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184B1 - 척추경 나사못 모듈 - Google Patents

척추경 나사못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184B1
KR100994184B1 KR1020080011622A KR20080011622A KR100994184B1 KR 100994184 B1 KR100994184 B1 KR 100994184B1 KR 1020080011622 A KR1020080011622 A KR 1020080011622A KR 20080011622 A KR20080011622 A KR 20080011622A KR 100994184 B1 KR100994184 B1 KR 10099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icle screw
rod
elastic washer
pedicle
screw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794A (ko
Inventor
심영복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온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온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01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1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95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척추경 나사못의 나사부와 헤드부의 연결부에 탄성을 갖는 탄성와셔를 개재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척추가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동성을 확보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몸체 일단에는 공구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몸체 타단에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과; 몸체 상부에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자 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홈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삽입하여 상기 척추경 나사못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가 형성된 로드 고정부와; 상기 수납홈을 통해 상기 로드 고정부의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탄성와셔; 및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 외경을 따라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중심부에는 렌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와셔는 상기 수납홈에 로드를 안착하고 상기 볼트를 조여주면, 상기 로드와 밀착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로드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로드 및 상기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고정된 척추 뼈마디가 소정 범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척추경 고정장치, 척추경 나사못, 와셔, 탄성로드

Description

척추경 나사못 모듈{A spinal screw module}
본 발명은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척추경 나사못의 나사부와 헤드부의 연결부에 탄성을 갖는 탄성와셔를 개재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척추가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동성을 확보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통상 24개(천추골제외)의 뼈로 이루어져 각각의 뼈 사이에는 디스크라 불리는 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척추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척추는 인간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자세가 오랫동안 유지되거나,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게 되면 척추 뼈 마디의 디스크가 손상되어 척추 디스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척추 디스크 질환은 척추 뼈 마디를 통해 인체의 각 부분에 연결되는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척추 디스크 환자는 척추 뼈의 손상된 부분이 눌리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손상된 부위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 어진 인공 보조물(케이지)에 뼈 조각을 채워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삽입한 다음,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 융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시술되고 있다.
한편, 척추 디스크 환자 중 척추 뼈 사이의 디스크의 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디스크는 그대로 두고,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손상된 디스크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0)과 볼트(30)로 구성된다.
척추경 나사못(10)은 몸체 상부에 소정 깊이의 U자 형상의 수납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15)의 내주면에 암나사산(16)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14)와 몸체 하부에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30)는 척추경 나사못(10)의 암나사산(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경을 따라 수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렌치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50)를 연결할 때에는 나사부(12)를 척추경에 삽입·고정하고, 로드(50)를 수납홈(15)에 안착시킨 다음, 수납홈(15)에 볼트(30)를 체결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로드(50)가 수납홈(15)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와 로드가 장착되는 헤드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탄성이 없는 일자형 의료용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로드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척추 디스크 수술 후 척추경 나사못이 박힌 척추의 위 마디 또는 아래 마디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또 다른 척추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척추 뼈 사이에 손상된 디스크 대신 삽입된 인공 구조물 내부에는 척추 뼈마디를 융합시키기 위하여 골조직이 충진되어 있는데, 척추 디스크 수술 후 로드의 척추 뼈를 고정하고 있는 모양 그대로 척추 뼈가 융합되어 정상적인 허리 곡선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드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로드 고정부와, 척추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척추경 나사못 사이에 탄성을 갖는 와셔를 개재하여 척추 뼈마디와 척추 뼈마디 사이에 일정한 범위 내의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척추 디스크 수술 후 척추경 나사못이 박힌 척추의 위 마디 또는 아래 마디에 하중이 집중되어 또 다른 척추질환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체 특성에 따라 척추 뼈마디가 융합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몸체 일단에는 공구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몸체 타단에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과; 몸체 상부에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자 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홈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삽입하여 상기 척추경 나사못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가 형성된 로드 고정부와; 상기 수납홈을 통해 상기 로드 고정부의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탄성와셔; 및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 외경을 따라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중심부에는 렌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와셔는 상 기 수납홈에 로드를 안착하고 상기 볼트를 조여주면, 상기 로드와 밀착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로드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로드 및 상기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고정된 척추 뼈마디가 소정 범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의하면, 로드 고정부와 척추경 나사못 사이에 탄성을 갖는 와셔를 개재하여 척추 뼈마디와 척추 뼈마디 사이에 미세한 유동성을 부여해줌으로써 척추 뼈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또 다른 척추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척추 디스크 수술 후 척추 뼈마디의 융합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에 삽입되는 척추경 나사못(100)과, 척추경 나사못(100)의 상측에 연결되는 로드 고정부(200)와, 로드 고정부(200)에 체결되어 로드를 고정하는 볼트(400) 및 척추경 나사못(100)과 로드 고정부(2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와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척추경 나사못(100)은 몸체 일단에 십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100)을 회전시켜 척추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공구홈(106)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타탄에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헤드부(104)는 상면과 측면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어, 로드를 연결할 때 로드 고정부(200)의 회동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드 고정부(200)는 몸체 상부에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자 형상의 수납홈(202)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홈(202)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204)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는 수납홈(202)과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헤드부(104)를 삽입함으로써 척추경 나사못(10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20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척추경 나사못(100)과 로드 고정부(20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척추경 나사못(100)의 나사부(102)를 로드 고정부(200)의 수납홈(202)을 통해 삽입할 때 강제로 압입하여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부(104)가 수납홈(202)을 통해 연결구(208)에 수납되도록 한다.
볼트(400)는 암나사부(204)와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 외경을 따라 수나사부(402)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중심부에는 볼트(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렌치홈(40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렌치홈(404)은 볼트(400) 상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볼트(400)의 몸체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와셔(300)는 척추경 나사못(100)과 로드 고정부(200) 사이에 개재되며, 로드 삽입구(200)의 연결구(208) 내에 장착된다.
탄성와셔(300)는 중심부에 관통구(302)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관통구(302)의 상측 개구부의 크기가 하측 개구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와셔(300)를 연결구(208)에 장착했을 때 헤드부(104)의 상면과 측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탄성와셔(300)가 헤드부(104)의 상면 일부를 감싸고 있어 공구홈(106)이 완전히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와셔(300)는 척추경 나사못(100)을 척추경에 삽입한 이후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와셔(300)는 로드를 고정했을 때 로드를 통해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미세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 탄성체, 폴리우레탄 탄성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고무계 탄성체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볼트(400)의 저면, 즉 로드에 접촉되는 면에는 탄성와셔(300)와 동일한 재질의 디스크(미도시)를 추가로 부착하거나 개재하여 탄성와셔(300)를 개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로드(500)를 로드 고정부(200)의 수납홈(202)에 안착시키고 볼트(400)를 체결하면, 볼트(400)의 저면이 로드(500)의 외경을 압박하고, 그 힘에 의해 로드(500)가 탄성와셔(300)를 압박하게 된다. 이때, 탄성와셔(300)가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부(104)와 로드 고정부(200)에 밀착되면서 로드(500), 척추경 나사못(100) 및 로드 고정부(200)를 서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로드(500)에 충격이나 진동 등이 전달되면 탄성와셔(300)를 통해 흡수되는데, 이때 척추 뼈가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세한 유동성을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10), 로드 고정부(210), 볼트(410) 및 탄성와셔(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척추경 나사못(110)의 헤드부(112)와 탄성와셔(310)의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다.
척추경 나사못(110)의 헤드부(112)는 상면에 십자형 드라이버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구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면이 평평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헤드부(112)가 평평하게 구성되면, 척추 수술 이후 로드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로드 고정부(210)가 척추경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110)으로부터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탄성와셔(310)는 소정 두께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척추경 나사못(110)의 헤드부(112) 상부에 장착되어 로드 고정부(210)의 연결구(218) 내에 수납된다. 이때, 탄성와셔(310)는 척추경 나사못(110)을 척추경에 삽입·고정한 이후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20), 로드 고정부(220), 볼트(420) 및 탄성와셔(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척추경 나사못(120)의 공구홈(126)와 탄성와셔(320)의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다.
척추경 나사못(120)의 헤드부(124)에 형성된 공구홈(126)은 육각렌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헤드부(124) 상면 중심부에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탄성와셔(320)는 몸체 중심부에 헤드부(124)에 형성된 공구홈(126)을 노출시키는 관통구(322)가 형성된 링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와셔(320)에 관통구(322)가 형성되어 있어 척추경 나사못(120)을 척추경에 삽입·고정할 때 탄성와셔(320)의 관통구(322)를 통해 공구, 즉 육각렌치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는 달리 척추경 나사못(120)을 척추경에 삽입하기 이전에 탄성와셔(320)를 로드 고정부(220)의 연결구(228) 내에 장착해놓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30), 로드 고정부(230), 볼트(430) 및 탄성와셔(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탄성와셔(330)가 와이어 스프링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다.
탄성와셔(330)는 척추경 나사못(130)의 헤드부(134)에 형성된 공구홈(136)을 노출시키는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며, 티타늄, 니티놀합금(Nitinol ; Ni-Ti합금) 또는 스테인레스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를 연결하게 되면, 볼트(430)로부터 전해지는 힘이 로드를 통해 스프링 형태의 탄성와셔(330)를 거쳐 척추경 나사못(130)에 전달되어 로드, 척추경 나사못(130) 및 로드 고정부(230)가 서로 연결 및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드를 통해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면 스프링 형태의 탄성와셔(330)가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흡수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40), 로드 고정부(240), 볼트(440) 및 탄성와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탄성와셔(340)가 원형의 판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다.
탄성와셔(340)는 티타늄, 니티놀합금(Nitinol : Ni-Ti합금)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부분이 분리되어 다수 개의 날개(342)가 형성된 바람개비 형상을 갖는다. 이때, 날개(342)는 헤드부(144) 상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 부분 이상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날개(342)는 일측이 척추경 나사못(140)의 헤드부(144)에 접촉되고 타측이 헤드부(144)와 이격되도록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어, 로드 장착 후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탄성와셔(340)가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50), 로드 고정부(250), 볼트(450) 및 탄성와셔(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탄성와셔(350)의 형태가 제5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탄성와셔(340)와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 다.
탄성와셔(350)는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와셔(350)의 몸체에 전체적으로 파(wave)형태의 요철(35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와셔(350)에 형성된 요철(352)은 탄성와셔(350)를 척추경 나사못(150)의 헤드부(154) 상부에 장착했을 때 탄성와셔(350)가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헤드부(154)와 접촉되는 부분이 세 부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를 고정한 후 압력을 받으면, 탄성와셔(350)에 형성된 요철(352)이 전체적으로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60), 로드 고정부(260), 볼트(460) 및 탄성와셔(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탄성와셔(310)와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다.
탄성와셔(360)는 중심부에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구(362)가 형성된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에 파(wave)형태의 요철(364)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와셔(360)는 척추경 나사못(160)의 헤드부(164) 상부에 장착했을 때 탄성와셔(360)가 중심을 잡고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세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가질 수 있도록 요 철(364)을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탄성와셔(360)에 형성된 철(凸)부 또는 요(凹)부는 같은 서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탄성와셔(360)의 상면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경 나사못(170), 로드 고정부(270), 볼트(470) 및 탄성와셔(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척추경 나사못(170)과 탄성와셔(370)의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척추경 나사못(170)은 몸체 일단에 로드 고정부(270)에 삽입되는 헤드부(174)와 몸체 타단에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74)는 다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구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파(wave)형을 갖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헤드부(174)에 형성된 요철부 중에서 철(凸)부는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헤드부(170)의 상면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탄성와셔(370)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에는 파(wave)형태의 요철(37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와셔(370)에 형성된 요철(372)은 척추경 나사못(170)의 헤드부(174)에 형성된 요철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여 탄성와셔(370)를 로드 고정부(270)에 삽입했을 때 탄성와셔(370)와 척추경 나사못(170)의 헤드 부(174)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척추경 나사못(170), 탄성와셔(370) 및 로드 고정부(270)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170)을 삽입할 때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척추경 나사못의 헤드부에 형성된 공구홈을 통해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하지 않고, 로드 고정부(270)를 회전시킴으로써 척추경 나사못(170)을 삽입할 수 있다.
탄성와셔(370)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를 고정한 후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헤드부(174)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척추가 미세하게 움질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로드와 접촉되는 볼트(470) 저면에 탄성와셔(37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디스크(미도시)를 개재함으로써 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도와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을 이용하여 로드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은, 척추디스크 수술 시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고, 디스크가 제거된 공간에 뼈 조각이 채워진 인공 보조물(미도시)을 삽입한 후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부분의 척추 뼈가 잘 융합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디스크의 손상이 적은 경우에는 디스크를 제거하지 않고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문제가 있는 디스크 상하부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미도시)을 삽입하고, 로드(500)를 로드 고정부(200)에 삽입한 후 볼트(400)를 조여줌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척추 뼈와 척추 뼈 사이에 일정한 범위의 유동성이 부여되어야 디스크의 재생 또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다양한 탄성와셔를 개재하여 로드(500)가 탄성와셔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로드(500)가 탄성와셔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로드(500)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이 탄성와셔를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로드(500)에 고정되어 있는 척추 뼈가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로드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을 이용하여 로드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 척추경 나사못
102, 112, 122, 132,: 나사부
104, 114, 124, 134 : 헤드부
106, 116, 126, 136 : 공구홈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 로드 고정부
202, 212, 222, 232 : 수납홈
204, 214, 224, 234 : 암나사부
208, 218, 228, 238 : 연결구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 탄성 와셔
302, 322, 362 : 관통구
342 : 날개
352, 364, 372 : 요철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 볼트
402, 412, 422, 432 : 수나사부
404, 414, 424, 434 : 렌치홈
500 : 로드

Claims (16)

  1. 몸체 일단에는 공구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몸체 타단에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과;
    몸체 상부에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자 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홈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삽입하여 상기 척추경 나사못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가 형성된 로드 고정부와;
    상기 수납홈을 통해 상기 로드 고정부의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탄성와셔; 및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 외경을 따라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중심부에는 렌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와셔는 상기 수납홈에 로드를 안착하고 상기 볼트를 조여주면, 상기 로드와 밀착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로드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로드 및 상기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고정된 척추 뼈마디가 소정 범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면 및 측면에 곡면부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상기 헤드부의 상단부를 일부 삽입할 수 있도록 몸체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면이 평평하게 구성되고, 중심부에 소정 깊이의 공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상기 척추경 나사못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내에 수납되며, 소정 두께의 원통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상기 척추경 나사못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내에 수납되며, 소정 두께의 링 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7.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실리콘 탄성체, 폴리우레탄 탄성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고무계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몸체에 요철이 형성된 원형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티타늄, 니티놀(Ni-Ti)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몸체 가장자리가 세 부분 이상으로 분리된 바람개비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몸체 중심부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척추경 나사못의 헤드부와 세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모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11622A 2008-02-05 2008-02-05 척추경 나사못 모듈 KR100994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22A KR100994184B1 (ko) 2008-02-05 2008-02-05 척추경 나사못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22A KR100994184B1 (ko) 2008-02-05 2008-02-05 척추경 나사못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94A KR20090085794A (ko) 2009-08-10
KR100994184B1 true KR100994184B1 (ko) 2010-11-15

Family

ID=4120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22A KR100994184B1 (ko) 2008-02-05 2008-02-05 척추경 나사못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1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355A (ko) 2018-04-25 2019-11-05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KR20220043283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본시멘트 주입형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나사못을 구비한 척추고정술용 수술도구
KR20220043284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다공성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나사못을 구비한 척추고정술용 수술도구
KR20220137268A (ko) 2021-04-02 2022-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뼈 나사용 경로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859A (zh) * 2018-04-17 2018-08-31 上海市第六人民医院 一种动态反馈固定系统
KR102324934B1 (ko) * 2019-10-29 2021-11-11 (주)서한케어 척추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355A (ko) 2018-04-25 2019-11-05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KR20220043283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본시멘트 주입형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나사못을 구비한 척추고정술용 수술도구
KR20220043284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다공성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나사못을 구비한 척추고정술용 수술도구
KR20220137268A (ko) 2021-04-02 2022-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뼈 나사용 경로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94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8656T3 (es) Abrazadera para dispositivo de conexión cruzada espinal
KR100741293B1 (ko) 다중축 척추 고정 나사
KR100994184B1 (ko) 척추경 나사못 모듈
JP5156840B2 (ja) 脊椎の屈曲および伸展運動を制御する装置
US7780704B2 (en) Spinal cross-connector
JP5193025B2 (ja) 面関節インプラント架橋連結のシステム
US7862591B2 (en) Intervertebral prosthetic device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method of implanting same
JP4008038B2 (ja) 形状記憶技術を使用した多角骨ネジ組立体
US8128659B2 (en) Spinous process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KR100704150B1 (ko) 척추 고정 나사
JP2009502234A (ja) 融合構造体を伸長させるためのロッド伸長体
US10064741B2 (en) Clamping device for affixing a stop plate to an interbody implant
JP2009538709A (ja) 骨安定化装置のための係止装置
US8715322B2 (en) Spine fixation device containing set screw having double spiral form
KR101041374B1 (ko) 척추 고정장치
KR101553705B1 (ko)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US20200360060A1 (en) Spine fixing device having anti-screw separation function
KR100977586B1 (ko) 로드 지지용 와셔를 포함하는 척추경 고정장치
KR101686641B1 (ko) 척추 요추부 극돌기 고정장치
KR20150097958A (ko) 척추간 고정구
KR101196776B1 (ko) 척추 고정 장치
TWI405557B (zh) Spiral rod connection device
KR100952753B1 (ko) 다이나믹 로드
KR20090110019A (ko) 척추경 나사못 모듈
KR20100043358A (ko) 척추 고정 장치용 플렉시블 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