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325A - 척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325A
KR20100026325A KR1020080085296A KR20080085296A KR20100026325A KR 20100026325 A KR20100026325 A KR 20100026325A KR 1020080085296 A KR1020080085296 A KR 1020080085296A KR 20080085296 A KR20080085296 A KR 20080085296A KR 20100026325 A KR20100026325 A KR 2010002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outer cap
head
set screw
pedic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하정
Original Assignee
한창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창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325A/ko
Publication of KR2010002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5Elements to be fitted on the end of screws or wires, e.g. protective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7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pivoting is blocked when the rod is clamped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 둘레에 테이퍼면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구비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페디클 스크류;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분기부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키는 로드;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씌워지고, 내측면 상단부 둘레에 상기 헤드의 테이퍼면에 접촉되도록 다른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단 둘레에 곡면이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된 외부캡;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외부캡의 상단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상기 외부캡의 곡면과 함께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만곡면이 형성된 세트 스크류;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외부캡의 둘레가 육각형이나 팔각형과 같은 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은 외부캡이 풀리려 할 시 그 회전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다. 따라서 각형의 외부캡 둘레에 살이 차 올라서 그 둘레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외부캡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고정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페디클 스크류, 로드, 외부캡, 세트 스크류, 각형

Description

척추 고정장치{Apparatus for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본 발명은 척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캡 및 세트 스크류의 풀림이 방지되고 낮은 프로파일을 구현할 수 있는 척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주로 뼈의 골절 및 기형 부위를 고정하여 치료하는 체내외 고정장치와, 척추 및 디스크 환자의 골절이나 손상된 척추골의 해당 부위에 생체용 금속(implant)을 삽입하여 치료하는 척추 고정장치로 구분된다. 이러한 고정장치들은 초기 시수시의 상태를 임상 조건에서 요구하는 시간 동안 충분히 유지하여야만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형 및 신경외과에서 적용되는 의료기술은 시술에 필요한 의료기기의 품질 및 신뢰성에 크게 좌우된다.
척추 고정장치는, 어떤 원인에 의해 척추에 이상이 발생된 환자를 수술에 의해 치료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들 들면, 척추 골절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에, 척추를 이루는 각 척추골을 척추용 고정장치를 통해서 상호 연결함으로써, 척추가 정상의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돕게 된다. 환자는 척추 고정장치를 이식한 상태에서 반 영구적으로 생활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보조물은 단순하면서도 오랜 시간동안의 인체 활동에 의해서도 보조물이 변형되거나 체결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 척추 고정장치는 보통 척추에 고정되는 페디클 스크류와,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안착되어서 척추를 고정하는 로드와,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씌워지는 외부캡과,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체결되어서 로드를 지지하는 세트 스크류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척추 고정장치는, 그 외부캡의 둘레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외부캡이 신체 내에 이식된 상태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그러므로 외부캡이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고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신체에 이식된 외부캡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면, 연쇄적으로 세트 스크류의 이완현상도 발생된다. 신체가 움직이면서 외부캡이 서서히 풀림에 따라 세트 스크류도 풀리게 된다. 세트 스크류가 풀리면 로드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재수술을 해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에 이식된 외부캡 및 세트 스크류가 풀리지 않도록 한 척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프로파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는, 상부에 분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의 내측면 둘레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부 둘레에 테이퍼면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깊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페디클 스크류;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분기부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키는 로드;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씌워지고, 내측면 상단부 둘레에 상기 헤드의 테이퍼면에 접촉되도록 다른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단 둘레에 곡면이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된 외부캡;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외부캡의 상단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상기 외부캡의 곡면과 함께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만곡면이 형성된 세트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는, 상부에 분기부가 형 성되고 상기 분기부의 내측면 둘레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깊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페디클 스크류;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분기부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키는 로드;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헤드에 씌워지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내주면 상단에는 한쌍의 리브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의 평면을 포함한 상부면 전체가 평평하도록 형성되고,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된 외부캡; 상기 페디클 스크류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리브들의 단부 둘레를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는 세트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외부캡은, 팔각형이나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외부캡은, 살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서 상기 외부캡이 회전되려할 시 이들 사이의 접촉저항이 극대화되면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그 둘레에 저항홈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세트 스크류는, 상기 로드의 상부 둘레와 접촉면을 증대시키고 상기 세트 스크류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그 저면에 터널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터널형홈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들이 더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캡의 둘레가 육각형이나 팔각형과 같은 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은 외부캡이 풀리려 할 시 그 회전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다. 따라서 각형의 외부캡 둘레에 살이 차 올라서 그 둘레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외부캡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고정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외부캡의 둘레에는 저항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캡의 둘레에 살이 차 올라와서 밀착될 시 살들이 저항홈들에 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살과 외부캡의 밀착력이 그만큼 향상된다.
세트 스크류를 조이면 저면에 형성된 터널형홈이 로드의 둘레에 비교적 넓게 면접촉되면서 밀착된다. 이러한 세트 스크류가 풀리려면 터널형홈이 로드의 둘레를 완전히 벗어날 정도로 세트 스크류를 강하게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세트 스크류의 터널형홈과 로드의 둘레가 밀착되도록 세트 스크류를 조인 후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세트 스크류를 풀지 않는 한, 신체의 심한 움직임에도 세트 스크류가 풀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는, 페디클 스크류(10)와, 로드(20)와, 외부캡(30)과, 세트 스크류(40)로 이루어진다.
페디클 스크류(10)는, 헤드(11)와 수나사부(15)로 이루어진다. 헤드(11)는, 상부에 분기부(12)가 형성되고, 분기부(12)의 내측면 둘레에 암나사부(13)가 형성되며, 상단부 둘레에 테이퍼면(14)이 형성된다. 분기부(12)는 헤드(11)의 총 높이 중 3/4 정도까지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헤드(11)의 총 높이 중 상단의 1/4 정도는 테이퍼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5)는, 헤드(1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깊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다.
로드(20)는, 페디클 스크류(10)의 분기부(12)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외부캡(30)은, 페디클 스크류(10)의 헤드(11)에 씌워지고, 내측면 상단부 둘레에 헤드(11)의 테이퍼면(14)에 접촉되도록 다른 테이퍼면(34)이 형성되며, 상단 둘레에는 곡면(35)이 형성된다. 이 외부캡(30)은 상단 중앙에 나사구멍(31)이 형성되고,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캡(30)의 둘레는 단면 두께가 일정한 자유단부(32)와, 이 자유단부(32)를 지지하고 이에 탄력을 제공하는 보강부(33)로 이루어진다. 이 보강부(33)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면(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캡(30)을 페디클 스크류(10) 의 헤드(11)에 결합시키면 헤드(11)의 테이퍼면(14)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외부캡(30)의 보강부(33)는 다른 부분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서 자유단부(32)에 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자유단부(32)가 헤드(11)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한다.
세트 스크류(40)는, 페디클 스크류(10)의 암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4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부캡(30)의 상단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42)가 형성된다. 플랜지(42)의 상면에는 외부캡(30)의 곡면(35)과 함께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만곡면(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캡(30)의 곡면(35)과 세트 스크류(40)의 만곡면(43)이 자연스러운 곡률을 이루므로 척추 고정장치가 신체 내부에 이식되어도 그 모서리 부위가 외측으로 불쑥 튀어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척추 고정장치는, 고정할 척추의 형태에 따라 페디클 스크류(10)의 수나사부(15)를 척추에 고정시킨다. 헤드(11)의 분기부(12)에 로드(20)를 삽입하기 위해 고정된 페디클 스크류(10)를 따라 로드(20)를 절곡시킨다. 절곡된 로드(20)를 헤드(11)의 분기부(12)에 삽입시킨다. 외부캡(30)을 페디클 스크류(10)의 헤드(11)에 삽입시키고 세트 스크류(40)를 외부캡(30)의 나사구멍(31) 및 헤드(11)의 암나사부(13)에 체결시킨다. 세트 스크류(40)가 조여짐에 따라 외부캡(30) 및 로드(20)는 페디클 스크류(10)에 지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는 외부캡(30)의 둘레가 팔각형으로 이루어 지므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은 외부캡(30)이 풀리려 할 시 그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다. 따라서 각형의 외부캡(30) 둘레에 살이 차 올라서 그 둘레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외부캡(30)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외부캡(30)의 이식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세트 스크류(40)는 플랜지(42)가 외부캡(30)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외부캡(30)의 곡면(35)과 세트 스크류(40)의 만곡면(43)이 하나의 곡률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외부캡(30)의 곡면(35)과 세트 스크류(40)의 만곡면(43)이 자연스러운 곡률을 이루므로 척추 고정장치가 신체 내부에 이식되어도 그 모서리 부위가 외측으로 불쑥 튀어나오는 문제가 방지된다.
도 5는 세트 스크류(5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세트 스크류(50)의 사용상태 측면도들이다. 이러한 세트 스크류(50)는, 로드(20)의 상부 둘레와 접촉면을 증대시키고 세트 스크류(5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그 저면에 터널형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트 스크류(50)를 계속 조인 후 마지막으로 반바퀴 이하를 더 회전시키면, 즉 도 6a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회전시키면 세트 스크류(50)의 터널형홈(51)이 로드(20)의 둘레에 비교적 넓게 면접촉되면서 밀착된다. 이와 같이 세트 스크류(50)의 터널형홈(51)과 로드(20)의 둘레가 밀착되면 세트 스크류(50)가 좀처럼 풀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결합된 세트 스크류(50)를 풀려면 터널형홈(51)이 로드(20)의 둘 레를 완전히 벗어날 정도로 세트 스크류(50)를 강하게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세트 스크류(50)의 터널형홈(51)과 로드(20)의 둘레가 밀착되도록 세트 스크류(50)를 조인 후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큰 힘으로 세트 스크류(50)를 풀지 않는 한, 신체의 심한 움직임에도 세트 스크류(50)가 풀리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트 스크류(6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세트 스크류(60)의 터널형홈(61) 내주면에 다수의 마찰돌기(6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트 스크류(60)가 도 7과 같이 조여지면 터널형홈(61)의 마찰돌기(62)들이 로드(20)의 둘레에 밀착되면서 이들 사이의 마찰저항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세트 스크류(60)가 로드(2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며, 풀림이 방지된다.
도 8은 외부캡(7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써, 이는, 살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서 외부캡(70)이 회전되려할 시 이들 사이의 접촉저항이 극대화되면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그 둘레에 저항홈(7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캡(70)이 신체에 이식된 후 기간이 경과되면 외부캡(70)의 둘레에 살이 차 올라와서 밀착되면서 살들이 저항홈(71)들에 박히게 된다. 따라서 살과 외부캡(70)의 밀착력이 그만큼 향상되므로 외부캡(70)의 풀림이 더욱 방지된다.
도 9는 외부캡(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로써, 이는, 외부 캡(80)의 둘레가 육각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외부캡(80)은 도 1 내지 도 8의 외부캡(30)(70)에 비해 그 형태만 다를 뿐, 그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즉, 전체 둘레가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된 점은 동일하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들로써, 도 10은 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러한 척추 고정장치는, 페디클 스크류(90), 로드(20), 외부캡(100), 세트 스크류(110)로 이루어진다.
페디클 스크류(90)는 상부에 분기부(92)가 형성되고 분기부(92)의 내측면 둘레에 암나사부(93)가 형성된 헤드(91)와, 헤드(9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깊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 수나사부(94)로 이루어진다.
로드(20)는, 페디클 스크류(90)의 분기부(92)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킨다.
외부캡(100)은, 페디클 스크류(90)의 헤드(91)에 씌워지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내주면 상단에는 한쌍의 리브(101)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리브(101)의 평면을 포함한 상부면 전체가 평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세트 스크류(110)는, 페디클 스크류(90)의 암나사부(9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94)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리브(101)들의 단부 둘레를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4의 척추 고정장치와 마찬가지로 외부캡(100)의 둘레가 팔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은 외부캡(100)이 풀리려 할 시 그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다. 따라서 각형의 외부캡(100) 둘레에 살이 차 올라서 그 둘레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외부캡(100)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외부캡(100)의 이식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의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특징은, 외부캡(100)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외부캡(100)에 형성된 한쌍의 리브(101)는 그 자유단부측이 재질에 따라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탄력을 갖는다. 따라서 세트 스크류(110)의 플랜지(112)를 외부캡(100)의 리브(101) 하측에 대향시킨 후 세트 스크류(110)를 그 상측으로 강제로 밀어 끼우면 리브(101)의 양단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플랜지(112)가 이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결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척추 고정장치는 세트 스크류(110)와 외부캡(100)을 결합시키기 위해 외부캡(100)에 나사구멍을 형성시킨 공정이 삭제된다. 그러므로 외부캡(100)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부캡(100)의 제조가 그만큼 용이하고 제조 시간이 절감된다.
이러한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특징은, 외부캡(100)에 형성된 한쌍의 리브(101)가 외부캡(100)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외부 캡(10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프로파일(low profile)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척추 고정장치의 전체 높이가 그만큼 낮아지므로 환자의 신체 표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척추 고정장치의 세트 스크류(110)의 저면에도 도 7과 같은 터널형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외부캡(100)의 둘레에 저항홈들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도 9와 같이 외부캡(100)을 육각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고, 도 15는 누름편(130)을 보인 사시도로써, 이는, 세트 스크류(120) 및 누름편(130)에 그 특징이 있다.
세트 스크류(120)의 둘레에 수나사부(121)가 형성되며 저면에 링형홈(122)이 형성된다.
누름편(130)은, 세트 스크류(120)의 링형홈(12)이 삽입되어서 세트 스크류(12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부면에 링형돌기(131)가 돌출되어 있고, 세트 스크류(120)를 조일 시 로드(20)의 상부면 둘레에 면접착되면서 로드(20)와의 접촉저항을 증대시키도록 저면에 터널형홈(13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의 특징은, 세트 스크류(120)와 로드(20) 사이에는 누름편(130)이 구비된다는 점이다. 이 누름편(130)의 링형돌기(131)는 세트 스크류(120)의 링형홈(122)의 회전을 안내하여서 세트 스크류(120)가 원활히 회전 되도록 유도한다. 세트 스크류(120)를 조이면 누름편(130)의 터널형홈(132)이 로드(20)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면서 비교적 넓게 면접촉되면서 로드(20)와의 접촉저항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누름편(130)에 의해 세트 스크류(120)가 원활히 조여질 뿐 아니라 세트 스크류(120), 누름편(130), 로드(20)가 서로 확실하게 밀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세트 스크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세트 스크류의 사용상태 측면도들
도 7은 세트 스크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8은 외부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외부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분리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척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분리 측단면도 및 부분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페디클 스크류 11,91 : 헤드
12,92 : 분기부 13,93 : 암나사부
14 : 테이퍼면 15,94,111 : 수나사부
20 : 로드 30,70,80,100 : 외부캡
31 : 나사구멍 32 : 자유단부
33 : 보강부 34 : 테이퍼면
35 : 곡면 40,50,60,110,120 : 세트 스크류
41 : 수나사부 42,112 : 플랜지
43 : 만곡면 51,61 : 터널형홈
62 : 마찰돌기 71 : 저항홈
101 : 리브 130 : 누름편

Claims (8)

  1. 상부에 분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12)의 내측면 둘레에 암나사부(13)가 형성되며 상단부 둘레에 테이퍼면(14)이 형성된 헤드(11)와, 상기 헤드(1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깊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 수나사부(15)로 이루어진 페디클 스크류(10);
    상기 페디클 스크류(10)의 분기부(12)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키는 로드(20);
    상기 페디클 스크류(10)의 헤드(11)에 씌워지고, 내측면 상단부 둘레에 상기 헤드(11)의 테이퍼면(14)에 접촉되도록 다른 테이퍼면(34)이 형성되며, 상단 둘레에 곡면이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 나사구멍(31)이 형성되며,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된 외부캡(30)(70)(80);
    상기 페디클 스크류(10)의 암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4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외부캡(30)(70)(80)의 상단을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4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42)의 상면에 상기 외부캡(30)(70)(80)의 곡면(35)과 함께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만곡면(43)이 형성된 세트 스크류(40)(50)(60)(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30)은,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80)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70)은,
    살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서 상기 외부캡(70)이 회전되려할 시 이들 사이의 접촉저항이 극대화되면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그 둘레에 저항홈(71)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스크류(50)(60)는,
    상기 로드(20)의 상부 둘레와 접촉면을 증대시키고 상기 세트 스크류(50)(6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그 저면에 터널형홈(51)(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홈(6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62)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세트 스크류(120)의 저면에 형성된 링형홈(122)이 삽입되어서 상기 세트 스 크류(12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부면에 링형돌기(131)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세트 스크류(120)를 조일 시 상기 로드(20)의 상부면 둘레에 면접착되면서 상기 로드(20)와의 접촉저항을 증대시키도록 저면에 터널형홈(132)이 형성된 누름편(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8. 상부에 분기부(92)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92)의 내측면 둘레에 암나사부(93)가 형성된 헤드(91)와, 상기 헤드(9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깊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 수나사부(94)로 이루어진 페디클 스크류(90);
    상기 페디클 스크류(90)의 분기부(92) 사이에 삽입되어서 척추를 고정시키는 로드(20);
    상기 페디클 스크류(90)의 헤드(91)에 씌워지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내주면 상단에는 한쌍의 리브(101)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101)의 평면을 포함한 상부면 전체가 평평하도록 형성되고, 전체 둘레는 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이에 밀착된 인체의 살이 그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된 외부캡(100);
    상기 페디클 스크류(90)의 암나사부(9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94)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리브(101)들의 단부 둘레를 눌러서 지지하도록 플랜지(112)가 형성되는 세트 스크류(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장치.
KR1020080085296A 2008-08-29 2008-08-29 척추 고정장치 KR20100026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96A KR20100026325A (ko) 2008-08-29 2008-08-29 척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96A KR20100026325A (ko) 2008-08-29 2008-08-29 척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25A true KR20100026325A (ko) 2010-03-10

Family

ID=4217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96A KR20100026325A (ko) 2008-08-29 2008-08-29 척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3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034B1 (ko) 척추고정나사
US6689134B2 (en) Longitudinal plate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length
US7001389B1 (en) Fixed and variable locking fixation assembly
KR100704150B1 (ko) 척추 고정 나사
US20080234748A1 (en) Anterior vertebral plate with quick lock screw
JP2004524123A (ja) 脊椎骨接合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
US20090270926A1 (en) Rotolock cervical plate locking mechanism
JP2010505539A (ja) 非剛性の骨プレート用のポート構造
US8574271B2 (en) Fixation plate screw retention
US6305938B1 (en) Fixture, prosthesis anchoring device and prosthesis
US20130211461A1 (en) Attachment device for a bone plate
KR100994184B1 (ko) 척추경 나사못 모듈
EP3570766B1 (en) Bone plate internal fixator device
US8715322B2 (en) Spine fixation device containing set screw having double spiral form
KR20100026325A (ko) 척추 고정장치
KR101041374B1 (ko) 척추 고정장치
KR20100026337A (ko) 척추고정용 넌캡스크류
KR102260687B1 (ko) 나사 이탈 방지 기능을 가진 척추 고정 장치
KR20190041051A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1553705B1 (ko)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US20170079692A1 (en) Osteosynthesis Assembly Formed by a Plate and at Least One Screw
KR101045229B1 (ko) 골고정용 장치
KR102278169B1 (ko) 척추 고정장치
KR100530931B1 (ko) 경추 고정 장치
KR200351836Y1 (ko) 탄성이 구비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