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086B1 -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086B1
KR100982086B1 KR1020080045764A KR20080045764A KR100982086B1 KR 100982086 B1 KR100982086 B1 KR 100982086B1 KR 1020080045764 A KR1020080045764 A KR 1020080045764A KR 20080045764 A KR20080045764 A KR 20080045764A KR 100982086 B1 KR100982086 B1 KR 10098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ai
keypad array
area
vowel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613A (ko
Inventor
정홍재
Original Assignee
정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재 filed Critical 정홍재
Priority to KR102008004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0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M)으로 대표되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표음문자인 태국어의 표기방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하고, 키패드어레이는; 상기 키패드어레이 상에서 사용자조작이 용이한 선택적인 키패드어레이 상에서의 키버턴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키에 표제음으로 배당하여 모음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음영역에 인접한 키버턴에 반모음영역을 배당하며, 상기 키패드어레이에서 상기 모음영역을 제외한 키버턴은 자음영역을 구성하며, 상기 자음영역에 배당되는 자음은 구강내에서의 발음의 위치 또는 발음기구의 유사성에 따라서 할당되어 지고, 상기 모음영역-반모음영역과 자음영역의 조합된 키버턴의 조작으로서 모든 자모를 완성하여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상적인 유추에 의한 인지와 발음 상의 습관적인 연관성을 통하여 용이하게 숙지하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변환을 위한 키조작의 수를 극소화할 수 있는 유용성 즉, 더욱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회수를 최소화하고 통일한 직관성을 제공함으로서 문자입력의 효용성을 최대한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R1020080045764
휴대폰, 키패드, 태국어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A keypad array and its inputing method of mobile phone for Thai languag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폰, PDA 등의 휴대단말기 또는 키보드 등의 문자 입력의 자판에서의 태국어 입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가지는 배열의 키패드어레이(Array of keypads)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그 사용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 PDA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에서 머신-휴먼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키패드의 사용은 단순한 입력번호의 조작에서 단문(SMS)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으로 그 응용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영어 또는 이러한 영어와 유사한 모-자음체계를 가지는 언어에서는 해당 언어의 자, 모음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서 비교적 문자의 입력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고 휴대기기가 발전한 서구에서 점차 아시아, 유럽 등의 국가로 확산 되어 사용되고 있다.
표의문자나 표음문자를 가리지 않고 현재의 문자입력체계는 대부분 발음을 기준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휴대폰 등의 기기가 영미 선진국, 한국, 일본 등의 기술주도국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는 관계로 소수언어국가나 특정 아시아권 등의 국가의 언어에 적용하기 위한 휴대폰 등의 기기에서의 문자입력체계는 아직 완성되어 있지 아니하다.
예를 들어 차이나 티벳어족의 차이나-타이어파에 속하는 태국어는 "루엉 프라방" 라고 불리우는 표음문자를 그 표기에 사용하고 있고, 루엉 프라방 문자의 입력은 현재 현지에서 판매되는 휴대 단말기등에 표기되어 있는 방식(도1) 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그 방식이 비효율적이고도 대단히 불편하여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키버턴에 표기되어 있는 영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그들의 언어를 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태국어 표기법인 루엉 프라방에 대한 어떠한 문자특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종래로부터의 휴대폰문자자판 방식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방대한 지역에 거주하고 잇는 대다수 타이족이 사용하고 있는 태국어의 입력은 종래로부터도 영문자판을 사용하여 태국어의 발음대로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여 사용하여 옴으로서 초기 사용자가 영문자판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데에 익숙하여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표준화되지 못하여 사용상의 어려움을 주고 있어 태국어권의 휴대단말기의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고, 태국어의 표기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의 자모가 조합되어 구현되는 표음 문자의 특성을 살려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문자입력을 위하여 최적화되고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구성의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함으로서 태국어권의 수출사양의 휴대폰에 적용하거나, 또는 태국어 사용권 국가에서 적용함으로서 문자입력의 어려움에 기인하는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태국어의 표기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는 모음 32 개와 자음 44 개를 사용하는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키패드의 조합을 제공하면 영어입력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나 독자적인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태국어권의 문자 입력이 표준화되어 있지 아니한 시점에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제공은 최적의 효율성을 제공함으로써 수출사양에 적용하여 기술적인 선점과 독점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동남아시아 내의 방대한 지역 및 인구를 가지고 있는 태국에서 표준화하여 가는 태국어의 표기방식을 적용한 휴대단말기에서의 효율적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키패드어레이는 반드시 요청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는 종래의 타이문자 입력방식 및 영어 알파벳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태국어표기용 문자인 루엉 프라방 문자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연상적인 유추에 의한 인지와 발음상의 습관적인 연관성을 통하여 용이하게 숙지하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변환을 위한 키조작의 수를 극소화할 수 있는 유용성 즉, 더욱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회수를 최소화하고 통일한 직관성을 제공함으로서 문자입력의 효용 성을 최대한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태국어 입력을 위한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키패드의 구성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위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예시적인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 모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 자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 마찰음 및 비음과 반모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위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예시적인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의 루엉 프라방 문자에서의 형태적인 유사성이 있는 자음간의 변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 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종래로부터 일반화된 휴대단말기의 대표적인 휴대폰(M)에서,
키패드(K)는 그 평면도에서와 같이, 다수의 키버턴(B) 상에 타이문자의 경우, 사용빈도나 형태적인 어떠한 고려도 없이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1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2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3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4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5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6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7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8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09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0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1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2
...와 같이 단순히 자모음들의 순으로 그룹핑(G)되어 배열되어 있다.
이는 제한된 키패드의 숫자에 부합하게 배열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현재 대부분의 휴대폰에 적용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의 키패드(K)의 키버턴(B)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어떠한 키버턴(B)에 어떠한 타이문자가 배당되어 있는지를 확실하게 기억하기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단순히 그룹핑되어 있는 그룹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키패드(K)를 주시하여 자기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어는 키버턴(B)의 타이문자 그룹(G)에 배당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다시 그 문자가 해당 키버턴(B) 상에서 몇 번째에 위치해 있는지를 인지한 후에, 해당 키버턴(B)을 누르고 해당문자가 나타날 때 까지 반복적인 키버턴(B)을 눌러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3
'(터) 라면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4
' 가 배당된 키버턴(B)이 뉴메릭 '4' 키의 그룹(G)에 배당되어 있음을 인식한 이후, 다시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5
' 가 뉴메릭 '4'키의 4번째에 위치함을 인식한 후에 뉴메릭 '4' 을 4번 눌러 해당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 타이문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의 대단한 주의력과 집중력이 필요하며 각각의 키버턴에 배당되어 있는 자모음들의 수가 많음으로 해서 동일한 버턴을 여러번 눌러야 하는 큰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 도 2와 도 6의 구성의 키패드어레이로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하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 4 5 와 함께 간단한 태국어 표기법을 타이문자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고, 도 2에서 제1의 실시예를, 도 6에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 루엉 프라방 문자와 표기법 ]
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루엉 프라방" 문자는 32의 기본모음과 44개의 자음을 조합하여 표기하는 표음문자이다.
모음은 도 3 에서와 같이,
아(1) , 이(3) , 으(5) , 우(7) , 에(9) , 애(11) , 오(13) , 어(15) , 우워(17) , 이야(19) , 으어(21) , 어으(23) , 아이(25) , 아오(27) , 르(29),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6
(31)을 기본으로 하여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장모음 아-(2) , 이-(4) , 으-(6) , 우-(8) , 에-(10) , 애-(12) , 오-(14) ,어-(16) , 우워(18) , 이야(20) , 으어(22) , 어으-(24) , 아이(26) , 암(28) , 르-(30)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7
-(32)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어으(23), 어으(24), 르(29), 르-(30),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8
(31),
Figure 112008034977237-pat00019
-(32)는 한국어로 정확히 발음을 표기할 수 없다.
자음은 도 4의 도표에서와 같이, 조음의 위치로 분류한
연구개음의 꺼(40), 커(41), 커(42), 커(43), 커(44), 커(45)
경구개음의 쩌(50), 처(51), 처(52), 처(53),
치경음의 더(60), 떠(61), 터(62), 터(63), 터(64), 더(65), 떠(66), 터(67), 터(68), 터(69)
양순음의 버(70), 뻐(71), 퍼(72), 훠(73), 퍼(74), 훠(75), 퍼(76)
도 5에서와 같이, 조음의 방법으로 분류한
마찰음의 써(80), 써(81), 써(82), 써(83), 허(84), 허(85)
비음의 응어(90), 여(91), 너(92), 너(93), 머(94)이 있으며,
자음의 형태로 모음의 음가를 가지고 있는
반모음의 여(100), 워(101) 와
설전음 러(102)
설측음 러(103) , 러(104) 가 존재하게 된다.
설전음 러(102) 는 영어 발음으로 R 에 가깝고 설측음 러(103. 104) 는 L 발음에 가깝다.
[제 1 실시 예 ]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제 1실시예가 도 2 에 통상적인 휴대폰(M)의 키패드의 각각의 조작 키에 구현된 키패드어레이(K1)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태국어의 발음을 위한 발음역학적인 관점, 특히 구강부위와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배열함으로서 용이한 숙지와 사용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휴대폰(M)의 키패드어레이(K1)의 각각의 키버턴(B)에서 사용자의 우측 엄지가 가장 근접하기 용이한 위치, 본 실시예에서는 키버턴(B)이 구성하는 패드어레이(K1)의 우측 상하 라인을 모음영역(VA)로 한다.
이 모음영역(VA)은 다양한 위치 즉, 좌상하라인 또는 상단라인에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음과 조합하여 표기하므로 오른손 사용자의 다사용빈도의 손가락인 엄지손가락이 가장 근접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모음영역(VA)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모음 아-(2) 와 이-(4)를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그룹핑하고, 장모음 으-(6)와 우-(8)를 역시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그룹핑하고, 장모음 에-(10) 와 애-(12)를 역시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그룹핑하고, 장모음 어-(16) 와 오-(14) 를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그룹핑하여 각각 키버턴(B)에 배당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 키버턴(B)의 할당의 기준은 태국어 사전에서의 모음순서와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모음영역(VA)의 각각의 키버턴(B)의 표제음을 사전 게재순을 원칙으로 배당하되, 장모음들이 단모음들보다 그 사용빈도가 높음으로 해서 각각의 키버턴에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배당 되었으며, 장모음 어-(16) 가 장모음 오-(14) 보다 사용빈도가 높음으로 표제음으로 배당된 예외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각각의 키패드어레이(K1)의 표제음이 아닌 2번째 모음인 이-(4), 우-(8), 애-(12), 오-(14)는 해당 키버턴(B)을 2회 눌러줌으로서 표시될 것이다.
상기하는 기본적인 표기에 대하여 각각의 단음 아(1) 이(3) 으(5) 우(7) 에(9)애(11) 어(15 ) , 오(13 )는 모음영역(VA)의 해당 키버턴(B)에 대하여 시프 트키(S)를 누르면 전환이 되도록 한다.
위의 언급된 모음영역(VA)에 위치한 각각의 키버턴에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배당되어 있는 기본모음들외의 우워(17) 우워(18) 이야(19) 이야(20) 으어(21) 으어(22) 어으(23) 어으-(24) 아이(25) 아이(26) 아오(27) 암(28) 들은 각 기본모음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아이(25) 와 아이(26) 는 사용자의 용이한 숙지를 위하여 그 발음상, 3번 키버턴에 배당되어 있는 모음 아-(2) , 이-(4) 에 연속적인 발음의 형태와 연관시켜 한, 두 번 길게 누르면 표기되도록 하였다.
또한 모음 르(29) 와
Figure 112008034977237-pat00020
(31)는 그 발음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반모음영역(SVA)에 포함시켜 표기하도록 한다.
모음영역(VA)에 인접한 위치, 도면에서는 모음영역(VA)의 왼쪽 옆 8번 키버턴 자리에 반모음영역(SVA)을 구성한다.
반모음영역(SVA)에는 러(102), 여(100)를 그룹핑하여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배당하고 시프트키(S)의 조작으로서 러(103), 러(104), 워(101) 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제음인 여(100) 는 반모음 역할을 하면서 경구개음의 성질을 가지는 자음으로 2번 키버턴의 경구개음부에 배당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키패드어레이(K1)의 좌측영역이 자음영역(CA)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자음의 구강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인 연구개음, 경구개음, 치경음, 양순음, 마찰음과 비음군들의 각각의 자음들은 그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배당되며 표제음과 부제음이 아닌 자음들도 빈도순으로 배당되어 져서 시프트키(S)의 조작으로서 구현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의 주요한 키패드어레이(K1)의 배열원칙은 모음의 경우에는 사전출현순서와 사용빈도를 기준으로 하고,
자음의 경우에는 각각의 발음이 이루어지는 구강 내에서의 조음의 위치(연구개음, 경구개음, 치경음, 양순음)와 조음의 방법(마찰음, 비음)을 기준으로 함과 동시에 그 사용빈도순을 적용하여 배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미 익숙한 발음체계를 적용하는 것이다.
그밖에 태국어의 특징인 성조를 나타내는 부호들 및 주요부호들은 해당 키버턴(B)의 조작 (세 번 누름)에 의하여 각각의 부호들이 표기되도록 하였다. 예를들어 제 2 성조부호인 ‘ + ’ 는 # 키버턴에 배당하여 세 번 누르면 나타나도록 하였고 장모음을 단모음화 시키는 부호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21
’ 는 8번 키버턴을 세 번 누르면 표기되는 식이다.
또한 숫자(뉴메릭)는 *과 #키버턴을 제외한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키버턴을 4번 연속으로 누르면 숫자가 나타내어지도록 한다.
[2 실시예 ]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제 2실시예가 도 6 에 통상적인 휴대폰(M)의 키패드의 각각의 조작 키에 구현된 키패드어레이(K2)로서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표음문자인 루엉 프라방 문자의 디자인적이고도 형태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배열함으로서, 이미 개념과 시각적으로 익숙한 태국어 사용 자의 용이한 숙지와 사용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루엉 프라방 문자의 설명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듯이 루엉 프라방 문자는 발음의 유사성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의 형태 간에는 연관성이 미미하다.
예를 들면, 연구개음의 '꺼(40)' 와 '커(41)' '커(43)' 는 그 발음의 유사성과 구강 내에서의 발성위치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문자 '꺼(40)'와 문자 '커(41)' 문자 '커(42)는 어떠한 형태적인 유사성이 있지 않고 문자 '꺼(40)'는 오히려 문자 '터(67)' 문자 '퍼(76)' 와 유사하고 문자 '커(41)'는 문자 '처(52)'와 유사한 형태를, 문자 '커(43)'는 문자 '떠(66)' 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적으로 유사한 문자는 사용자가 오랜 사용에 의한 관습과 연상작용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유사한 형태의 문자를 그룹핑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룹핑된 문자조합의 표제음을 키패드에 표시하고 그룹핑된 조합의 다른 문자는 시프트(Shift) 키를 누름으로서 변환되게 하고, 태국어의 사용빈도에 따라서 표제음과 부제음은 상호 위치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6 에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이러한 형태학적인 기준을 반영하여 구현한 키패드어레이(K2)를 가지는 휴대폰(M)이 도시되어 있다.
휴대폰(M)의 키패드어레이(K2)의 모음영역(VA)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우측상하라인 상에 배치하고 아-(2) , 이-(4) 를 그룹핑하고,
으-(6) , 우-(8) 를 그룹핑하고, 에-(10) , 애-(12) 를 그룹핑하고,
어-(14) , 오-(12)를 그룹핑하여, 각각 키버턴(B)에 배당하여 사용하고 태국어 사전의 모음순서와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모음영역(VA)의 각각의 키버턴(B)의 표제음을 사전 게재순으로 배당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채용하고,
상기하는 기본적인 표기에 대하여 가가의 단음 아(1) 이(3) 으(5) 우(7) 에(9) 애(11) 어(15) 오(13) 는 모음영역(VA) 의 해당 키버턴(B)에 대하여 시프트키(S)를 누르면 전환이 되도록 하는 동일한 방법을 채용한다.
그러나, 자음의 배열의 경우에는 도 6 의 자음영역(CA)에서와 같이,
키버턴(B)에 형태적으로 유사한 문자를 그룹핑시키고, 그룹핑된 문자 중, 사용빈도수가 높은 문자를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배당하고 시프트키(S)의 조작으로서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문자들을 사용빈도순으로 배당하여 사용한다.
즉 도 6 과 도 7 의 키패드어레이(K2)에서와 같이,
꺼(40)-터(67), 커(41)-써(80), 커(43)-더(65), 응어(90)-워(101), 러(102)-러(103 ), 너(93)-버(70), 허(84)-퍼(72) 를 각각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키패드어레이(K2)의 자음영역(CA)에 배당하고,
각각의 꺼(40), 터(67), 커(41), 써(80), 커(43), 더(65), 응어(90), 워(101), 러(102), 러(103) , 너(93), 버(70), 허(84), 퍼(72)의 키버턴(B)의 선택 위치에서 시프트키(S)를 누르면 가장 형상이 유사한 문자가 표시되게 한다. 즉,
꺼(40)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너(92), 여(91), 르(29 ),
Figure 112008034977237-pat00022
(31) 가 연속하여서 표시되는 식이다. 모음 르(29) 와
Figure 112008034977237-pat00023
(31) 는 그 형태가 자음 꺼(40)와 아주 유사하여 배열되어 있다.
터(67)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퍼(76), 처(53), 더(60 ), 떠(61)
커(41)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처(52),
써(80)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커(45), 커(42),
커(43)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떠(66), 써(81),
더(65)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터(64), 커(44),
응어(90)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여(100), 허(85)
워(101)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쩌(50), 처(51),
러(102)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터(69), 터(62),
러(103)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써(83),
너(93)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머(94),
버(70)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뻐(71), 써(82)
허(84)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터(68), 터(63),
퍼(72)의 시프트키(S) 변환 시에는 가장 형태가 유사한 퍼(74), 훠(73), 훠(75), 러(104) 를 각각 배당함으로서 가장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그룹핑함으로서, 하나의 언어와 문자로서 이를 장기간 사용하여 연상적으로 유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태국어 사용자들의 문자 입력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태국어 입력을 위한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키패드의 구성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위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예시적인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 모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 자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 마찰음과 비음 및 반모음과 설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를 위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예시적인 휴대단말기 등에서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의 설명을 위한 태국어의 루엉 프라방 문자에서의 형태적인 유사성이 있는 자음간의 변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휴대폰
K,K1,K2,K3: 키패드어레이

Claims (10)

  1. 휴대폰(M)으로 대표되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표음문자인 태국어의 표기방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하고, 상기 키패드어레이는;
    키패드어레이 상에서 사용자조작이 용이한 선택적인 키패드어레이(K1) 상에서의 키버턴(B)의 영역에 태국어 사전에서의 모음순서와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키에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하여 모음영역(VA)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음영역(VA)에 인접한 키버턴(B)에 반모음영역(SVA)을 배당하며,
    상기 키패드어레이(K1)에서 상기 모음영역(VA)을 제외한 키버턴(B)은 자음영역(CA)을 구성하며, 상기 자음영역(CA)에 배당되는 자음은 구강 내에서의 조음의 위치와 발성을 위한 조음의 방법의 유사성에 따라서 할당되어 지고, 문자입력 시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가 많은 순으로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되며,
    상기 모음영역(VA)-반모음영역(SVA)과 자음영역(CA)의 조합된 키버턴(B)의 조작으로서 모든 자모를 구성하여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2. 휴대폰(M)으로 대표되는 휴대단말기 등에서,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표음문자인 태국어의 표기방법인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어레이를 제공하고, 상기 키패드어레이는;
    키패드어레이 상에서 사용자조작이 용이한 선택적인 키패드어레이(K1) 상에서의 키버턴(B)의 영역에 태국어 사전에서의 모음순서와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키에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하여 모음영역(VA)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음영역(VA)에 인접한 키버턴(B)에 반모음영역(SVA)을 배당하며,
    상기 키패드어레이(K2)에서 상기 모음영역(VA)을 제외한 키버턴(B)은 자음영역(CA)을 구성하며, 상기 자음영역(CA)에 배당되는 자음은 자음문자의 형태적이고 기하학적인 형상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하여 할당되어 지고, 문자입력 시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가 많은 순으로 표제음 및 부제음으로 배당되며,
    상기 모음영역(VA)-반모음영역(SVA)과 자음영역(CA)의 조합된 키버턴(B)의 조작으로서 모든 자모를 구성하여 루엉 프라방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어레이(K1)에서의 모음영역(VA)은 좌상하라인어레이 또는 상단라인어레이에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엉 프라방 문자의 표기에 필요한 성조를 나타내는 부호 및 특수부호들은 상기 해당 키버턴(B)의 조작( 연속 3번 누름 )에 의하여 표기되어지고 연속 4번 누름에 의하여 숫자(뉴메릭)가 표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엉 프라방 문자들중 중복자음 및 중복모음과 일부 음절모음을 상기 해당 키버턴(B)의 조작( 0.5초 이내의 1번 또는 2번 길게 누름 )에 의하여 표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어레이(K1)의 해당 키버턴(B)에서의 시프트키(S) 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되어 나타내어 지는 자음들은 문자입력 시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가 많은 순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의 단음들은 별도로 설정된 시프트키(S)의 사용으로 전환되고,
    상기 표제음과 부제음으로 설정된 자음들외의 자음들은 별도로 설정된 시프트키(S)의 사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턴(B)의 조작방법은 키의 1회 누름은 상기 키패드어레이의 모음영역(VA)과 자음영역(CA)의 표제음이 입력되고, 연속 2 회의 키의 누름은 해당 키패드어레이의 표제음에 종속되어 할당된 부제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9.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어레이는 태국어 입력용의 개인용컴퓨터의 키보드에 적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10.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어레이는 태국어의 표기방식인 타이문자의 전신인 인도 브라프미문자에서 유래되고 전파되어 형성된 티벳어, 라오스어, 크메르어, 미얀마어 등의 문자 입력에 유사 내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는 키패드어레이를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KR1020080045764A 2008-05-16 2008-05-16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KR10098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764A KR100982086B1 (ko) 2008-05-16 2008-05-16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764A KR100982086B1 (ko) 2008-05-16 2008-05-16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13A KR20090119613A (ko) 2009-11-19
KR100982086B1 true KR100982086B1 (ko) 2010-09-13

Family

ID=4160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764A KR100982086B1 (ko) 2008-05-16 2008-05-16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04B1 (ko) * 2009-11-24 2012-05-08 윤정호 태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89A (ko) * 1997-10-10 1999-05-25 모토로라, 인크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JPH11353096A (ja) 1998-06-10 1999-12-24 Sharp Corp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20010020973A (ko) * 1999-06-09 2001-03-15 김민겸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6934564B2 (en) 2001-12-20 2005-08-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ndi input to a device using a numeric key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89A (ko) * 1997-10-10 1999-05-25 모토로라, 인크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JPH11353096A (ja) 1998-06-10 1999-12-24 Sharp Corp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20010020973A (ko) * 1999-06-09 2001-03-15 김민겸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6934564B2 (en) 2001-12-20 2005-08-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ndi input to a device using a numeric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13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8539B (zh) 现代汉语信息全息拉丁化汉语语音码处理法
US20100125449A1 (en) Integratd phonetic Chinese system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CN102253728B (zh) 一种声韵双拼汉字输入法及其虚拟键盘
KR100982086B1 (ko)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KR20080099060A (ko) 러시아어권역 언어의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용키패드어레이
CN101071336A (zh) 键盘国际音标英汉文字转换输入法
CN1195265C (zh) 一种汉语拼音简捷全拼输入法
CN101667068B (zh) 用于便携式装置的拼音输入方法
CN102368177B (zh) 新汉字声韵输入方法及输入键盘
KR200421161Y1 (ko)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CN101093417A (zh) 中文标准键盘及千字文置换输入法
WO2011035705A1 (zh) 一种数序码元键盘及其信息输入方法
CN101515207A (zh) 全球语言在键盘上的通用有声输入法
CN100498663C (zh) 一种利用韩文字母输入汉字的方法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CN100419650C (zh) 双声码汉字输入法
JPH021011A (ja) 2ストローク用キー配列のキーボード
CN100498655C (zh) 简化汉语拼音两键输入法
WO2023124573A1 (zh) 数字化新语言及其输入方法、输入工具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CN107066104B (zh) 电脑汉英互读互译键盘最佳键位
KR20080083986A (ko)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힌디어용 키패드어레이
JP3072312U (ja) 情報機器用片手操作キーボード
JP2001075707A (ja) 本キーボードの形に於ける、文字配列
CN102622098A (zh) 新音形编码汉字输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