 4×3 키패드를 구성한다.
1 2 3 4 5 6 7 8 9 0 * #의 키 구성에 있어 병음입력모드일 때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키패드 토글 클릭 키값
키 1 에 중순성인 b p m
키 2 에 순치성+설첨성 f d t
키 3 에 설첨성+교설첨성 n l r
키 4 에 설근성 g k h
키 5 에 설면성 j q x
키 6 에 교설첨성 zh ch sh
키 7 에 설치성 z c s
키 8 에 철자규칙에 의한 y/i (in, ing)
키 9 에 w/u (un)
키 0 에 운모 o (ong)
키 # 에 운모 e (en, eng, er)
키 * 에 운모 a (an, ang)
키 1 내지 7 동작 방법을 보면, 한 번 누르면 해당 문자에 첫번째가 표시되며, 두 번 누르면 두 번째, 세 번 누르면 세 번째, 다시 누르면 첫 번째로 되돌아 가도록 구성한다.
숫자키 1 내지 7 까지의 숫자패드에 성모의 구성과 같이 3개씩 나열한다. 이때 성모는 우리나라 한글 자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배울 수 있다.
8 키 및 9 키는 상술한 중국어 철자 규칙에 의한 것으로, 초기 입력 문자가 성모의 입력이 있는 경우는 i, u와 같이 운모로 동작하고, 초기 성모가 없는 경우는 y, w와 같이 성모로 동작하게 구성한다.
전술한 운모의 구성과 규칙에 의해 전술한 키패드 구성에서와 같이 운모 키(단운모 + n, ng)를 구성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두 가지 입력 방식을 구현 할수 있는데, 첫 째는 병음을 이용한 한자 입력방식이고 둘 째는 병음만을 직접 입력하여 성조까지 표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첫 째 한자입력방식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병음을 입력해서 해당 한자를 찾아 사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병음입력이 선행되고 있는데 전술된 바와 같이 키 설정이 되어 있는 키패드에 있어, 도 2와 같이 병음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성모+운모의 경우, 키 1 내지 7까지에 성모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키는 여러번 입력을 해도 마지막에 구성된 성모만이 입력된다.
키 8 및 키 9가 처음으로 입력될 경우 이는 운모가 아닌 성모인 y, w로 표시되고 이들키는 한 번에 입력으로 완성되며 오타인 경우 취소 키로 지우고 사용해야만 한다.
초기 성모가 입력되면 필히 운모가 입력되어야 병음이 이루어진다. 즉 성모 이후 운모가 입력되면 키 1 내지 7까지 성모가 아닌 숫자 키로 전환한다.
도 4와 같이 이때 성모+운모 입력되면 해당 병음은 화면 하단에 해당 한자를 바로 검색하여 화면에 띄우게 되며, 성모가 숫자로 전환된 상태에서 해당 한자가 하단에 표시된 부분의 숫자를 입력하면 해당 한자가 바로 입력할 수 있게 한다.
한자는 운모에 조합으로도 한자가 형성되는데, 이때 성모의 입력없이 운모의 입력이 이루어 질때는 성모키 해당 키 1 내지 7은 바로 숫자로 전환 되면 이때 운모로 이루어진 한자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고, 운모에 해당하는 한자를 성모키에서 숫자키로 전환된 키를 사용하여, 해당 한자를 선택하면 된다.
화면 하단에 표시된 병음의 한자 배열은 성모에서 숫자로 변환된 7자의 한자만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와 같이 두 번째 병음입력방법은 직접 병음을 입력하면 해당 바이트 수가 실제 한자보다 많은 경우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 한 것이다.
현재의 방법은 영문 모드에서 병음을 적어 보내면 해당 코드를 그대로 병음으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해당 하는 영문 병음은 코드가 여러개로 한글자를 표현 하는데 2바이트 이던 한자를 많게는 zhuang,shuang 등과 같이 6바이트를 전송해야 할뿐 아니라 여러번에 키 입력으로 영문 병음을 작성하는 번거로움 뿐 아니라 문자손실이 많으며, 성조의 표현이 없어 병음에 뜻을 제대로 전달 할수 없는 것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키 구성에서와 같이 된 키패드를 사용하여 해소 하고자 한것이다.
예로, 상기 한자 입력을 위한 병음표시방법은 모두 같으나, 해당 한자가 하단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 성조가 하단에 보조로 표시한다. 이때 상용음에 해당 하는 한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병음에 성조를 숫자키로 전환 되었을때 1성에서 5성 까지를 숫자로 선택하면, 성조 표시순서에 입각해서 해당 병음에 성조를 표시하고 이를 상용음 도 6 과 성조을 조합한 코드를, 대응하는 한자로 변환하는 한자 병음 성조 변환 테이블을 작성 하고, 해당 한자 코드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기존 병음 코드를 영문으로 했을때, 많은 코드를 사용하던 것을 한자 코드화 함으로써 종래의 방식과 같은 2바이트 전송 코드가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한자 병음 성조 변환 테이블 코드에 의해, 전송받은 한자의 코드를 병음 성조 표시로 부호화 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메뉴 키를 사용하여 병음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고 해당 한자에 대한 병음성조부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불 수 있도록 한다.
상단에 전술된 중국 언어에서 설명했듯이 해당 한자에 대한 병음만으로도 정확한 뜻을 전달하지는 못하나 표음식 언어 전달은 할 수 있다.
이는 병음(409)에 5성조를 하면 2000자 이상에 글을 표음식으로 전달이 되며, 이 글자는 평상시 일반 사람이 사용하는 전체 문자수 이상 이기 때문이다. 즉 병음(409)만으로는 어려울수 있으나 성조가 포함된 병음이라면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자기 표현을 도 2와 같이 충분히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표음 문자식의 병음성조방식으로 문자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휴대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에 의거하여 병음입력하는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에 의거하여 병음입력 시 휴대장치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에 의거하여 병음한자입력하는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에 의거하여 병음한자입력 시 휴대장치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한자 상용음 조합코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7)

1, 2, 3, 4, 5, 6, 7, 8, 9, 0, *, #의 각 키를 구비한 4×3 키패드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1에 b p m (중순성),
상기 키 2에 f d t (순치성f + 설첨성),
상기 키 3에 n l r (설첨성+교설첨성r),
상기 키 4에 g k h (설근성),
상기 키 5에 j q x (설면성),
상기 키 6에 zh ch sh(교설첨성),
상기 키 7에 z c s (설치성),
상기 키 8에 y/i (in, ing) ,
상기 키 9에 w/u (un ) ,
상기 키 0에 o ( ong) ,
상기 키 #에 e (en, eng, er) ,
상기 키 *에 a (an, ang) 병음 자모가 각기 할당되고,
상기 1 내지 7의 각 키에 성모 구성을 유사 성형에 맞게 구성하고, 상기 1 내지 7의 각 키에 구성된 키에서 변화되는 어떤키의 입력도 토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지막으로 입력된 문자가 첫번째 성모 병음입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병음 한자 입력모드에서 운모의 입력에 의해 상용음이 이루어 지면, 상기 1 내지 7의 각 성모키는 숫자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운모와 부성운모는 단운모 뒤에 규칙적으로 붙어 사용되는 n, ng, er을 해당 단운모 8 키에 i, in, ing, 9 키에 u, un, 0 키에 o,ong, # 키에 e, en, eng, er, * 키에 a, an, ang를 각기 토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병음 입력모드에서 운모의 입력에 의해 상용음이 이루어 지면, 상기 1 내지 7의 각 성모키는 성조 표시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성조 표시 입력모드로 전환 시 상기 표시부의 한자표시라인에 성조표시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8 키, 9 키는 결합운모 철자 규칙에 따라 병음 첫음으로 입력될 때 성모역할을 하는 y,w로 입력되고, 병음 둘째음부터는 y는 i로, w는 u로 운모에 각기 입력되며, 이를 셋트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이 있고, 병음성조가 표시되는 메시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KR1020080085807A 2008-09-01 2008-09-01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KR20100026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07A KR20100026699A (ko) 2008-09-01 2008-09-01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CN2009101715867A CN101667068B (zh) 2008-09-01 2009-09-01 用于便携式装置的拼音输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07A KR20100026699A (ko) 2008-09-01 2008-09-01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99A true KR20100026699A (ko) 2010-03-10

Family

ID=4180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807A KR20100026699A (ko) 2008-09-01 2008-09-01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26699A (ko)
CN (1) CN1016670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639B1 (ko) * 2012-07-13 2014-12-30 박종현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광판에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5577A (zh) * 2014-04-01 2014-09-10 上海网达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声韵的中文输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2473A (zh) * 1999-02-02 2000-08-09 乔永军 小型数字键盘拼音汉字输入方法
TW535100B (en) * 1999-12-22 2003-06-01 Qcode Chinese Comp Ltd Q9 Pin-yi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keyboard thereof
CN1317906B (zh) * 2001-05-19 2010-05-26 刘君度 移动通信与计算机信息处理中英文数字化输入集成系统
KR100781363B1 (ko) * 2006-02-10 2007-11-30 박정주 중국어 한어병음 입력 키패드 배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639B1 (ko) * 2012-07-13 2014-12-30 박종현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광판에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7068A (zh) 2010-03-10
CN101667068B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045B2 (en) Chinese input method using pinyin plus tones
CN101089795B (zh) 单击与并击输入中英文的方法和键盘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TWI222596B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KR20100026699A (ko) 휴대장치의 병음입력방법
Dasgupta et al. A speech enabled Indian language text to Braille transliteration system
WO202003601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850242B (zh) 一种汉字拼音输入法及利用该输入法编码汉字的方法
TW201314498A (zh) 嵌合字根式中文輸入法
CN101071336A (zh) 键盘国际音标英汉文字转换输入法
JP5742070B1 (ja) 中国語電子機器の入力方式
KR101140767B1 (ko)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CN107256092B (zh) 汉字数字形码快速输入法
JP2009129438A (ja) 携帯入力装置
KR100804316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N109343720A (zh) 用于触屏设备的汉语拼音虚拟键盘及汉字拼音输入法
CN103176616A (zh) 古琴减字谱字符的输入方法和装置
JP2014155215A (ja) かな文字の入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キーボード
JP4761234B2 (ja) 携帯入力端末の入力方式
CN103257717A (zh) 实用型吴语上海话输入法拼音方案及键盘
CN100419650C (zh) 双声码汉字输入法
KR100982086B1 (ko)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Dey et al. Voice key board: multimodal indic text input
JPH08179868A (ja) キー入力装置
CN110955337A (zh) 一种文字输入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